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496B1 -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 - Google Patents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496B1
KR101855496B1 KR1020160059974A KR20160059974A KR101855496B1 KR 101855496 B1 KR101855496 B1 KR 101855496B1 KR 1020160059974 A KR1020160059974 A KR 1020160059974A KR 20160059974 A KR20160059974 A KR 20160059974A KR 101855496 B1 KR101855496 B1 KR 10185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soybean
water
feed
raw
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374A (ko
Inventor
공점구
Original Assignee
공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점구 filed Critical 공점구
Priority to KR1020160059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49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1Pulses or legumes in form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thereof, without mashing or comminuting
    • A23L11/03Soya beans, e.g. full-fat soya bean flakes or gr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생대두분을 물에 불려주는 생대두분 불림장치에 있어서,
생대두분이 저장되는 생대두분 저장호퍼와; 상기 생대두분 저장호퍼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생대두분을 이송시키는 생대두분 이송통로와; 상기 생대두분 이송통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통해 배출되는 생대두분을 정량공급구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연속해서 이송되어 정량공급구를 통해 단위시간당 정량씩 공급되는 생대두분과, 물공급관으로부터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단위시간당 정량씩 공급되는 물이 혼합되는 혼합호퍼와; 상기 혼합호퍼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량공급구 및 물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생대두분과 물을 혼합시키면서 단위시간당 생대두분과 물을 펌핑공급하는 정량공급펌프와; 공급단은 상기 정량공급펌프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으며, 배출단은 분쇄공정의 분쇄기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나선불림관과; 상기 나선불림관을 통해 이송되는 생대두분이 물과 함께 이송되는 동안 일정한 온도 조건에서 불림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온도의 물속에 침지된 상태로 상기 나선불림관이 나선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물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Raw soybean flour calle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tofu}
본 발명은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대두분을 일정온도의 물로 일정시간 동안 불려서 분쇄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두분을 이용하여 두부를 제조하게 되더라도 생대두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두부와 같이 두부 고유의 단백한 맛을 낼 수 있고 끈기있는 두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생대두분 불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는 생대두를 원료로 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한 생대두는 껍질이 탈피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물에 불린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여 두유즙을 얻고, 이어서 분쇄기에서 분쇄된 두유즙을 증숙기에 투입하여 설정된 온도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증숙두유를 만들고, 이렇게 만든 증숙두유에 적당량의 응고제를 혼합하고 저어주게 되면 상기한 응고제가 증숙두유에 골고루 혼합되면서 순두부를 만들어주게 되며, 상기한 순두부를 성형포(보자기 등)가 설치되어 있는 성형틀에 부어 넣고 압착하게 되면 순두부에 포함되어 있는 순물은 빠져나가고 순두부만 일정 크기로 압착 성형되는 상태로 두부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생대두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두부의 맛에서 느낄 수 있는 단백한 맛에 익숙해져 있는데, 근래에 와서는 생대두의 생산량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이므로 생대두의 값이 많이 비싸지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두부제조업계에서는 외국으로부터 대두를 수입하여 두부를 제조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외국으로부터 생대두를 수입하는 것에 비하여 잘게 분쇄된 생대두분을 싼 가격으로 수입하여 두부를 제조하려고 하는 업체가 하나 둘 생겨나고 있다.
