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525B1 - 소변기 - Google Patents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525B1
KR101425525B1 KR1020120107345A KR20120107345A KR101425525B1 KR 101425525 B1 KR101425525 B1 KR 101425525B1 KR 1020120107345 A KR1020120107345 A KR 1020120107345A KR 20120107345 A KR20120107345 A KR 20120107345A KR 101425525 B1 KR101425525 B1 KR 101425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urine
user
drain
drai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525A (ko
Inventor
서희식
Original Assignee
서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희식 filed Critical 서희식
Priority to KR1020120107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5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소변기는, 하부에 배수구가 구비된 소변기 본체와, 소변기 본체의 양쪽 측벽에 구비된 한 쌍의 가림판과, 소변기 본체의 전방 하부에 소변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 소변 받이부와, 소변 받이부의 안쪽에서 소변기 본체의 배수구까지 배수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바닥 경사부와, 소변 받이부 안쪽의 바닥 경사부 위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발판과, 한 쌍의 발판에 올라선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감지장치와, 소변기 본체의 내벽면 및 배수구 주위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상부 분사노즐과, 상부 분사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기와, 사용자에게 소변의 낙하 위치를 표시해주기 위해 소변기 본체의 후벽 내측에 배치되는 조명판과, 감지기로부터 감지 신호를 제공받고 세척수 공급기와 조명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변기는 사용자가 소변 받이부 안쪽에 서서 소변기 본체의 후벽을 향해 소변을 보도록 유도함으로써,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소변기{Urinal}
본 발명은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이 바닥에 떨어져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낙뇨나 잔뇨를 배수구 쪽으로 안정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용 소변기는 소변이 화장실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원형의 소변 받이부가 사용자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여 소변기에 가까이 접근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변을 보게 되면, 소변이 소변 받이부 외부로 떨어져 화장실 바닥을 오염시키기 쉽다. 즉, 소변 줄기가 약해지거나, 소변 후 생식기에 묻은 잔뇨를 털어낼 때, 소변이 소변 받이부의 안쪽을 향해 뻗지 못하고 수직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생식기가 소변 받이부 위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소변이 화장실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나 장난에 의해서도 소변이 소변 받이부 외부로 떨어져 화장식 바닥을 오염시키기 쉽다.
더욱이, 소변 받이부 외면이나, 소변기 주위가 떨어진 소변으로 오염되어 있으면, 다른 사용자들이 신체나, 신발, 의복 등에 소변이 묻지 않도록 소변기로 접근하기를 꺼리게 되고, 소변 받이부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상태에서 소변을 보게 되기 쉽다. 이는 소변 받이부 주위에 더 많은 양의 소변이 떨어지도록 하는 원인이 되고, 화장실의 환경을 더욱 악화시킨다.
이렇게 소변 받이부 주위에 소변이 떨어져 있으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화장실의 위생 상태를 악화시킨다. 또한 청소 담당자가 소변기 주위를 자주 청소해야 하므로 인력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소변 받이부 외부로 떨어지는 소변에 의해 화장실 바닥이 오염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와 소변기가 제시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7-0000691호(2007. 06. 13. 공개)에는 사용자가 소변기에 밀착하도록 유도하여 소변이 소변기의 밖으로 낙하하는 것을 줄여주는 소변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소변기는 소변기의 하부에 소변기세척밸브 전자감지기를 부착하고, 소변기세척밸브 전자감지기가 사용자 발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모니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소변기에 밀착하도록 유도한다.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소변기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 다양하므로, 소변기세척밸브 전자감지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소변기에 접근하더라도 소변기세척밸브 전자감지기가 사용자 발의 위치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소변기세척밸브 전자감지기가 소변기 하부에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발이 소변기세척밸브 전자감지기에 감지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양쪽 다리를 좁혀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사용자가 모니터의 신호를 무시하게 되면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 받이부의 영역을 확장하여 사용자가 소변 받이부 위에서 소변을 보도록 함으로써, 소변이 소변 받이부 외부로 떨어져 화장실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소변기는, 하부에 배수구가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개방된 소변기 본체와, 상기 소변기 본체의 양쪽 측벽에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가림판과,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 하부에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 소변 받이부와, 상기 소변 받이부의 안쪽에서 상기 소변기 본체의 배수구까지 상기 배수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바닥 경사부와, 상기 소변 받이부 안쪽의 상기 바닥 경사부 위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발판과, 상기 한 쌍의 발판에 올라선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감지장치와,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벽면 및 상기 배수구 주위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소변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분사노즐과, 상기 상부 분사노즐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분사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기와, 