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898B1 -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898B1
KR101854898B1 KR1020160161807A KR20160161807A KR101854898B1 KR 101854898 B1 KR101854898 B1 KR 101854898B1 KR 1020160161807 A KR1020160161807 A KR 1020160161807A KR 20160161807 A KR20160161807 A KR 20160161807A KR 101854898 B1 KR101854898 B1 KR 10185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otide
seq
genotype
dogs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주
하지홍
이윤미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24Animal traits, i.e. production traits, including athletic performance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하여 토종견을 외래견과 구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하면 삽살이, 진도견, 동경이 및 풍산개를 포함하는 토종견을 외래견과 정확하고 신속하게 구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FOR DISCRIMINATING KOREAN TRADITIONAL DOG BREEDS FROM FOREIGN DOG BREED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를 이용하여 토종견과 외래견을 구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대표적인 토종견으로는 진도의 진도견, 경산의 삽살이, 경주의 동경이 및 북한의 풍산개가 있으며, 각각 특징적인 외형을 가지고 있다. 진도견의 경우 팔각형의 얼굴형과 약간 치켜올라간 눈을 가지고 있으며, 삽살이는 중형견으로 눈을 덮는 긴 털을 특징으로 한다. 동경이의 경우 외형은 진도견과 유사하나 꼬리가 없거나 5 ㎝ 이하인 것이 특징이다. 삽살이나 동경이의 경우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이르렀으나 최근 들어 체계적인 보존 사업을 펼치면서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외래견의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토종견과 외래견의 혼혈 개체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토종견을 보존하고 보호하기 위해서는 외래견과 토종견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외형적인 특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구별하기 위하여 대용량 단일염기다형성 정보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한 품종 구별용이나 구별 방법에 대한 기술로는 개의 모질에 대한 유전자 마커(특허문헌 1) 또는 닭의 품종을 구별용하는 방법(특허문헌 2)이 있으나, 국내 토종견과 외래견을 구별하기 위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85764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38052호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서열번호 1 내지 1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8 내지 20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일염기다형성을 포함하는 10 내지 100개의 연속적인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키트 및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을 이용하여 토종견 및 외래견을 구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서열번호 1 내지 1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8 내지 20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일염기다형성을 포함하는 10 내지 100개의 연속적인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토종견'은 국내에서 예전부터 서식하고 있는 개들 중에서 고유의 유전자(pool)을 형성하고 있는 집단을 말하며,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삽살이, 진도견, 풍산개 및 동경이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외래견'은 근대에 이르러 국내에 유입된 견종을 말하며, 저먼 세퍼트, 벨리언 말리노이즈, 라브라도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 보더콜리, 푸들, 말티즈, 짱오 및 차우차우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뉴클레오티드(nucleotide)"는 단일가닥 또는 이중가닥 형태로 존재하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이며, 다르게 특별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자연의 뉴클레오티드의 유사체를 포함한다(Scheit, Nucleotide Analogs, John Wiley, New York(1980); Uhlman 및 Peyman, Chemical Reviews, 90:543-584(1990)).
본 명세서에서 용어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은 게놈에서 단일염기(A, T, C 또는 G)가 동일종의 개체들 사이 또는 한 개체(individual)의 쌍염색체 사이에 다른 경우 발생하는 DNA 서열의 다양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개체의 세 개의 DNA 단편들(예:AAGT[A/A]AG, AAGT[A/G]AG, AAGT[G/G]AG)처럼 단일염기에서 차이를 포함하는 경우, 두 개의 대립 유전자(A 또는 G)라고 부르며,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SNPs는 두 개의 대립 유전자를 가진다. 한 집단(population) 내에서, SNP는 소수 대립인자 빈도(minor allele frequency, MAF; 특정 집단에서 발견되는 유전자위치(locus)에서 가장 낮은 대립인자 빈도)로 할당될 수 있다. 단일염기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에 변화(대체), 제거(결실) 또는 첨가(삽입)될 수 있으며, SNP는 번역 프레임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20은 상기 각각의 SNP 부위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 각각의 SNP 부위는 서열번호 1 내지 17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이고, 서열번호 18 내지 20에서는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이다. 토종견 및 외래견을 구별하기 위한 SNP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SNP 부위를 포함하는 10개 이상의 연속 DNA 서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SNP 부위를 포함하는 20개 이상의 연속 서열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 내지 20의 각 서열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서열번호 1 내지 20에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SNP는 서열번호 1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G, 서열번호 2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G, 서열번호 3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A, 서열번호 4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A, 서열번호 5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6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7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A, 서열번호 8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9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G, 서열번호 10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11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12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13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G, 서열번호 14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G, 서열번호 15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A, 서열번호 16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A, 서열번호 17에서는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18에서는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C, 서열번호 19에서는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C 또는 서열번호 20에서는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C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a) 품종을 확인하고자 하는 개체로부터 DNA를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득한 DNA를 주형으로 서열번호 1 내지 1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8 내지 20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 방법은 상기 (b) 단계 이후에 (c) 상기 확인한 하나 이상의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이 서열번호 