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870B1 -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870B1
KR101853870B1 KR1020180000960A KR20180000960A KR101853870B1 KR 101853870 B1 KR101853870 B1 KR 101853870B1 KR 1020180000960 A KR1020180000960 A KR 1020180000960A KR 20180000960 A KR20180000960 A KR 20180000960A KR 101853870 B1 KR101853870 B1 KR 10185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optical sensor
sensor un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환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 리드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리드에이텍 filed Critical (주) 리드에이텍
Priority to KR1020180000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254
    • H04N5/2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의 결상위치에 대응하여 광학센서부의 배치 상태가 변화되도록 함에 따라 복수 개의 피사체의 선명한 이미지를 한 번에 획득할 수 있는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은 렌즈부와 광학센서부로 이루어지는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일직선상에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배치된 복수 개의 피사체를 경사진 방향에서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송장치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복수 개의 피사체의 경사 방향에서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광학장치를 배치하는 광학장치 배치단계; 상기 렌즈부와 상기 광학센서부가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가 결상되는 지점을 각각 검출하는 초기 설정단계; 및 상기 초기 설정단계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결상지점에 대응되도록 상기 광학센서부를 회전시키는 결상위치 보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Method of imaging multiple subjects in inclined direction}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의 결상위치에 대응하여 광학센서부의 배치 상태가 변화되도록 함에 따라 복수 개의 피사체의 선명한 이미지를 한 번에 획득할 수 있는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광학장치는 피사체가 초점 구간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 즉, 피사체에 초점이 맞춰진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짐에 따라,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광학장치는 렌즈와 피사체 간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거나 또는 조리개의 열린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가 초점 구간에 위치되도록 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이루어지며, 반도체 분야에서는 광원으로 이용하는 빛의 파장을 단파장으로 사용함으로써 초점의 심도가 개선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균일한 단파장의 광을 만드는데는 고가의 비용이 필요한 바, 이 방법은 한정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일직선상에 배열된 복수 개의 피사체를 정면에서 촬영하는 경우, 복수 개의 피사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피사체가 모두 초점 구간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수월하다.
그러나, 이를 경사진 방향에서 촬영하게 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 중 일부분은 초점 구간에 위치되고, 일부분은 초점 구간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서 일부만이 선명하게 촬영되게 된다.
따라서 모든 피사체의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촬영영역을 여러 개의 구역으로 나눈 뒤, 각 영역에 알맞게 초점 구간을 조절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결합해야 하는 바, 여러 차례 촬영을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캡슐이나 정제형태의 의약품은 외형적인 형상의 불량유무를 판별하여 선별한 후, 용기에 충진하거나 포장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외형검사는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캡슐 또는 정제형태의 의약품의 이미지를 촬영한 뒤 이를 판독함으로써 불량유무를 결정하고 있다.
특히 정제형태의 의약품의 표면에는 약제를 구분하기 위한 문자가 음각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상기 문자의 표기 상태 또한 검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약제를 검사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659140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정제나 캡슐형태의 의약품 외관을 검사하고 카운팅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엔드레스 부재로 구성된 상부 이송컨베이어와 하부 이송컨베이어는 회전드럼에서 서로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상부 이송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개체를 회전드럼을 통과하면서 윗면과 아랫면이 위치 반전된 상태로 하부 이송컨베이어 상으로 이송하고, 상, 하부 이송컨베이어 상에는 각각 카메라가 구비되어 개체의 윗면과 아랫면을 윤곽이미지로 선처리하여 참고 패턴과 매칭여부를 판별하여 정상품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의약품이 운반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카메라를 설치하여 의약품의 표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의약품의 외관 검사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정제 또는 캡슐의 외곽형태 불량 정도만 판독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서만 촬영되어도 충분하지만, 정제의 표면에 음각된 문자의 불량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향에서 촬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은 다방향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영역을 여러 구역으로 설정하고, 각 구역마다 카메라를 설치한 뒤 촬영을 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다량의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KR 10-0659140 B1 2006. 