KR101858004B1 -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 - Google Patents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004B1
KR101858004B1 KR1020170136355A KR20170136355A KR101858004B1 KR 101858004 B1 KR101858004 B1 KR 101858004B1 KR 1020170136355 A KR1020170136355 A KR 1020170136355A KR 20170136355 A KR20170136355 A KR 20170136355A KR 101858004 B1 KR101858004 B1 KR 101858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late
agricultural products
air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일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일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일엠에스
Priority to KR102017013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2Packaging of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heating or cooling articles or materials to facilitate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은 상면에 선별을 위한 농산물이 놓여지는 것으로 이물질이 통과하는 배출구멍이 복수 형성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되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멍을 통과한 이물질이 한쪽으로 미끄러져 내리도록 구비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측을 향하여 분출하도록 복수의 세척노즐을 구비하여 된 고압분사판;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에 접촉되어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은, 테이블에 고압의 냉각 공기를 분출하여 포장대상 농산물이 포장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되어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예냉 조건에서의 포장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소동화작용, 광합성 및 호흡작용 등을 지연시켜 이에 따른 신선도 저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변질로 인한 상품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부플레이트는 농산품에 대한 소포장 과정에서 표피 등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탈락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으며,

Description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Work bench for small quantity packaging}
본 발명은 과일, 버섯, 채소 등의 농산품을 소분하여 선별 포장하기 위한 수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 상태의 포장대상물을 실온인 상온에서 선별하고 소분 포장하는 과정에서 숙성과 변질되는 것을 억제하여 양호한 선도유지를 보장하고, 또한 포장과정에서 농산품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나 흙 등을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과일이나 채소 또는 버섯 등과 같은 농산품의 소비 증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농산품의 경우 가공제품보다는 산지에서 바로 수확하여 공급되는 신선하고 안전한 신선편이 농산물에 대한 소비시장이 급신장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신선편이 농산물이란 과일이나 채소 또는 버섯 등의 농산물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세척, 박피, 다듬기 또는 절단과정을 거쳐 포장하여 유통되는 조리용 채소류,버섯류 등 농산물을 뜻하는 것으로, 이외에도 과일의 겉껍질이나 씨앗 부분 등 먹지 않는 부분을 제거하고, 살균 또는 세척한 후 조리하거나 먹기 좋도록 위생적으로 손질 포장하여 특유의 신선함을 유지하면서도 이용 시에 간편성을 부여한 농산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신선편이 농산물의 형태는 농산물의 종류의 특성과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제품은 가열 등과 같은 가공처리를 하지 않아 특유의 조직감과 향미 그리고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아 고유의 영양성분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소비자들도 간편하게 조리가 가능하거나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상태의 농산물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대규모의 과일 및 채소류를 유통 및 저장하는 방법, 예를 들어 박스 형태로 유통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신선편이 농산물과 같이 산지에서 소비 가능한 부위만을 소규모로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일차 편의가공시설을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농산물의 선별기준은 기본적으로 크기, 모양, 색, 무게, 당도, 맛 등이 있으며, 같은 경작지에서 재배하더라도 선별기준에 따라 선별기준에 따른 각기 다른 상품이 생산됨에 따라 선별작업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의 선별작업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수확한 농산물을 냉장 창고 등에 입고시킨 후 출하시 일정 규격의 포장파우치나 포장용기에 담아 출하를 준비하게 되는데, 이때 포장작업은 작업자가 작업대에 다량의 농산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골라서 선별 포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농산물 소포장을 위한 선별작업은 대부분 실온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냉장상태의 농산물이 포장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른 변질 또는 숙성촉진으로 인한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손에 접촉하여 체온이 전달되는 것에 의해 상추 등과 같은 잎 채소 경우 국부적인 온도차로 인하여 쉽게 변질되어 상품성이 불량해지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각종 나물이나 양파 등과 같은 농산품을 소분하여 포장하는 경우 수세척이 곤란함에 따라 흙이나 기타 이물질 등의 오염물의 제거가 곤란하고, 이러한 오염물이 묻어 있는 상태로 포장하여 출하함에 따라 상품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오염물에 의한 변질의 우려가 크고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딸기와 같이 과육이 연하고 온도변화에 따라 급격한 변질이 발생하는 농산물의 경우 냉장 저장온도가 아닌 비교적 높은 온도인 상온에서 포장작업이 이루어지고, 거기에 작업자의 체온까지 더해짐에 따라 물리적 손상이 쉽게 발생할 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조직의 연하 현상으로 인해 과육의 표면이 물러지고 활발한 호흡작용에 따른 산패와 변색 등의 외관품질 저하의 문제점과 함께 짧은 저장성 그리고 선도유지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4793호(2016.10.06), ′과일의 선별 및 포장용 작업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 상면에 놓여진 포장대상물이 포장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신선도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변질로 인한 상품성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산품에 대한 소포장 과정에서 표피 등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 도를 높일 수 