그런데, 생대두분은 껍질이 탈피된 상태로 잘게 분쇄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잘 침투하여 불림이 잘되므로 생대두분을 원료로 하여 두부를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생대두분의 불림공정이 매우 중요하다. 만약에, 생대두분을 물에 불리는 공정 중에 아주 작은 크기로 잘게 분쇄된 생대두분에 물이 과다하게 침투하는 상태로 불림된 생대두분을 분쇄하여 얻은 생두유즙으로 두부를 제조하게 될 경우에는 두부는 끈기가 없고 두부 고유의 맛인 단백한 맛이 없는 두부가 제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기존의 두부생산업계에서는 생대두분을 원료로 하여 두부를 제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생대두분을 원료로 하여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생대두분을 단위시간당 설정된 정량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물 또한 단위시간당 정량씩 공급하여 생대두분과 물이 고르게 혼합되도록 하면서 정량공급펌프로 생대두분과 물을 펌핑 공급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물이 담긴 물저장탱크에 나선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나선불림관을 통해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이송되는 과정에서 생대두분에 물이 알맞는 농도로 침투하는 상태로 정확하게 불림되면서 분쇄공정의 분쇄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대두분을 원료로 하여 두부를 제조하게 되더라도 생대두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두부와 같이 단백한 맛과 끈기있는 두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생대두분 불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생대두분을 물에 불려주는 생대두분 불림장치에 있어서,
생대두분이 저장되는 생대두분 저장호퍼와;
상기 생대두분 저장호퍼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생대두분을 이송시키는 생대두분 이송통로와;
상기 생대두분 이송통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통해 배출되는 생대두분을 정량공급구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연속해서 이송되어 정량공급구를 통해 단위시간당 정량씩 공급되는 생대두분과, 물공급관으로부터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단위시간당 정량씩 공급되는 물이 혼합되는 혼합호퍼와;
상기 혼합호퍼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량공급구 및 물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생대두분과 물을 혼합시키면서 단위시간당 생대두분과 물을 펌핑공급하는 정량공급펌프와;
공급단은 상기 정량공급펌프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으며, 배출단은 분쇄공정의 분쇄기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나선불림관과;
상기 나선불림관을 통해 이송되는 생대두분이 물과 함께 이송되는 동안 일정한 온도 조건에서 불림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온도의 물속에 침지된 상태로 상기 나선불림관이 나선상으로 권취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물저장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대두분 이송통로의 정량공급구 상측에는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모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모터의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체인기어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축에 축설된 연동체인기어는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저장탱크에는 저장되어 있는 물이 항상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대두분을 설정된 5∼10분(바람직하게는 7∼8분) 정도의 짧은 시간 안에 정확하게 불려줄 수 있으므로 생대두분을 원료로 하여 두부를 제조하게 되더라도 두부 고유의 단백한 맛과 끈기있는 두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생대두분 불림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생대두분 이송통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물저장탱크에 설치되는 나선불림관 및 히터의 설치상태도
본 발명에 의한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생대두분 불림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생대두분 불림장치(1)는 생대두분이 저장되는 생대두분 저장호퍼(2)와, 상기 생대두분 저장호퍼(2)의 배풀구로(21)로 배출되는 생대두분이 이송되는 생대두분 이송통로(3)와, 상기 생대두분 이송통로(3)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생대두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스크류(4)와, 상기 이송스크류(4)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모터(4a)와, 상기 이송스크류(4)에 의하여 이송되는 생대두분을 단위시간당 정량씩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생대두분 이송통로(3)에 형성되는 정량공급구(31)를 통해 배출되는 생대두분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단위시간당 정량씩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5)으로 공급되는 물이 혼합되는 상태로 저장되는 혼합호퍼(6)와, 상기 혼합호퍼(6)에 혼합되는 상태로 저장되는 생대두분과 물을 각각 정량씩 