12. 1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의 결상위치에 대응하여 광학센서부의 배치 상태가 변화되도록 함에 따라 복수 개의 피사체의 선명한 이미지를 한 번에 획득할 수 있는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은 렌즈부와 광학센서부로 이루어지는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일직선상에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배치된 복수 개의 피사체를 경사진 방향에서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송장치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복수 개의 피사체의 경사 방향에서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광학장치를 배치하는 광학장치 배치단계; 상기 렌즈부와 상기 광학센서부가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가 결상되는 지점을 각각 검출하는 초기 설정단계; 및 상기 초기 설정단계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결상지점에 대응되도록 상기 광학센서부를 회전시키는 결상위치 보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초기 설정단계는, 복수 개의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렌즈부로 유입 및 굴절된 빛이 각각 결상된 지점을 각각 P1, P2, P3…라 할 때, 상기 렌즈부의 광축과 직교하는 축과 P1, P2, P3…이 배열된 보정축 사이의 각도가 검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상위치 보정단계는, 상기 초기 설정단계에서 검출된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광학센서부가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결상위치 보정단계는, 복수 개의 피사체와 상기 렌즈부의 광축 사이의 거리를 각각 a1, b1, c1…이라 하고,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렌즈로 유입 및 굴절된 빛이 각각 결상된 지점과 상기 렌즈부 사이의 거리를 각각 a2, b2, c2…라 할 때, 상기 a1, b1, c1의 값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경우, 상기 광학센서부의 하부가 상기 렌즈부측과 가까워지게 회전되고, 상기 a1, b1, c1의 값이 순차적으로 커지는 경우, 상기 광학센서부의 상부가 상기 렌즈부측과 가까워지게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광학장치는, 상기 렌즈부를 고정 설치하는 렌즈 고정부 및 상기 광학센서부를 고정 설치하는 센서 고정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에 의해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며, 상기 센서 고정부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 고정부와 힌지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는 달리 하나의 광학장치를 사용하여도 복수 개의 피사체가 모두 선명하게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바, 한 번의 촬영만으로도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시간이 단축되고 촬영시 소요되는 비용 또한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부와 광학센서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광학센서부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바, 쉽고 빠르게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조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 촬영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의 정면도로서,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의 배면도로서, 체결부재의 사용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의 측면도로서, 센서 고정부의 사용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의 결상위치에 대응하여 광학센서부(2)의 배치 상태가 변화되도록 함에 따라 복수 개의 피사체의 선명한 이미지를 한 번에 획득할 수 있는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의 정면도로서,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의 배면도로서, 체결부재의 사용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의 측면도로서, 센서 고정부의 사용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광학장치 배치단계
광학장치 배치단계는 이송장치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피사체의 경사 방향에서 이미지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광학장치가 배치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광학장치는 크게 렌즈부(1)와 광학센서부(2)로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부(1)는 빛이 굴절되어 입사되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센서부(2)는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 및 굴절된 상을 획득하여 처리하는 광학센서를 포함한다.
즉, 상기 광학장치 배치단계는 상기 렌즈부(1)가 상기 이송장치를 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광학장치를 상기 이송장치의 측면에 설치하는 과정이다.
2. 초기 설정단계
초기 설정단계는 상기 렌즈부(1)와 상기 광학센서부(2)가 평행한 상태에서 피사체인 복수 개의 피사체가 결상되는 지점을 각각 검출하는 과정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복수 개의 피사체를 순차적으로 S1, S2, S3…라 하고,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의 광축 사이의 거리(A)를 각각 a1, b1, c1…이라 하며,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렌즈로 유입 및 굴절된 빛이 각각 결상된 지점을 각각 P1, P2, P3…라 하고, 상기 결상된 지점들과 상기 렌즈 사이의 거리(B)를 각각 a2, b2, c2…라 한다.
일반적으로 피사체는 렌즈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될수록 렌즈와 가까운 위치에 결상되며, 결상되는 지점은 하기 식 1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1/A + 1/B = 1/f (식 1)
여기서, A는 피사체와 렌즈의 광축 사이의 거리, B는 렌즈와 결상지점 간의 거리, f는 렌즈의 초점거리를 의미하며, f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상기 초기 설정단계에서는 상기 식 1에 의해 계산된 a2, b2, c3…에 따라 상기 P1, P2, P3…의 위치를 검출한 뒤, 상기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축(L1)과 P1, P2, P3…이 배열된 보정축(L2) 사이의 각도(α)가 검출되도록 한다.
3. 결상위치 보정단계
결상위치 보정단계는 상기 초기 설정단계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결상지점에 대응되도록 상기 광학센서부(2)를 회전시키는 과정이다.
