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028B1 -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028B1
KR101857028B1 KR1020120081550A KR20120081550A KR101857028B1 KR 101857028 B1 KR101857028 B1 KR 101857028B1 KR 1020120081550 A KR1020120081550 A KR 1020120081550A KR 20120081550 A KR20120081550 A KR 20120081550A KR 101857028 B1 KR101857028 B1 KR 101857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oving
contact
moving glass
r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745A (ko
Inventor
최제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0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window sashes; for glass run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서 상승하강하는 무빙글래스와 도어에 고정된 픽스드글래스 사이에 장착되는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에 있어서, 상하방향을 따라 픽스드글래스의 끝단에 고정결합된 고정부재; 및 튜브모양으로서 일측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무빙글래스에 맞닿도록 배치되되, 무빙글래스의 내측면이 맞닿는 제1접촉면과 상기 무빙글래스의 끝단면이 맞닿는 제2접촉면이 형성된 글래스런;을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런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며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이 형성된 밀착부 및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밀착부의 탄성변형을 지지하도록 밀착부와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글라스런은, 무빙글래스의 두 면(내측면 및 끝단면)을 지지하되 상기 무빙글래스의 상승하강에 따라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삭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Structure of glass-run for vehicle door}
본 발명은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픽스드글라스와 무빙글라스 사이에 장착되는 글래스런에 있어서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제거하여 차량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승용차량의 도어에는 실내를 개방하기 위해 상하로 활주하여 개폐되는 무빙글래스와 (도어의 구조상 이동이 불가능하여) 도어에 고정된 픽스드글래스가 장착된다.
그리고, 무빙글래스와 픽스드글래스에는 외부소음 및 빗물의 실내 침부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의 글래스런이 장착된다.
종래의 글래스런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상하방향을 따라 장착된 채널바가 장착되고 상기 채널바의 양측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들로 무빙글래스의 끝단에서 양측면이 물려지도록 배치된 전방글래스런 및 픽스드글래스의 끝단에서 양측면이 물려지도록 배치된 후방글래스런이 각각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방글래스런은 무빙글래스의 닫힘(무빙글래스 상승) 또는 열림(무빙글래스 하강)에 따라서 양측의 마주하는 부분(무빙글래스에 밀착되는 부분)이 탄성변형하며 밀착되어 외부 소음 및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글래스런 장착구조는 전방글래스런과 후방글래스런 및 채널바가 무빙글래스 및 픽스드글래스의 표면에서 외부돌출되어 차량 전체의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빙글래스 및 픽스드글래스의 외부전체가 평탄면(flush surface)로 구성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삭제된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에서 상승하강하는 무빙글래스와 도어에 고정된 픽스드글래스 사이에 장착되는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에 있어서, 상하방향을 따라 픽스드글래스의 끝단에 고정결합된 고정부재; 및 내부에 중공을 갖는 튜브모양으로서 일측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무빙글래스에 맞닿도록 배치되되, 무빙글래스의 내측면이 맞닿는 제1접촉면과 상기 무빙글래스의 끝단면이 맞닿는 제2접촉면이 형성된 글래스런;을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런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며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이 형성된 밀착부 및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밀착부의 탄성변형을 지지하도록 밀착부와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에는 제1접촉면과 거리를 두고 무빙글라스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된 아우터립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빙글래스의 끝단면 모서리는 만곡된 모양을 이루도록 라운딩되며, 상기 밀착부에는 무빙글래스의 활주에 따라 만곡된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제2접촉면의 일측에서 돌출립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에는 글래스런과 마주하는 면에 끼움홈이 타공되며 상기 끼움홈의 내주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끼움홈에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돌출되되 상기 끼움돌기의 외주면에는 돌기부들 사이로 진입되는 걸림립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강성 보강을 위해 금속재 보강부재를 내포하되, 상기 보강부재는 끼움돌기 내부까지 확장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픽스드글라스 아래로 도어 내부에는 "ㄱ" 자형 모양을 이루도록 로워채널부가 장착되되, 상기 로워채널부는, 픽스드글라스 하부에서 가로로 배치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무빙글라스의 일측 끝단에 마주하도록 세로로 배치된 가이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무빙글라스의 양면이 접촉되도록 끼워지는 제2글라스런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글라스런은, 무빙글래스의 두 면(내측면 및 끝단면)을 지지하되 상기 무빙글래스의 상승하강에 따라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삭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돌출된 부분없이 도어 글래스 전체를 평탄면으로 구성함으로서 차량의 외관미를 향상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아우터립과 돌출립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무빙글래스에 더욱 효율적으로 밀착되므로 소음 및 이물질의 침투를 더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보강부재가 추가되어 변형 및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로워채널부가 장착되어 무빙글래스의 열림 시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글래스런이 장착된 도어의 사시도 및 D-D 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런이 장착된 도어의 사시도 및 A-A 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무빙글래스가 닫혔을 때와 무빙글래스가 열렸을 때의 단면모습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런의 지지부가 고정부재와 결합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로워채널부가 결합된 도어를 투시하여 도시한 투시도 및 B-B와 C-C 부분들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들이 도시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글래스런(10)은 고정부재(20)와 함께 도어(100)에서 상승하강하는 무빙글래스(200)와 도어(20)에 고정된 픽스드글래스(300)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무빙글래스(200)와 마주하는 픽스드글래스(300)의 일측 끝단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결합 또는 일체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조가 완료된 픽스드글래스(300)의 끝단에서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20)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사출로 성형된다. 상기 고정부재(20)에는 글래스런(10)과 마주하는 면에 끼움홈(21)이 타공되며 상기 끼움홈(21)의 내주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부들(22)이 열(列)을 이루도록 성형된다.