있는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은, 상면에 선별을 위한 농산물이 놓여지는 것으로 이물질이 통과하는 배출구멍이 복수 형성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되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멍을 통과한 이물질이 한쪽으로 미끄러져 내리도록 구비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측을 향하여 분출하도록 복수의 세척노즐을 구비하여 된 고압분사판;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에 접촉되어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배출구멍을 통과한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공간을 형성하되, 이 포집공간에는 흡입압이 작용되도록 진공펌프가 연결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복수의 고압분사판은 내부가 비어 있는 에어챔버를 형성한 밀폐 구조로 제공되어, 일측에 고압의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펌프에 배관 연결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배출구멍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공기펌프에 배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부양노즐이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공기펌프는 0℃~18℃의 냉기를 공급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에 상기 배출구멍과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냉각재가 유동되는 냉각관이 설치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은, 테이블에 고압의 냉각 공기를 분출하여 포장대상 농산물이 포장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되어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예냉 조건에서의 포장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소동화작용, 광합성 및 호흡작용 등을 지연시켜 이에 따른 신선도 저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변질로 인한 상품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부플레이트는 농산품에 대한 소포장 과정에서 표피 등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탈락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을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에서 상부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을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농산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탄한 판재 형상으로 제공되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출구멍(11)이 관통 형성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로 제공되는 상부플레이트(10)와, 이 상부플레이트(1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 관통 형성된 구멍이 배출구멍(11)을 향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3)이 구비된 고압분사판(30)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0)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프레임(40) 그리고 상기 고압분사판(3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펌프(35)에 연결되는 배관(미부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 형성된 배출구멍(11)으로 흡입압이 작용하도록 상부플레이트(10)의 하측에 배관되어 진공펌프(25)에 연결되는 배관(미부호)으로 이루어진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1)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상면에 농산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탄한 판재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농산물에 묻어 있는 흙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인 배출구멍(11)을 형성하여 된 상부플레이트(10)와, 이 상부플레이트(10)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되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배출구멍(11)을 통과한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흘러 내릴 수 있도록 경사배치된 하부플레이트(2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의 밀폐된 포집공간(21)에 진공압을 작용하여 배출구멍(11)을 통해 이물질의 흡입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진공펌프(25)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테두리를 따라 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출하는 세척노즐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 세척노즐(33)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35) 그리고 이 공기펌프(35)에 연결되어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는 열교환기(37)로 이루어진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1)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에서 상부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상부면에 농산물을 올려놓고 작업자가 선별 및 포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평탄한 판재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배출구멍(11)을 형성하여 농산물에 묻어 있는 흙이나 이물질 등이 하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상부플레이트(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상부플레이트(10)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구멍(11)과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냉각 공기나 냉각제 등의 냉매체가 유동되는 냉각관이 설치되며, 이 냉각관은 공지의 열교환기에 배관 연결되는 구성의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1)이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1)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각종 과일이나 잎채소, 뿌리채소, 버섯 등의 농산물을 올려놓고 작업자가 선별하여 파우치팩이나 포장용백 등에 담아서 포장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용 테이블로서, 특징적으로 상면에 선별을 위한 각종 농산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탄한 스테인레스 판재로 제공되는 상부플레이트(10)와, 이 상부플레이트(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 복수 형성된 배출구멍(11)을 통과하여 떨어진 흙이나 각종 이물질이 쌓이는 것으로 일측으로 경사 배치되어 낙하된 흙이나 이물질이 한쪽으로 미끄러져 내리도록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20)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테두리 부분에 구비되어 낮은 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 올려진 농산물을 향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3)을 구비한 고압분사판(30)으로 구성된다.
