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601B1 - 공기 안내 요소 - Google Patents

공기 안내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601B1
KR101855601B1 KR1020167005316A KR20167005316A KR101855601B1 KR 101855601 B1 KR101855601 B1 KR 101855601B1 KR 1020167005316 A KR1020167005316 A KR 1020167005316A KR 20167005316 A KR20167005316 A KR 20167005316A KR 101855601 B1 KR101855601 B1 KR 10185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guide
end segment
guide element
guid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228A (ko
Inventor
올라프 울렌부쉬
알렉산더 그뤼들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3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공기 배출구용 공기 안내 요소, 및 공기 배출구(10)에 관한 것으로, 이때 하나 이상의 공기 안내 요소(12; 14)는 하우징 내에 지지되는 제1 단부 세그먼트(22)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 세그먼트(22)의 맞은편에 놓인 하나 이상의 제2 단부 세그먼트(24)는, 제1 단부 세그먼트(22)와 제2 단부 세그먼트(24) 사이에 위치한 공기 안내 요소(12; 14)의 영역(26; 34)에 가해지는 한 가지 이상의 힘 성분의 작용에 의해 공기 안내 요소(12; 14)가 적어도 상기 영역(22; 24)에서 변형되도록, 그리고 이 힘 성분의 작용이 종료된 후에는 공기 안내 요소가 자발적으로 출발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우징 내부에 지지된다.

Description

공기 안내 요소{AIR-GUIDING ELEMENT}
본 발명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공기 안내 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기 안내 요소는 하우징 내에 지지되는 제1 단부 세그먼트를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공기 안내 요소는 예를 들어 자동차용 공기 배출구(air vent)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안내 요소는, 배출되는 공기를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또는 그 사이에 놓인 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DE 100 10 688 A1호로부터, 휠 수 있게 형성된 공기 안내 요소를 구비한 공기 배출구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EP 2 266 824 B1호로부터, 공기 안내 요소들이 내부에 배치된 전면 및 후면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벽들로 구성된 공기 처리 요소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벽들은 조종 요소를 통해, 압력 및/또는 활주력(sliding force)의 작용에 의해 그리고/또는 토크의 작용에 의해 자신의 기본 기하학적 형상으로부터 요구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EP 2 266 824 B1호에 개시된 공기 안내 요소의 경우, 가요성 벽들이 압축에 의해 업세팅(upsetting) 되거나 기울어지도록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이때 이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벽들이 이를 위해 하우징 내에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하지만, 이 유럽 특허에 개시된 기술적 이론은, 상기 벽들에 의해서는 배출되는 공기의 제한된 제어만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유럽 특허에 기술된 실시예는, 소위 광대역 배출구에서 수평의 플레이트들(lamella) 혹은 벽들을 조정하는 것과 관련해서 몇 가지 단점을 갖는데, 그 이유는,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특히 공기 배출구의 중심축의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해 벽들이 상응하게 큰 면적으로 설계되어야 하고, 공기 배출구의 공기 배출 영역의 바로 인접한 주변에서 50도를 초과하는 범위 내의 큰 편향을 달성하기 위해서도 복잡한 조정 수단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 배출구 및 간단히 제어될 수 있는 공기 안내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며, 공기 배출구 및 공기 안내 요소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편향 범위가 제공될 것이며, 상기 공기 안내 요소는 유동적으로 전환되는 공기 안내면들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술적인 특징들을 갖는 공기 안내 요소 및 청구항 23에 기재된 기술적인 특징들을 갖는 공기 배출구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안내 요소에서, 상기 공기 안내 요소는 하우징 내에 지지되는 제1 단부 세그먼트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제1 단부 세그먼트의 맞은편에 놓인 제2 단부 세그먼트는, 제1 단부 세그먼트와 제2 단부 세그먼트 사이에 위치한 공기 안내 요소의 영역에 가해지는 한 가지 이상의 힘 성분의 작용에 의해 공기 안내 요소가 적어도 상기 영역에서 변형되도록 지지되며, 이때 제2 단부 세그먼트는 변위되고, 공기 안내 요소는 힘 성분의 작용이 종료된 후에 자발적으로 (또는 상응하는 구동 장치에 의해) 자신의 출발 위치로 되돌아간다.
공기 안내 요소의 가요성 재료는, 공기 안내 요소가 힘 성분의 작용 이후에 자신의 원래 배향을 다시 취하도록 계산된, 변형에 대항하는 저항력을 갖는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강성의 몸체를 갖는 종래의 플레이트들에 비해, 공기 안내 요소를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보내기 위해 복원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적어도, 공기 안내 요소가 힘 성분의 작용 이후 자신의 출발 위치(중립 위치)로의 복원을 위해 임의의 장치에 의해 다시 작동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그럼에도, 복원이 제어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되어서는 안 되는 경우에는, 복원을 위한 힘 성분의 작용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용은 예를 들어 전동식 제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부 특정 경우에는 공기 안내 요소가 조정 이후에 취해진 위치에 체류해 있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위치가 의도적으로 선택되었기 때문이다. 변형에 대항하는 저항력을 근거로 하여 공기 안내 요소를 선택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배향을 조정하기 위한 또는 힘 성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들이 자신의 힘 작용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힘 작용의 유지는, 상기 장치들이 선택된 위치에 머물러 있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변형에 대항하는 저항력은 또한, 변형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상응하게 복잡한 장치를 요구하거나 불균형한 양을 초과하지 않도록 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가지 이상의 힘 성분의 작용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이 장치가 설정된 위치를 자발적으로 (예를 들어 잠금 장치를 통해 또는 전기식으로)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안내 요소의 가요성 형상은 또한, 복수의 플레이트들이 추가로 피벗되지 않아도,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선행 기술에 비해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디자인 분야에서의 장점도 제공하는데, 이 경우 공기 안내 요소의 제1 단부 세그먼트는 공기 배출구의 공기 배출 영역에 실질적으로 고정되도록 배치되며, 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의 하우징 내에 수용됨으로써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공기 안내 요소의 가요성 영역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편향이 이루어진다.
힘 작용은 또한 조정 장치를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정 장치는 제1 단부 세그먼트와 제2 단부 세그먼트 사이에 있는 영역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안내 요소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공기 안내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공기 안내 요소는 길이 방향으로 폭보다 더 큰 연장부를 갖는다. 공기 안내 요소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다(예컨대 수 밀리미터). 그럼으로써, 공기 안내 요소가 간단히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조정 장치를 통해한 가지 힘 성분이, 예를 들어 전동식으로, 길이 방향으로 제1 단부 세그먼트에 대해 평행하게 공기 안내 요소에 제공된다. 조정 장치가 자신의 위치에 머무르는 한, 공기 안내 요소는 변형된 상태에 있고, 또한 이 상태로 유지된다[예를 들어 전동기는 상응하는 홀딩 토크(holding torque)를 갖는다]. 조정 장치가 (예를 들어 전동기의 새로운 제어에 의해서) 자신의 출발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공기 안내 요소에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않으면, 공기 안내 요소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공기 안내 요소에 의해 자발적으로 복원이 이루어진다.
공기 안내 요소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힘 성분의 제공이 평탄한 공기 안내 요소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으로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도)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제2 단부 세그먼트는 수용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단부 세그먼트는 고정식으로 지지되며, 이 경우 공기 안내 요소의 변형에 의해 제2 단부 세그먼트가 제1 단부 세그먼트에 대해 상대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용부를 통해서는 제2 단부 세그먼트가 변형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제2 단부 세그먼트가 특정 위치를 취하여 유지하는 점이 보장된다. 그러므로 공기 안내 요소 측에서의 제어되지 않은 변형은 배제된다.
