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688B1 -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688B1
KR101855688B1 KR1020180004917A KR20180004917A KR101855688B1 KR 101855688 B1 KR101855688 B1 KR 101855688B1 KR 1020180004917 A KR1020180004917 A KR 1020180004917A KR 20180004917 A KR20180004917 A KR 20180004917A KR 101855688 B1 KR101855688 B1 KR 10185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actuating rod
gear box
ro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영
Original Assignee
금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전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3Lifting jacks with pinion and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잭을 이용한 수문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랙크바를 일시에 하강시켜 수문을 닫는 경우 수문이 완전히 닫히는 순간 타격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한 상부기어박스 내의 모터축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문을 일시에 닫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수문이 닫혔음에도 불구하고 구동모터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구동모터의 고장이나 수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Hydraulic hoist brake device using pin jack}
본 발명은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권양기의 구동을 통해 승강랙을 일시에 하강시켜 수문을 닫는 경우 수문이 완전히 닫히는 순간 작동이 이루어져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한 권양기의 상부기어박스 내에 구성된 모터축의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핀잭을 이용한 수문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을 개폐 작동시키는 수문 권양기는 그 작동방법과 구조에 따라 크게 스핀들 방식과 핀잭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때, 통상 스핀들 방식의 수문 권양기는 수문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승강 회전축에 연결된 원형 핸들을 회전시켜 수문을 개폐하기 때문에 수문 개폐에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작동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수시로 관리 점검을 해야 하는 등 수문의 개폐작동과 유지보수에 따른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핀잭 방식의 수문 권양기는 핸드 브레이크와 풋 브레이크 및 원심 브레이크들을 사용하여 적은 인원으로도 수문을 작동할 수 있으며, 수문 개폐시 작동 시간도 스핀들 방식에 비해 대략 절반 정도로 단축되고, 유지 관리가 편리하기는 하나 통상 회전축의 지지수단으로 부싱을 사용하므로 수문의 개폐작동이 수문의 무게에 의한 마찰 손실로 회전축의 안정된 회전력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핀잭 방식의 수문 권양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자브레이크, 전자브레이크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AC모터, AC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웜감속기, 웜감속기의 회전 감속과 더불어 웜감속기의 회전을 원심브레이크와 핸드브레이크 및 풋브레이크가 설치된 축에 전달하는 스프로킷, 웜감속기와 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는 클러치, 원심브레이크와 핸드브레이크 및 풋브레이크가 설치된 축의 끝단에 연결 설치되는 수동조작레버, 스프로킷의 회전을 다시 감속시키는 기어부, 기어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래크기어를 포함한 래크바 및 래크바의 하단과 연결되어 래크바의 승강 작동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수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된 수문 권양기의 구성에서 AC모터의 회전은 웜감속기에 의해 크게 감속되며, 웜감속기의 회전방향에 따라 래크바가 승강되어 수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핀잭 방식의 수문 권양기는 수문을 닫는 경우 수압에 의해 수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가 있다. 즉, 수문을 닫기 위해 수문 권양기를 구동시켜 랙크바를 하강시키면 수압의 작용에 의해 일정 부분 수문의 하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문이 더 이상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수문이 닫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핀잭 방식의 수문 권양기에서 수문의 하강시 수문이 완전히 닫히게 하기 위해서는 수문을 일시에 하강시켜야 한다. 이때, 수문을 일시에 하강시키는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수문의 하단이 바닥에 닫게 되면 충격에 의해 파손이 이루어지거나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0-0001263(1980.08.13.자 공고)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9-0004139(1989.06.20.자 공고)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92-0001776(1992.03.16.자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5947호(2006.09.14.