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659B1 -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659B1
KR101854659B1 KR1020160012778A KR20160012778A KR101854659B1 KR 101854659 B1 KR101854659 B1 KR 101854659B1 KR 1020160012778 A KR1020160012778 A KR 1020160012778A KR 20160012778 A KR20160012778 A KR 20160012778A KR 101854659 B1 KR101854659 B1 KR 101854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unit
forming
sleeve member
cur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9482A (ko
Inventor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최병철아이디어팩토리
주식회사디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최병철아이디어팩토리, 주식회사디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최병철아이디어팩토리
Priority to KR1020160012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6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링부를 갖는 컵슬리브의 제조가 용이한 컵슬리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 상기 테이블 상에 설치되고, 슬리브부재를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슬리브부재 공급유닛; 상기 슬리브부재 공급유닛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슬리브부재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슬리브부재를 원통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하는 슬리브 성형유닛; 상기 슬리브 성형유닛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 성형유닛에서 성형된 슬리브를 상기 슬리브 성형유닛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슬리브 이송유닛; 상기 슬리브 이송유닛의 일측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슬리브가 거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판을 향해 하강되어 상기 회전판에 거치된 슬리브내로 삽입되는 슬리브 지지체와 함께, 상기 회전판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슬리브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수단이 상기 회전판에 거치된 슬리브의 상단부를 압착시켜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부에 제 1 컬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압착수단이 상기 회전판에 거치된 슬리브의 하단부를 압착시켜서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에 제 2 컬링부를 형성하는 컬링부성형유닛;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컬링부성형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컬링부 및 상기 제 2 컬링부가 형성된 후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상기 슬리브를 제거하는 제품배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CUP SLEEVES}
본 발명은 컵슬리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컬링부를 갖는 컵슬리브의 제조가 용이한 컵슬리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컵홀더는 컵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컵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컵에 끼워진 컵홀더를 감싸서 컵을 들어올리는데 이때 컵에 컵홀더를 끼웠음에도 불구하고 컵홀더에 의해 차단되지 못한 열이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52215호 "일회용 컵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이 있다. 이 특허를 통해 개시된 컵슬리브는 상단부에 컬링부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테두리부재가 접착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컵슬리브는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다. 즉, 띠로 이루어진 본체부재의 연장방향의 양측부를 결합하여 고리형상으로 성형한 후 성형된 슬리브부재의 상단둘레를 내측으로 말아서 컬링부를 형성하며, 테두리부재는 별도로 공정으로 제조되며, 테두리부재를 슬리브부재의 하단 내주면에 접착하는 공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뜨거운 음료가 담긴 컵의 열기를 차단하기 위한 컬링부 및 테두리부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이 까다롭고 복잡하여 컵슬리브의 제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구성을 도입하여, 슬리브부재를 이송 및 공급하여 슬리브부재를 원통 형상의 슬리브로 성형한 후 슬리브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가압하는 과정만으로 슬리브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 1 컬링부 및 제 2 컬링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컵슬리브에 컬링부를 형성하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며, 이에 의해 컬링부를 갖는 컵슬리브의 제조에 용이하며, 컵슬리브의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는 컵슬리브 제조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2215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컬링부 및 제 2 컬링부를 구비하는 컵슬리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조함으로써 자동화된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테이블; 상기 테이블 상에 설치되고, 슬리브부재를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슬리브부재 공급유닛; 상기 슬리브부재 공급유닛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슬리브부재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슬리브부재를 원통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하는 슬리브 성형유닛; 상기 슬리브 성형유닛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 성형유닛에서 성형된 슬리브를 상기 슬리브 성형유닛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슬리브 이송유닛; 상기 슬리브 이송유닛의 일측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슬리브가 거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판을 향해 하강되어 상기 회전판에 거치된 슬리브내로 삽입되는 슬리브 지지체와 함께, 상기 회전판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슬리브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수단이 상기 회전판에 거치된 슬리브의 상단부를 압착시켜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부에 제 1 컬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압착수단이 상기 회전판에 거치된 슬리브의 하단부를 압착시켜서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에 제 2 컬링부를 형성하는 컬링부성형유닛;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컬링부성형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컬링부 및 상기 제 2 컬링부가 형성된 후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상기 슬리브를 제거하는 제품배출유닛을 포함한다. 