제1 단부 세그먼트는 제1 지지 요소를 통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베어링 요소가 하나 이상의 수용부 내에서 피벗될 수 있거나, 제1 베어링 요소가 제1 단부 세그먼트에 또는 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로써, 제1 베어링 요소는 공기 배출구의 하우징의 수용부 내에 지지될 수 있고, 공기 안내 요소에 대하여 강성일 수 있거나 움직일 수 없다. 그러므로 공기 안내 요소의 변형 시, 제1 지지 요소가 하우징의 수용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피벗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제1 단부 세그먼트는, 제1 단부 세그먼트를 통해 연장되는 지지 요소가 제1 단부 세그먼트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공기 안내 요소를 변형시키기 위해, 제1 단부 세그먼트와 제2 단부 세그먼트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작동 요소가 공기 안내 요소에 또는 그 내부 배치될 수 있고, 힘 작용은 하나 이상의 작동 요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요소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막대 또는 작동 요소가 예를 들어 수단을 통해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작동 요소 또는 막대가 공기 안내 요소로부터 측면에서 돌출되면, 상기 작동 요소가 공기 안내 요소의 변형을 야기한다.
이를 위해, 작동 요소는 지지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지지 세그먼트가 제1 단부 세그먼트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작동 요소도 제1 단부 세그먼트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공기 안내 요소 상에서 또는 그 내부에서 제1 단부 세그먼트와 제2 단부 세그먼트 사이에 2개 이상의 작동 요소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이때 작동 요소의 지지 세그먼트는 공기 안내 요소로부터 돌출하여 하나 이상의 조정 수단 또는 조정 장치와 연결된다. 이로써, 공기 안내 요소의 양 측면에서 지지 세그먼트가 공기 안내 요소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공기 안내 요소의 변형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안내 요소의 양 측면에는 조정 수단이 각각 하나씩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두 조정 수단은 각각 공기 안내 요소의 상응하는 측면에서 돌출하는 작동 요소의 지지 세그먼트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작동 요소는 지지 세그먼트를 통해 상향으로 이동하고, 제2 작동 요소는 그의 지지 세그먼트를 통해 하향으로 이동하면, 공기 안내 요소의 변형은 실질적으로 소위 S-곡선으로 나타난다.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조정 수단이 제1 단부 세그먼트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조정 수단일 수 있으며, 이 경우 2개 이상의 작동 요소의 2개의 지지 세그먼트가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조정 수단과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지지 세그먼트는 회전축에 대해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한 조정 수단에 배치된다. 회전 가능한 조정 수단은 소위 조작 휠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이와 같은 조작 휠과 결합될 수 있다. 조작 휠이 회전되면, 조작 휠과 두 작동 요소의 지지 세그먼트들의 연결을 통해 공기 안내 요소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또 다른 작동 요소들도 회전 가능한 조정 수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작동 요소를 회전 가능한 조정 수단과 연결하는 지지 세그먼트들은 공기 안내 요소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 내에 놓인다. 이제 회전 가능한 조정 수단이 작동되면, 공기 안내 요소의 플렉시블한 형상으로 인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 또는 지지 세그먼트들과 이동 수단의 연결에 기초하여, 공기 흐름의 다양한 배출 각도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흐름의 배출각은 조작 휠의 위치에 따른 변형율에 의해 설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공기 안내 요소는 제1 단부 세그먼트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rib), 그루브, 보강 요소 및/또는 삽입물을 갖는다. 삽입물은, 공기 안내 요소를 여러 영역에서 강성으로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영역에서 공기 안내 요소의 변형을 어렵게 하거나 방해한다. 또한, 그루브 또는 리브는, 이들 영역에서 변형이 우선적으로 또는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더 어려워서 차후에 이루어지게 하는 방식으로, 공기 안내 요소의 변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삽입물은 실질적으로 공기 안내 요소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도 연장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삽입물은 변형력과 관련하여 공기 안내 요소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 내부에 하나의 작동 요소가 삽입되거나, 상기 그루브에 의해 형성된 벽들에 접함으로써, 힘 성분이 상기 그루브를 통해 공기 안내 요소 내로 유입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변형 시 그루브 영역에 변형의 정점(변형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공기 안내 요소가 최대로 이격되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안내 요소는, 상기 공기 안내 요소가 2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층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들 층은 서로 접착될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안내 요소의 층들은, 이들 층이 하나의 (제1 또는 제2) 단부 세그먼트 내에서 연결되거나 연결되어 있도록, 그리고 그들 사이에 삽입물이 있거나 없는 쐐기(wedge) 또는 가스로 채워진 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층 구조로 이루어진 공기 안내 요소의 하나의 층은 탄소 섬유 요소 및/또는 유리 섬유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기 안내 요소는, 이 공기 안내 요소의 표면을 공기 안내 요소의 원하는 특성에 상응하게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안내 요소는 제1 또는 제2 단부 세그먼트 내에 마찰을 약화시키는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상응하는 코팅(예를 들어 테플론)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공기 안내 요소의 코팅은 한쪽 면에, 제1 단부 세그먼트 내에 그리고/또는 제2 단부 세그먼트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하나 이상의 면에 또는 제1 혹은 제2 단부 세그먼트에 공기의 난류 소용돌이 또는 특정 배출을 야기하는 구조물들 또는 형상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 안내 요소는 제1 단부 세그먼트 및/또는 제2 단부 세그먼트에 폐쇄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부 세그먼트 내에 있는 제1 지지 요소가 상기 폐쇄 요소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공기 안내 요소의 변형 시 제1 단부 세그먼트의 고정 지지로 인해 제2 단부 세그먼트가 변위되기 때문에,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제2 단부 세그먼트가 하나 이상의 회전 가능한 제2 지지 요소를 통해 지지되거나, 제2 단부 세그먼트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2개의 제2 단부 세그먼트 사이에 지지된다. 이때, 하나 이상의 제2 지지 요소는 롤러일 수 있다. 공기 안내 요소가 변형되면, 제2 단부 세그먼트는 예를 들어 2개의 롤러 사이에서 변형율에 상응하게 가이드된다. 또한, 이를 통해서는 예를 들어 수용부에 대한 마찰도 줄어들 수 있다. 하지만, 수용부에서도 공기 안내 요소의 제2 단부 세그먼트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제2 단부 세그먼트뿐만 아니라 수용부도 상응하게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되거나 표면 코팅될 수 있다.
제1 단부 세그먼트 및/또는 제2 단부 세그먼트의 폐쇄 요소는 플라스틱, 금속, 금속 합금 또는 코팅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폐쇄 요소 상의 크롬 코팅은 쉽게 구현될 수 있고, 공기 배출구를 관찰 방향에서 볼 때 공기 안내 요소의 깔끔한 외관을 제공한다. 또한, 폐쇄 요소 내부에는 제1 지지 요소가 수용될 수 있으며, 이때 폐쇄 요소가 플라스틱,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지지 요소를 위한 수용부의 형상이 간단하게(예를 들어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작동 요소는 힘 작용이 없는 공기 안내 요소의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공기 안내 요소 내에서 연장되거나 상기 공기 안내 요소에 대해 평행한 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비선형 거동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 요소는 예를 들어 원호(arc)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기 안내 요소의 비작동 상태에서는 상기 공기 안내 요소가 자신의 평탄한 본래의 정렬을 유지한다. 하지만, 조정 장치 또는 조정 수단을 통해 비선형으로 형성된 작동 요소가 회전되면, 공기 안내 요소에 또는 그 내부에 위치한 작동 요소의 특수 형상이 제1 단부 세그먼트의 고정식 지지 및 공기 안내 요소의 가요성 형상과 협력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양 조절에 바람직하게 작용하는 소위 "산과 골짜기" 구조를 구현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복수의 작동 요소의 협력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뿐만 아니라 양도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작동 요소를 이용해서 예컨대 공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을 완전히 단속할 수도 있으며, 그럼으로써 공기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는다.