사용자에게 소변의 낙하 위치를 표시해주기 위해 상기 소변기 본체의 후벽 내측에 배치되는 조명판과, 상기 사용자 감지장치로부터 감지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세척수 공급기와 상기 조명판 등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소변기는 상기 바닥 경사부를 따라 상기 소변기 본체의 배수구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소변 받이부 안쪽에 설치되는 하부 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소변기는 상기 소변기 본체의 측벽 및 상기 소변 받이부의 둘레에서 화장실 바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계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벽의 일부에는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발판에 올라서기 위해 디딜 수 있는 디딤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소변기는 상기 한 쌍의 발판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발판을 딛고 설 때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이를 상기 제어기에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발판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림판은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에서 상기 소변기 본체의 후벽으로 갈수록 이들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변기 본체의 후벽에는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소변기 본체의 배수구 쪽에 가까이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후벽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소변기 본체의 양쪽 측벽에는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소변기 본체의 배수구 쪽에 가까이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측벽 경사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분사노즐은 세척수를 안개 형태로 분무할 수 있는 고압 분사노즐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변기는, 하부에 배수구가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개방된 소변기 본체와, 상기 소변기 본체의 양쪽 측벽에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가림판과,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 하부에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 소변 받이부와, 상기 소변 받이부의 안쪽에서 상기 소변기 본체의 배수구까지 상기 배수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바닥 경사부와, 상기 소변 받이부 안쪽의 상기 바닥 경사부 위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발판과, 상기 한 쌍의 발판에 올라선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감지장치와,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부로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해 상기 배수구 상부에 설치되는 세척액 분사장치와, 상기 소변기 본체의 바닥에서 올라오는 냄새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 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소변을 상기 소변기 본체의 바닥으로 가이드하도록 경사진 소변 가이드 경사부를 갖는 냄새차단 구조체와, 상기 사용자 감지장치로부터 감지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세척액 분사장치의 동작 등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냄새차단 구조체는 상기 소변기 본체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냄새차단 구조체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과 상부 방향 사이의 중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냄새차단 구조체는 상기 소변 가이드 경사부에 부딪히는 소변을 감지하기 위한 소변 감지센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세척액 분사장치는 상기 소변 가이드 경사부를 따라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냄새차단 구조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변기는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배수제어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제어밸브는 중앙에 오리피스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유로개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변기는 상기 배수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 내부로 유입되는 소변을 감지하는 유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유동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배수제어밸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변기는 사용자가 소변 받이부 안쪽에 서서 소변기 본체의 후벽을 향해 소변을 보도록 유도하고, 소변 받이부에 떨어진 소변이 배수구 쪽으로 신속하게 씻겨 내려가도록 함으로써,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변기는 세척수를 공급하여 소변을 씻어내기 위한 상부 분사노즐 및 하부 분사노즐이 세척수를 안개 형태로 분무함으로써, 적은 양의 세척수를 사용하여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변기는 배수제어밸브를 이용하여 배수구의 유로를 소변기 사용 시에만 개방함으로써, 배수관의 냄새가 배수구를 통해 위쪽으로 올라오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소변기 본체 내부에 냄새차단 구조체를 설치함으로써 소변기 본체의 바닥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사용자의 얼굴 쪽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변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기(10)는 사용자가 소변기(10) 안쪽에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변이 외부로 떨어져 화장실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기(10)는 전방을 향해 개방된 소변기 본체(20)와, 소변기 본체(2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된 소변 받이부(30)와, 소변 받이부(30) 안쪽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발판(31)과, 소변기 본체(20)의 배수구(24) 쪽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상부 분사노즐(28) 및 하부 분사노즐(34)과, 상부 분사노즐(28) 및 하부 분사노즐(34)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기(29)와, 소변기 본체(20)의 후벽(21) 내측에 배치되는 조명판(40)과, 세척수 공급기(29)와 조명판(40)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45)를 포함한다.