슬리브부재 공급유닛은,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슬리브부재를 저장하기 위한 슬리브부재 저장부; 및 상기 테이블 상에 슬라이딩 왕복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부재 저장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슬리브부재 저장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슬리브부재를 이송하는 슬리브부재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 성형유닛은, 상기 테이블 상에서 상기 슬리브부재 이송부가 슬라이딩 왕복하는 라인과 마주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는 슬리브성형틀; 및 상기 슬리브성형틀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슬리브부재 이송부가 슬라이딩 왕복하는 라인의 아래로부터 상기 슬리브성형틀을 향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성형틀을 향해 공급된 상기 슬리브부재를 상기 슬리브성형틀의 외면을 향해 벤딩(bending)하여 상기 슬리브부재가 원형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슬리브부재 벤딩부; 상기 슬리브성형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승 및 하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성형틀에 슬리브부재가 벤딩되어 위치하면 상기 슬리브성형틀을 향해 하강하여 상기 슬리브부재의 맞닿은 양측 단부를 가압 및 열융착시키는 융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이송유닛은, 상기 테이블 상에서 상기 슬리브성형틀을 기준으로 상기 슬리브부재 이송부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슬리브성형틀에서 성형된 슬리브를 상기 슬리브성형틀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슬리브성형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장치; 및 상기 제 1 이송장치에 근접하도록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상기 슬리브를 파지하여 상기 회전판으로 이송하는 제 2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된 슬리브는 상기 다수의 구멍들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컬링부 및 상기 제 2 컬링부 중 하나의 컬링부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일 단부를 내측으로 말아서 형성되는 것(제 1 형성방식) 또는, 상기 제 1 컬링부 및 상기 제 2 컬링부 중 하나의 컬링부가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접힘으로써 형성되는 것(제 2 형성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컬링부는 제 1 형성방식에 의하면, 제 2 컬링부는 제 2 형성방식에 의할 수 있고(상호 반대로도 적용가능함), 이들 컬링부는 제 1 또는 제 2 형성방식 중 어느 하나의 동일한 방식을 따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슬리브 지지체는, 상기 슬리브에 상기 제 1 컬링부 및 상기 제 2 컬링부의 형성시에 이를 용이하게 하도록, 다수(2개, 3개 등) 서브-슬리브 지지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컬링부성형유닛은,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을 향해 하강되어 상기 구멍에 거치된 슬리브 내로 삽입되는 슬리브 지지체; 상기 슬리브 지지체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 지지체와 함께 상승 및 하강되고, 상기 회전판을 향해 하강될 때 상기 슬리브의 상단부를 가압 및 절곡하여 상기 슬리브의 상단부에 제 1 컬링부를 형성하는 제 1 슬리브압착기; 및 상기 회전판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을 향해 상승되어 상기 회전판에 거치된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를 가압 및 절곡하여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에 제 2 컬링부를 형성하는 제 2 슬리브압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리브압착기 및 상기 제 2 슬리브압착기는, 일면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일면의 대향면은 막혀있는 용기형상이고, 상기 용기의 막혀있는 면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개방된 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용기의 내면 사이에 소정의 곡률로 만입되어 있는 만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슬리브부재를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위한 슬리브부재 제공 단계; 상기 슬리브부재를 원통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슬리브 성형 단계; 상기 원통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된 슬리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슬리브 이송 단계; 회전가능한 형태로 상기 이송된 슬리브를 하나 이상 고정시키기 위한 슬리브 거치 단계; 상기 고정된 하나 이상의 슬리브의 각각의 슬리브에 대해 슬리브 지지체를 이용하여 지지하면서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압착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및 지지된 슬리브의 상단부에 제 1 컬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및 지지된 슬리브의 하단부에 제 2 컬링부를 형성하기 위한 컬링부 성형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컬링부가 형성된 슬리브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품 제공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테두리 접착 공정을 생략하고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컵슬리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해 생산된 컵슬리브는 압착수단에 의해 슬리브 상하단부에 별도의 컬링부를 형성함으로써 컵내부에 담긴 고온의 액체로부터 열을 차단하는 효율을 현저히 개선시킴과 동시에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효과를 넘어서 다른 부수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리브 성형유닛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리브 이송유닛의 제 1 이송장치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판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컬링부성형유닛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컵슬리브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장치는 테이블(10); 슬리브부재 공급유닛(100); 슬리브 성형유닛(200); 슬리브 이송유닛(300); 회전판(400); 컬링부성형유닛(500); 및 제품배출유닛(600)을 포함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1) 슬리브부재공급유닛(100)에 의해 슬리브부재를 슬리브부재 저장부(110)로부터 슬리브부재 성형유닛(200)의 일방향으로 공급한다(도 7의 S10 단계).