자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랙크바를 일시에 하강시켜 수문을 닫는 경우 수문이 완전히 닫히는 순간 타격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한 상부기어박스 내의 모터축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문을 일시에 닫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핀잭을 이용한 수문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랙크바를 일시에 하강시켜 수문을 닫는 경우 수문이 완전히 닫히는 순간 타격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한 상부기어박스 내의 모터축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문 하단과 구조물 바닥의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랙크바를 일시에 하강시켜 수문을 닫는 경우 수문이 완전히 닫히는 순간 타격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한 상부기어박스 내의 모터축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모터나 수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는 보조기어박스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래크바 전방측과 구동모터가 구성된 메인기어박스 상부의 상부기어박스 후방측 동일선 상에 설치된 지지프레임; 래크바 전방측과 상부기어박스 후방측 동일선 상에 설치된 지지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 설치된 일정 길이의 회전작동로드; 래크바 전방측의 지지프레임 사이의 회전작동로드 원주면 후방측에 일정 크기로 설치되는 돌출플레이트; 돌출플레이트에 대응하여 래크바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수문이 일시에 하강되어 구조물 바닥에 접촉되는 시점에 돌출플레이트를 가압하여 회전작동로드를 회전시키는 가압플레이트; 상부기어박스의 전후로 관통하여 전후 직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 작동로드; 브레이크 작동로드의 후방측 이동과 전방측으로의 원위치시 구동모터의 구동축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을 제동하거나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라이닝; 메인기어박스 상부의 상부기어박스 후방측 지지프레임 사이의 회전작동로드 원주면 상단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단에는 브레이크 작동로드 후단이 관통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작동플레이트; 및 브레이크 작동로드의 선단부측 원주면 상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작동로드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가압플레이트의 설치 위치는 수문을 일시에 하강시키는 경우 수문 하단이 구조물 바닥에 접촉되는 순간 돌출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됨이 적당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브레이크 작동로드의 후단에 나사 체결을 통해 작동플레이트 상에 브레이크 작동로드 후단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 너트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수문을 일시에 하강시키는 경우 수문 하단이 구조물 바닥에 접촉되는 순간 래크바 전면에 구성된 가압플레이트에 의해 돌출플레이트의 가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회전작동로드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회전작동로드의 회전에 의해 작동플레이트의 후방으로 회전이 이루어져 브레이크 작동로드의 후방측 이동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한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수문 권양기의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래크바의 상승시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로드가 전방측으로 원위치되면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한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은 해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랙크바를 일시에 하강시켜 수문을 닫는 경우 수문이 완전히 닫히는 순간 타격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한 상부기어박스 내의 모터축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문을 일시에 닫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랙크바를 일시에 하강시켜 수문을 닫는 경우 수문이 완전히 닫히는 순간 타격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져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한 상부기어박스 내의 모터축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문 하단과 구조물 바닥의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모터나 수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가 적용되는 랙크바 구조의 수문장치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를 보인 측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가 적용되는 랙크바 구조의 수문장치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100)는 보조기어박스(3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래크바(32) 전방측과 구동모터(22)가 구성된 메인기어박스(10) 상부의 상부기어박스(20) 후방측 동일선 상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10), 래크바(32) 전방측과 상부기어박스(20) 후방측 동일선 상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 설치된 일정 길이의 회전작동로드(120), 래크바(32) 전방측의 지지프레임(110) 사이의 회전작동로드(120) 원주면 후방측에 일정 크기로 설치되는 돌출플레이트(130), 돌출플레이트(130)에 대응하여 래크바(32)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수문(40)이 일시에 하강되어 구조물 바닥에 접촉되는 시점에 돌출플레이트(130)를 가압하여 회전작동로드(120)를 회전시키는 가압플레이트(140), 상부기어박스(20)의 전후로 관통하여 전후 직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 작동로드(150), 브레이크 작동로드(150)의 후방측 이동과 전방측으로의 원위치시 구동모터(22)의 구동축(24)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26)을 제동하거나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라이닝(160), 메인기어박스(10) 상부의 상부기어박스(20) 후방측 지지프레임(110) 사이의 회전작동로드(120) 원주면 상단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단에는 브레이크 작동로드(150) 후단이 관통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홈(172)이 형성된 작동플레이트(170) 및 브레이크 작동로드(150)의 선단부측 원주면 상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작동로드(150)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18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100)를 통한 수문 권양기의 브레이크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장치(100)는 수문(40)을 일시에 닫는 경우 수문(40)의 닫힘과 동시에 구동모터(22)의 모터축이 