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963B1 - 누름으로 인하여 뚜껑이 완전히 열려지는 캔디용기 - Google Patents

누름으로 인하여 뚜껑이 완전히 열려지는 캔디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963B1
KR101855963B1 KR1020170013491A KR20170013491A KR101855963B1 KR 101855963 B1 KR101855963 B1 KR 101855963B1 KR 1020170013491 A KR1020170013491 A KR 1020170013491A KR 20170013491 A KR20170013491 A KR 20170013491A KR 101855963 B1 KR101855963 B1 KR 101855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dy
container
pressing member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철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플라텍 filed Critical (주)아이디플라텍
Priority to KR102017001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963B1/ko
Priority to PCT/KR2018/001316 priority patent/WO201814365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Abstract

본 발명은 캔디나 껌 등의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일측에 일체로 이루어진 뚜껑이 구비되며, 용기본체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 누름부재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뚜껑이 완전하게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캔디를 수용할 수 있는 내공간이 구비된 용기본체와, 용기본체 상단 일측에 절첩부와 폴딩부로 인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뚜껑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구비된 가이드돌기와 누름부재 하단에 구비된 가이드홈이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누름부재의 전면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누름부재가 가이드돌기를 따라서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때 용기본체와 뚜껑이 연결된 폴딩부를 밀게 되면서 폴딩부가 후방향으로 젖혀져 뚜껑이 완전하게 열리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누름으로 인하여 뚜껑이 완전히 열려지는 캔디용기{A Candy Container}
본 발명은 캔디를 보관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일측에 이루어진 뚜껑이 용기본체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기 위해 누름부재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뚜껑이 완전하게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갱이(덩어리) 형태로 이루어진 캔디 또는 껌 등을 수납하기 위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용기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캔디용기의 구성은 캔디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공간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절첩되어지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용기본체에 수납된 캔디를 꺼내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용기본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뚜껑을 잡아 열 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뚜껑의 열림 구조는 양손을 이용하여 개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특히 운전 중일 경우에는 사고 발생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버튼의 누름으로 뚜껑이 열리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구조는 버튼의 누름으로 뚜껑과 용기의 락수단만 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뚜껑이 완전하게 개방되지 않아 결국 뚜껑을 열기 위해서는 다른 손으로 뚜껑을 잡고 완전하게 열어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여전히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최근에 뚜껑이 완전하게 열리도록 절첩되어지는 절첩부에 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버튼의 누름으로 락수단이 해제됨과 동시에 토션스프링에 의해 뚜껑이 완전하게 개방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것은 부품의 증가와 조립수단에 따른 원가의 상승과 토션스프링이 금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식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발생된 녹이 식품에 묻는 경우가 발생되어 비위생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토션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한 손으로 조작하여 용기본체에 닫힌 뚜껑이 완전하게 개방되도록 한 것이고 조립이나 제작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캔디를 수용할 수 있는 내공간이 구비된 용기본체와, 용기본체 상단 일측에 절첩부와 폴딩부로 인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뚜껑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는 누름부재를 장착하여 누름부재가 전후로 슬라이드되면서 용기본체와 뚜껑이 절첩되게 연결된 폴딩부를 밀게 되면서 폴딩부가 후방향으로 젖혀져 뚜껑이 완전하게 열리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누름부재는 용기본체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와 맞물리게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재는 용기본체에 결합된 누름부재의 전면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부재의 전단에 구비된 버튼은 전면판과 후면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전면판은 용기본체 상단에 구비된 개구부에 위치되면서 후면판은 개구부 테두리후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후면판의 면적은 전면판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버튼을 이루는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로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이때 이격공간 내측 상단으로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과 뚜껑 일단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단속되어 잠김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션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기본체에 구비된 뚜껑이 완전하게 열리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뚜껑이 열리는 단면도.