(2) 슬리브부재 성형유닛(200)에서 슬리브부재를 원통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한다(도 7의 S20 단계).
(3) 원통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된 유닛을, 슬리브부재 성형유닛(200)으로부터 제 1 이송장치(310)에 의해 수평이동 시킨 후, 제 2 이송장치(320)에 의해 회전판(400)을 향해 회전이동된다(도 7의 S30 단계).
(4) 회전판으로 이송된 슬리브(2)에 대해 컬링부 성형유닛(500)의 슬리브 지지체(510)가 슬리브 내측으로 삽입되고, 제 1 슬리브압착기(520)와 제 2 슬리브압착기(530)이 위, 아래에서 각각, 슬리브(2)에 대해 하강, 상승함으로써, 슬리브(2)에 닿으면서 돌출부(521; 531)와 만입부(522; 532)에 의해, 제 1 컬링부(20a)와 제 2 컬링부(20b)가 형성되어 슬리브(2)가 완성된다(도 7의 S40 단계).
(5) 최종 완성된 슬리브(2)가 개별 배출된다(도 7의 S50 단계).
이하, 도 1에 도시된 컵슬리브 제조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테이블(10)은 슬리브부재(1)가 이송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슬리브부재 공급유닛(100)은 컵슬리브로 성형되는 슬리브부재(1)를 일방향, 즉 슬리브 성형유닛(200)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슬리브부재 공급유닛(100)은 슬리브부재 저장부(110) 및 슬리브부재 이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부재 저장부(110)는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는 시트 형태의 슬리브부재(1)를 수용한다. 슬리브부재 저장부(110)는 테이블(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리브부재 저장부(110)는 슬리브부재(1)를 수용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열되어 구성된 복수의 기둥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기둥들의 내측으로 다수의 슬리브부재(1)가 적층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최하단에 위치한 슬리브부재(1)는 테이블(10)의 상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리브부재(1)는 종이재이고, 종이의 양면에는 합성수지필름이 도포된 형태일 수 있으며, 내측면에 폴리 스틸렌(Expandable Plystyrene) 또는 폴리에틸렌 프텔레이트(Polyethylene phthalate) 등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같이 가열 및 가압에 따른 접착이 가능한 모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일 예시로서, 종이재는 본 특허출원의 발명자가 고안한, 특허출원 제2014-002910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발포 성형층을 기반으로 하는 종이재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장치에서 슬리브부재(1)를 가공하여도 뛰어난 단열 효과를 가지면서도 경량성, 인쇄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다.
슬리브부재 이송부(120)는 슬리브부재 저장부(110)에 적층된 다수의 슬리브부재(1) 중 한 장을 인출하여 슬리브부재 저장부(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일 예로, 슬리브부재 이송부(120)는 슬리브부재 인출수단(121) 및 슬라이딩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부재 인출수단(121)은 슬리브부재 저장부(11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리브부재 인출수단(121)은 슬리브부재(1)를 흡착하여 슬리브부재 저장부(110)로부터 인출하는 흡착장치일 수 있다. 슬리브부재 인출수단(121)은 슬리브부재(1)를 테이블(10)의 상면으로 인출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22)는, 슬리브부재 인출수단(121)에 의해 테이블(10)의 상면으로 인출된 슬리브부재(1)를, 슬리브 성형유닛(200)을 향해 이송한다. 일 예로, 슬라이딩부재(122)는 테이블(10)의 아래로부터 테이블(1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슬라이딩 바(sliding bar)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바는 슬리브부재 공급유닛(100) 및 슬리브 성형유닛(200)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바를 슬라이딩시키는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엘엠가이드 및 실린더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리브 성형유닛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슬리브 성형유닛(200)은 슬리브부재 공급유닛(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슬리브부재 공급유닛(100)으로부터 이송된 슬리브부재(1)를 원통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한다. 이를 위해, 슬리브 성형유닛(200)은 슬리브성형틀(210), 슬리브부재 벤딩부(220) 및 융착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성형틀(210)은 테이블(10) 상에 설치되고, 슬리브부재 이송부(120)가 슬라이딩 왕복하는 라인과 마주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슬리브성형틀(210)은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리브부재 벤딩부(220)는 슬리브성형틀(210)의 아래에 위치하고, 슬리브부재 이송부(120)가 슬라이딩 왕복하는 라인의 아래로부터 슬리브성형틀(210)을 향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슬리브부재 벤딩부(220)는 슬리브성형틀(2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벤딩 클램프(221) 및 제 2 벤딩 클램프(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벤딩 클램프(221) 및 제 2 벤딩 클램프(222)는 슬리브성형틀(210)의 아래로부터 슬리브성형틀(210)을 향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벤딩 클램프(221) 및 제 2 벤딩 클램프(222)는 반원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반원 기둥의 내경은 슬리브성형틀(21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슬리브부재 벤딩부(220)는 슬리브부재(1)가 슬리브성형틀(210)의 아래로 공급되면 제 1 벤딩 클램프(221) 및 제 2 벤딩 클램프(222)가 회전되면서 슬리브부재(1)를 슬리브성형틀(210)의 외면을 향해 벤딩한다. 이에 의해 슬리브부재(1)는 원형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된다.