상부플레이트(10)는 과일이나 잎채소,뿌리채소, 버섯 등의 각종 농산물을 올려 놓고 작업자가 육안으로 선별한뒤 소량 포장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스테인레스 계열의 금속판재로 제공되며,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배출구멍(1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배출구멍(11)은 상기 소분 포장을 하기 위한 농산물에 묻어 있는 흙이나 물기 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을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10)는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농산물을 선별하여 포장하는 시간동안 상온에 노출되어 숙화 촉진으로 인해 변질과 갈변 등의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하면에 냉각관(39)이 설치된다. 이때의 상기 냉각관(39)은 내부에 냉각수나 냉각기체 등의 냉각재가 유동되는 관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냉각관(39)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공지의 냉각장치에 연결되어 냉각재를 공급받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냉각관(39)은 상부플레이트(10)의 하면에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후술할 고압분사판(3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하부플레이트(2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판재형의 부재로,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계열의 금속판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하부플레이트(2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배출구멍(11)을 통과한 흙이나, 물기 또는 이물질 등이 어느 한쪽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기울어지게 경사 배치된 것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하부플레이트(2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면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배출구멍(11)을 통과한 이물질이 좌측으로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이동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좌측 부분에는 포집통(23)이 슬라이드 끼움 즉, 서랍식으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꺼내어 포집된 이물질을 버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10)는 전체적으로 농산물에 묻어 있는 물기 등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를 갖거나 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테두리측을 향하여 완만한 하향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는 배출구멍(11)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은 밀폐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이때의 측면은 별도의 판재부재로 용접하여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고압분사판(30)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고압분사판(30)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측벽을 이루는 부재이며, 외부에 설치된 공기펌프(35)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공급받도록 배관 연결되며, 공급받은 고압의 공기는 세척노즐(33)을 통해 분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척노즐(33)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 올려진 농산물에 고압의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농산물에 묻어 있는 흙이나 물기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을 탈락시켜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배출구멍(11)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상기 고압분사판(30)은 도 1의 우측 확대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에어챔버(31)가 형성되며, 이 비어 있는 에어챔버(31)의 내부로 공기펌프(35)와 배관 연결되어 고안의 공기를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챔버(31)는 각 세척노즐(33)과 연결되는 구성이어서 상기 에어챔버(31)의 내부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는 세척노즐(33)을 통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측을 향하여 분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고압분사판(30)은 각 세척노즐(33)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제안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기펌프(35)와 배관으로 연결되고, 이 배관에 세척노즐(33)이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공기펌프(35)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압의 공기를 생성하는 공지의 공압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펌프(35)는 상기 고압분사판(30)의 내부로 고압공기를 공급하도록 배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기펌프(35)는 일측에 저온의 냉각된 공기를 공급받도록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인 열교환기(37)가 연결되어 상기 고압분사판(30)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냉각된 공기는 농산물이 선별과 포장되는 시간동안 상온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숙성되거나 변질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그 온도는 0℃~18℃ 내,외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로 이루어진 조립체는 복수의 다리프레임(40)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되며, 이때의 상기 다리프레임(40)은 상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10)나 하부플레이트(20) 또는 이들 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하부는 지면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하면에는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캐스터나 휠 등의 바퀴요소가 부착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1)의 작업면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10)의 상면에 선별과 포장을 위한 농산물을 올려 놓는다.
이어서, 상기 공기펌프(35)와 열교환기(37)를 구동시키면, 고압이면서 저온의 공기가 고압분사판(30)의 세척노즐(33)을 통해 공급되고, 상기 세척노즐(33)은 고압의 저온 공기를 농산물을 향하여 분사함으로써 상기 농산물에 묻어 있는 흙이나 물기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을 털어낸다.