상기 고정부재(20)에 결합되어 무빙글래스(200)에 맞닿게 되는 글래스런(1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튜브모양으로서 상하방향(무빙글래스가 상승하강하는 방향)으로 부설된다. 즉, 상기 글래스런(10)의 일측은 상기 고정부재(20)에 고정되고 타측은 무빙글래스(200)에 맞닿도록 배치되되, 무빙글래스(200)의 내측면이 맞닿는 제1접촉면(14a)과 상기 무빙글래스(200)의 끝단면이 맞닿는 제2접촉면(14b)이 형성된다.
상기 글래스런(10)은, 무빙글라스(200)와 맞닿아 상기 무빙글라스(200)의 활주에 따라 탄성변형하는 밀착부(10a)와 상기 밀착부(10a)의 탄성변형시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10b)가 튜브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접촉면(14a)과 제2접촉면(14b)은 밀착부(10a)에 형성되고, 지지부(10b)는 그 대향측을 형성하며 고정부재(20)와 결합되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에는 글래스런(10)과 마주하는 면에 끼움홈(21)이 타공되며 상기 끼움홈(21)의 내주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부들(22)이 형성되고,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b)에는 끼움홈(21)에 삽입되는 끼움돌기(15)가 돌출되되 상기 끼움돌기(15)의 외주면에는 돌기부들(22) 사이로 진입되는 걸림립들(16)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글래스런(10)은 소음 및 이물질의 침투를 더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밀착부(10a)에는 제1접촉면(14a)과 거리를 두고 무빙글라스(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된 아우터립(12)이 형성되며, 무빙글래스(200)의 활주에 따라 상기 무빙글래스(200)의 만곡된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제2접촉면(14b)의 일측에서 돌출립(13)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10b)는 강성 보강을 위해 스틸재질의 보강부재(11)를 내포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보강부재(11)는 끼움돌기(15) 내부까지 확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글래스런의 구조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글래스(200)가 열렸을 때(무빙글래스가 아래로 하강하여 밀착부가 접촉하지 않을 때) 밀착부(10a)는 원래의 형태로 탄성복원되고 무빙글래스(200)가 닫혔을 때(무빙글래스가 윗쪽으로 상승할 때) 상기 밀착부(10a)는 무빙글래스(200)에 밀착되도록 탄성변형된다.