공기 안내 요소는 결합 장치, 조정 수단 또는 조정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공기 안내 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결합 장치로서는,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강성의 플레이트용으로 이미 공지되어 있는 소위 연결 로드(coupling rod)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공기 안내 요소 또는 이 공기 안내 요소의 하나 이상의 층은 신장 가능한 원료 또는 고무 형태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장 가능한 원료는, 유연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는 있지만 공기의 관류는 전혀 허용하지 않거나 약간만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공기 안내 요소의 경량 구조 및 음향과 관련된 또 다른 장점들이 나타난다.
전술된 예들과 관련해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기 안내 요소는 바람직하게 자동차용 공기 배출구의 공기 안내 요소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기 안내 요소는 건물 내에 고정된 장치나 다른 유형의 운송수단(비행기, 선박, 버스, 열차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배출구는, 전술된 특징들 및 구성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안내 요소를 갖는다. 그러므로, 전술된 장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배출구에 있어서도 적합하다.
공기 안내 요소에 가해지는 힘 작용의 조정은 수동으로 또는 전동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작동 요소에 가해지는 힘 작용은 조정 장치를 통해 실질적으로 상부 및/또는 하부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측면 힘 작용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 힘 작용은 특히 리브 또는 그루브를 구비한 공기 안내 요소의 형상에서, 작동 요소를 공기 안내 요소 내부로 복잡하게 삽입할 필요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공기 배출구는 가요성 하우징을 구비한다. 가요성 하우징은 계속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요성 하우징은 예를 들어 차량 계기판을 바라보는 방향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상기 가요성 하우징에서 하나 이상의 부분은, 상기 부분이 가요성 공기 안내 요소를 형성하거나 그러한 가요성 공기 안내 요소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안내 요소와 하우징 부분이 일체형으로 (예컨대 필름 힌지, 즉, 2K 기법에서의 경질/연질 플라스틱 연결부를 통해) 형성된다. 또한, 공기 배출구의 구성 부재들(하우징, 공기 안내 요소)과 연결되는 별도의 부분도 사용될 수 있다.
제2 단부 세그먼트는 힘 작용시의 변위를 위해 가이드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이드부 내부에서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기 안내 요소의 제2 단부 세그먼트(들) 또는 수용부가 슬라이딩 래커(sliding lacquer), 코팅재(예컨대 테플론) 또는 특수 플라스틱으로 코팅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들 및 가능 구성들과 관련해서는 이하의 도면 설명을 참조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특징을 가지므로, 제한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구현될 실시예들에서는 도시된 예들과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가요성 공기 안내 요소를 구비한 공기 배출구를 제1 실시예에 따라 공기 안내 요소가 변형된 상태 및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가요성 공기 안내 요소를 구비한 공기 배출구를 제2 실시예에 따라 공기 안내 요소가 변형된 상태 및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가요성 공기 안내 요소를 구비한 공기 배출구를 제3 실시예에 따라 공기 안내 요소가 변형된 상태 및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가요성 공기 안내 요소를 구비한 공기 배출구를 제4 실시예에 따라 공기 안내 요소가 변형된 상태 및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가요성 공기 안내 요소를 구비한 공기 배출구를 제5 실시예에 따라 공기 안내 요소가 변형된 상태 및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가요성 공기 안내 요소를 구비한 공기 배출구를 제6 실시예에 따라 공기 안내 요소가 변형된 상태 및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가요성 공기 안내 요소를 구비한 공기 배출구를 제7 실시예에 따라 공기 안내 요소가 변형된 상태 및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a는 작동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8b는 공기 안내 요소를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c는 그루브를 구비한 공기 안내 요소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d는 보강 요소를 구비한 공기 안내 요소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e는 복수의 층을 구비한 공기 안내 요소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f는 2개의 롤러 사이에 지지된 단부 세그먼트를 구비한 공기 안내 요소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9는 조정 수단 및 공기 안내 요소를 제8 실시예에 따라 공기 안내 요소가 변형된 상태 및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된 부분들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실질적으로 서로 대응된다.
또한, 기술된 공학 이론을 이해하는 데 불필요한 구성 부품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3개의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를 구비한 공기 배출구의 개략도이다. 좌측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는 변형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상태를 보여주고, 우측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는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준다. 각각의 도면에는, 가요성 하우징부들을 구비한 공기 배출구(10)가 도시되어 있다. 가요성 하우징부들은 공기 안내 요소들(14)을 형성하거나, 필름 힌지(32)를 통해 공기 안내 요소들(14)과 연결된다. 또는, 공기 안내 요소들(14)이 다른 형태의 공기 배출구에서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기 안내 요소들(14) 및 공기 안내 요소(12)는 이들의 제1 단부 세그먼트를 통해 지지된다.
공기 안내 요소(14)는 필름 힌지(32)를 통해 벽(16)과 연결된다. 또한, 벽(16)은, 공기 배출구(10)를 위한 공기 공급 덕트 또는 하우징의 부분을 형성하는 또 다른 하우징부 또는 수용부와 연결된다. 하지만, 공기 안내 요소(14)는 또한 공기 공급 덕트의 하우징부와 별도로 배치 및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공기 안내 요소(14)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제1 지지 요소(96)(도 8e 참조)를 통해 공기 배출구(10)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 상태는 특히, 공기 안내 요소(14)가 벽(16) 및 공기 배출구(10)의 나머지 구성 요소들 또는 공기 배출구의 하우징과 다른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경우들을 위해 적합하다. 정상적으로, 공기 배출구(10)의 구성 요소 및 벽은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공기 안내 요소(14) 및 공기 안내 요소(12)는 훨씬 더 쉽게 변형될 수 있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공기 안내 요소(12)는 제1 지지 요소(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서 지지점(30)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 공기 배출구(10) 내에 배치된다. 또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는 조정 장치(18)와도 연결된다. 조정 장치(18)는, 조정 장치(18)가 위로 또는 아래로 [화살표(28)에 의해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될 때, 이 조정 장치가 영역(26 및 34) 내에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변형을 야기하도록 형성된다.
공기 안내 요소(12) 및 또 다른 공기 안내 요소(14)는 제1 단부 세그먼트(22) 및 제2 단부 세그먼트(24)를 구비한다. 공기 안내 요소(12)의 세분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분할은 공기 안내 요소(14)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된다.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는 제1 단부 세그먼트(22) 내에는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제2 단부 세그먼트(24) 내에는 화살표(28)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수용된다. 이 경우, 공기 안내 요소(12)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수용부를 통해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 참조)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공기 안내 요소(14)는 자신의 제2 단부 세그먼트 내에서 수용부(20) 내에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수용부(20) 및 공기 안내 요소(14)[및 또한 상응하는 실시예들에서는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2 단부 세그먼트는 또한 이들의 표면에서 마찰을 줄여주는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수용부(20) 내에서 또는 공기 안내 요소(12)를 위한 상응하는 수용부 내에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가 끼는 현상(jamming) 또는 이동 동작이 둔해지는 현상이 줄어든다/방지된다.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는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그럼으로써,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를 변형시키기 위해서, 조정 장치(18)를 통해 큰 힘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는, 조정 장치(18)를 통한 힘 작용이 종료된 후에 이들 공기 안내 요소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출발 위치로 되돌아가거나(출발 위치는 도 1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음) 필요한 경우에는 자신의 최종 위치에 자발적으로 머무르도록 형성된다. 조정 장치(18)는 또한, 상향 또는 하향 조정 또는 이동 후에,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를 다른 방법으로 변형시킬 수 있거나 이들의 출발 위치로 되돌려 보낼 수 있는 조정 장치(18)의 작동이 새로이 이루어질 때까지,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위치 및 이와 더불어 변형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는 예를 들어 고무 형태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장부를 가지며, 이 경우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폭은 이들 공기 안내 요소의 길이보다 작다. 그러므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는 특히 소위 광대역 배출기용으로 적합하다. 하지만,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는 또한 다른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수직 방향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공기 배출구(10)는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수평으로 정렬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뿐만 아니라, 그 뒤에 또는 그 앞에 수직으로 정렬된 공기 안내 요소도 구비할 수 있다.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변형이 조정 장치(18)를 통해 이루어지면, 공기 공급 덕트로부터 오는 공기 흐름[관류 방향(42)에 의해 도시됨]은 변형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를 통해서 화살표(120)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편향된다. 공기 배출구(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은 화살표(28)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편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선행 기술에 공지된 종래의 공기 배출구에 비해 더 큰 편향에 도달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에 의해서는, 얇은 막(12 및 14)의 출발 위치에 비해 60도 이상의 편향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공기 배출구(10)의 형상에 상응하게, 최초 상태에 비해 60도보다 훨씬 더 큰 편향에도 도달할 수 있다.