이렇게 상기 농산물에 묻어 있던 흙 등의 이물질은 선별과 포장과정에서 상부플레이트(10)의 상면으로 모인 뒤 진공펌프(25)에 연결되어 흡입압을 작용하는 배출구멍(11)을 통해 포집공간(21)으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포집공간(21)을 떨어진 이물질은 상기 하부플레이트(20)의 경사 배치 구조에 의해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밀려 내려 포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농산물을 선별하고 포장하는 과정동안 농산물에 대한 냉장 상태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므로 상온에서 선별 및 포장시 발생하는 숙화촉진과 열화에 의한 변질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어 보존성을 양호하게 하고 상품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작업자가 농산물을 선별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을 제공하도록 평탄한 판재 형상으로 제공되면서 농산물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과 흙이 하부로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구멍(11)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10)와, 이 상부플레이트(10)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멍(11)을 통과하여 떨어진 흙이나 이물질이 일측으로 미끄러져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2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와 하부플레이트(20) 사이의 밀폐된 포집공간(21)에 진공압을 작용하여 상기 배출구멍(11)을 통한 이물질의 원활한 흡입을 유도하는 진공펌프(25)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테두리를 따라 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냉각된 공기를 생성하도록 열교환기(37)와 공기펌프(35)를 경유하는 냉각 공기를 공급받아 상부플레이트(10)에 올려진 농산물 쪽으로 분출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3)을 구비한 고압분사판(30)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배출구멍(11)과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공기펌프(35)에 배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공급받아 분출하는 복수의 부양노즐(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1)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1)은 앞서 설명한 일 실시례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례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1)의 특징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0)를 구성함에 있어 배출구멍(11)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부양노즐(13)을 부가 구성한 특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부양노즐(13)은 상기 배출구멍(11)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복수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펌프(35)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공급받아 분출하는 요소이며,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부양노즐(13)과 배출구멍(11)은 교차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고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양노즐(13)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상면에 올려진 농산물에 대해 고압의 공기를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분출시킴으로써 표피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탈락시킴과 아울러 열교환기(37)에 의해 낮아진 저온의 공기를 공급받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양노즐(13)의 공기분출에 의해 농산물 표피에서 탈락된 이물질은 흡입압이 작용하는 배출구멍(11)으로 빨려 들어가 포집공간(21)에 모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례에 따른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1)을 구성하는 상부플레이트(10)의 상면에 선별과 포장을 위한 농산물을 올려 놓는다.
이어서, 공기펌프(35)와 열교환기(37)를 구동시키면, 상기 고압분사판(30)의 세척노즐(33)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 구비된 부양노즐(13)을 통해 고압의 저온 공기가 분출되어 농산물에 대한 냉장 상태의 환경을 유지하면서, 농산물에 묻어 있는 흙이나 물기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을 분사시켜 떨어뜨린다.