제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수문(40)을 일시에 하강시키는 경우 수문(40) 하단이 구조물 바닥에 접촉되는 순간 래크바(32) 전면에 구성된 가압플레이트(140)에 의해 돌출플레이트(130)의 가압이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플레이트(140)에 의해 돌출플레이트(130)의 가압이 이루어지게 되면 돌출플레이트(130)의 회전량만큼 지지프레임(1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형태의 회전작동로드(12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상부기어박스(20)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회전작동로드(120) 상단의 작동플레이트(170)가 후방으로 회전이 이루어져 브레이크 작동로드(150)의 후방측 이동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플레이트(170)가 후방으로 회전이 이루어져 브레이크 작동로드(150)의 후방측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브레이크 작동로드(150)가 브레이크 라이닝(160)을 잡아 당겨 구동모터(22)의 모터축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26)을 제동시키게 된다. 이처럼 브레이크 작동로드(150)가 브레이크 라이닝(160)을 잡아 당겨 구동모터(22)의 모터축(24)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26)을 제동시킴으로써 수문(40)의 닫힘과 동시에 구동모터(22)의 제동이 이루어져 수문(40)의 파손이나 구동모터(22)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수문(40)을 일시에 하강시키는 경우 수문(40) 하단이 구조물 바닥에 접촉되는 순간 래크바(32) 전면에 구성된 가압플레이트(140)에 의해 돌출플레이트(130)의 가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회전작동로드(12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회전작동로드(120)의 회전에 의해 작동플레이트(170)의 후방으로 회전이 이루어져 브레이크 작동로드(150)의 후방측 이동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브레이크 라이닝(160)에 의한 브레이크 드럼(26)의 제동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수문 권양기의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지는 반면, 구동모터(22)의 구동에 의해 래크바(32)의 상승이 이루어지면 회전작동로드(120) 상의 돌출플레이트(130)를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140)의 가입이 해제됨으로써 탄성스프링(180)의 복원력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로드(150)가 전방측으로 원위치되면서 브레이크 라이닝(160)에 의한 브레이크 드럼(26)의 제동은 해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프레임(110)은 회전작동로드(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지지프레임(110)은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장치 구조물의 상부 일측에 구성되는 보조기어박스(3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래크바(32) 전방측과 구동모터(22)가 구성된 메인기어박스(10) 상부의 상부기어박스(20) 후방측 동일선 상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프레임(110)은 보조기어박스(3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래크바(32) 전방측과 구동모터(22)가 구성된 메인기어박스(10) 상부의 상부기어박스(20) 후방측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 회전작동로드(120)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작동로드(120)는 회전을 통해 브레이크 작동로드(150)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회전작동로드(12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크바(32) 전방측과 상부기어박스(20) 후방측 동일선 상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작동로드(120)는 중실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래크바(32) 전방측과 상부기어박스(20) 후방측 동일선 상에 수평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회전작동로드(120)의 일단부는 보조기어박스(30)의 래크바(32) 전방측에 구성되는 지지프레임(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작동로드(120)의 타단부는 메인기어박스(10) 상부의 상부기어박스(20) 후방측 에 구성된 지지프레임(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돌출플레이트(130)는 래크바(32) 전면 일측에 구성된 가압플레이트(14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작동로드(1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돌출프레이트(13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크바(32) 전방측의 지지프레임(110) 사이의 회전작동로드(120) 일단부 후방측에 일정 크기로 용접을 통해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돌출플레이트(130)는 래크바(32) 전방측에 구성되는 지지프레임(110) 사이의 회전작동로드(120) 일단부 후방측에 일정 크기로 용접을 통해 설치되어 래크바(32)의 하강시 래크바(32) 전면 상부 일측에 설치된 가압플레이트(140)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지지프레임(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작동로드(120)를 후방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압플레이트(140)는 래크바(32)의 하강에 따라 수문(40) 하단이 구조물의 바닥에 접촉됨과 동시에 회전작동로드(120) 일단부에 구성된 돌출플레이트(130)를 가압하여 회전작동로드(1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압플레이트(14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플레이트(130)에 대응하여 래크바(32)의 전면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압플레이트(140)는 돌출플레이트(130)에 대응하여 래크바(32)의 전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수문(40)이 일시에 하강되어 구조물 바닥에 접촉되는 시점에 돌출플레이트(130)를 가압하여 회전작동로드(1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가압플레이트(140)의 설치 위치는 수문(40)을 일시에 하강시키는 경우 수문(40) 하단이 구조물 바닥에 접촉되는 순간 돌출플레이트(130)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의 