1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2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3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4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5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6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8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9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10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11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12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13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14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15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16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1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18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C, 서열번호 19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C 또는 서열번호 20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C에 해당하는 경우 토종견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품종을 확인하고자 하는 개체로부터 DNA를 수득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페놀/클로로포름 추출법(Tai et al., Plant Mol. Biol. Reporter, 8: 297-303, 1990), CTAB 분리법(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Murray et al., Nuc. Res., 4321-4325, 1980) 또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DNA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DNA를 수득하는 시료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며, 근육, 표피, 혈액 및 털 등을 이용하여 DNA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SNP의 유전자형을 확인하는 단계는, 개체에서 분리한 DNA를 주형으로 하고, 1 내지 1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8 내지 20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SNP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primer)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한 후 증폭 산물에서 SNP 의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프라이머(primer)'는 적합한 온도 및 완충액 내에서 적합한 조건(즉, 4종의 다른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 및 중합반응 효소) 하에서 주형-지시 DNA 합성의 개시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단일-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프라이머의 적합한 길이는 다양한 요소, 예를 들어, 온도와 프라이머의 용도에 따라 변화가 있지만 전형적으로 15 내지 30개의 뉴클레오티드이다. 짧은 프라이머 분자는 주형과 충분히 안정된 혼성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보다 낮은 온도를 요구한다. 프라이머의 서열은 주형의 일부 서열과 완전하게 상보적인 서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주형과 혼성화 되어 프라이머 고유의 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충분한 상보성을 가지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서열번호 1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일부 서열에 완벽하게 상보적인 서열뿐만 아니라, 이 서열에 혼성화되어 프라이머 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보성을 갖는 서열일 수 있다.
상기 증폭 산물에서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데옥시법에 의한 직접적인 핵산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결정을 통하여 이루어지거나, SNP 부위의 서열을 포함하는 프로브 또는 그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상기 DNA와 혼성화시키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혼성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다형성 부위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결정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프로브(probe)'란 특정 표적 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말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DNA 또는 RNA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단일가닥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또한, 상보적 뉴클레오티드에 수소 결합에 의하여 혼성화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것이면, 천연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것뿐만 아니라, 천연 뉴클레오티드, 천연 뉴클레오티드의 유사체, 천연 뉴클레오티드의 당, 염기 또는 인산 부위가 변형되어 있는 뉴클레오티드 및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SNP의 유전자형을 확인하는 단계는, 서열번호 1 내지 1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8 내지 20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SNP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인 DNA 단편으로 이루어진 DNA 마이크로어레이 칩(DNA microarray chip)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기판 표면의 구분된 영역에 DNA 단편이 높은 밀도로 고정화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는, 상기 영역이 예를 들면 400/㎠ 이상, 103/㎠, 또는 104/㎠의 밀도로 기판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이용하면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캐닝하여 이미지로 형상화한 후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으로 형광물질에 따른 발색강도를 측정하여 SNP 부위의 유전자형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확인한 하나 이상의 SNP의 유전자형이 서열번호 1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2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3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4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5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6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8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9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10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11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12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13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14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15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16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1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18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C, 서열번호 19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C 또는 서열번호 20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C에 해당하는 경우 토종견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하면 삽살이, 진도견, 동경이 및 풍산개를 포함하는 토종견을 외래견과 정확하고 신속하게 구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SNPs 마커에 대하여 교차 검증(cross validation)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SNPs 마커를 이용하여 토종견 및 외래견을 K=2로 클러스터링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 수집 및 Illumina Canine 167k chip 분석
외래견으로 저먼 세퍼트 10두, 벨리언 말리노이즈 10두, 라브라도 리트리버 15두, 골든 리트리버 5두, 보더콜리 4두, 푸들 5두, 말티즈 5두, 짱오 3두 및 차우차우 3두의 시료를 수집하고, 토종견으로 삽살이 118두, 진도견 15두, 동경이 20두 및 풍산개 1두의 시료를 수집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QIAamp® genomic DNA kits(Qiagen, 미국)를 이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genomic DNA 및 Illumina Canine 167k chip(Illumina, 미국)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SNP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Chip 데이터 분석 결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chip 데이터를 이용하여 토종견과 외래견 품종 사이에서 대립인자(allele)의 고정/빈도의 차이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토종견과 외래견 품종 사이에 대립인자의 빈도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표 1에 내림차순으로 나타내었다. MAF는 소수 대립인자 빈도(minor allele frequency)를 의미하며, 특정 집단에서 발견되는 유전자위치(locus)에서 가장 낮은 대립인자 빈도를 나타낸다.