도 2는, 공기 배출구(10)의 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때, 도 2의 우측에는 공기 배출구(10)가 변형되지 않은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를 구비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좌측에는 변형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를 구비한 공기 배출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해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공기 안내 요소(14)는 달리 필름 힌지(32)를 통해 지지될 수 있고, 공기 배출구(10)의 하우징과 연결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실시예에 상응하지만, 이 경우에는 공기 안내 요소(12)가 제1 단부 세그먼트(22) 내에서 이 단부 세그먼트의 외부 표면에 폐쇄 요소(36)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폐쇄 요소(36)는 예를 들어 크롬 코팅이 있거나 없는 플라스틱 스트립(plastic strip) 또는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의 코팅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실시예에서, 폐쇄 요소(36)는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와 연결되어 있는 플라스틱 스트립이다. 이 플라스틱 스트립[폐쇄 요소(36)]은 크롬 코팅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공기 배출구(10) 또는 중간의 공기 안내 요소(12)는 공기 배출구(10)를 관찰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응하는 외부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적용예들은 예컨대 발광 수단(LED)과 같은 또 다른 요소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 공기 안내 요소(12)는 지지점(30) 주변에서 공기 배출구(10)의 하우징부와 단단히 연결된다. 그러므로, 공기 안내 요소(12)는 지지점(30) 주변에서는 피벗될 수 없으며, 제1 단부 세그먼트(22)는 공기 배출구(10)의 하우징에 대해서 고정 배치된다. 또한, 조정 장치(18)는, 공기 안내 요소(12)가 영역(26)의 중앙에서 변형되지 않고, 오히려 제2 단부 세그먼트(24)의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의 피벗불가능하거나 회전 불가능한 배치 상태에서 의해서도 나타난다. 그럼으로써, 공기 안내 요소(12)가 작동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변형은 관류하는 공기의 편향 이외에 공기의 더 높은 배출 속도도 야기한다. 이때, 공기는 완전히 공기 배출구(10)의 전체 폭 및 길이에 걸쳐서 가속되지 않고, 오히려 다만 공기 안내 요소(12와 14) 사이에 형성된 채널의 횡단면을 이들 협착부 앞에 있는 채널의 횡단면에 비해 축소시키는 영역에서만 가속된다. 예를 들어, 공기 안내 요소(12)와 하부 공기 안내 요소(14) 사이의 영역에서는 공기 배출 속도의 증가가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공기 관류 채널의 세그먼트가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와 공기 안내 요소(14)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보다는 공기 안내 요소(12)의 최대 변형 영역에서 공기 안내 요소(12)와 공기 안내 요소(14) 사이에서 더 크기 때문이다.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와 마찬가지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므로, 공기 배출구(10)의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는 힘 성분의 작용이 종료된 후에는 조정 장치(18) 및 이 조정 장치(18)의 변위에 의해 자발적으로 출발 위치(도 2의 우측 도면 참조)로 되돌아간다. 공기 안내 요소(12, 14)의 재료는, 이들 공기 안내 요소(12, 14)가 각각의 임의의 위치에 머물 수 있을 정도의 연성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도 3은,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조정 장치(18)를 통해 변형될 수 있는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를 구비한 공기 배출구(10)의 또 다른 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3의 공기 배출구(10)는 실질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에 상응하며, 이 경우 중앙에 배치된 공기 안내 요소(12)는 절개부(38)(필름 힌지) 및 도 2의 공기 안내 요소(12)와 마찬가지로 폐쇄 요소(36)를 구비한다. 영역(26)에서 공기 안내 요소(12)의 변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작용점의 위치 이외에(이와 관련해서는 도 2도 참조됨), 절개부(38)도 공기 안내 요소(12)의 훨씬 더 쉬운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에 비해 공기 안내 요소(12)의 변형을 지원해준다.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는 고정 배치되어 있고, 전혀 변형되지 않으며, 도 1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와 마찬가지로 지지점(30)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피벗동작을 전혀 실행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도 3의 공기 배출구(10)의 경우에는, 공기 안내 요소(12와 14) 사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속도 측면에서 큰 영향을 받지 않는데, 그 이유는 공기 안내 요소(12)와 공기 안내 요소(14)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의 영역에서 하부 공기 안내 요소(14)와 공기 안내 요소(12) 사이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 변화도 이루어지며, 이 경우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가볍게 증가한다.
또한, 상부 공기 안내 요소(14)와 공기 안내 요소(12)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 제2 단부 세그먼트(24) 내에서는 배출되는 공기의 감속이 이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공기 안내 요소(12)와 공기 안내 요소(14) 사이에 있는 후속 영역이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2 단부 세그먼트(24)와 상부 공기 안내 요소(14) 사이에 있는 영역보다 크기 때문이다.
배출되는 공기의 가속 또는 감속 정도, 및 공기 배출구(10)를 관류해서 배출되는 공기의 편향은,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다양한 위치에서 또는 이들의 변형부들 및 변형부에서 조정 장치(18)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조정 장치(18)도 또한 화살표(38)의 방향으로 적어도 약간의 양만큼 변위 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영역(26 및 34)에 있는 변형부가 변경되고, 이와 같은 상황은 또한 배출되는 공기의 편향의 변경 및 또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의 변경도 야기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공기 배출구(10)의 또 다른 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경우에, 중앙 공기 안내 요소(12)는 상부 반부(44) 및 하부 반부(46)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부 반부(44)과 하부 반부(46) 사이에는 가스로 채워진 중간 공간이 존재하거나, 공기 안내 요소(12)가 그 사이에 놓인 층(필요에 따라 탄소 섬유 요소 및/또는 유리 섬유 요소를 구비함)을 구비한다. 상부 반부(44)와 하부 반부(46)는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 내에서 연결되어 있고, 제2 단부 세그먼트(24) 내에 폐쇄 요소(40)를 구비한다. 폐쇄 요소(40)는 예를 들어 반부(44 및 46)와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플라스틱 스트립일 수 있다. 그럼으로써, 반부들(44와 46) 사이에서 흡장된 가스가 반부들(44와 46) 사이에 유지된다. 반부들(44와 46) 사이에 있는 공간이 또한 자신의 주변에 대해 개방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흡장된 가스의 압축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써 원하는 방향과 반대로의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특정 변형에 도달하기 위하여, 가스 또는 다른 매질이 의도한 바대로 반부들(44와 46) 사이에 있는 공간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반부들(44 및 46)은, 조정 장치(18)를 통한 힘 작용이 종료된 후에 자발적으로 출발 위치로 되돌아가거나 변형된 위치가 그대로 유지될 정도의 연성으로 선택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제2 단부 세그먼트(24) 내에 있는 공기 안내 요소(12)는 예를 들어 돌출하는 지지 핀을 통해 폐쇄 요소(40)의 측면에서 상응하는 가이드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럼으로써,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2 단부 세그먼트(24)의 움직임은 사전에 결정된 트랙 내에서 그리고 수용부(20) 내에 있는 공기 안내 요소(14)의 단부 세그먼트를 위해 이루어진다.