융착기(230)는 슬리브성형틀(2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승 및 하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융착기(230)는 슬리브성형틀(210)에 한 장의 슬리브부재(1)가 벤딩되어 위치하면 상기 슬리브성형틀(210)을 향해 하강하여 상기 슬리브부재(1)의 맞닿은 양측 단부를 가압 및 열융착할 수 있다. 즉, 융착기(230)는, 벤딩되어 위치되는 낱장의 슬리브부재(1)의 접하는 양측 단부를 접착하는 기능을 한다.
슬리브 이송유닛(300)은 슬리브 성형유닛(200)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슬리브성형유닛(200)에서 성형된 슬리브를 상기 슬리브 성형유닛(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를 위해, 슬리브 이송유닛(300)은 제 1 이송장치(310) 및 제 2 이송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리브 이송유닛의 제 1 이송장치(310)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이송장치(310)는 테이블(10) 상에서 슬리브성형틀(210)을 기준으로 슬리브부재 이송부(120)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슬리브부재(1)를 슬리브 성형유닛(200)으로부터 제 2 이송장치(320)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슬리브부재(1)의 이동을 위해, 제 1 이송장치(310)는 테이블(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이송장치(310)는 슬리브제거부(311), 슬리브푸시부(312), 슬리브가이드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제거부(311)는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제 1 절곡바(311a) 및 제 2 절곡바(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곡바(311a) 및 제 2 절곡바(311b)는 서로 대향되어 집게 형태를 이루며, 이때 제 1 절곡바(311a) 및 제 2 절곡바(311b)의 슬리브성형틀(210)에 대향하는 단부는 성형된 슬리브(2)를 파지할 수 있는 폭을 갖는다. 이러한 슬리브제거부(311)는 테이블(10) 위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슬리브제거부(311)는 슬리브성형틀(210) 및 제 2 이송장치(320)의 사이를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리브가이드부(313)는 테이블(10) 상에서 슬리브성형틀(210) 및 제 2 이송장치(32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슬리브가이드부(313)는 테이블(10) 상에 설치되어 서로 대향되고 테이블(10)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복수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의 폭은 슬리브(2)의 큰 지름에 대응하는 폭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리브(2)는 복수의 플레이트의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고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로 진입된 경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슬리브푸시부(312)는 슬리브제거부(311)를 통해 슬리브성형틀(210)로부터 제거되어 이송된 슬리브(2)를 제 2 이송장치(320)로 밀어낼 수 있다. 일 예로, 슬리브푸시부(312)는 제 1 푸시바(312a) 및 제 2 푸시바(3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푸시바(312a) 및 제 2 푸시바(312b)는 제 1 절곡바(311a) 및 제 2 절곡바(311b)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푸시바(312a)는 제 1 절곡바(311a)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제 2 푸시바(312b)는 제 2 절곡바(311b)의 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푸시바(312a) 및 제 2 푸시바(312b)는 제 1 절곡바(311a) 및 제 2 절곡바(311b) 상에서 일측으로 회전 및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푸시바(312a) 및 제 2 푸시바(312b)는 제 1 절곡바(311a) 및 제 2 절곡바(311b)가 슬리브(2)를 물고 후진되어 슬리브(2)를 테이블(10) 상에 위치시킨 후, 제 1 절곡바(311a) 및 제 2 절곡바(311b)가 다음의 슬리브(2)를 제거하기 위해 전진한 뒤 다시 후진하면서, 먼저 이송되어 있던 슬리브(2)의 상단부를 밀어서 제 2 이송장치(320)를 향해 이송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 1 푸시바(312a) 및 제 2 푸시바(312b)는 제 1 절곡바(311a) 및 제 2 절곡바(311b)가 슬리브(2)를 슬리브가이드부(313)의 두 플레이트 내로 이송한 뒤 다시 전진될 때 슬리브가이드부(313)의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슬리브(2)와 부딪히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이 가능하므로 제 1 푸시바(312a) 및 제 2 푸시바(312b)는 두 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된 슬리브(2)와의 큰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이에 의해 제 1 절곡바(311a) 및 제 2 절곡바(311b)가 전진될 때 문제가 없다.
