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028B1 -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 - Google Patents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028B1
KR101856028B1 KR1020160176646A KR20160176646A KR101856028B1 KR 101856028 B1 KR101856028 B1 KR 101856028B1 KR 1020160176646 A KR1020160176646 A KR 1020160176646A KR 20160176646 A KR20160176646 A KR 20160176646A KR 101856028 B1 KR101856028 B1 KR 101856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urinal
contact position
targe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상
Original Assignee
박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상 filed Critical 박주상
Priority to KR102016017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7Waterless or low-flush urinal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을 볼 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과녁에 조준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소변기 주변으로 소변이 튀는 것을 예방하여 화장실을 청결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는 사용자의 접근 유무에 따라 접근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내부 벽면으로 제1세척수와 제2세척수가 교번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내부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접근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세척수가 공급되면 기설정된 제1영역에 과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Urinal for preventing urine from being spattered}
본 발명은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을 볼 때 사용자의 심리를 이용해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과녁에 조준하도록 유도함은 물론, 소변기 주변으로 소변이 튀는 것을 예방하여 화장실을 청결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화장실 등에는 남성용 소변기가 구비되는데, 남성용 소변기는 전면이 개방되어 그 내부에 소변을 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남성용 소변기를 이용하여 소변을 보는 도중에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소변이 소변기에 제대로 조준되지 않아 소변기의 외측에 묻거나 또는 소변기 밖으로 배출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소변기에 소변이 제대로 조준되지 않아 소변기의 외측에 묻거나 소변기 밖으로 배출되면, 소변기와 소변기 주변이 청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소변의 악취로 인해 불쾌감이 조성되고 청소를 자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등록실안공보 제20-0319047호에서는 소변을 볼 때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소변이 소변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 "변색기능을 가지는 남성용 소변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소변기는 소변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감온색소부의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변을 볼 때 사용자의 심리를 이용해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과녁에 조준하도록 유도함은 물론, 소변기 주변으로 소변이 튀는 것을 예방하여 화장실을 청결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는 사용자의 접근 유무에 따라 접근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내부 벽면으로 제1세척수와 제2세척수가 교번적으로 공급되는 소변기로서, 내부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접근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세척수가 공급되면 기설정된 제1영역에 과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소변의 접촉위치가 검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내부에 설치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가 검출되면 상기 과녁이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 주변 영역에서 기설정된 패턴을 따라 배출구 측으로 이동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가 기설정된 제2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검출되면 상기 과녁이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로부터 상기 제2영역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영역 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기설정된 패턴으로 이동된 후에 배출구 측으로 이동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변의 접촉위치가 상기 제2영역 내에서 검출되면 상기 과녁의 형상 또는 색상이 점차적으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변의 접촉위치가 상기 제2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검출되면 상기 과녁이 점멸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변기에 소변을 방뇨할 때 소변이 부딪치는 전면에 과녁이 이동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와 집중도를 높이면서 과녁에 방뇨되는 소변을 적중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유도하여 화장실 환경을 쾌적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의 작동을 순처적으로 도시한 작동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한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의 제어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며, 도 3 내지 도 5에는 도 1에 도시한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의 작동을 순처적으로 도시한 작동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접근 유무에 따라 근접감지센서(11)의 신호에 의해 내부 벽면으로 제1세척수와 제2세척수를 교번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근접감지센서(11)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세척수가 공급되면 기설정된 제1영역에 과녁(21)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10)는 전면이 개방 형성되고, 상측에는 사용자를 접근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감지센서(11)가 별도의 박스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설치되며, 하부에는 소변 및 제1세척수 및 제2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12)가 마련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소변기(10)에 접근하면 상기 근접감지센서(11)에 의해 제1세척수는 공급과 동시에 상기 배수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사용자가 소변기(10)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근접감지센서(11)에 의해 제2세척수는 공급과 동시에 사용자의 소변과 함께 상기 배수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상기 소변기(10)의 내부 전면에는 방수 기능을 가진 LCD 또는 LED액정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패널(20)이 부착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은 상기 근접감지센서(11)와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설정된 제1영역(A)에 과녁(21)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소변기(10)에 사용자가 다가서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접감지센서(11)의 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의 기설정된 제1영역(A)에 소변이 집중적으로 조준되기 위한 과녁(21)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과녁(21)에 집중될 수 있고, 사용자가 소변을 방뇨하는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에 표시된 과녁(21)에 조준하면 남자들의 사냥 본능을 충족시키면서 소변이 상기 소변기(10) 밖으로 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과녁(21)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화장실이 설치된 장소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나무, 꽃, 동물, 곤충, 캐릭터, 문자, 기호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과녁(21)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제1영역(A)에 고정된 상태로만 표시된다면 방뇨되는 소변의 줄기가 약해질 경우 소변이 상기 과녁(21)까지 도달하지 못해 상기 소변기(10)에 인접된 바닥으로 소변이 튀길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에 소변의 접촉위치가 검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 내부에 설치되는 검출수단(30)과, 상기 검출수단(30)에 의해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가 검출되면 상기 과녁(21)이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 주변영역에서 기설정된 패턴을 따라 배출구(12) 측으로 이동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패널(20)에 소변을 방뇨하면 상기 과녁(21)이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 주변에 표시되면서 상기 배출구(12) 측으로 점차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과녁(21)에 조준 방뇨되는 소변의 줄기가 점차 약해져도 상기 과녁(21)에 소변이 도달될 수 있으므로, 소변이 방뇨되는 동안 사용자가 상기 과녁(21)을 지속적으로 조준한다면 상기 소변기(10)에 인접된 바닥으로 소변이 튀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여기서, 상기 검출수단(30)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에 소변이 부딪치는 압력으로 소변의 위치를 검출하는 압력감지센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에 접촉되는 특정 온도로 소변의 위치를 검출하는 온도측정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검출수단(30)이 온도측정센서로 이루어진다면 소변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에 접촉되는 온도 중에서 가장 높은 온도로 소변의 위치를 검출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에 접촉되는 소변 중에서 가장 상측에서 측정된 위치로 소변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출수단(3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에 소변이 최초 접촉됨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부(40)는 방뇨되는 소변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에 표시된 과녁(21)을 따라 조준하라는 안내문구가 소변이 접촉되지 않는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소변을 방뇨할 때 상기 과녁(21)에 조준해야 하는 인식이 자연스럽게 생기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가 기설정된 제2영역(B) 이외의 영역에서 검출되면 상기 과녁(21)이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로부터 상기 제2영역(B)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고,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영역(B) 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기설정된 패턴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배출구(12) 측으로 이동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영역(B)은 상기 배출구(12)에 인접되면서 소변이 부딪치는 경우 소변이 상기 소변기(10) 밖으로 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방뇨되는 소변을 상기 제2영역(B) 내에 표시된 과녁(21)에 조준하면 상기 과녁(21)을 맞추려는 본능이 충족되면서 상기 소변기(10) 밖으로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40)는 소변의 접촉위치가 상기 제2영역(B) 내에서 검출되면 상기 과녁(21)의 형상 또는 색상이 점차적으로 변환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면 소변을 방뇨하는 동안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과녁(21)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방뇨되는 소변이 상기 과녁(21)을 향해 정확하게 조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소변의 접촉위치가 상기 검출수단(30)에 의해 상기 제2영역(B) 이외의 영역에서 검출되면 상기 과녁(21)이 점멸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0)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제2영역(B) 이외의 영역으로 소변을 방뇨하면 상기 과녁(21)이 점멸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과녁(21)으로 집중됨은 물론, 소변이 상기 제2영역(B)에 적중되지 않는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방뇨되는 소변을 상기 과녁(21)에 적중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소변기
11: 접근감지센서
12: 배출구
20: 디스플레이패널
21: 과녁
30: 검출수단
40: 제어부