중앙 공기 안내 요소(12)의 형상은 또한, 배출되는 공기가 쐐기 모양의 형상으로 인해 공기 안내 요소(12)를 따라서 제1 단부 세그먼트(22) 쪽으로 향하고 공기 배출 속도가 약간 감소하는 점을 보장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특히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조정 장치(18)의 작동되지 않은 상태 및 공기 배출구(10)의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위해 적합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공기 안내 요소(12)는 또한, 더 두꺼운 단부가 제1 단부 세그먼트(22) 내에 있고, 더 얇은 단부가 제2 단부 세그먼트(24) 내에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공기 배출구(10)의 또 다른 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며,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에 상응한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는 중앙 공기 안내 요소(12)에 폐쇄 요소(36)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폐쇄 요소(36)와 달리, 도 5의 폐쇄 요소(36)는 공기 안내 요소(12)가 변형될 때에 제1 단부 세그먼트(22)와 함께 지지점(30)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도 5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경우에는, 조정 장치(18)의 변위를 통해 영역(26 및 34)에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변형이 이루어지며, 이 경우 공기 배출구(10)를 관류하는 공기[관류 방향(42)]는 화살표(120)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편향되기 때문에 상응하게 공기 배출구(10)의 전방 단부로부터 배출된다. 공기 배출구(10)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가 지지점(30)을 중심으로 함께 피벗됨으로써,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의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제1 단부 세그먼트(22) 내에서의 공기 배출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들 실시예에서는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가 피벗될 수 없기 때문이다.
폐쇄 요소(36)의 크기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경우에는, 폐쇄 요소(36)가 공기 안내 요소(12) 상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폐쇄 요소는 또한 공기 안내 요소(12)의 표면과 같은 높이에서 종료될 수 있거나, 공기 안내 요소(12)의 전면 에지의 최전방 영역에 세선(filigree line)으로서 놓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실시예들의 공기 편향은 공기 안내 요소(12)의 형상에 따라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공기 배출구(10)의 하우징과 제1 단부 세그먼트(22)의 연결부의 형상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지지점(30)을 통해 피벗할 수 있는 공기 안내 요소(12)의 단부 세그먼트(22)가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더 우수한 공기 편향을 제공해주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이 특정한 여러 가지 이유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와 마찬가지로, 도 1 내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는 공기 공급 덕트와 공기 배출구(10)의 개방 단부 사이에서 다양한 압력 거동을 제공해준다. 앞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관류하는 공기의 채널 높이의 상이한 형상에 의해서는 배출되는 공기의 관류 속도의 증가 및 감소가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상황은 또한 압력 손실 또는 압력 증가를 결과로서 야기한다. 또한, 이와 같은 압력 손실 또는 압력 증가는 원하는 실시예 및 형상에 따라 선택 및 계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경우에,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변형된 상태에서는 배출되는 공기의 추가 소용돌이가 생성된다. 도 4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다른 공기 배출구(10)에 비해 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10)의 개방 단부에서 더 높은 압력 손실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실시예들은 적은 압력 손실을 갖는다.
도 6은, 공기 배출구(10)의 또 다른 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실시예와 다른 무엇보다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를 변형시키기 위한 힘의 제공에 있어서 상이하다. 도 6에서는, 회전점(124)을 중심으로 화살표(62)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조정 수단(48)이 제공되어 있다. 조정 수단(48)은, 공기 안내 요소(12)의 영역(26)에서 공기 안내 요소(12)를 관통해서 연장되는 작동 요소(52)와 연결된다. 그럼으로써, 조정 수단(48)이 화살표(62)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공기 안내 요소(12)가 화살표(64)의 방향으로 변형된다. 공기 안내 요소(14)는 또한, 공기 안내 요소(14) 내에서 이 공기 안내 요소를 관통해서 연장되고 연결 로드(56)와 연결되어 있는 작동 요소(54)를 영역(34)에 구비한다. 연결 로드(56)가 또한 작동 요소(52)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조정 수단(48)의 회전 및 작동 요소(52)의 움직임을 통해 공기 안내 요소(12)가 변형될 때에는 또한 작동 요소(54)의 작동 또는 움직임도 나타나며, 이와 같은 상황은 영역(34)에서 공기 안내 요소(14)의 변형을 유도한다.
공기 안내 요소(12)는 제2 단부 세그먼트(24) 내에 [도 6에는 제공되어 있지 않지만, 공기 안내 요소(12)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공기 안내 요소(12)에 상응함] 공기 안내 요소(12)를 관통해서 연장되는 안내 로드(58)를 구비한다. 안내 로드(58)는 작동 요소(52 및 54)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공기 안내 요소(12) 또는 공기 안내 요소(14) 위로 돌출하거나 가이드부(50) 내부에 지지된다. 그러므로, 공기 안내 요소(12)가 변형될 때에는,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2 단부 세그먼트가 안내 로드(58)를 통해 상응하는 트랙 내에서 움직인다. 그러므로, 가이드부(50)는 공기 안내 요소(14)의 단부 세그먼트를 위한 수용부(20)와 동일한 과제를 충족시킨다.
공기 배출구(10)의 경우에는 또한 2개의 조정 수단(48)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이들 조정 수단은 각각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로부터 돌출하는 지지 세그먼트와 연결된다. 2개의 조정 수단(48)은 회전점(12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조정 수단(48) 중 하나는, 조정 수단(48) 중 단 하나만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지만 2개의 조정 수단(48)이 동일한 양만큼 회전되도록, 결합 장치를 통해 다른 조정 수단(48)과 연결될 수 있다. 결합 장치는 예를 들어 샤프트의 단부에 톱니 휠을 구비한 샤프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들 톱니 휠은 조정 수단(48)에서 상응하는 톱니 휠 또는 톱니 휠 세그먼트와 연결된다. 조정 수단(48)(들)의 회전은 또한 전동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공기 안내 요소(12)는 제1 단부 세그먼트(22) 내에서 제1 지지 요소(도 6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음)를 중심으로 피벗할 수 있도록 고정식으로 지지되며, 이 경우 제1 지지 요소는 공기 배출구(10)의 하우징과 단단히 연결된다. 조정 수단(48)은 리세스(60)를 구비한다. 리세스(60)는, 조정 수단(48)이 회전점(124)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제1 지지 요소가 조정 수단(48)과 충돌하여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조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그러므로, 리세스(60)의 회전점(124)을 중심으로 하는 연장은 또한, 조정 수단(48)이 어느 정도까지 회전될 수 있는지도 사전에 설정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회전점(124)에 대한 작동 요소(52)의 간격이 변경될 수 있도록, 작동 요소(52)가 조정 수단(48)을 따라서 변위될 수 있다.
조정 수단(48)이 회전점(124)을 중심으로 비교적 둔하게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조정 수단(48)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변형에 도달하기 위한 소정의 힘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둔함은, 조정 수단(48)의 조정 후에 이 조정 수단이 변형에 대항하는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저항력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역으로 출발 위치로 [도 6의 우측의 공기 배출구(10) 참조] 보내지지 않도록 보장해준다. 하지만, 조정 수단(48)이 또한 또 다른 장치를 통해서도,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가 변형되어 있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를 위해 출발 위치로 보내는 동작은, 이와 같은 동작이 요구되어 조정 수단(48)이 상응하게 작동되는 경우에만 이루어진다. 이때, 조정 수단(48)은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가 자신의 출발 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작을 야기하지 않고, 오히려 복귀 동작을 해제시킨다.
