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345B1 - 시뮬레이션된 가상현실 영상물을 다중시점으로 분리표출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뮬레이션된 가상현실 영상물을 다중시점으로 분리표출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345B1
KR101855345B1 KR1020160183711A KR20160183711A KR101855345B1 KR 101855345 B1 KR101855345 B1 KR 101855345B1 KR 1020160183711 A KR1020160183711 A KR 1020160183711A KR 20160183711 A KR20160183711 A KR 20160183711A KR 101855345 B1 KR101855345 B1 KR 10185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ctim
view
obser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병주
진동규
Original Assignee
도로교통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로교통공단 filed Critical 도로교통공단
Priority to KR102016018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27/226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of 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3Adaptation to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motion of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물을 가상적으로 시뮬레이션하고, 영상물을 다중 시점으로 분리하여 표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시점에서 시뮬레이션된 영상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3D로 시뮬레이트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사람들의 시각으로 각각 영상을 편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들; 상기 사람들 중 특정한 사람의 시각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 상기 선택부에서 상기 특정한 사람의 시각이 선택될 때 상기 저장부들에 저장된 특정한 사람의 시각의 영상을 독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시뮬레이션된 가상현실 영상물을 다중시점으로 분리표출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divide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by multi view points for simulated virtual image}
본 발명은 영상물을 가상적으로 시뮬레이션하고, 영상물을 다중 시점으로 분리하여 표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시점에서 시뮬레이션된 영상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물의 다중 시점 표출방법, 이들 시점별로 저장된 영상물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표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환경에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이용되고 있다. 특히 교통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에서 피교육자에게 경각심으로 높히기 위하여 특정한 사고를 유발하는 행위 및 사고가 발생하기까지의 전 과정을 가상현실적으로 사고과정을 시뮬레이션(simulation)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영상은 단순히 피해자, 가해자 측의 하나의 시점에서 표출되게 됨으로써 하나의 시점에서만 영상을 시청하게 되어 그 교육효과가 미미하였다.
종래에 특허출원 10-2013-0034011호(발명의 명칭: 화질개선을 위한 다중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서 특정 영상에 대하여 다중 시점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나, 영상의 시청자의 공간 변동에 따른 다른 사람들 사이에 발생되는 시각의 차이를 다루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동일한 사람의 좌, 우안의 시각차이에서 발생되는 영상물의 차이를 취급하고 있어 본원과 같이 피해자, 가해자, 제3의 관찰자 입장에서 각각 체험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시뮬레이션된 교통사고 예방 영상물에 대하여 여러 사람의 시각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관찰자 입장에서 사고가 유발되는 과정 및 위험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가해자 차량과 피해자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영상물을 가상적으로 시뮬레이션하고, 가해자 차량의 가해자 시점과 피해자 차량의 피해자 시점과 가해자 차량과 피해자 차량의 외부의 관찰자 시점으로 분리하여 표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시점에서 시뮬레이션된 영상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3D로 시뮬레이트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내의 상기 피해자 시점의 시각의 영상물과, 상기 가해자 시점의 영상물과, 상기 관찰자 시점의 영상물로 편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피해자 시점의 시각의 영상물과 동기된 피해자 음성, 상기 가해자 시점의 영상물과 동기된 가해자 음성, 상기 관찰자 시점의 영상물과 동기된 관찰자 음성을 저장하는 저장부들; 상기 피해자, 상기 가해자, 상기 관찰자 중 한 사람의 시각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사람의 시각의 시각의 영상과 음성을 상기 저장부들에서 독출하여 표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해결과제 및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하나의 시뮬레이트된 가상현실을 다양한 위치에서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상현실을 여러 가지 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하여 만들어진 가상현실의 교통사고의 영상파일에서 운전자와 승객, 또는 피해자와 가해자, 제3의 관찰자 등 다양한 입장에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시각으로 교통사고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효과를 더욱 높힐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빗길에 미끄러지는 사고에서 운전자의 시점과 관찰자의 시점에서 바라본 각각의 영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시청자인 피교육자에게 디스플레이할 3차원의 가상현실(VR) 시뮬레이션 영상물(1)이 제작되어져야 한다. 시뮬레이션 영상물(1)은 교통안전 사고의 예방을 목적으로 하여 교통사고의 과정을 가상현실로 구성한 3D 영상물로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성을 위한 것으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하나의 시뮬레이션 영상을 다양한 사람의 시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에 대해서 확장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시뮬레이션 영상물(1)은 시각처리부(2)에 의하여 여러사람의 시각에서 보는 별도의 영상으로 편집되고, 편집된 영상은 각각의 저장부에 별도로 저장된다. 예시적으로 시각처리부(2)는 교통사고의 피해자 시각, 가해자 시각, 관찰자의 시각으로 시뮬레이션 영상으로 편집하고, 편집영상을 각각 피해자 영상부(3)와, 가해자 영상부(4), 관찰자 영상부(5)에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피해자 영상부(3)와, 가해자 영상부(4), 관찰자 영상부(5)에 저장된 영상은 제어부(6)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에 표출된다.