펌핑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정량공급펌프(7)와, 상기 정량공급펌프(7)로부터 정량씩 펌핑되는 생대두분과 물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나선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나선불림관(8)과, 상기 나선불림관(8)이 15∼25℃(바람직하게는 18∼2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는 물속에 잠겨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물저장탱크(9)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생대두분 저장호퍼(2)의 배출구(21)에 연결되는 생대두분 이송통로(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이송스크류(4)는 스크류모터(4a)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모터(4a)의 구동축(41)에 축설되어 있는 구동체인기어(42)와 상기 이송스크류(4)의 회전축(43)의 자유단측(도면상 좌측 부분 참조)에 축설되어 있는 연동체인기어(44)는 체인(45)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스크류(4)의 회전축(43)의 끝단(도면상 우측 부분 참조)은 베어링(부호 생략) 등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생대두분 이송통로(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이송스크류(4)는 생대두분을 단위시간당 설정된 일정량씩 이송하여 정량공급구(31)를 통해 혼합호퍼(6)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관(5)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이송스크류(4)에 의하여 혼합호퍼(6)로 공급되는 생대두분의 공급량에 비례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공급관(5)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단위시간당 일정량씩 공급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정량공급 조절밸브(5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량공급펌프(7)는 그 내부에 혼합호퍼(6)의 상측에 형성된 기대(71)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모터(7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혼합호퍼(6)에 저장되는 생대두분과 물을 고르게 혼합시키면서 나선불림관(8)의 공급단(81)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스크류타입의 나선날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모터(72)가 구동하여 스크류타입의 나선날개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정량공급펌프(7)가 혼합호퍼(6)에 연속적으로 저장되는 생대두분과 물을 나선불림관(8) 쪽으로 펌핑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정량공급펌프(7)는 혼합호퍼(6)에 저장되는 생대두분과 물을 정량씩 연속해서 펌핑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량공급펌프(7)에 내설된 스크류타입의 나선날개(미도시)를 회전작동시키기 위한 펌프모터(72)가 고정 설치되는 기대(71)에는 상기 펌프모터(72)와 상기 이송스크류(4)를 회전작동시키는 스크류모터(4a)를 콘트롤하는 복수의 작동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콘트롤박스(7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나선불림관(8)은 혼합호퍼(6)의 상측에 형성된 기대(71)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펌프모터(72)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크류타입의 나선날개(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혼합호퍼(6)에 저장되는 생대두분과 물이 단위시간당 정량씩 펌핑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선불림관(8)은 정량공급펌프(7)에 연결되는 공급단(81)과 두부제조공정의 분쇄공정에 설치되어 있는 분쇄기(100)에 연결되는 배출단(82)을 제외하는 대부분이 물저장탱크(9)에 저장되어 있는 물속에 잠긴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물저장탱크(9)에 저장되어 있는 물속에는 나선불림관(8)을 나선상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파이프(83)가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권취지지대(8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저장탱크(9)의 내부 바닥측에는 저장되는 물이 계절에 상관없이 항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하기 위한 히터(91)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물저장탱크(9)의 상,하측에는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구(92)와 물을 빼낼 수 있도록 하는 물배출구(9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생대두분 불림장치(1)는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공정 중 불림공정에 해당하는 것이며, 또한 껍질이 탈피된 상태로 아주 작은 크기로 분쇄된 생대두분(생콩가루)을 물에 생대두를 불림하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물이 적당량 침투하도록 정확하게 불려줄 수 있도록 설정된 짧은 시간의 단위시간당 생대두분이 연속해서 정량씩 공급되게 하면서 생대두분에 정량의 물이 침투하는 상태로 정확하게 불려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생대두분 불림장치(1)는 생대두분 이송통로(3)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류모터(4a)를 구동시키게 되면 