소변기 본체(20)는 후벽(21)과, 후벽(21)의 양쪽 측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측벽(22)과,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부(23)를 포함하고, 전방 쪽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소변기 본체(20)의 안쪽 바닥에는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수관(25)과 연결되는 배수구(24)가 구비된다. 덮개부(23)의 전방에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감지장치로서의 감지기(26)가 설치된다. 감지기(26)는 발판(31)에 올라서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45)에 제공한다.
소변기 본체(20)의 양쪽 측벽(22) 각각에는 가림판(27)이 소변기 본체(2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한 쌍의 가림판(27)은 소변기 본체(20)의 전방 끝단에서 발판(31)까지 연장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한 쌍의 발판(31)을 딛고 설 때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자연스럽게 가려준다. 한 쌍의 가림판(27)은 사용자가 소변을 소변기 본체(20)의 후벽(21) 쪽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소변기 본체(20)의 전방에서 소변기 본체(20)의 후벽(21)으로 갈수록 이들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소변기 본체(20)의 덮개부(23) 안쪽에는 상부 분사노즐(28)이 설치된다. 상부 분사노즐(28)은 소변기 본체(20)의 후벽(21) 내측과 양쪽 측벽(22) 내측 및 배수구(24) 주위로 세척수를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수 공급기(29)와 연결된다. 세척수 공급기(29)는 제어기(45)에 의해 제어되며, 상부 분사노즐(28)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상부 분사노즐(28)을 통해 소변기 본체(20)의 내벽면 및 배수구 주위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상부 분사노즐(28)로는 세척수를 안개 형태로 분무할 수 있는 고압 분사노즐이 이용될 수 있다. 고압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안개 형태로 분무하면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소변 받이부(30)는 소변기 본체(20)의 전방 하부에 소변기 본체(2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소변 받이부(30)의 안쪽에는 한 쌍의 발판(31)이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한 쌍의 발판(31)은 사용자가 딛고 서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한 쌍의 발판(31)을 딛고 소변 받이부(30) 위에 선 상태에서 소변을 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소변 줄기가 약해져 소변이 소변기 본체(20)의 후벽(21)을 향하지 못하고 수직으로 낙하하더라도 소변은 소변 받이부(30) 안쪽에 떨어지게 된다. 발판(31)의 상면에는 마찰판 또는 마찰 돌기 등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소변 받이부(30)에는 발판 스위치(32)가 발판(31)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발판 스위치(32)는 하나가 한 쌍의 발판(31)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한 쌍의 발판(31)과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이 설치될 수도 있다. 발판 스위치(32)는 사용자가 발판(31)을 딛고 설 때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 감지장치의 일종으로,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45)에 제공한다. 발판 스위치(32)로는 압력 스위치 등 사용자가 발판(31)에 올라설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소변 받이부(30)의 안쪽 바닥에는 소변기 본체(20)의 배수구(24)까지 연장된 바닥 경사부(33)가 구비된다. 바닥 경사부(33)는 소변 받이부(30)의 끝부분에서 소변기 본체(20)의 배수구(24)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소변 받이부(30)에 떨어지는 소변은 자연스럽게 소변기 본체(20)의 배수구(24)로 흐르게 된다.
소변 받이부(30)에 떨어지는 소변은 소변 받이부(30)에 설치된 하부 분사노즐(34)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다. 하부 분사노즐(34)은 소변 받이부(30)의 끝단에 배수구(24)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바닥 경사부(33)를 따라 소변기 본체(20)의 배수구(24)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하부 분사노즐(34)은 상부 분사노즐(28)과 같이 세척수를 안개 형태로 분무할 수 있는 고압 분사노즐이 이용될 수 있다.
소변 받이부(30)의 둘레 및 소변기 본체(20)의 양쪽 측벽(22) 하부에는 경계벽(35)이 구비된다. 경계벽(35)은 사용자가 딛고 서기 어렵도록 소변기(10)가 설치되는 화장실 바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경계벽(35)은 사용자가 소변 받이부(30) 안쪽의 발판(31)을 딛고 소변을 보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소변기(10)의 외부에 서서 소변을 보면 소변이 경계벽(35)에 부딪쳐 사용자의 발 쪽으로 튀게 되는데, 사용자가 소변을 보려할 때 그러한 결과를 충분히 예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소변을 볼 때 발판(31) 위에 올라서게 된다.