제 2 이송장치(320)는 테이블(10)의 끝에 위치하여 제 1 이송장치(310)를 통해 이송된 슬리브(2)를, 회전판(400)을 향해, 회전장치(322)에 따른 회전 반경으로 이송시키는데, 제 2 이송장치(320)는 슬리브성형유닛(200)으로부터 회전판(400)으로 슬리브(2)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이송장치(320)는 슬리브(2)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 형상이고 벌어졌다가 오므려질 수 있는 슬리브클램프(321) 및 회전장치(32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클램프(321)가 테이블(10)의 일 단부에서 원통 형상으로 오므려지면서 슬리브(2)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며, 회전장치(322)에 의해 테이블(10)의 위치로부터 회전판(400)을 향해 테이블(10)과 회전판(400) 범위의 각도에 대응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회전장치(322)는 - 90°만큼 회전함).
회전장치(322)가 회전판(400)에 인접하면, 오므려져있던 슬리브클램프(321)가 벌어지면서 슬리브(2)를 회전판(400)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회전장치(322)는 모터(322a) 및 상기 모터(322a)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슬리브클램프(321)에 연결된 회전축(32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이송장치(320)는 슬리브클램프(321)에 슬리브푸시부(312)를 통해 이송된 슬리브(2)가 삽입되면 모터(322a)가 구동되어 회전축(322b)이 회전함에 따라 슬리브클램프(321)는 회전판(400)을 향해 회전되어 슬리브(2)를 회전판(400)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판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전판(400)은 슬리브(2)를 다수 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슬리브(2)의 거치를 위해 회전판(400)에는 다수의 구멍(410)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판(400)은 동력장치, 예를 들면, 회전판 모터 및 회전판 모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컬링부성형유닛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컬링부성형유닛(500)은 회전판(40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슬리브(2)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수단을 포함하고, 압착수단이 회전판(400)에 거치된 슬리브(2)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압착시켜서 슬리브(2)의 상단부에 제 1 컬링부(20a)를 형성하고 슬리브(2)의 하단부에 제 2 컬링부(20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컬링부성형유닛(500)은 슬리브 지지체(510), 제 1 슬리브압착기(520) 및 제 2 슬리브압착기(53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컬링부(20a) 및 제 2 컬링부(20b)는, 슬리브(2)의 상단 및 하단의 내주면으로 상기 슬리브(2)의 최외측 양단부가 일정한 폭을 갖는 띠로 형성되게끔 양측부가 결합되어 속이 비어 있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슬리브(2)의 본체부에서 양 단부가 내측으로 열에 의한 압착 방식으로 접착됨으로써 제 1 컬링부(20a)와 제 2 컬링부(20b)가 형성될 수 있는데, (i) (도 6에 도시된 제 1 컬링부(20a) 및 제 2 컬링부(20b)처럼) 슬리브(2)의 양 단부가 만입부로부터 돌출부의 외면을 따라 절곡되는 말려있는(rolling) 제 1 형상일 수도 있으며, (ii) 압착 방식이 가해지는 양상에 따라 양 단부가 수 차례 접히는 제 2 형상일 수도 있다.