조정 수단(48)은 예를 들어 조정 수단(48)의 회전 또는 움직임을 야기하는 전기 구동 장치와도 결합 될 수 있다.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의 변형 후에는, 조정 수단(48)이 원하는 위치에 그대로 유지되고, 전기 구동 장치를 통해 재차 역으로 출발 위치로 보내지거나, 상응하는 가동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른 위치로 보내진다.
작동 요소(52 및 54)는, 높은 강성을 갖고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와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막대 모양의 요소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작동 요소(52 및 54)가 각각 2배로 제공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각각 상응하는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를 위해 2개의 작동 요소(52 및 54)가 각각 연결 로드(56) 및 조정 수단(48)에 제공되어 있는 경우가 소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들 작동 요소가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를 둘러쌈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는 작동 요소(52 및 54)와 직접 연결될 필요가 없어진다. 공기 저항을 제공하지 않기 위하여, 연결 로드(56)는 유동 채널 외부에서 위치 정해질 수 있다.
도 7은, 공기 배출구(10)의 또 다른 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며,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는 공기 안내 요소(12 및 14)를 변형시키기 위해 조정 수단(66)을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 및 기술된 조정 수단(48)과 대조적으로, 조정 수단(66)은, 공기 안내 요소(12)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도 7의 우측 도면 참조)에서 작동 요소(52)의 영역에 있는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공기 안내 요소(12)는,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 내에서 이 공기 안내 요소와 연결되어 있는 폐쇄 요소(36)를 구비한다.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가 지지점(30) 내에서 하우징 및 제1 지지 요소(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단단히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 단부 세그먼트(22) 및 폐쇄 요소(36)는 공기 안내 요소(12)가 변형된 상태에서는 정렬 변경을 경험하지 않게 된다.
조정 수단(66)은, 안내 로드(58)가 조정 수단(66)에 충돌하지 않으면서, 안내 로드(58)가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2 단부 세그먼트(24) 내에서 다양한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용되는 궁융부(68)를 구비한다. 안내 로드(58)는 또한 가이드부(50) 내에서, 제1 단부 세그먼트(22)의 고정 지지를 근거로 하여 공기 안내 요소(12)의 변형에 상응하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공기 안내 요소(14)의 제2 단부 세그먼트도 수용부(20) 내에서 공기 안내 요소(14)의 변형을 근거로 하여 움직일 수 있다.
공기 안내 요소(14)는, 이 공기 안내 요소(14)를 관통해서 연장되고 자신의 외측 단부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공기 안내 요소(14) 위로 돌출하는 작동 요소(54)를 통해 연결 로드(56)와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 로드(56)를 통해 공기 안내 요소(12)로부터 돌출하는 작동 요소(52)의 지지 세그먼트와 연결된다. 작동 요소(52)는 공기 안내 요소(12)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공기 안내 요소(12)는, 작동 요소(52)에 대해 간격을 두고 공기 안내 요소(12) 내에서 진행하는 작동 요소(70)를 구비한다. 작동 요소(52 및 70)는, 조정 수단(66)이 공기 안내 요소(12)를 위해 화살표(62)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조정 수단(66)과 연결된다.
작동 요소(70 및 52)는 예를 들어 조정 수단(66)과 서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작동 요소(70 및 52)는 공기 안내 요소(12) 내에 고정 배치되어 있거나, 공기 안내 요소(12) 내에 있는 수용부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수용된다. 또한, 작동 요소(70 및 52)도 공기 안내 요소(12)와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 작동 요소가 화살표(62)의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마찬가지로 움직이지만 자신의 세로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조정 수단(66)과 연결되도록, 조정 수단(66)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좌측에 있는 궁융부(68)는 또한, 안내 로드(58)가 조정 수단(66)과 충돌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7에서 선택된 도시는 기능 기술적으로는 오류가 없지만, 구성 요소들의 기본적인 형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궁융부(68)는, 안내 로드(58)와의 충돌없이 조정 수단(66)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거나, 도 6에 도시된 리세스(60)에 상응하게 조정 수단(66) 내에 제공되어 있는 또 다른 절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리세스(60)에 상응하게 일치하는 리세스가 조정 수단(66)에 제공되어 있으며, 이 리세스는, 공기 안내 요소(12)의 제1 단부 세그먼트(22)를 통해 지지점(30)을 통과해서 진행하는 제1 지지 요소가 조정 수단(66)과 충돌하거나 조정 수단(66)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제한하지 않으면서, 조정 수단(66)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에서, 공기 안내 요소(12)는 2개의 작동 요소(70 및 52)를 통해 조정 수단(66)과 연결된다. 그러므로, 조정 수단(66)이 회전할 때에는 공기 안내 요소(12)의 특별한 변형 또는 휨이 나타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작동 요소가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기 안내 요소(12)는 다양한 편향을 경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공기 배출구(10)의 경우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변경된 배출 속도를 야기하는 압력차가 계속해서 나타난다.
도 8a는, 복수의 원호(74)를 구비한 작동 요소(72)를 개략도로 보여준다. 이와 같은 작동 요소(72)는 가요성 공기 안내 요소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기 안내 요소가 변형되지 않았고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이들 원호(74)가 실질적으로 공기 안내 요소의 평면 또는 면에서 진행한다.
작동 요소(72)의 외부 지지 세그먼트는 측면에서 상응하는 공기 안내 요소로부터 돌출하고, 이로써 조정 수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 결과 작동 요소(72)는 실질적으로, 원호(74)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공기 안내 요소의 변형을 야기하게 된다. 공기 안내 요소가 한 단부 세그먼트에 단단히/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공기 안내 요소가 매우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와 같은 변형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기 안내 요소의 재료는 원호(74)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보다는 원호(74)의 영역에서 더 강하게 팽창된다.
도 8b는, 리브(78)를 구비한 공기 안내 요소(76)를 보여준다. 이들 리브(78)는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면에 배치될 수 있거나, 공기 안내 요소(76)의 하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들 리브(78)는 또한 세로 방향으로 공기 안내 요소(76)를 통과해서 연장되거나 폭 안에서, 다시 말하자면 예를 들어 작동 요소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도 6 및 도 7 참조). 이들 리브(78)는 작동 요소를 위한 작용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간격이 상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동 요소가 또한 2개의 리브(78) 사이에서도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리브(78)는 한 공기 안내 요소의 특정 변형을 야기하는데, 그 이유는 공기 안내 요소(76)가 리브(78)의 이 영역에서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변형에 대항하는 더 높은 저항력을 갖기 때문이다(보강을 위한 의도적인 비대).
그러므로, 예를 들어 리브(78)는 또한 공기 안내 요소(76)가 변형될 때에 원하는 정점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8c는, 복수의 그루브(82)를 구비한 또 다른 한 공기 안내 요소(80)를 보여준다. 그루브(82)는 예를 들어 작동 요소를 수용하거나 지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그루브(82)는 변형이 가장 먼저 발생하는 공기 안내 요소(80)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공기 안내 요소(80)가 그루브(82)의 영역에서는 변형에 대항하는 더 적은 저항력을 갖기 때문이다(의도적인 재료 약화).