경계벽(35)의 한 쪽에는 절개부(36)가 구비되고, 절개부(36)에는 디딤판(37)이 마련된다. 디딤판(37)은 사용자가 디딜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이를 딛고 소변 받이부(30) 안쪽의 발판(31)에 쉽게 올라설 수 있다. 디딤판(37)의 크기는 사용자가 발 하나를 올려놓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디딤판(37)의 크기가 너무 크면 사용자가 발판(31)까지 이동하지 않고 디딤판(37)에 서서 소변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디딤판(37)의 상면에는 마찰판 또는 마찰 돌기 등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조명판(40)은 소변의 낙하 위치를 사용자에게 표시해주기 위해 소변기 본체(20)의 후벽(21) 내측에 설치된다. 조명판(40)의 구체적인 위치는 배수구(24)에 인접하는 소변기 본체(20)의 후벽(21) 하부인 것이 좋다. 조명판(40)은 복수의 LED(41)를 구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무늬, 기호 또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조명판(40)은 사용자가 발판(31)을 딛고 설 때 점등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을 끌게 되고, 사용자가 조명판(40)을 향해 소변을 보도록 유도한다. 조명판(4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42)에 의해 덮여 보호된다.
제어기(45)는 세척수 공급기(29)와 조명판(40) 등 소변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감지기(26)와 발판 스위치(32)로부터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세척수 공급기(29)와 조명판(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발판 스위치(32)가 감지 신호를 제공하면 제어기(45)는 사용자가 발판(31)을 딛고 서 있는 동안 조명판(40)이 작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감지기(26)의 감지 신호를 통해 제어기(45)는 사용자가 소변을 보기 시작하는 시점과 소변을 본 후의 시점을 파악하고, 세척수 공급기(29)를 작동시켜 상부 분사노즐(28)과 하부 분사노즐(34)이 소변을 배수구 쪽으로 씻겨 내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기(10)는 사용자가 소변 받이부(30) 안쪽에 서서 소변기 본체(20)의 후벽(21)을 향해 소변을 보도록 유도하고, 소변 받이부(30)에 떨어진 소변이 배수구(24) 쪽으로 신속하게 씻겨 내려가도록 함으로써,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 및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를 공급하여 소변을 씻어내기 위한 상부 분사노즐(28) 및 하부 분사노즐(34)이 세척수를 안개 형태로 분무함으로써, 적은 양의 세척수를 사용하여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변기(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소변기 본체(20)의 구체적인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이에 구비되는 감지기(26)의 설치 위치나, 상부 분사노즐(28)의 설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소변기 본체(20)에 결합되는 가림판(27)의 구체적인 구조나 배치 등은 사용자의 신체를 가려주는 기능을 갖는 조건하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조명판(40)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LED(41) 또는 그 이외의 램프를 갖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26)와 발판 스위치(3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50)는 대부분의 구성이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기(10)와 같은 것으로, 이하에서 상술한 소변기(50)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50)는 바닥에 배수구(24)가 마련된 소변기 본체(60)와, 소변기 본체(60)에 설치되는 감지기(26) 및 상부 분사노즐(28)과, 소변기 본체(6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된 소변 받이부(30)와, 소변 받이부(30) 안쪽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발판(31)과, 소변 받이부(30)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하부 분사노즐(34)과, 사용자가 소변을 소변기 본체(60)의 후벽(61)을 향해 보도록 유도하는 조명판(40)을 포함한다. 소변기 본체(60)의 양쪽 측부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한 쌍의 가림판(27)이 발판(31)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소변 받이부(30)의 안쪽 바닥에는 소변기 본체(60)의 배수구(24)까지 연장된 바닥 경사부(33)가 구비된다. 소변기 본체(60)의 양쪽 측벽(62) 및 소변 받이부(30)의 둘레에는 화장실 바닥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계벽(35)이 구비된다.