제 1 형상이든 제 2 형상이든 어떠한 경우일지라도 슬리브(2)에 제 1 및 제 2 컬링부(20a 및 20b)가 형성되어, 이들 컬링부는 슬리브 양단의 내주면에 접착되어 컵의 외주면을 감쌀 때에 컵과 슬리브(2) 사이에 제 1 및 제 2 컬링부의 두께만큼의 폭을 갖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5의 슬리브 지지체(51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을 계속한다. 슬리브 지지체(510)는 회전판(400) 상에 거치된 슬리브(2)가 제 1 슬리브압착기(520) 및 제 2 슬리브압착기(530)에 의해 압착될 때 슬리브(2)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예로, 슬리브 지지체(510)은 슬리브(2)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슬리브 지지체(510)은 슬리브(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 지지체(510)은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슬리브압착기(520)는 슬리브 지지체(510)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슬리브 지지체(510)과 함께 상승 및 하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슬리브압착기(520)는 회전판(400)을 향해 하강될 때 슬리브(2)의 상단부를 가압 및 절곡하여 슬리브(2)의 상단부에 제 1 컬링부(20a)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슬리브압착기(520) 및 슬리브 지지체(510)이 하강될 때 제 1 슬리브압착기(520)는 슬리브 지지체(510)이 슬리브(2)를 파지한 상태가 된 후 하강되도록 슬리브 지지체(510)보다 늦게 하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슬리브 지지체(510)는 슬리브(2)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컬링부(20a, 20b)에 의해 슬리브(2)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슬리브(2)가 회전판(400)에서 이탈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 지지체(510)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 슬리브압착기(520)가 슬리브(2)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제 1 컬링부(20a)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슬리브압착기(520)는 일면은 개방되고 개방된 면의 대향면은 막혀있는 용기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용기의 막혀있는 면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개방된 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521), 상기 돌출부(521) 및 상기 용기의 내면 사이에 소정의 곡률로 만입되어 있는 만입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슬리브압착기(520)가 슬리브(2)의 상단부를 수용하면서 하강되면 슬리브(2)의 상단부는 만입부(522)에 의해 가압되고, 이때 만입부(522)는 돌출부(521)를 향해 형성되므로 슬리브(2)의 상단부는 만입부(522)로부터 돌출부(521)의 외면을 따라 절곡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 1 컬링부(예컨대, 도 6의 2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슬리브압착기(530)는 회전판(400)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회전판(400)을 향해 상승되어 회전판(400)에 거치된 슬리브(2)의 하단부를 가압 및 절곡하여 슬리브(2)의 하단부에 제 2 컬링부(20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슬리브압착기(530)는 일면은 개방되고 개방된 면의 대향면은 막혀있는 용기 형상일 수 있고, 용기의 막혀있는 면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개방된 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531), 상기 돌출부(531) 및 상기 용기의 내면 사이에 소정의 곡률로 만입되어 있는 만입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슬리브압착기(530)가 슬리브(2)의 하단부를 가압 및 절곡하는 형태는 제 1 슬리브압착기(520)가 슬리브(2)의 상단부를 가압 및 절곡하는 형태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품배출유닛(600)은 회전판(4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컬링부성형유닛(500)을 통해 슬리브(2)에 컬링부들(즉, 제 1 컬링부(20a) 및 제 2 컬링부(20b))이 형성된 후 회전판(400)으로부터 슬리브(2)를 제거한다. 일 예로, 제품배출유닛(600)은 송풍기(610) 및 배출관(620)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610)는 회전판(400)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610)는 회전판(400)의 배기구가 회전판(400)의 구멍(410)에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고 회전판(400)에 거치된 슬리브(2)를 향해 바람을 배출하여 슬리브(2)를 배출관(620)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관(620)은 회전판(400)의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배출관(620)의 하단부는 회전판(400)의 구멍(410)에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고 송풍기(610)에 의해 회전판(400)의 구멍(410)으로부터 제거되는 슬리브(2)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슬리브(2)는 송풍기(610)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배출관(620)을 따라 이송하여 슬리브(2)의 저장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관(620)은 주름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장치를 통해 컵슬리브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슬리브부재 공급유닛(100)을 통해 슬리브부재(1)가 슬리브 성형유닛(200)을 향해 이송된다. 이때, 슬리브부재 이송부(120)는 슬리브부재 저장부(110)로부터 슬리브부재(1)를 인출하여 슬리브 성형유닛(200)의 슬리브성형틀(210) 아래로 슬리브부재(1)를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슬리브 성형유닛(200)은 슬리브부재(1)를 원통 형상의 슬리브(2)로 성형한다. 이때, 슬리브성형틀(210) 아래로 이송된 슬리브부재(1)는 제 1 벤딩 클램프(221) 및 제 2 벤딩 클램프(222)에 의해 벤딩되어 슬리브성형틀(210)의 외주면에 감싸지고, 이후 융착기(230)가 하강되어 서로 맞닿아 있는 슬리브부재(1)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여 열융착한다.
다음으로, 슬리브 이송유닛(300)에 의해 슬리브(2)는 슬리브성형틀(210)로부터 제거되어 회전판(400)을 향해 이송된다. 이때, 제 1 이송장치(310)의 슬리브제거부(311)의 제 1 절곡바(311a) 및 제 2 절곡바(311b)는 슬리브성형틀(210)을 향해 전진하여 슬리브(2)를 슬리브성형틀(210)로부터 제거하면서 슬리브(2)를 파지한 채로 후진하여 슬리브(2)를 슬리브가이드부(313) 내로 이송한다. 이후 다시 제 1 절곡바(311a) 및 제 2 절곡바(311b)는 전진되어 다음의 슬리브(2)를 슬리브성형틀(210)로부터 제거하면서 슬리브(2)를 파지한 채로 후진하고, 이때 먼저 슬리브가이드부(313) 내로 이송되어 있는 슬리브(2)는 제 1 푸시바(312a) 및 제 2 푸시바(312b)를 통해 제 2 이송장치(320)를 향해 이송된다.