제어부(6)는 O.S를 담당하며, 제어부(6)에 연결된 각각의 제어대상을 제어한다. 제어부(6)에는 피해자 영상부(3)와, 가해자 영상부(4), 관찰자 영상부(5)가 연결되고, 피해자 영상, 가해자 영상, 관찰자 영상을 표출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선택부(9)가 연결되며, 영상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10)가 연결된다.
디스플레이부(10)는 머리에 착용하여 3D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VR 3D 가상현실 헤드셋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화질 TV가 사용될 수 있다. 선택부(9)에서 VR 3D 가상현실 헤드셋과 고화질 TV가 선택될 수 있으며, 고화질 TV가 선택되는 경우에 제어부(6)는 피해자 영상부(3)와, 가해자 영상부(4), 관찰자 영상부(5)에 저장된 3D 영상물을 2D로 변환하여 TV로 전송하고, TV에서는 2D의 영상물을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제어부(6)에는 시뮬레이션 영상물(1)에 동기화된 음성이 저장된 음성 저장부(8)가 연결된다. 이때, 음성은 피해자 영상부(3)와, 가해자 영상부(4), 관찰자 영상부(5)에 저장된 영상과 동기화되는 피해자 음성, 가해자 음성, 관찰자 음성으로 별도로 분리 저장되고, 피해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 피해자 음성, 가해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 가해자 음성, 관찰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 관찰자 음성이 스피커(11)를 통하여 표출될 때 더욱 현실감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6)에는 의자 구동부(7)가 설치되고, 의자 구동부(7)에는 의자 구동부(7)의 신호에 따라 유동되는 의자(미도시)가 연결된다. 제어부(6)는 각각의 피해자, 가해자, 관찰자의 영상에 동기화된 제어명령이 저장된 제어명령 저장부(12)가 연결되어 있어, 각각의 피해자, 가해자, 관찰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 동기화된 제어명령이 의자 구동부(7)에 전달되게 되고, 의자 구동부(7)는 제어명령에 따라 의자를 구동시킴으로써 현실감을 높이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가상의 운전자가 사고를 당하여 차끼리 부딪히는 시뮬레이션 영상에서 의자가 앞으로 쏠리게 함으로써 피교육생이 진정으로 사고를 당하게 되는 느낌을 높힘으로써 현장감을 배가시키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빗길에 미끄러지는 사고에서 운전자의 시점과 관찰자의 시점에서 바라본 각각의 영상이다.
도 2는 빗길에서의 차량이 미끄러지는 동일한 가상현실의 시뮬레이션 영상을 운전자의 시점과 관찰자의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한 것이다.