이 밖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50)는 상술한 소변기(10)와 같이, 상부 분사노즐(28) 및 하부 분사노즐(34)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기(29)와, 적어도 하나의 발판(31)과 연결되는 발판 스위치(32)와, 소변기(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4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소변기 본체(60)의 후벽(61)에는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배수구(24) 쪽에 가까이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후벽 경사부(63)가 구비되고, 소변기 본체(60)의 양쪽 측벽(62)에는 하부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배수구(24) 쪽에 가까이 배치되도록 기울어진 측벽 경사부(64)가 각각 구비된다. 후벽 경사부(63)와 한 쌍의 측벽 경사부(64)에 의해 소변기 본체(60)의 내벽면은 배수구(24) 쪽으로 가면서 좁아지는 형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50)는 그 동작이나 기능이 상술한 소변기(10)와 같아서 사용자의 소변이 화장실 바닥 등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50)는 소변기 본체(60)의 내벽면이 배수구(24) 쪽으로 가면서 좁아져서 소변을 배수구(24) 쪽으로 모아줌으로써, 사용자의 소변이 더욱 원활하게 배수구(24)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70)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소변기(10)(5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70)는 바닥에 배수구(24)가 마련된 소변기 본체(71)와, 소변기 본체(71)의 전방 하부에 구비된 소변 받이부(30)와, 소변 받이부(30) 안쪽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발판(31)과, 소변기 본체(71)의 양쪽 측부에 사용자의 신체를 가려주기 위해 배치되는 한 쌍의 가림판(27)과, 소변기 본체(71)의 내부에 설치되는 냄새차단 구조체(72)와, 소변기(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45)를 포함한다. 소변 받이부(30)의 안쪽 바닥에는 소변기 본체(71)의 배수구(24)까지 연장된 바닥 경사부(33)가 구비되고, 소변기 본체(71)의 양쪽 측부 및 소변 받이부(30)의 둘레에는 화장실 바닥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계벽(35)이 구비된다. 발판(31)은 사용자 감지장치인 발판 스위치(32)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발판(31)에 올라서면 발판 스위치(32)가 작동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기(45)에 제공한다.
냄새차단 구조체(72)는 소변기 본체(71)의 후방에 배치된 지지대(8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소변기 본체(71) 내부에 배치된다. 냄새차단 구조체(72)는 중간 부분이 소변기 본체(71)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바닥 경사부(33)에 떨어진 소변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발판(31)에 올라선 사용자의 얼굴 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아준다. 냄새차단 구조체(72)의 돌출된 중간 부분에는 소변기 본체(71)의 후방 쪽으로 함몰된 함몰부(73)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발판(31)에 올라설 때 사용자의 복부가 함몰부(73)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배수구(24) 쪽으로 바짝 다가간 상태에서 소변을 볼 수 있다.
냄새차단 구조체(72)의 돌출된 중간부를 중심으로 그 하부에는 소변 가이드 경사부(74)가 마련되고, 그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부(76)가 구비된다. 소변 가이드 경사부(74)는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소변이 직접 부딪히는 부분으로 소변기 본체(71)의 전방과 하부 사이의 중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소변 가이드 경사부(74)는 소변을 사용자 쪽으로 튀지 않게 소변기 본체(71)의 바닥 쪽으로 자연스럽게 안내한다.
소변 가이드 경사부(74)에는 이에 부딪히는 소변을 감지하기 위한 소변 감지센서(75)가 설치된다. 소변 감지센서(75)는 소변이 소변 가이드 경사부(74)에 부딪힐 때 이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제어기(45)에 제공한다. 소변 감지센서(75)로는 열감지센서, 압력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소변 가이드 경사부(74)의 표면에는 소변에 강하고 청소하기 쉬운 특수필름이나 얇은 금속판이 부착될 수 있다. 소변 감지센서(75)가 감지 신호를 제어기(45)에 제공하면 제어기(45)는 디스플레이부(76)에 설치되는 모니터(77)를 통해 이를 표시하거나, 후술할 세척수 분사장치(78)나 세척액 바닥 분사장치(84)를 작동시킬 수 있다.
냄새차단 구조체(72)의 디스플레이부(76)는 발판(31)에 올라선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소변기 본체(71)의 전방과 상부 사이의 중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76)에는 모니터(77)가 설치된다. 모니터(77)는 제어기(45)에 의해 제어되며 소변기(70)의 작동 상태 등의 각종 정보나 광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니터(77)의 동작은 복수의 소변기(70)가 설치된 화장실의 통합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모니터(77)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76)에 안내문이나 광고판이 부착될 수 있다.