이렇게 농산물에 묻어 있던 흙이나 이물질 등은 바닥이 상부플레이트(10)의 상면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은 선별과 포장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진공펌프(25)에 연결되어 흡입압을 작용하는 배출구멍(11)을 통해 포집공간(21)으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포집공간(21)으로 떨어진 이물질은 상기 하부플레이트(20)의 경사 배치 구조에 의해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밀려 내려 포집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 10 : 상부플레이트
11 : 배출구멍 13 : 부양노즐
20 : 하부플레이트 21 : 포집공간
23 : 포집통 25 : 진공펌프
30 : 고압분사판 31 : 에어챔버
33 : 세척노즐 35 : 공기펌프
37 : 열교환기 39 : 냉각관
40 : 다리프레임

Claims (4)

  1. 상면에 선별을 위한 농산물이 놓여지는 것으로 이물질이 통과하는 배출구멍이 복수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되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멍을 통과한 이물질이 한쪽으로 미끄러져 내리도록 구비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측을 향하여 분출하도록 복수의 세척노즐을 구비하여 된 고압분사판과,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에 접촉되어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저면에 상기 배출구멍과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냉각재가 유동되는 냉각관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일측에 포집된 이물질을 선택적으로 꺼내어 버릴 수 있도록 슬라이드 끼움 된 포집통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배출구멍을 통과한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공간을 형성하되, 이 포집공간에는 흡입압이 작용되도록 하는 진공펌프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고압분사판은 내부가 비어 있는 에어챔버를 형성한 밀폐 구조로 제공되어, 일측에 고압의 공기를 생성하는 것으로 0℃~18℃의 냉기를 공급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공기펌프에 배관 연결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배출구멍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공기펌프에 배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부양노즐이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36355A 2017-10-20 2017-10-20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 KR101858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355A KR101858004B1 (ko) 2017-10-20 2017-10-20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355A KR101858004B1 (ko) 2017-10-20 2017-10-20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004B1 true KR101858004B1 (ko) 2018-05-15

Family

ID=6218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355A KR101858004B1 (ko) 2017-10-20 2017-10-20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0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509A (ja) * 2003-10-24 2005-05-19 Itano Kogyo Kk 低温作業台
CN201895809U (zh) * 2010-12-16 2011-07-13 诺基亚西门子通信(上海)有限公司 吸尘包装台
JP2012239464A (ja) * 2011-05-24 2012-12-10 Shigekichi Mukoyama 空気吹き付け処理装置、空気吹き付け処理構造、および空気吹き付け処理システム
CN103318493A (zh) * 2013-06-04 2013-09-25 镇江市丹徒区茗缘茶叶专业合作社 茶叶盛取工作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509A (ja) * 2003-10-24 2005-05-19 Itano Kogyo Kk 低温作業台
CN201895809U (zh) * 2010-12-16 2011-07-13 诺基亚西门子通信(上海)有限公司 吸尘包装台
JP2012239464A (ja) * 2011-05-24 2012-12-10 Shigekichi Mukoyama 空気吹き付け処理装置、空気吹き付け処理構造、および空気吹き付け処理システム
CN103318493A (zh) * 2013-06-04 2013-09-25 镇江市丹徒区茗缘茶叶专业合作社 茶叶盛取工作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Donald et al. Vacuum cooling technology for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a review
CN103650903B (zh) 一种袋装金针菇工厂化生产方法
EP3430908A1 (en) Method for preservation of fresh plants by vacuum pre-cooling synchronously combined with modified atmosphere technique
JP6010240B1 (ja) 加温・冷却一体型食材加工システム
NO790560L (no) Emballasje for lett fordervelige varer
MX2011001246A (es) Sistema para transportar objetos completamente asimetricos tales como un racimo de uvas u otra fruta a traves de un tubo neumatico.
CN108545324A (zh) 一种鲜切果蔬气调包装盒及其使用方法
Somogyi et al. Dehydration of fruits
US856307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itrus snack using reduced pressure drying
US20120247007A1 (en) Method in commercial mushroom harvesting
CN104026215B (zh) 一种延长鲜食菜豆货架期的保鲜方法
KR101858004B1 (ko) 소분포장용 수작업 테이블
CN104472675A (zh) 一种鲜切茄子的保鲜方法
US20190000130A1 (en) Agricultural system and method for lettuce
Acedo Jr et al. VEGETABLES POSTHARVEST Simple techniques for increased income and market
CN207932306U (zh) 新鲜草莓的保鲜包装装置
CN209436173U (zh) 一种适用于双孢菇的真空冷却设备
Alves et al. Brazilian experience on the handling of acerola fruits for international trade: harvest and postharvest recommendations
US10849332B2 (en) Produce ripening system and apparatus
Garcia et al. Determination of the respiration index and of the modified atmosphere inside the packaging of minimally processed products
CN209410788U (zh) 一种蔬菜保鲜运输盒
Banga et al. Waste-reduction techniques in fresh produce
CN207240311U (zh) 一种脱水蔬菜生产用高效切片机
Shiina et al. Trends of fresh-cut vegetables in Japan
JP2005537787A (ja) 新鮮な生産物の電子レンジ調理可能な包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