운전자의 시점은 차량안에서 전방을 보는 시각을 갖고 있으며, 관찰자는 외부에서 차량을 바라보게 되는 시각을 갖게 되며, 미끄러지기 직전에 운전자는 2차선을 운전하고 있으며, 동일한 시각에 관찰자는 흰색 해당차량이 2차선이 운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미끄러진 후에는 운전자의 시각은 차량이 90도 회전하여 횡단보도와 평행하게 미끄러진 결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각에 관찰자도 마찬가지로 차량의 외부에서 차량이 횡단보도에 평행하게 미끄러진 결과를 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영상은 피교육생이 VR 3D 가상현실 헤드셋을 착용하고 볼 때는 3D 동영상을 볼 수 있으며, 운전자의 영상 선택하여 운전자의 동영상을 본 후, 관찰자의 영상을 선택하여 관찰자의 동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TV를 선택하여 TV로 2차원의 운전자의 영상과 관찰자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안전벨트의 교육을 위한 영상으로 운전자(아버지)의 시각과 뒤자리의 승객(아들)의 시각과 사고 관찰자의 시각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영상이다.
도 3은 안전벨트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차안에 운전자(아버지)가 운전하며, 뒷자석에는 승객(아들)이 탄 상태에서 운전하던 중 중앙선을 침범하여 넘어온 차와 정면 충돌하는 과정을 촬영한 운전자, 승객, 관찰자 시각의 동영상의 정상, 사고직전, 사고 후 동기된 동일시점에서의 정지영상들이다.
1: 영상물
2: 시각처리부
3: 피해자 영상부
4: 가해자 영상부
5: 관찰자 영상부
6: 제어부
7: 의자 구동부
9: 선택부
10:디스플레이부
11: 스피커

Claims (6)

  1. 가해자 차량과 피해자 차량에 의한 교통사고가 발생되는 영상물을 가상적으로 시뮬레이션하고, 가해자 차량의 가해자 시점과 피해자 차량의 피해자 시점과 가해자 차량과 피해자 차량의 외부의 관찰자 시점으로 분리하여 표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시점에서 시뮬레이션된 영상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3D로 시뮬레이트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내의 상기 피해자 시점의 영상물과, 상기 가해자 시점의 영상물과, 상기 관찰자 시점의 영상물을 편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피해자 시점의 영상물과 동기된 피해자 음성, 상기 가해자 시점의 영상물과 동기된 가해자 음성, 상기 관찰자 시점의 영상물과 동기된 관찰자 음성을 저장하는 저장부들;
    상기 피해자, 상기 가해자, 상기 관찰자 중 한 사람의 시각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사람의 시각의 영상과 음성을 상기 저장부들에서 독출하여 표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TV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들에 저장된 영상을 2D로 변환하여 상기 TV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83711A 2016-12-30 2016-12-30 시뮬레이션된 가상현실 영상물을 다중시점으로 분리표출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85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711A KR101855345B1 (ko) 2016-12-30 2016-12-30 시뮬레이션된 가상현실 영상물을 다중시점으로 분리표출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711A KR101855345B1 (ko) 2016-12-30 2016-12-30 시뮬레이션된 가상현실 영상물을 다중시점으로 분리표출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345B1 true KR101855345B1 (ko) 2018-06-14

Family

ID=6262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711A KR101855345B1 (ko) 2016-12-30 2016-12-30 시뮬레이션된 가상현실 영상물을 다중시점으로 분리표출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345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8866A (ja) * 1992-10-05 1994-04-28 Honda Motor Co Ltd 二輪車の運転訓練用ライディング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H1010962A (ja) * 1996-06-20 1998-01-16 Toyota Tsusho Kk 運転シミュレータ装置
JP2001092343A (ja) * 1999-09-27 2001-04-06 Toyota Motor Corp 車両運転シミュレータ装置
JP2002163685A (ja) * 2001-09-03 2002-06-07 Sega Corp 電子遊戯機器
JP2005010306A (ja) * 2003-06-17 2005-01-13 Univ Nihon 鉄道用運転シミュレータ
JP2005202141A (ja) * 2004-01-15 2005-07-28 Tn Corporation:Kk 衝突事故模擬装置及び衝突事故模擬方法
JP2005242606A (ja) * 2004-02-26 2005-09-08 Olympus Corp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生成方法
KR20060130988A (ko) * 2005-06-14 2006-12-20 김태완 차량 검지기를 이용한 교통관리 시스템
JP2007510575A (ja) * 2003-11-11 2007-04-26 テクニクス エージー 車両の走行および/または交通状況記録装置と記録評価方法
JP2010002714A (ja) * 2008-06-20 2010-01-07 Toyota Motor Corp シミュレータ装置、運転課題提供方法