래크바(32) 전면 상부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브레이크 작동로드(150)는 후방 또는 전방으로 직진 이동을 통해 브레이크 라이닝(160)을 작동시켜 브레이크 드럼(26)을 제동시키거나 제동 해제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브레이크 작동로드(150)는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기어박스(20)의 전후로 관통하여 전후 직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브레이크 작동로드(150)는 회전작동로드(120)와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작동로드(120)의 후방측 회전시 작동플레이트(170)가 후방측으로 회전하는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직선 이동되어 브레이크 라이닝(160)을 작동시켜 구동모터(22)의 구동축(24)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26)을 제동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22)의 구동이 정지되어 수문(40)이 닫혔음에도 불구하고 구동모터(22)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브레이크 라이닝(160)은 브레이크 작동로드(150)의 후방측 직선 이동에 의해 구동모터(22)의 구동축(24)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26)을 제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브레이크 라이닝(160)은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작동로드(150)의 후방측 이동 또는 전방측으로의 원위치시 구동모터(22)의 구동축(24)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26)을 제동하거나 해제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브레이크 라이닝(160)은 구동모터(22)의 구동축(24)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26)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작동로드(150)의 후방측으로 직선 이동에 의해 구동모터(22)를 제동시킴으로써 수문(40)이 닫혔음에도 불구하고 구동모터(22)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동모터(22)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물 상에서 수문(40)이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작동플레이트(170)는 회전작동로드(120)의 전후 회전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로드(150)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작동플레이트(17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어박스(10) 상부의 상부기어박스(20) 후방측 지지프레임(110) 사이에 위치된 회전작동로드(120) 타단의 원주면 상단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작동플레이트(170)의 상단에는 상부기어박스(20)를 전후로 관통하여 전후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 작동로드(150)의 후단이 걸림 유지되어 작동플레이트(170)의 전후 회전시 브레이크 작동로드(150)의 전후 직선 이동이 이루어져 브레이크 라이닝(160)에 의한 구동모터(22)의 제동 해제 또는 제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작동플레이트(170)의 상단에는 브레이크 작동로드(150) 후단이 관통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홈(172)이 형성된다. 이때, 브레이크 작동로드(150)의 후단에는 나사 체결을 통해 작동플레이트(170) 상에 브레이크 작동로드(150) 후단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 너트(152)가 더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탄성스프링(180)은 래크바(32)의 상승시 후방측으로 직선 이동된 상태의 브레이크 작동로드(150)를 전방측으로 원위치시켜 구동모터(22)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탄성스프링(180)은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작동로드(150)의 선단부측 원주면 상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작동로드(150)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탄성스프링(180)은 탄성력이 상시 브레이크 작동로드(150)를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래크바(32)의 상승에 따라 가압플레이트(140)에 의한 돌출플레이트(130)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탄성스프링(180)의 복원력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로드(150)가 전방측으로 직선 이동되어 원위치되면서 브레이크 라이닝(160)에 의한 브레이크 드럼(26)의 제동은 해제되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문(40)을 일시에 하강시키는 경우 수문(40)의 하단이 구조물의 바닥에 접촉하는 순간 구동모터(22)의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문(40)의 파손이나 구동모터(22)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 메인기어박스
20. 상부기어박스
22. 구동모터
24. 구동축
26. 브레이크 드럼
30. 보조기어박스
32. 래크바
40. 수문
100. 브레이크장치
110. 지지프레임
120. 회전작동로드
130. 돌출플레이트
140. 가압플레이트
150. 브레이크 작동로드
152. 걸림 너트
160. 브레이크 라이닝
170. 작동플레이트
172. 걸림홈
180. 탄성스프링

Claims (5)

  1. 보조기어박스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래크바 전방측과 구동모터가 구성된 메인기어박스 상부의 상부기어박스 후방측 동일선 상에 설치된 지지프레임;
    상기 래크바 전방측과 상부기어박스 후방측 동일선 상에 설치된 지지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 설치된 일정 길이의 회전작동로드;
    상기 래크바 전방측의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의 상기 회전작동로드 원주면 후방측에 일정 크기로 설치되는 돌출플레이트;
    상기 돌출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래크바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수문이 일시에 하강되어 구조물 바닥에 접촉되는 시점에 돌출플레이트를 가압하여 회전작동로드를 회전시키는 가압플레이트;
    상기 상부기어박스의 전후로 관통하여 전후 직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 작동로드;
    상기 브레이크 작동로드의 후방측 이동과 전방측으로의 원위치시 구동모터의 구동축 상에 구성된 브레이크 드럼을 제동하거나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라이닝;