도 8d는, 보강 요소(86)를 구비한 공기 안내 요소(84)를 보여준다. 보강 요소(86)는 공기 안내 요소(84) 내부에 수용되어 있거나 이 공기 안내 요소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보강 요소(86)도 마찬가지로 플렉시블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변형을 실행하기는 하지만, 보강 요소(86)를 구비한 공기 안내 요소(84)의 영역에서는 공기 안내 요소(84)의 나머지 영역에서보다 다만 더 어렵게 또는 더 늦게 변형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보강 요소(86)는, 공기 안내 요소(84)의 재료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의 유리 섬유 요소 및/또는 탄소 섬유 요소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삽입물도 보강 요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보강 요소(86)의 형태는 도 8d에서 한정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강 요소(86)는 또한 공기 안내 요소(84)의 전체 폭 또는 길이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거나 다만 특정 범위 안에서만 연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을 위해서는, 보강 요소(86)를 공기 안내 요소의 제1 단부 세그먼트 내부에 삽입하는 것도 제공되어 있다.
도 8e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또 다른 한 공기 안내 요소(88)를 보여준다. 공기 안내 요소(88)는 제1 층(90), 제2 층(92) 및 제3 층(94)을 구비한다. 제1 층(90) 및 제3 층(94)은 고무 형태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있는 제2 층(92)은 단단한 요소(예컨대 탄소 섬유 보강 요소)를 구비한다. 하지만, 제2 층(92)은 또한 힘 성분의 작용시에 변형을 실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층(92) 내부에는 또한, 공기 안내 요소(88)의 제1 단부 세그먼트 내에 있는 제1 지지 요소(96)도 수용된다. 변형되거나 공기 안내 요소(88) 내부로 변형부를 삽입할 때에 거치게 되는 중간 영역 내에서는, 공기 안내 요소(88)의 제2 층(92)이 작동 요소(98)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층(90) 및 제3 층(94)에는 또 다른 코팅이 제공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마찰을 줄이기 위해) 이들 층 자체가 하나의 도포된 코팅일 수 있다.
도 8f는, 2개의 롤러(102) 사이에 있는 공기 안내 요소(100)의 수용부를 보여준다. 롤러(102)는 변형시에 제2 단부 세그먼트 내에서 공기 안내 요소(100)의 움직임을 보상하기 위해 이용되는데, 그 이유는 공기 안내 요소(100)가 제1 단부 세그먼트 내에 단단히 또는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롤러(102)는 공기 안내 요소(14)의 제2 단부 세그먼트를 수용부(20) 내에서 지지하는 것과 동일한 과제를 충족시킨다. 롤러(102)는 지지 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공기 배출구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단부 세그먼트 내에서는 화살표(104)의 방향으로 공기 안내 요소(100)의 마찰 감소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롤러(102)는 코팅을 구비하거나, 롤러(102)와 공기 안내 요소(100) 사이에서 적어도 제2 단부 세그먼트의 영역에서는 마찰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공기 배출구에 대한 또 다른 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개략도로 보여주며, 이 경우에는 단 하나의 공기 안내 요소(110)만 도시되어 있다. 공기 안내 요소(110)가 또 다른 공기 안내 요소들과 결합 될 수 있거나, 하나의 공기 배출구가 다만 도 9에 도시된 공기 안내 요소(110)만을 구비한다. 공기 안내 요소(110)는, 회전점(114)을 중심으로 화살표(108)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조정 수단(106)과 연결된다. 또한, 조정 수단(106)은, 이 조정 수단(106)이 화살표(108)의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공기 안내 요소(110)의 영역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2개의 작동 요소(116 및 118)를 통해 공기 안내 요소(110)와 연결된다. 도 9의 우측 도면이 이와 같은 상태를 보여준다.
제2 단부 세그먼트는 수용부(20) 내에 또는 예를 들어 롤러(102) 위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1 단부 세그먼트는 제1 지지 요소(112)를 통해 공기 배출구의 하우징과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조정 수단(106)이 회전할 때에는 도 9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 안내 요소(110)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변형은, 작동 요소(116 및 118)가 최대로 편향되는 상태에서는, 다시 말해 작동 요소(116)가 최상 위치에 있고 작동 요소(118)가 최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공기 배출구의 공기 공급 덕트로부터의 공기 흐름이 완전히 저지될 정도까지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안내 요소(110)는 상응하는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공기 배출구가 [공기 안내 요소(12)]와 같은 중간 공기 안내 요소를 구비하지 않고, 오히려 [공기 안내 요소(14)와 같은] 단 하나의 상부 및 하부 공기 안내 요소를 구비한다. 더 나아가서는, 공기 배출구가 [공기 안내 요소(12)]와 같은 복수의 중간 공기 안내 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10: 공기 배출구 68: 궁융부
12: 공기 안내 요소 70: 작동 요소
14: 공기 안내 요소 72: 작동 요소
16: 벽 74: 원호
18: 조정 장치 76: 공기 안내 요소
20: 수용부 78: 리브
22: 제1 단부 세그먼트 80: 공기 안내 요소
24: 제2 단부 세그먼트 82: 그루브
26: 영역 84: 공기 안내 요소
28: 화살표 86: 보강 요소
30: 지지점 88: 공기 안내 요소
32: 필름 힌지 90: 제1 층
34: 영역 92: 제2 층
36: 폐쇄 요소 94: 제3 층
38: 절개부 96: 제1 지지 요소
40: 폐쇄 요소 98: 작동 요소
42: 관류 방향 100: 공기 안내 요소
44: 절반 102: 롤러
46: 절반 104: 화살표
48: 조정 수단 106: 조정 수단
50: 가이드부 108: 화살표
52: 작동 요소 110: 공기 안내 요소
54: 작동 요소 112: 제1 지지 요소
56: 연결 로드 114: 회전점
58: 안내 로드 116: 작동 요소
60: 리세스 118: 작동 요소
62: 화살표 120: 화살표
64: 화살표 122: 화살표
66: 조정 수단 124: 회전점

Claims (23)

  1.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공기 안내 요소(12, 110)이며, 상기 공기 안내 요소(12, 110)는 하우징 내부에 지지된 제1 단부 세그먼트(22)를 갖고, 적어도, 상기 제1 단부 세그먼트(22)의 맞은편에 놓인 제2 단부 세그먼트(24)는, 공기 안내 요소(12, 110)의 영역(26; 34)에 가해지는 한 가지 이상의 힘 성분의 작용에 의해 상기 공기 안내 요소(12, 110)가 적어도 상기 영역(26; 34)에서 변형되도록, 그리고 상기 힘 작용이 종료된 후에는 공기 안내 요소(12, 110)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출발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우징 내부에 지지되는 공기 안내 요소에 있어서,
    상기 영역(26; 34)은 제1 단부 세그먼트(22)와 제2 단부 세그먼트(24)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단부 세그먼트(22)와 제2 단부 세그먼트(24) 사이에서 두 개 이상의 작동 요소(52, 70; 116, 118)가 공기 안내 요소(12, 110)에 또는 그 내부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작동 요소(52, 70; 116, 118)를 통해 힘 작용이 수행되고, 상기 제1 단부 세그먼트(22)는 공기 배출구(10)에서 지지점(30)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안내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힘 작용은 조정 장치(18)를 통해 수행되는, 공기 안내 요소.
  3. 제1항에 있어서, 제2 단부 세그먼트(24)는 수용부(2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공기 안내 요소.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부 세그먼트(22)는 제1 지지 요소(96)에 의해서, 그리고 상기 제1 지지 요소(96)는 상기 제1 단부 세그먼트(22)에서 하나 이상의 수용부 내에 피벗가능하게 또는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는, 공기 안내 요소.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52; 70)는 지지 세그먼트를 가지며, 이때 하나 이상의 지지 세그먼트는 제1 단부 세그먼트(2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공기 안내 요소.