제 2 이송장치(320)로 이송된 슬리브(2)는 슬리브클램프(321) 내에 물린 상태로 회전판(400)을 향해 이송되며, 슬리브(2)가 회전판(400)의 구멍(410) 내에 거치되면 슬리브클램프(321)는 슬리브(2)가 물린 상태를 해제하여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컬링부성형유닛(500)은 회전판(400) 상에 거치된 슬리브(2)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가압 및 절곡하여 제 1 컬링부(20a) 및 제 2 컬링부(20b)를 성형한다. 이때, 먼저 슬리브 지지체(510)이 하강되어 슬리브(2) 내로 삽입되어 슬리브(2)를 지지하고, 이어서 각각의 제 1 슬리브압착기(520) 및 제 2 슬리브압착기(530)는 슬리브(2)를 향해 하강 및 상승하여 슬리브(2)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가압 및 절곡한다. 이 과정에서 제 1 슬리브압착기(520) 및 제 2 슬리브압착기(530) 내의 만입부(522, 532)에 의해 슬리브(2)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절곡되어 제 1 컬링부(20a) 및 제 2 컬링부(20b)가 형성된다. 완성된 컵슬리브(2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제품배출유닛(600)에 의해 회전판(400) 상에 위치한 슬리브(2)는 제품의 저장위치로 배출 및 이송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슬리브부재(1)를 이송 및 공급하여 슬리브부재(1)를 원통 형상의 슬리브(2)로 성형한 후 슬리브(2)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가압하는 과정만으로 슬리브(2)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 1 컬링부(20a) 및 제 2 컬링부(20b)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컵슬리브(20)에 컬링부(20a, 20b)를 형성하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며, 이에 의해 컬링부를 갖는 컵슬리브의 제조에 용이하며, 컵슬리브의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슬리브부재를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S10 단계는, 슬리브부재 공급유닛(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슬리브부재를 저장하는 하부단계와 슬리브부재를 이송하는 하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20 단계에서는 슬리브부재를 원통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하는데, 이는 슬리브부재를 슬라이딩 왕복하여 이송시키는 단계, 슬리브부재를 벤딩시키는 단계, 및 슬리브부재의 맞닿은 양측 단부를 가압 및 융착시키는 단계를 하부 단계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S30 단계에서는, 원통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된 슬리브를 이송시키는데, 이는 S20 단계가 포함할 수 있는 슬라이딩 왕복하여 이송시키는 단계와 동일한 방향일 수도 있고, 이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이송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송된 슬리브는 S40 단계에서 회전가능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슬리브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고정된 슬리브의 각각에 대해 상단부 및 하단부를 압착시킴으로써 상단부에는 제 1 컬링부를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제 2 컬링부를 형성하게 된다(S40 단계). S40 단계는 다시 그 하위 단계로서, 고정된 슬리브를 지지하는 단계와 상단부 및 하단부를 압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위 단계는 병렬적으로(즉,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완성된, 즉, 상기 제 1 및 제 2 컬링부가 형성된 슬리브는 개별적으로 배출된다(S50 단계).