이 밖에 냄새차단 구조체(72)에는 세척수 분사장치(78)와, 선반(79) 및 사용자 감지장치로서의 감지기(26)가 설치된다. 세척수 분사장치(78)는 외부의 세척수 공급장치(미도시), 또는 내장된 세척수 저장통(미도시)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소변 가이드 경사부(74)를 따라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소변 가이드 경사부(74) 및 소변기 본체(71) 안쪽의 소변을 씻어낸다. 세척수 분사장치(78)로는 워터건이나 스프레이건 등 세척수를 작은 물방울로 분사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세척수 분사장치(78)는 제어기(45)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기(45)는 발판 스위치(32)나 소변 감지센서(75), 또는 감지기(26)나 유동감지센서(96) 등으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신호에 따라 세척수 분사장치(78)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기(45)는 사용자가 소변 받이부(30) 위에 올라섰다가 소변 받이부(30)에서 내려간 시점에 세척수 분사장치(78)를 일정 시간 동안 작동시킬 수 있다.
선반(79)은 사용자가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냄새차단 구조체(72) 중간의 돌출된 부분에 구비된다. 물건이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선반(79)의 상면은 디스플레이부(76)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좋다. 감지기(26)는 발판(31)에 올라선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도록 소변기 본체(71)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감지기(26)의 감지 신호는 제어기(45)에 제공되고, 제어기(45)는 감지기(26)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소변기(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냄새차단 구조체(72)는 지지대(8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그 설치 높이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소변기(70)가 어린이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어린이가 소변기(70)를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냄새차단 구조체(72)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반면, 소변기(70)가 성인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냄새차단 구조체(72)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도면에는 냄새차단 구조체(72)가 결합되는 지지대(80)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홈(81)이 마련되고, 냄새차단 구조체(72)에 가이드 홈(81)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부재(82)가 구비되어 냄새차단 구조체(72)가 지지대(8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냄새차단 구조체(72)의 상하 이동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냄새차단 구조체(72)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를 설치하면, 사용자의 선택 또는 각종 사용자 감지장치의 감지 신호에 의해 냄새차단 구조체(72)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변 받이부(30)의 최전방쪽 바닥에는 세척액 바닥 분사장치(84)가 설치된다. 세척액 바닥 분사장치(84)는 소변 받이부(30) 내부에 설치된 세척액 탱크(85)로부터 공급받아 바닥 경사부(33)를 따라 배수구(24) 쪽으로 세척액을 분사함으로써 바닥 경사부(33)를 세척한다.
세척액 바닥 분사장치(84)로는 워터건이나 스프레이건, 버블건 등 액상의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세척액으로 버블형 방향액을 사용하고 세척액 바닥 분사장치(84)로 버블건을 이용하면, 바닥 경사부(33) 및 배수구(24) 주위를 향기나는 버블로 덮음으로써 냄새 발생을 줄이고, 소변기 본체(71) 및 소변 받이부(30) 내부를 더욱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세척액 바닥 분사장치(84)는 제어기(45)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기(45)는 발판 스위치(32)나 소변 감지센서(75), 또는 감지기(26)나 유동감지센서(96) 등으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신호에 따라 세척액 바닥 분사장치(8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45)는 사용자가 발판(31)에 올라서 있는 동안 소량의 세척액이 지속적으로 바닥 경사부(33)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세척액 바닥 분사장치(8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수구(24)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망(86)으로 덮이고, 배수구(24) 내부에는 배수제어밸브(87)와 유동감지센서(96)가 설치된다. 배수제어밸브(87)는 하우징(88)과, 하우징(88)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로개폐장치(93)를 포함한다. 하우징(88)의 내부 공간은 오리피스(90)가 형성된 중앙의 격벽(89)에 의해 유동감지센서(96)가 설치되는 상부 챔버(88a)와 하부 챔버(88b)로 구획된다. 하우징(88)의 상단부에는 상부 챔버(88a)와 연결되는 유입구(91)가 마련되고, 하우징(88)의 바닥면에는 하부 챔버(88b)의 소변을 배수관(25)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92)가 구비된다. 소변기 본체(71)의 배수구(24)로 모이는 소변은 배수제어밸브(87)의 유입구(91), 상부 챔버(88a), 오리피스(90) 및 배출구(92)를 차례로 통과하여 배수관(25)으로 배출된다.