구동축(42)에 축설되어 있는 구동체인기어(41)는 체인(45)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동체인기어(44)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동체인기어(44)가 축설되어 있는 회전축(43)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축(43)에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송스크류(4)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대두분 저장호퍼(2)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출구(21)를 통해 생대두분 이송통로(3)측으로 배출되는 생대두분은 회전하는 이송스크류(4)에 의하여 정량공급구(31) 쪽으로 이송되어 상기 정량공급구(31)를 통해 혼합호퍼(6)로 배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스크류(4)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정량공급구(31) 쪽으로 이송되는 생대두분은 단위시간당 설정되어 있는 정량씩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혼합호퍼(6)로 이송 공급되는 생대두분은 단위시간당 정량씩 연속해서 공급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물공급관(5)을 통해 혼합호퍼(6)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 역시 정량공급 조절밸브(51)에 의하여 상기 혼합호퍼(6)로 공급되는 생대두분과 비례하여 정량씩 공급되도록 조절되어 있으므로 상기 혼합호퍼(6)에는 생대두분과 물이 단위시간당 설정되어 있는 상태로 연속해서 정량씩 공급되면서 정량공급펌프(7)에 의하여 나선불림관(8)으로 펌핑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정량공급펌프(7)에는 펌프모터(71)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크류타입의 나선날개(미도시)가 생대두분과 물을 교반하여 혼합시킴과 동시에 나선불림관(8)의 공급단(81) 쪽으로 밀어내게 되며, 또한 상기한 스크류타입의 나선날개는 혼합호퍼(6)에 저장되는 생대두분과 물을 단위시간당 정량씩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정량공급펌프(7)에서 펌핑 공급되는 생대두분과 물은 나선물림관(8)의 공급단(81)측으로 정량씩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량공급펌프(7)에서 정량씩 펌핑되는 생대두분은 물과 함께 나선불림관(8)의 공급단(91)으로 공급되어 배출단(82)으로 이송되는 5∼10분의 짧은 시간(바람직하게는 7∼8분) 동안 물에 불림되도록 구성된 것인데, 이때 상기 나선불림관(8)은 수조탱크(9)에 저장되어 히터(91)에 의하여 15∼25℃의 온도(바람직하게는 20℃ 내외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되는 물속에 잠겨있도록 나선상으로 권취되어 있으므로, 상기 나선불림관(8)으로 이송되는 생대두분 각각은 15∼25℃의 온도(바람직하게는 20℃ 내외의 온도)로 가열된 물속으로 이송되는 5∼10분(바람직하게는 7∼8분) 정도의 짧은 시간 동안 물이 각각 설정된 량씩 정확하게 침투하는 상태로 불림되는 것이므로, 이에 따라 상기 생대두분 불림장치(1)는 마치 생대두를 불림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생대두분에 물이 알맞게 침투하여 불림되는 것처럼 불려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저장탱크(9)에 나선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나선불림관(8)을 따라 나선상으로 이송되는 생대두분은 물저장탱크(9)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히터(91)에 의하여 항시 15∼25℃의 일정한 온도(바람직하게는 19∼21℃ 정도)를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상기 나선불림관(8)으로 이송되는 생대두분은 정량공급펌프(7)에 의하여 펌핑되어 공급단(81)으로 공급되면서 배출단(82)으로 이송되는 동안 항시 균일한 상태가 되도록 정확하게 불림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생대두분이 0.5∼1mm의 작은 크기로 분쇄된 것을 불림할 때 나선불림관(8)으로 이송되는 시간 동안 불림되는 설정시간 및 물저장탱트(9)에 저장되는 물의 설정온도를 기준하여 설명한 것이며, 생대두분의 크기에 따라 나선불림관(8)으로 이송되는 불림시간 및 물저장탱크(9)에 저장되는 물의 가열온도 등은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나선불림관(8)으로 이송되는 생대두분의 불림시간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나선불림관(8)이 물저장탱크(9)에 침지되는 상태로 권취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생대두분의 불림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물저장탱크(9)에 저장되는 물의 온도는 히터(91)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대두분 불림장치(1)는 이송스크류(4)가 생대두분을 단위시간당 정량씩 연속해서 이송 공급할 수 있으며, 물공급관(5) 역시 이송스크류(4)에 의하여 공급되는 생대두분과 비례하여 단위시간당 정량의 물을 연속 공급하게 되며, 혼합호퍼(6)에 정량씩 연속해서 공급 저장되는 생대두분과 물은 정량공급펌프(7)를 통해 생대구분과 물이 고르게 혼합되는 상태로 펌핑되어 나선불림관(8)으로 공급되며, 상기 나선불림관(8)으로 이송 공급되는 생대두분은 공급단(81)에서 배출단(82)까지 이송되는 동안 균일한 온도 조건하에서 설정되어 있는 상태로 정확하게 불림되어 분쇄공정의 분쇄기(100)로 공급되어 분쇄되므로 상기 분쇄기(100)에 의해 분쇄되면서 생두유즙이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생대두분 불림장치(1)에서 생대두분을 원료로 하여 물에 불린 후 분쇄기(100)로 분쇄되어 배출되는 생두유즙은 기존의 두부제조공정에서 생대두를 원료로 하여 얻게 되는 생두유즙과 거의 같은 품질을 기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생대두분 불림장치(1)를 통해 불림되는 생대두분을 원료로 하여 두부를 제조하게 될 경우에는 두부 고유의 단백한 맛과 끈기있는 양질의 두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생대두분 불림장치 2 : 생대두분 저장호퍼