결국, 이상에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컵슬리브 제조장치는 만입부를 통하여 컬링 형성을 수행할 수 있는데, 슬리브의 형태에 따라 슬리브 압착기의 형태를 변형할 경우 원형의 슬리브 뿐만 아니라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 슬리브에도 컬링부를 형성하는 양상 또한 본 명세서에 제시된 양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슬리브부재 2: 슬리브
10: 테이블
20a: 제 1 컬링부 20b: 제 2 컬링부
100: 슬리브부재 공급유닛 110: 슬리브부재 저장부
120: 슬리브부재 이송부 200: 슬리브 성형유닛
210: 슬리브성형틀 220: 슬리브부재 벤딩부
221: 제 1 벤딩 클램프 222: 제 2 벤딩 클램프
300: 슬리브 이송유닛 310: 제 1 이송장치
311: 슬리브제거부 311a: 제 1 절곡바
311b: 제 2 절곡바 312: 슬리브푸시부
312a: 제 1 푸시바 312b: 제 2 푸시바
313: 슬리브가이드부
320: 제 2 이송장치 321: 슬리브클램프
322: 회전장치
322a: 모터 322b: 회전축
400: 회전판 410: 구멍
500: 컬링부성형유닛 510: 슬리브 지지체
520: 제 1 슬리브압착기 530: 제 2 슬리브압착기
521, 531: 돌출부 522, 532: 만입부
600: 제품배출유닛 610: 송풍기
620: 배출관

Claims (2)

  1. 테이블;
    상기 테이블 상에 설치되고, 슬리브부재를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슬리브부재 공급유닛;
    상기 슬리브부재 공급유닛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슬리브부재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슬리브부재를 원통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하는 슬리브 성형유닛;
    상기 슬리브 성형유닛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 성형유닛에서 성형된 슬리브를 상기 슬리브 성형유닛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슬리브 이송유닛;
    상기 슬리브 이송유닛의 일측에 위치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슬리브가 거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판을 향해 하강되어 상기 회전판에 거치된 슬리브내로 삽입되는 슬리브 지지체와 함께, 상기 회전판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슬리브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수단이 상기 회전판에 거치된 슬리브의 상단부를 압착시켜서 상기 슬리브의 상단부에 제 1 컬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압착수단이 상기 회전판에 거치된 슬리브의 하단부를 압착시켜서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에 제 2 컬링부를 형성하는 컬링부성형유닛; 및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컬링부성형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컬링부 및 상기 제 2 컬링부가 형성된 후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상기 슬리브를 제거하는 제품배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슬리브 제조장치.
  2. 슬리브부재를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위한 슬리브부재 제공 단계;
    상기 슬리브부재를 원통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슬리브 성형 단계;
    상기 원통의 슬리브 형상으로 성형된 슬리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슬리브 이송 단계;
    회전가능한 형태로 상기 이송된 슬리브를 하나 이상 고정시키기 위한 슬리브 거치 단계;
    상기 고정된 하나 이상의 슬리브의 각각의 슬리브에 대해 슬리브 지지체를 이용하여 지지하면서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압착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및 지지된 슬리브의 상단부에 제 1 컬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및 지지된 슬리브의 하단부에 제 2 컬링부를 형성하기 위한 컬링부 성형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컬링부가 형성된 슬리브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품 제공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슬리브 제조방법.
KR1020160012778A 2016-02-02 2016-02-02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54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78A KR101854659B1 (ko) 2016-02-02 2016-02-02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78A KR101854659B1 (ko) 2016-02-02 2016-02-02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671A Division KR101698199B1 (ko) 2013-10-21 2014-08-11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482A KR20160019482A (ko) 2016-02-19
KR101854659B1 true KR101854659B1 (ko) 2018-05-04

Family

ID=5544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778A KR101854659B1 (ko) 2016-02-02 2016-02-02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040B1 (ko) 2016-04-01 2016-07-12 주식회사 로엔그린 일회용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013069B1 (ko) * 2018-05-21 2019-08-21 최병철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314B1 (ko) 2012-05-03 2017-02-03 주식회사최병철아이디어팩토리 일회용 컵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482A (ko) 2016-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199B1 (ko)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9974403B1 (en) Flexible straw and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54659B1 (ko)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6490078B2 (ja) 診断キット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診断キット
JPS6364300B2 (ko)
CN102523742B (zh) 双气溶胶容器的制造方法、双气溶胶容器及其制造装置
US5492592A (en) Method and device for arranging a pouring device on a pack
US9138798B2 (en) Baguette t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80016178A1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materials
KR20170112447A (ko) 일회용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CN217990591U (zh) 一种不锈钢加工用冲孔装置
KR101639040B1 (ko) 일회용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10030180A (ko) 종이 뚜껑 제조 설비용 뚜껑통체 상하부 컬링장치
WO2015060628A1 (ko) 컵슬리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5365270A (zh) 带有视频监控摄像头的管状瓦楞纸套成型机
JP2004269004A (ja) Ptpシートの製造装置
CN108500135A (zh) 自定位雨刷器马达壳体连续模
CN105479820A (zh) 带有开孔机构和切料机构的管状瓦楞纸套成型机
JP2004099114A (ja) 紙筒容器並びに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JP2006315205A (ja) プレス加工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ひだ付きカップ製造方法
JPS5890932A (ja) 発「ポう」プラスチツク製のツ−ピ−ス型容器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28774A (ja) 紙製容器の胴部成形方法及び胴部成形装置
JPH0780263B2 (ja) 製函装置
US20170197758A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synthetic resin container
KR102397654B1 (ko) 수용홈이 형성된 종이 뚜껑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