Claims (5)

  1. 사용자의 접근 유무에 따라 접근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내부 벽면으로 제1세척수와 제2세척수가 교번적으로 공급되는 소변기에 있어서,
    내부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접근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세척수가 공급되면 기설정된 제1영역에 과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소변의 접촉위치가 검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내부에 설치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가 검출되면 상기 과녁이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 주변 영역에서 기설정된 패턴을 따라 배출구 측으로 이동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가 기설정된 제2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검출되면 상기 과녁이 소변의 최초 접촉위치로부터 상기 제2영역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영역 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기설정된 패턴으로 이동된 후에 배출구 측으로 이동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변의 접촉위치가 상기 제2영역 내에서 검출되면 상기 과녁의 형상 또는 색상이 점차적으로 변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변의 접촉위치가 상기 제2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검출되면 상기 과녁이 점멸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
KR1020160176646A 2016-12-22 2016-12-22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 KR101856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646A KR101856028B1 (ko) 2016-12-22 2016-12-22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646A KR101856028B1 (ko) 2016-12-22 2016-12-22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028B1 true KR101856028B1 (ko) 2018-05-10

Family

ID=6218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646A KR101856028B1 (ko) 2016-12-22 2016-12-22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0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772B1 (ko) 2019-12-13 2020-09-15 김홍간 건강 체크기를 이용한 소변기 접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CN113075394A (zh) * 2021-03-19 2021-07-06 北京少多科技有限公司 一种小便斗升级改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29Y1 (ko) * 2014-10-22 2015-03-02 강혜진 소변 유도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입식 소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29Y1 (ko) * 2014-10-22 2015-03-02 강혜진 소변 유도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입식 소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772B1 (ko) 2019-12-13 2020-09-15 김홍간 건강 체크기를 이용한 소변기 접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CN113075394A (zh) * 2021-03-19 2021-07-06 北京少多科技有限公司 一种小便斗升级改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5723B2 (ja) 水栓装置
KR101856028B1 (ko) 소변 비산 방지 유도용 소변기
KR101425525B1 (ko) 소변기
EP3418459B1 (en) Flush toilet
EP3550086B1 (en) Toilet device and toilet seat device
JP5084619B2 (ja) 照明機能付の自動水栓
KR100999397B1 (ko)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JP2010007263A (ja) 自動水栓
NO892966L (no) Radarsonde til automatisk styring av sanitaerarmaturer.
KR20140078852A (ko) 절수형 소변기
KR200473020Y1 (ko) 욕조 경보장치
JP6966880B2 (ja) 自動水栓のモード切替操作装置
JP7112671B2 (ja) 洗面化粧台
JP6796269B2 (ja) 小便器装置
KR20160069103A (ko) 사람을 감지하고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절수 소변기
KR102096834B1 (ko) 토일렛 장치 및 변좌 장치
JP2018053455A (ja) 小便器装置
JP6962043B2 (ja) 小便器
KR200454436Y1 (ko) 싱크대용 수도밸브 자동개폐장치
JP5028916B2 (ja) トイレ装置と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100386377B1 (ko) 거품발생장치가 구비된 소변기
KR20130015816A (ko) 접근유도기능을 가진 자동수세식소변기
KR101632384B1 (ko)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
JP3694215B2 (ja) 給水装置
JP7069520B2 (ja) 小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