Figure 112016117631055-pat00001
실시예 3: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SNPs 발굴 및 검증
상기 실시예 2에서 분석한 SNPs 중에서 대립인자 빈도차이가 0.7 이상인 SNPs 중에서 빈도차가 큰 순서대로 20개의 SNPs를 선별하였다. 선별한 20개의 SNPs가 토종견과 외래견을 유전적으로 잘 분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ADMIXTURE software(UCLA human genetics, 미국)를 이용하여 각 개체간의 유전적 관계 및 집단 안의 유전적 유사성 (genetic relationships and genetic similarities)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선발된 20개의 SNPs가 몇 개의 클러스터 집단을 최적으로 분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K를 1부터 10까지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K=2일 때 가장 낮은 cross-validation(CV) error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토종견과 외래견을 구별하는 비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2가지 클러스터(cluster) 집단에 속하는 토종견과 외래견의 비율의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발굴한 SNPs 마커는 토종견과 외래견을 약 92% 이상 구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종견과 외래견에서 추정된 Cluster K=2의 Bar plot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적색은 외래견을 의미하고, 연한 파랑색은 토종견을 의미한다.
Figure 112016117631055-pat00002
발굴한 토종견 품종 구별용 SNPs 마커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SNP 서열에서 [A/B]란 염기 A가 염기 B로 돌연변이된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6117631055-pat00003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YEONGNAM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12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FOR DISCRIMINATING KOREAN TRADITIONAL DOG BREEDS FROM FOREIGN DOG BREEDS AND USES THEREOF <130> PN160306 <160> 2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G or A <400> 1 cacaccaact ctggctccat ncttgcctcc ttgttcttca t 41 <210> 2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G or A <400> 2 gctgtgacgg ggagcctcac ngactccagg ctccgcgctt c 41 <210> 3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A or G <400> 3 ggttggagtc ctgggaattg ntttctgagg gtagcagtgg a 41 <210> 4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A or T <400> 4 ctgggtttct cttctgccat ntattatcta gactcttttt t 41 <210> 5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T or G <400> 5 cttcttccct tttcaccctc nccccaggca ccccatgtgt a 41 <210> 6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T or C <400> 6 gatacaacat acttgctgtc nctgaactaa actgttggtt t 41 <210> 7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A or G <400> 7 tctgggttcc ctgcatgctg ngcagtgttc tgggtaccaa a 41 <210> 8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T or C <400> 8 ctttaggttt aaaaaattga naaacaaaaa atggtaggca g 41 <210> 9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G or A <400> 9 atcaaatggt atattttatc ncaatgtttt ctgtaatatt a 41 <210> 10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T or C <400> 10 cacagagata aagacaaata natcaggcaa gtgggggagt a 41 <210> 11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T or G <400> 11 ctgtataaat gtatccaagt ngcaagtaga aaatatgtgt c 41 <210> 12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T or C <400> 12 gtttaaggac ctgtacgttc ngaaagcttg aagaaataaa t 41 <210> 13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G or A <400> 13 gctccccgct ttatctcgac ncccagcttg taatgcagcc c 41 <210> 14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G or A <400> 14 ctgacctctg atggcacttt ngtctcattt ctattatgac t 41 <210> 15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A or G <400> 15 gagttaagaa aagagtcttc ntgtctagaa aaacccaaaa a 41 <210> 16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A or C <400> 16 tcattcaacc agcccttaat naacccctcc accatcctga a 41 <210> 17 <211> 4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1) <223> T or G <400> 17 aagcagcagc aagcatcaaa ngtgcaatat tagagcaaca a 41 <210> 18 <211> 5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6) <223> C or T <400> 18 gacgaattgt cagattgcct tgtcangttg ctctcagttg gaaagtagtg t 51 <210> 19 <211> 5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6) <223> C or T <400> 19 caagttttag caactgttct ctcttnagct cctcacctgg gaactccaca t 51 <210> 20 <211> 51 <212> DNA <213> Canis lupus <220> <221> allele <222> (26) <223> C or T <400> 20 gacgaattgt cagattgcct tgtcangttg ctctcagttg gaaagtagtg t 51

Claims (5)

  1. 서열번호 1 내지 1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8 내지 20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의 단일염기다형성을 모두 포함하는 10 내지 100개의 연속적인 DNA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키트로서,
    상기 토종견은 삽살이, 진도견, 동경이 및 풍산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외래견은 저먼 세퍼트, 벨리언 말리노이즈, 라브라도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 보더콜리, 푸들, 말티즈, 짱오 및 차우차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은 서열번호 1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G, 서열번호 2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G, 서열번호 3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A, 서열번호 4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A, 서열번호 5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6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A, 서열번호 8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9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G, 서열번호 10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11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12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13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G, 서열번호 14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G, 서열번호 15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A, 서열번호 16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A, 서열번호 1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T, 서열번호 18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C, 서열번호 19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C 및 서열번호 20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이 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키트.