KR20110092945A (ko) * 2010-02-11 2011-08-18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차량의 사고 발생을 알리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견적 시뮬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8866A (ja) * 1992-10-05 1994-04-28 Honda Motor Co Ltd 二輪車の運転訓練用ライディング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H1010962A (ja) * 1996-06-20 1998-01-16 Toyota Tsusho Kk 運転シミュレータ装置
JP2001092343A (ja) * 1999-09-27 2001-04-06 Toyota Motor Corp 車両運転シミュレータ装置
JP2002163685A (ja) * 2001-09-03 2002-06-07 Sega Corp 電子遊戯機器
JP2005010306A (ja) * 2003-06-17 2005-01-13 Univ Nihon 鉄道用運転シミュレータ
JP2007510575A (ja) * 2003-11-11 2007-04-26 テクニクス エージー 車両の走行および/または交通状況記録装置と記録評価方法
JP2005202141A (ja) * 2004-01-15 2005-07-28 Tn Corporation:Kk 衝突事故模擬装置及び衝突事故模擬方法
JP2005242606A (ja) * 2004-02-26 2005-09-08 Olympus Corp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生成方法
KR20060130988A (ko) * 2005-06-14 2006-12-20 김태완 차량 검지기를 이용한 교통관리 시스템
JP2010002714A (ja) * 2008-06-20 2010-01-07 Toyota Motor Corp シミュレータ装置、運転課題提供方法
KR20110092945A (ko) * 2010-02-11 2011-08-18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차량의 사고 발생을 알리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견적 시뮬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서정만, 정순기 "모션벡터를 이용한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구현" 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제8권 제3호(20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3379B2 (en) Method of identifying pattern in a series of data
WO2016150541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in einem kraftfahrzeug angeordneten virtual-reality-brille und virtual-reality-system
CN101133360A (zh) 视觉感知增强
US97543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arameters of an off-axis virtual camera
US11310487B1 (en) Frustum change in projection stereo rendering
DE102014006732A1 (de) Bildüberlagerung von virtuellen Objekten in ein Kamerabild
US20190109938A1 (en) Messag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event occurrence in vr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Jiang et al. The influence of stereoscopic image display on pedestrian road crossing in a large-screen virtual environment
US200301031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2D/3D illusion generation
TW201919393A (zh) 立體成像顯示系統及顯示立體影像的顯示方法
KR101855345B1 (ko) 시뮬레이션된 가상현실 영상물을 다중시점으로 분리표출하는 다중시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935418B1 (ko) Hmd 장치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KR20210008503A (ko) 증강 현실 카메라를 사용한 후방 시야 방법 및 장치
DE102019122633A1 (de) Vorrichtung, 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visuellen ausgabegeräts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Pitts et al. Adding depth: establishing 3D display fundamental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CA3018454C (en) Camera-based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simulators
JP2018504014A (ja) 三次元の外観を有する画像の再生方法
US202102957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207603821U (zh) 一种基于集群和渲染的裸眼3d系统
US6614426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imulated 3D space as an image
US10567743B1 (en) See-through based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simulators
JP2014175813A (ja) 立体映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CA3018465C (en) See-through based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simulators
CN108445624B (zh) 具有增强现实功能的头戴式显示装置
JPH03101581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