유로개폐장치(93)는 하부 챔버(88b)에 설치되어 격벽(89)에 마련된 오리피스(90)를 개폐한다. 유로개폐장치(93)는 오리피스(90)를 막거나 개방하기 위한 차폐부재(94)와 차폐부재(94)를 이동시키는 구동기(95)를 포함한다. 유로개폐장치(93)의 동작은 제어기(45)에 의해 제어된다. 상부 챔버(88a)에 소변이 유입되면 유동감지센서(96)가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45)에 제공하고, 이때 제어기(45)는 유로개폐장치(93)의 구동기(95)를 작동시켜 오리피스(90)를 개방한다. 한편, 상부 챔버(88a)에서 소변이 배출되어 상부 챔버(88a)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 유동감지센서(96)가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45)에 제공하고, 이때 제어기(45)는 유로개폐장치(93)의 구동기(95)를 작동시켜 오리피스(90)를 폐쇄한다. 유동감지센서(96)로는 수위센서나 액체를 검출할 수 있는 각종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개폐장치(93)와 유동감지센서(96)를 이용하면 소변기(7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배수관(25)을 폐쇄함으로써 배수관(25)의 악취가 소변기(70) 쪽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개폐장치(93)의 구조나 작동 원리는 도시되고 설명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기(45)는 감지기(26), 발판 스위치(32), 소변 감지센서(75), 유동감지센서(96) 등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소변기(70)의 사용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모니터(77), 세척수 분사장치(78), 세척액 바닥 분사장치(84), 유로개폐장치(93) 등 소변기(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감지 신호에 의한 모니터(77), 세척수 분사장치(78), 세척액 바닥 분사장치(84), 유로개폐장치(93)의 구체적인 제어방법은 앞서 설명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유로개폐장치(93)는 유동감지센서(96)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작동하지 않고, 감지기(26)나 발판 스위치(32) 또는 소변 감지센서(75)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기(70)는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하고, 냄새 발생이 적으며,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50, 70 : 소변기 20, 60, 71 : 소변기 본체
21, 61 : 후벽 22, 62 : 측벽
23 : 덮개부 24 : 배수구
26 : 감지부 27 : 가림판
28 : 상부 분사노즐 29 : 세척수 공급기
30 : 소변 받이부 31 : 발판
32 : 발판 스위치 33 : 바닥 경사부
34 : 하부 분사노즐 35 : 경계벽
37 : 디딤판 40 : 조명판
42 : 커버 45 : 제어기
63 : 후벽 경사부 64 : 측벽 경사부
72 : 냄새차단 구조체 74 : 소변 가이드 경사부
75 : 소변 감지센서 76 : 디스플레이부
77: 모니터 78 : 세척수 분사장치
79 : 선반 80 : 지지대
84 : 세척액 바닥 분사장치 85 : 세척액 탱크
86 : 필터망 87 : 배수제어밸브
88 : 하우징 93 : 유로개폐장치
94 : 차폐부재 95 : 구동기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하부에 배수구가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개방된 소변기 본체;
    상기 소변기 본체의 양쪽 측벽에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가림판;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 하부에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 소변 받이부;
    상기 소변 받이부의 안쪽에서 상기 소변기 본체의 배수구까지 상기 배수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바닥 경사부;
    상기 소변 받이부 안쪽의 상기 바닥 경사부 위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발판;
    상기 한 쌍의 발판에 올라선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자 감지장치;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부로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해 상기 배수구 상부에 설치되는 세척액 분사장치;
    상기 소변기 본체의 바닥에서 올라오는 냄새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 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소변을 상기 소변기 본체의 바닥으로 가이드하도록 경사진 소변 가이드 경사부를 갖는 냄새차단 구조체; 및
    상기 사용자 감지장치로부터 감지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세척액 분사장치의 동작 등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차단 구조체는 상기 소변기 본체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차단 구조체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소변기 본체의 전방과 상부 방향 사이의 중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차단 구조체는 상기 소변 가이드 경사부에 부딪히는 소변을 감지하기 위한 소변 감지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 분사장치는 상기 소변 가이드 경사부를 따라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냄새차단 구조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배수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제어밸브는 중앙에 오리피스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유로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 내부로 유입되는 소변을 감지하는 유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유동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배수제어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KR1020120107345A 2012-09-26 2012-09-26 소변기 KR101425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345A KR101425525B1 (ko) 2012-09-26 2012-09-26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345A KR101425525B1 (ko) 2012-09-26 2012-09-26 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525A KR20140040525A (ko) 2014-04-03