  4. (a) 품종을 확인하고자 하는 개체로부터 DNA를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득한 DNA를 주형으로 서열번호 1 내지 1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18 내지 20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모든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 방법으로서, 상기 토종견은 삽살이, 진도견, 동경이 및 풍산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외래견은 저먼 세퍼트, 벨리언 말리노이즈, 라브라도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 보더콜리, 푸들, 말티즈, 짱오 및 차우차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c) 상기 확인한 하나 이상의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이 서열번호 1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2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3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4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5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6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8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9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10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11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12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13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14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G, 서열번호 15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16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A, 서열번호 17의 21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T, 서열번호 18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C, 서열번호 19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C 및 서열번호 20의 26번째 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형 C에 해당하는 경우 토종견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 방법.
KR1020160161807A 2016-11-30 2016-11-30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854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07A KR101854898B1 (ko) 2016-11-30 2016-11-30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07A KR101854898B1 (ko) 2016-11-30 2016-11-30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898B1 true KR101854898B1 (ko) 2018-05-04

Family

ID=6219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807A KR101854898B1 (ko) 2016-11-30 2016-11-30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895A (ko) * 2019-02-22 2020-09-01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한 동물 개체 식별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ng Bai et al., Nucleic Acids Research, 2015, Vol. 43, Database issue D777-D783
Eun-Woo Lee et al., J. Vet. Med. Sci. 76(10): 1359-1365, 2014
G. J. Cho et al. Asian-Aust. J. Anim. Sci. 2005. Vol 18, No. 8, pp.1071-1074.
Mi Gyoung Kim et al.,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53(4), p.303-310. 2011.
Ryong Nam Kim et al., DNA RESEARCH 19, 275-287, (201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895A (ko) * 2019-02-22 2020-09-01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한 동물 개체 식별 방법
KR102234213B1 (ko) 2019-02-22 2021-03-31 이원다이애그노믹스(주)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한 동물 개체 식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01974B2 (en) Method and test kit for demonstrating genetic identity
WO2000018960A2 (en) Methods and products related to genotyping and dna analysis
US20080241827A1 (en) Methods For Detecting A Mutant Nucleic Acid
AU2003201974A1 (en) Method and test kit for demonstrating genetic identity
KR101716314B1 (ko) 한국산 재래닭의 정강이색 식별방법
EP1573037A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nalyzing compromised samples us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panels
KR101979218B1 (ko) 후지 사과의 아조 변이 품종 판별용 조성물
KR101854898B1 (ko) 토종견 및 외래견 구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823209B1 (ko)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포함하는 한우 품종 판별용 조성물
KR101854896B1 (ko) 토종견 품종 확인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823372B1 (ko) 우리흑돈 품종 식별용 snp 마커 및 이를 이용한 우리흑돈 품종 식별 방법
KR102043119B1 (ko) 제주우 판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KR101985659B1 (ko)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한 백우 품종 식별 방법
KR101928887B1 (ko) 제주 흑우 품종 판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CN101130819A (zh) 微卫星不稳定性细胞的检测方法以及试剂盒
KR102083675B1 (ko)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한 칡소 품종 식별 방법
KR101696692B1 (ko) 돼지의 근육 내 근섬유타입 ⅰ의 수준 판단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673293B1 (ko) 벼 또는 쌀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이를 이용한 벼 또는 쌀 품종 판별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2336624B1 (ko) 돈육의 콜라겐 함량 예측용 마커 및 이의용도
KR102669168B1 (ko) 개 개체 식별용 snp 마커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개 개체 식별 방법
KR102237248B1 (ko) 소나무 개체식별 및 집단의 유전 분석용 snp 마커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061943B1 (ko) 노란목도리담비의 개체식별을 위한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개체 식별 방법
KR101821554B1 (ko)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칡소의 유전자 품종 식별 방법
KR101823376B1 (ko) 돈육내 스테아릭산 함량 조절용 snp 마커 및 그의 용도
KR101821542B1 (ko) 돈육내 팔미트산 함량 조절용 snp 마커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