    상기 메인기어박스 상부의 상부기어박스 후방측 지지프레임 사이의 상기 회전작동로드 원주면 상단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단에는 상기 브레이크 작동로드 후단이 관통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작동플레이트; 및
    상기 브레이크 작동로드의 선단부측 원주면 상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작동로드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설치 위치는 상기 수문을 일시에 하강시키는 경우 수문 하단이 구조물 바닥에 접촉되는 순간 상기 돌출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작동로드의 후단에 나사 체결을 통해 상기 작동플레이트 상에 브레이크 작동로드 후단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 너트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을 일시에 하강시키는 경우 수문 하단이 구조물 바닥에 접촉되는 순간 상기 래크바 전면에 구성된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돌출플레이트의 가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작동로드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작동로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후방으로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브레이크 작동로드의 후방측 이동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한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수문 권양기의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바의 상승시 상기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작동로드가 전방측으로 원위치되면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에 의한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은 해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
KR1020180004917A 2018-01-15 2018-01-15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 KR10185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917A KR101855688B1 (ko) 2018-01-15 2018-01-15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917A KR101855688B1 (ko) 2018-01-15 2018-01-15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688B1 true KR101855688B1 (ko) 2018-05-09

Family

ID=6220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917A KR101855688B1 (ko) 2018-01-15 2018-01-15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6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940B1 (ko) * 2022-12-16 2023-07-07 주식회사 신화이엔지 수문용 권양기
KR102576808B1 (ko) * 2022-05-24 2023-09-11 동인워터솔루션(주) 플립업 가동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49Y1 (ko) * 2003-02-24 2003-05-16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수문권양기의 브레이크장치
KR20120016402A (ko) * 2010-08-16 2012-02-24 이병순 하강속도 댐핑을 위한 수문용 승강장치
KR101457872B1 (ko) * 2014-09-11 2014-11-06 주식회사 아이엔텍 수문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49Y1 (ko) * 2003-02-24 2003-05-16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수문권양기의 브레이크장치
KR20120016402A (ko) * 2010-08-16 2012-02-24 이병순 하강속도 댐핑을 위한 수문용 승강장치
KR101457872B1 (ko) * 2014-09-11 2014-11-06 주식회사 아이엔텍 수문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808B1 (ko) * 2022-05-24 2023-09-11 동인워터솔루션(주) 플립업 가동문장치
KR102552940B1 (ko) * 2022-12-16 2023-07-07 주식회사 신화이엔지 수문용 권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9635B2 (ja) ブレーキ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駆動装置および駆動方法
KR101855688B1 (ko) 핀잭을 이용한 수문 권양기 브레이크장치
JP2007521203A (ja) エレベータ用の遠隔リセット可能なロープ無し非常停止装置
KR100938272B1 (ko) 엘리베이터들의 카 안전 디바이스를 위한 전기 안전 스위치리세팅 디바이스
JP4905360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US20110272223A1 (en) Velocity limiter for an elevator
USRE38835E1 (en) Remote brake release mechanism for an elevator machine
JP4369156B2 (ja) エレベータかご用の安全制動装置を係合するための機器
GB2287008A (en) Cable slack preventing in lifting apparatus
KR101945995B1 (ko) 드럼 권양기용 안전장치
EP1299302B1 (de)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en notbetrieb einer getrieblosen antriebsmaschine eines aufzuges
US2265891A (en) Operating mechanism for elevators
US1952728A (en) Hoisting apparatus
KR101068406B1 (ko) 수문 권양기용 제동장치
CN104370239A (zh) 一种无机房电梯制动器的机械松闸装置
KR100491315B1 (ko) 수문용 권양장치
US2619345A (en) Door operating device
KR102122013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로프 자동 제동장치
US11866299B2 (en) Elevator apparatus
KR100698726B1 (ko) 셔터용 자동폐쇄장치의 하한정지기구
JP2008110872A (ja) 昇降機のキャビンの扉のための能動的なシュート
JPH1113370A (ja) バランス式電動シャッターにおける制御装置
KR101646763B1 (ko)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KR101658827B1 (ko)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CN219259381U (zh) 一种新型机械自锁锚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