한편, 무빙글래스(200)와 픽스드글래스(300) 사이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글래스런(10)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무빙글래스(200)의 내측면 및 끝단면에만 맞닿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무빙글래스(200)의 활주는 물론 닫힘과 열림 시 도어(100)에 더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의 상단부(120) 및 전단부(110) 각각에 끼워지는 글래스런들(미도시)은 종래의 구조와 같이 무빙글래스(200)의 양측면이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무빙글래스(200)의 하강 시 도어(100)의 내부에서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픽스드글라스(300) 아래로 장착되며 "ㄱ" 자형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된 로워채널부(30)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로워채널부(30)는, 픽스드글라스(30) 하부에서 가로로 배치되어 볼트를 통해 도어(100) 내부 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픽스드글라스(30)가 끼워지는 제3글래스런(40b)이 장착되는 받침부(32); 및 상기 받침부(32)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무빙글라스(200)의 일측 끝단에 마주하도록 세로로 배치된 가이드부(3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31)에도 (종래의 글래스런과 같이) 무빙글라스(200)의 양면이 접촉되도록 끼워지는 제2글라스런(40a)이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글래스런(10a : 밀착부, 10b : 지지부)
11 : 보강부재
12 : 아우터립
13 : 돌출립
15 : 끼움돌기
20 : 고정부재
22 : 끼움홈
100 : 도어
200 : 무빙글래스
300 : 픽스드글래스

Claims (6)

  1. 도어에서 상승하강하는 무빙글래스(200)와 도어에 고정된 픽스드글래스(300) 사이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픽스드글래스(300)의 끝단에 고정결합된 고정부재(20); 및
    튜브모양으로서 일측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재(20)에 고정되고 타측은 무빙글래스(200)에 맞닿도록 배치되되, 상기 무빙글래스(200)의 내측면이 맞닿는 제1접촉면(14a)과 상기 무빙글래스의 끝단면이 맞닿는 제2접촉면(14b)이 형성된 글래스런(10);을 포함한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런(1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며 제1접촉면(14a)과 제2접촉면(14b)이 형성된 밀착부(10a) 및 상기 고정부재(2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밀착부(10a)의 탄성변형을 지지하도록 밀착부(10a)와 결합된 지지부(10b)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0)에는 글래스런(10)과 마주하는 면에 끼움홈(22)이 타공되며 상기 끼움홈(22)의 내주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부들(2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0b)에는 끼움홈(22)에 삽입되는 끼움돌기(15)가 돌출되되 상기 끼움돌기(15)의 외주면에는 돌기부들(22) 사이로 진입되는 걸림립들(16)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0b)는 강성 보강을 위해 금속재 보강부재(11)를 내포하되, 상기 보강부재(11)는 끼움돌기(15) 내부까지 확장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10a)에는 제1접촉면(14a)과 거리를 두고 무빙글라스(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된 아우터립(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글래스(200)의 끝단면 모서리는 만곡된 모양을 이루도록 라운딩되며, 상기 밀착부(10a)에는 무빙글래스(200)의 활주에 따라 만곡된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제2접촉면(14b)의 일측에서 돌출립(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드글래스(300) 아래로 도어 내부에는 "ㄱ" 자형 모양을 이루도록 로워채널부(30)가 장착되되,
    상기 로워채널부(30)는, 픽스드글래스(300) 하부에서 가로로 배치된 받침부(32)와 상기 받침부(32)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무빙글래스(200)의 일측 끝단에 마주하도록 세로로 배치된 가이드부(31)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31)에는 무빙글래스(200)의 양면이 접촉되도록 끼워지는 제2글래스런(40a)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
KR1020120081550A 2012-07-26 2012-07-26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 KR101857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550A KR101857028B1 (ko) 2012-07-26 2012-07-26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550A KR101857028B1 (ko) 2012-07-26 2012-07-26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45A KR20140014745A (ko) 2014-02-06
KR101857028B1 true KR101857028B1 (ko) 2018-05-14

Family

ID=5026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550A KR101857028B1 (ko) 2012-07-26 2012-07-26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0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472A (ja) * 2000-04-12 2002-01-23 Meritor Automotive Gmbh 自動車の可動窓ガラス及びこれに隣接する固定窓ガラスの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472A (ja) * 2000-04-12 2002-01-23 Meritor Automotive Gmbh 自動車の可動窓ガラス及びこれに隣接する固定窓ガラスのシー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45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6928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EP2607126B1 (en) Glass-run retainer for automobile door and door structure of automobile
JP2010521349A (ja) シーリングプロファイルおよびシーリングプロファイルを含むシーリングシステム
JP5994398B2 (ja) ドアトリム上部構造
US9688218B2 (en) Frame molding for vehicle door
EP2607127A2 (en) Sealing mechanism of automobile door
JP2017024432A (ja) サンルーフ装置のウエザストリップ
JP6062746B2 (ja) 車両ドアのベルトラインモール
KR101857028B1 (ko) 차량도어용 글래스런의 구조
KR20110023204A (ko) 차량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취부구조
JP2012011873A (ja) 車両のドア構造
JP2007083943A (ja) ガラスランの組付構造
JP5232525B2 (ja) 車両用ドア
JP7085413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6352582B2 (ja) ドアサッシュ
JP5244649B2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
WO2015046146A1 (ja) 車両用ドアのモール接続構造
JP6492619B2 (ja) 車両ドアのシール部材
CN219427907U (zh) 一种车门玻璃零阶差升降结构及具有其的车门
JP4962859B2 (ja) ガラスラン
CN215978939U (zh) 组装式轨道
JP4942592B2 (ja) ドアガラスインナー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6491038B2 (ja) 車両用シール材
JP6652819B2 (ja) グラスラン
JP6527018B2 (ja) 車両用シール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