  7. 제1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116, 118)의 지지 세그먼트는 공기 안내 요소(110)로부터 돌출하여 하나 이상의 조정 수단(106) 또는 조정 장치와 연결되는, 공기 안내 요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정 수단은 제1 단부 세그먼트(2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조정 수단(48; 66; 106)이며, 이때 2개 이상의 작동 요소의 2개의 지지 세그먼트가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조정 수단(48; 66; 106)과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지지 세그먼트는 회전축에 대해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 가능한 조정 수단(48; 66; 106)에 배치되는, 공기 안내 요소.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안내 요소는 제1 단부 세그먼트(22) 및/또는 제2 단부 세그먼트(24)에 폐쇄 요소(36; 40)를 갖는, 공기 안내 요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요소 내에 제1 지지 요소(96)가 수용되는, 공기 안내 요소.
  16. 제1항에 있어서, 제2 단부 세그먼트(24)가 하나 이상의 회전 가능한 제2 지지 요소를 통해 지지되거나, 제2 단부 세그먼트(2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2개의 제2 지지 요소 사이에 지지되는, 공기 안내 요소.
  17. 제1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지지 요소는 롤러(102)인, 공기 안내 요소.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작동 요소(72)는, 힘 작용이 없는 공기 안내 요소의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 안내 요소 내에서 또는 상기 공기 안내 요소에 대해 평행한 한 평면 내에서 진행되는 비선형 거동을 갖는, 공기 안내 요소.
  20.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안내 요소(12)는 결합 장치, 조정 수단, 또는 조정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공기 안내 요소(14)와 연결되는, 공기 안내 요소.
  21. 삭제
  22.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안내 요소는 자동차 공기 배출구(10)의 공기 안내 요소인, 공기 안내 요소.
  23.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8항, 제14항 내지 제17항, 제19항, 제20항,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공기 안내 요소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기 배출구(10).
KR1020167005316A 2013-07-29 2014-07-15 공기 안내 요소 KR101855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8059.6 2013-07-29
DE102013108059.6A DE102013108059A1 (de) 2013-07-29 2013-07-29 Luftleitelement
PCT/EP2014/065070 WO2015014596A1 (de) 2013-07-29 2014-07-15 Luftleit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228A KR20160037228A (ko) 2016-04-05
KR101855601B1 true KR101855601B1 (ko) 2018-06-08

Family

ID=5121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316A KR101855601B1 (ko) 2013-07-29 2014-07-15 공기 안내 요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27443B1 (ko)
KR (1) KR101855601B1 (ko)
CN (1) CN105431316B (ko)
DE (1) DE102013108059A1 (ko)
WO (1) WO20150145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8840B4 (de) * 2014-09-18 2023-01-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usströmer
DE102015101097A1 (de) * 2015-01-27 2016-07-28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Flexibles Luftleitelement
DE102017120417A1 (de) * 2017-09-05 2019-03-07 Weber GmbH & Co. KG Kunststofftechnik + Formenbau Luftausströmer mit einstellbarer Luftaustrittsrichtung, insbesondere Flach- oder Fugenausströmer
CN108128121A (zh) * 2018-02-06 2018-06-08 浙江智动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风向调节装置
DE102018105564A1 (de) * 2018-03-12 2019-09-1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lexible Auslassdüse
FR3084295B1 (fr) * 2018-07-25 2021-01-01 Renault Sas Systeme de diffusion d'air.
EP3736149A1 (en) * 2019-05-06 2020-11-11 NIO (Anhui) Holding Co., Ltd. Air duct assembly
KR20210108594A (ko) * 2020-02-26 2021-09-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DE102020210029A1 (de) * 2020-08-07 2022-02-10 Mahle International Gmbh Drehmomentübertragungsvorrichtung
KR20220136744A (ko) 2021-04-01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DE102022111454A1 (de) 2022-05-09 2023-11-09 Weber Gmbh & Co. Kg Kunststofftechnik Und Formenbau Luftausströmer mit einstellbarer Luftaustrittsrichtung, insbesondere Flach- oder Fugenausströmer
DE102022002178A1 (de) * 2022-06-15 2023-12-21 Mercedes-Benz Group AG Luftausströmer für eine Belüft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22126800A1 (de) * 2022-10-13 2024-04-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uftausströmer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hiermit ausgestattetes Kraftfahrzeug
DE102023203296A1 (de) 2023-04-12 2024-10-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nenraumkomponente für einen Luftausströmer, Luftausströmer und Herstellungsverfahr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6571A (en) * 1990-04-28 1993-01-05 Toyoda Gosei Co., Ltd. Wind deflecting plate for air conditioning grilles
JPH1114132A (ja) * 1997-06-25 1999-01-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ダクトの風量調整機構付きダンパー
JP2010202108A (ja) * 2009-03-05 2010-09-16 Toyota Auto Body Co Ltd 空調用レジス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444Y2 (ko) * 1987-10-20 1992-11-16
US4905580A (en) * 1987-10-20 1990-03-06 Toyoda Gosei Co., Ltd. Grilles for air conditioning
JPH02143209U (ko) * 1989-04-28 1990-12-05
JPH0443754U (ko) * 1990-08-07 1992-04-14
JPH079845A (ja) * 1993-06-24 1995-01-13 Nippon Plast Co Ltd 風向調整装置
DE29910199U1 (de) * 1999-06-11 1999-08-05 Utescheny-Endos GmbH, 75059 Zaisenhausen Luftleitvorrichtung
DE10010688A1 (de) 2000-03-04 2001-09-13 Volkswagen Ag Luftströmungsbeeinflussungseinrichtung,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Kraftfahrzeugen
DE10303114B3 (de) * 2003-01-27 2004-08-05 Sai Automotive Sal Gmbh Ausströmer für ein Fahrzeug
EP2266824B1 (de) 2009-06-20 2013-05-15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durchsatz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6571A (en) * 1990-04-28 1993-01-05 Toyoda Gosei Co., Ltd. Wind deflecting plate for air conditioning grilles
JPH1114132A (ja) * 1997-06-25 1999-01-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ダクトの風量調整機構付きダンパー
JP2010202108A (ja) * 2009-03-05 2010-09-16 Toyota Auto Body Co Ltd 空調用レジ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7443A1 (de) 2016-06-08
WO2015014596A1 (de) 2015-02-05
KR20160037228A (ko) 2016-04-05
EP3027443B1 (de) 2020-02-19
CN105431316B (zh) 2018-02-16
CN105431316A (zh) 2016-03-23
DE102013108059A1 (de)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601B1 (ko) 공기 안내 요소
EP3142876B1 (en) Air nozzle device for a vehicle
CN102343785B (zh) 包括偏转件的机动车出气口装置
US9513027B2 (en) Air vent
EP1634740B1 (en) Air distribution apparatus
US20190126726A1 (en) Air vent with a device for controlling an air flow
US11161393B2 (en) Air vent for a vehicle
EP2832565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US10144269B2 (en) Dual line register
US10328774B2 (en) Vane adjustment device for an air register and an air register assembly
JP5028254B2 (ja) レジスタ
US11007851B2 (en) Air nozzle device for a vehicle
JP593576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8543664A (ja) 空気吹出ノズル
WO2018030022A1 (ja) 空気吹出装置
JP6561683B2 (ja) 空調用レジスタ装置
JP6512302B2 (ja) 空気吹出装置
EP3173269B1 (en) Internal air vent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internal air vent
US8550886B2 (en)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US7470177B2 (en) Device for control of air flow rates to the instrument panel air outlets of a vehicle heating or air conditioning unit
WO2014155805A1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JPWO2017081965A1 (ja) 空気吹出装置
CN113165478A (zh) 用于机动车的送风设备
JP2008168834A (ja) 車両用吹出しグリル
JP4814624B2 (ja) エアアウト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