도 7은 뚜껑이 열린 사시도.
도 8은 뚜겅이 열린 배면 사시도.
도 98 및 도 10은 본체에 누름부재가 결합되는 단면도.
도 11은 후면판이 개구부 테두리에 밀착된 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용기에 대해,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디를 수용할 수 있는 내공간이 구비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상단으로 누름부재(30)가 결합되고, 상기 용기본체(10) 일측 상단으로 구비된 절첩부(14)와 폴딩부(15)로 인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뚜껑(20)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은 용기본체(10)에 닫힌 상태에서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걸림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3)는 누름부재(30)의 전단에 구비된 버튼의 상단으로 형성된 걸림턱(33)에 맞물려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튼(32)의 전면판(32a)과 후면판(32b) 사이로 이격공간(32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32c)으로 걸림턱(35)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35)에 뚜껑(20) 일단에 구비된 걸림돌기(22)가 맞물려 단속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뚜껑(20)을 개폐시켜주는 누름부재(30)가 용기본체(10) 상단에 결합되도록 누름부재(30)의 아랫면으로 형성된 돌출테(31)는 용기본체(10)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돌출테(31)의 양측으로 용기본체(10)에 구비된 가이드돌기(13)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내입된 가이드홈(33)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돌기(13)는 용기본체(10)의 양측 내벽에 장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3)의 상면(13a)은 누름부재(30)가 상측에서 삽입되어 강제 끼임결합될 수 있도록 내벽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이루어지고, 하면(13b)은 결합된 누름부재(30)가 상측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단속될 수 있도록 평행지게 이루어지고, 이때 상면(13a)과 하면(13b) 사이에 측면(13c)이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홈(33)은 상기 가이드돌기(13)가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ㄷ"자로 이루어 질 수도 있지만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33)은 가이드돌기(13)를 따라서 누름부재(30)가 용기본체(10) 선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누름부재(30)의 돌출테(31)는 용기본체(1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돌출테(31)의 전후폭은 용기본체(10)의 전후 폭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누름부재(30)는 후단으로 이동될 때 일단은 용기본체(10)와 연결되고 타단은 뚜껑(30)과 연결된 폴딩부(15)를 밀어주게 되면서 뚜껑이 절첩부(14)를 축으로 열리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30)의 후단에 폴딩부(15)를 밀어줄 수 있는 돌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돌부(34) 양측으로 절개부(36)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누름부재(30)의 버튼(32)을 누르면 폴딩부(15)와 밀착된 돌부(34)는 돌부(34)의 양측으로 구비된 절개부(36)로 인하여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고, 여기서 버튼(32)을 더 가압하면 누름부재(30)의 걸림턱(35)에 단속된 뚜껑(20)의 걸림돌기(22)가 해제되면서 탄성력을 가진 돌부(34)의 반동으로 인하여 뚜껑(30)이 완전하게 열리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폴딩부(15)는 제1판(15a)과 제2판(15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판(15a)과 제2판(15b)사이에 제1접힘부(16a)가 구비되고, 제1접힘부(16a)의 일측은 용기본체(10)와 연결되는 제2접힘부(16b), 뚜껑(20)과 연결되는 제3접힘부(16c)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폴딩부(15)의 양측으로 절첩부(14)가 구비되고, 상기 절철부(14)로 인하여 용기본체(10) 후단에 구비된 뚜껑이 절첩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절첩부(14)는 후단으로 이동된 누름부재(30)의 절개부(36)의 내측으로 위치되고 이로 인하여 돌출테(31)의 후면과 용기본체(10)의 후면이 밀착되어 캔디가 돌출테(31)에 걸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열린 뚜껑(20)을 닫으면 후단으로 이동된 누름부재(30)는 폴딩부(15)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서 이동되고 이로 인하여 누름부재(30)는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32)은 전면판(32a)과 후면판(32b)으로 이루어지고, 후면판(32b)은 전면판(32a)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져 개구부(12)의 테두리와 밀착되면서 정확한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개구부(12)의 테두리와 후면판이(32b) 밀착됨으로써, 용기본체(10)의 내공간(11)으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캔디가 변질되지 않도록 밀폐가 이루지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토션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한 손의 조작만으로 용기본체에 닫힌 뚜껑을 완전하게 열려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용기본체
11:내공간 12:개구부
13:가이드돌기 13a:상면
13b:하면 13c:측면
14:절첩부 15:폴딩부
15a:제1판 15b:제2판
16a:제1접힘부 16b:제2접힘부
16c:제3접힘부
20:뚜껑
22:걸림돌기
30:누름부재
31:돌출테 32:누름판
32a:전면판 32b:후면판
32c:이격공간 33:가이드홈
34:돌부 35:걸림턱
36:절개부