21 : 배출구 3 : 생대두분 이송통로
4 : 이송스크류 4a : 스크류모터
41 : 구동축 42 : 구동체인기어
43 : 회전축 44 : 연동체인기어
45 : 체인 5 : 물공급관
51 : 정량공급 조절밸브 6 : 혼합호퍼
7 : 정량공급펌프 71 : 기대
72 : 펌프모터 73 : 콘트롤박스
8 : 나선불림관 81 : 공급단
82 : 배출단 83 : 파이프
84 : 권취지지대 9 : 물저장탱크
91 : 히터 92 : 물공급구
93 : 물배출구 100 : 분쇄기

Claims (3)

  1. 생대두분이 저장되는 생대두분 저장호퍼(2)와, 상기 생대두분 저장호퍼(2)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생대두분을 이송시키는 생대두분 이송통로(3)와, 상기 생대두분 이송통로(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통해 배출되는 생대두분을 정량공급구(31) 쪽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송스크류(4)에 의해 이송되어 정량투입구(31)로 배출되는 생대두분과 물공급관(5)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함께 저장하여 생대두분을 불림하도록 구성되는 생대두분 불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4)에 의하여 연속해서 이송되어 정량공급구(31)를 통해 단위시간당 정량씩 공급되는 생대두분과, 상기 물공급관(5)으로부터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단위시간당 정량씩 공급되는 물이 혼합되게 하는 혼합호퍼(6)와;
    상기 혼합호퍼(6)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정량공급구(31) 및 물공급관(5)으로부터 공급되는 생대두분과 물을 혼합시키면서 단위시간당 생대두분과 물을 함께 펌핑하여 공급하는 정량공급펌프(7)와;
    공급단(81)은 상기 정량공급펌프(7)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으며, 배출단(82)은 분쇄공정의 분쇄기(10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나선불림관(8)과;
    상기 나선불림관(8)을 통해 이송되는 생대두분이 물과 함께 이송되는 동안 일정한 온도 조건에서 불림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온도의 물속에 침지된 상태로 상기 나선불림관(8)이 나선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물저장탱크(9);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059974A 2016-05-17 2016-05-17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 KR10185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974A KR101855496B1 (ko) 2016-05-17 2016-05-17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974A KR101855496B1 (ko) 2016-05-17 2016-05-17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374A KR20170129374A (ko) 2017-11-27
KR101855496B1 true KR101855496B1 (ko) 2018-05-09

Family

ID=6081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974A KR101855496B1 (ko) 2016-05-17 2016-05-17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4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883Y1 (ko) 1997-04-03 1999-06-15 이종현 콩물 가열장치
KR100906796B1 (ko) * 2007-08-21 2009-07-09 박병은 소규모의 연속식 두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883Y1 (ko) 1997-04-03 1999-06-15 이종현 콩물 가열장치
KR100906796B1 (ko) * 2007-08-21 2009-07-09 박병은 소규모의 연속식 두부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374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167B1 (ko) 쌀국수 제조장치
CN207721186U (zh) 一种猪用浓缩饲料生产系统
CN113457787B (zh) 一种豆制品生产线
KR101855496B1 (ko) 두부를 제조하기 위한 생대두분 불림장치
KR101574467B1 (ko) 화식 사료 제조기
CN109772551A (zh) 马铃薯全粉制备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225107B1 (ko) 곡물국수 제조장치 및 방법
CN106036964A (zh) 一种饲料用的全自动配料机
US8658087B2 (en) Method of treating substances in divided solid form for thermal debacterization, and an installation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CN114393851A (zh) 一种人造石生产工艺
KR101684658B1 (ko) 누룩 제조설비
KR102009525B1 (ko) 어육 제조 장치
CN112427075A (zh) 一种磨粉效果好的米粉加工用磨粉装置
KR100458321B1 (ko) 난황유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JPH0789838B2 (ja) 凍結肉類連続擂潰装置
WO2020241463A1 (ja) 粉砕装置
CN219982065U (zh) 风味核桃酱加工生产集成装置
WO2020241462A1 (ja) 粉砕装置
CN114173928B (zh) 粉碎装置
CN1111358C (zh) 用于自动化连续生产口香糖的过程控制系统和方法
KR20190048338A (ko) 떡볶이 떡 즉석 제조기
CN106853506A (zh) 一种覆膜砂分散加工装置
CN216776006U (zh) 一种可均匀送料的巧克力浇注机装置
CN103340278A (zh) 饲料机生产饲料的方法
CN220677705U (zh) 一种全混合日粮饲料制备机的搅拌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