KR101425525B1 true KR101425525B1 (ko) 2014-08-05

Family

ID=5065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345A KR101425525B1 (ko) 2012-09-26 2012-09-26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5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5342A1 (en) * 2021-02-01 2022-08-04 Davies Richard M Anti-splash urinals
KR102646068B1 (ko) 2022-11-18 2024-03-11 주식회사 유종테크산업 절수형 소변기
KR102646062B1 (ko) 2022-11-18 2024-03-11 주식회사 유종테크산업 악취방지 남성용 소변기
USD1022162S1 (en) 2022-01-31 2024-04-09 Richard M. DAVIES Ur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29Y1 (ko) * 2014-10-22 2015-03-02 강혜진 소변 유도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입식 소변기
KR102413277B1 (ko) * 2014-12-30 2022-06-29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CN104594491B (zh) * 2015-01-24 2016-03-23 衢州妙凯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踩压冲水小便器
KR102158347B1 (ko) * 2017-11-27 2020-09-21 김도헌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KR102170976B1 (ko) * 2019-10-17 2020-10-28 (주)엠비프라텍 남성용소변기 비산방지 유닛을 연계한 ict 광고홍보 알림 시스템
KR102506574B1 (ko) * 2021-04-13 2023-03-06 조성로 양변기와 소변기가 결합된 일체형 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0133A (ja) * 1998-03-31 1999-10-12 Kimura Giken Kk トイレシステム
JP2007077781A (ja) * 2005-09-13 2007-03-29 Masaji Suganami 流体洗浄小便器
KR100891542B1 (ko) * 2007-08-16 2009-04-03 대방포스텍(주) 조명 발광 남성용 소변기
KR101342096B1 (ko) 2012-03-08 2013-12-18 무인소방시스템(주) 위생 소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0133A (ja) * 1998-03-31 1999-10-12 Kimura Giken Kk トイレシステム
JP2007077781A (ja) * 2005-09-13 2007-03-29 Masaji Suganami 流体洗浄小便器
KR100891542B1 (ko) * 2007-08-16 2009-04-03 대방포스텍(주) 조명 발광 남성용 소변기
KR101342096B1 (ko) 2012-03-08 2013-12-18 무인소방시스템(주) 위생 소변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5342A1 (en) * 2021-02-01 2022-08-04 Davies Richard M Anti-splash urinals
USD1022162S1 (en) 2022-01-31 2024-04-09 Richard M. DAVIES Urinal
USD1022161S1 (en) 2022-01-31 2024-04-09 Richard M. DAVIES Urinal
KR102646068B1 (ko) 2022-11-18 2024-03-11 주식회사 유종테크산업 절수형 소변기
KR102646062B1 (ko) 2022-11-18 2024-03-11 주식회사 유종테크산업 악취방지 남성용 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525A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525B1 (ko) 소변기
US6209751B1 (en) Fluid dispenser
US20040226962A1 (en) Automatic liquid dispenser
WO2006134314A1 (en) Dispensing apparatus
CA2496247A1 (en) Pet toilet
EP1293157B1 (en) Improved automatic device for washing a toilet seat ring
JP2014070376A (ja) 男性用水洗トイレ
KR100999397B1 (ko)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KR20080002305U (ko)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KR100804307B1 (ko) 변기 커버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물 내림 시스템 및 물내림 방법
KR100970888B1 (ko) 손 소독기
KR200417522Y1 (ko) 손 소독기
JP6663583B2 (ja) 吐水装置及び吐水システム
KR101683151B1 (ko) 자동 손 세척장치
KR200430599Y1 (ko) 좌변기의 냄새 제거 장치
KR20160069103A (ko) 사람을 감지하고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절수 소변기
KR20130061275A (ko) 소변기
JP2017110401A (ja) 小便器
KR101753175B1 (ko) 남성용 소변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386377B1 (ko) 거품발생장치가 구비된 소변기
KR20160033487A (ko) 냄새 없는 절수형 소변기
KR102210506B1 (ko) 자가발전시스템과 uv led가 구비된 위생적인 변기 배수구 시스템
CN101451372A (zh) 便器装置
CN210086413U (zh) 一体式蹲便器
KR101684923B1 (ko) 남성용 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