Claims (3)

  1. 식품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
    용기본체(10) 상측으로 뚜껑(2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폴딩부(15)와, 상기 폴딩부(15) 양측으로 구비된 절첩부(14)를 포함하고 있는 뚜껑(20);
    상기 뚜껑(20)의 단속은 물론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져 뚜껑이 완전하게 열리도록 할 수 있는 누름부재(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용기본체(10)의 상단으로 구비된 가이드돌기(13)와 누름부재(30)의 하단에 구비된 가이드홈(33)이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누름부재(30)의 버튼(32)을 누르면 가이드돌기(13)를 따라서 후단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때 일단은 용기본체(10)와 연결되고 타단은 뚜껑(20)과 연결된 폴딩부(15)를 밀게 되고
    이때 상기 폴딩부(15)는 뒤로 젖혀지면서 뚜껑(20)이 완전하게 열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으로 인하여 뚜껑이 완전히 열려지는 캔디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30)의 후단에 돌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돌부(34)의 양측으로 절개부(36)가 형성됨으로써 누름부재(30)를 누르면 절개부(36)로 인하여 돌부(34)가 내측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생성되는 탄성의 반동으로 폴딩부(15)를 순간적으로 강한 힘으로 밀어 뚜껑(30)이 완전하게 열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으로 인하여 뚜껑이 완전히 열려지는 캔디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30)의 전단에 구비된 버튼(32)은 전면판(32a)과 후면판(32b)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후면판(32b)은 개구부(12) 테두리와 밀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후면판(32b)의 면적은 전면판(32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으로 인하여 뚜껑이 완전히 열려지는 캔디용기.
KR1020170013491A 2017-01-31 2017-01-31 누름으로 인하여 뚜껑이 완전히 열려지는 캔디용기 KR101855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491A KR101855963B1 (ko) 2017-01-31 2017-01-31 누름으로 인하여 뚜껑이 완전히 열려지는 캔디용기
PCT/KR2018/001316 WO2018143659A1 (ko) 2017-01-31 2018-01-31 누름으로 인하여 뚜껑이 완전히 열려지는 캔디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491A KR101855963B1 (ko) 2017-01-31 2017-01-31 누름으로 인하여 뚜껑이 완전히 열려지는 캔디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963B1 true KR101855963B1 (ko) 2018-05-09

Family

ID=6220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491A KR101855963B1 (ko) 2017-01-31 2017-01-31 누름으로 인하여 뚜껑이 완전히 열려지는 캔디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5963B1 (ko)
WO (1) WO201814365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426A (ja) * 2004-03-31 2005-10-20 Takemoto Yoki Kk 自開式キャップ機構
KR101147005B1 (ko) * 2012-01-10 2012-05-22 주식회사 아이팩 버튼식 용기마개
KR101144439B1 (ko) * 2009-05-06 2012-06-14 (주)아이디플라텍 복수 개폐구조를 갖는 방수 방습 껌통
KR101404859B1 (ko) * 2012-02-28 2014-06-09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뚜껑 뒷면에 열림 버튼을 가지는 음료병 및 뚜껑
KR101600577B1 (ko) * 2014-12-10 2016-03-07 (주)아이디플라텍 기밀이 유지되면서 버튼 없이 누름 가압에 의한 원터치 조작으로 뚜껑이 자동으로 열려지는 식품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426A (ja) * 2004-03-31 2005-10-20 Takemoto Yoki Kk 自開式キャップ機構
KR101144439B1 (ko) * 2009-05-06 2012-06-14 (주)아이디플라텍 복수 개폐구조를 갖는 방수 방습 껌통
KR101147005B1 (ko) * 2012-01-10 2012-05-22 주식회사 아이팩 버튼식 용기마개
KR101404859B1 (ko) * 2012-02-28 2014-06-09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뚜껑 뒷면에 열림 버튼을 가지는 음료병 및 뚜껑
KR101600577B1 (ko) * 2014-12-10 2016-03-07 (주)아이디플라텍 기밀이 유지되면서 버튼 없이 누름 가압에 의한 원터치 조작으로 뚜껑이 자동으로 열려지는 식품보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3659A1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6781U (ja) 差し込みバックル
US7870862B2 (en) Vanity case
US8302614B2 (en) Compact case
JPS6214965Y2 (ko)
JP2000313282A (ja) 車両用引き出し装置
KR200481842Y1 (ko) 화장품 용기
KR101600577B1 (ko) 기밀이 유지되면서 버튼 없이 누름 가압에 의한 원터치 조작으로 뚜껑이 자동으로 열려지는 식품보관용기
KR101855963B1 (ko) 누름으로 인하여 뚜껑이 완전히 열려지는 캔디용기
US7694824B2 (en) Clam shell type receptacle
GB2320922A (en) Disc container
JP2009093035A (ja) 蓋体を具えた機器
JP2007289290A (ja) コンパクト容器
JP3513621B2 (ja) 化粧料容器
JP5241390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3513622B2 (ja) 化粧料容器
JP6091001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4911511B2 (ja) ワンタッチキャップ
JPS6018169Y2 (ja) コンパクト等の容器の開閉機構
JPS6214968Y2 (ko)
JP4509076B2 (ja) スライド蓋付きケース
JP3057713U (ja) Cdケース
JP2000128204A (ja) 蓋付き注出キャップ
JP4970911B2 (ja) 化粧料容器
JP4767564B2 (ja) スライド式コンパクト容器
JPS63401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