부연하면, 상기 결상위치 보정단계는 상기 광학센서부(2)가 상기 보정축(L2)과 대응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각도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광학센서부(2)를 회전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a1, b1, c1의 값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경우, 즉, 최상부에 위치된 피사체가 상기 렌즈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광학센서부(2)의 하부가 상기 렌즈측과 가까워지게 회전된다.
반대로 상기 a1, b1, c1의 값이 순차적으로 커지는 경우, 즉, 최상부에 위치된 피사체가 상기 렌즈로부터 가장 가까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광학센서부(2)의 상부가 상기 렌즈측과 가까워지게 회전된다.
상기의 과정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게 되면, 종래와는 달리 하나의 광학장치를 사용하여도 복수 개의 피사체가 모두 선명하게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한 번의 촬영만으로도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시간이 단축되고 촬영시 소요되는 비용 또한 절약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하기에서는 상기 광학센서부(2)의 각도 조절을 더욱 안정적으로 하기 위한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10)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10)는 렌즈 고정부(100), 센서 고정부(200) 및 각도 조절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 고정부(100)는 상기 렌즈부(1)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렌즈부(1)가 삽입되도록 중심부에 형성되는 삽입홀(110) 및 상기 삽입홀(110)의 일측에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커버(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렌즈 고정부(100)는 상기 고정커버(120)를 분리하면 상기 삽입홀(110)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가 되면서 상기 삽입홀(110)의 내부로 상기 렌즈부(1)가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1)가 장착된 뒤, 상기 고정커버(120)를 다시 결합시키면 상기 렌즈부(1)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삽입홀(110)은 상기 렌즈부(1)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커버(120)는 볼트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 고정부(100)는 상기 렌즈부(1)를 견고하게 고정하되, 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 고정부(100)의 하부에는 절곡부(1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10)는 상기 절곡부(130)가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광학장치의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절곡부(130)에는 보조 고정홈(131)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고정홈(131)에 볼트 또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체결하여 설치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10)가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고정부(200)는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광학센서부(2)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가 빈 프레임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210) 및 상기 외측 프레임(2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학센서부(2)를 고정하는 체결부재(220)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210)의 좌우방향 양단이 상기 렌즈 고정부(100)와 힌지 결합된다.
상술하면, 상기 외측 프레임(210)은 좌우방향 양단에 힌지돌기(211)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 고정부(100)의 양단에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지지판(140)이 각각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외측 프레임(210)의 힌지 돌기가 상기 지지판(140)과 각각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센서 고정부(20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220)는 상기 광학센서부(2)의 코너부분이 고정되도록 상기 외측 프레임(210)의 코너부분 내측에 구비되며, 접촉부재(230)와 조절부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재(230)는 'ㄴ'자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절곡된 내측이 상기 외측 프레임(210)의 내부를 향하는 상태로 상기 외측 프레임(210)의 코너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230)의 내측면에는 마찰고정부재(231)가 더 구비되어 상기 광학센서부(2)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마찰고정부재(231)는 톱니모양의 요홈이 일면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접촉부재(230)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조절부재(240)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외측 프레임(210)을 관통하여 상기 접촉부재(230)와 결합되는 동작부재(241) 및 상기 동작부재(241)의 타단에 구비되는 손잡이(2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측 프레임(210)에는 상기 조절부재(240)가 관통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의 내측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센서부(2)가 상기 외측 프레임(2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4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부재(240)가 상기 외측 프레임(21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접촉부재(230) 또한 인입되게 된다.
인입된 상기 접촉부재(230)는 상기 광학센서부(2)와 면접촉되면서 외측을 가압하게 되면서 이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24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부재(240)가 상기 외측 프레임(210)의 외측방향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광학센서부(2)의 고정이 해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부재(240)의 일단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촉부재(230)와 결합된다.
부연하면, 상기 접촉부재(230)에는 상기 조절부재(240)가 관통 삽입되는 공회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재(230)의 일단이 상기 공회전홀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240)의 끝단에는 마감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접촉부재(230)와 상기 조절부재(240)의 결합히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242)를 회전시키면 상기 접촉부재(230)의 끝단은 공회전되면서 상기 조절부재(240)를 인출 및 인입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220)는 최소 한 쌍이 구비되어 외측 프레임(210)을 고정하게 되는데, 한 쌍이 구비되는 경우, 서로 경사진 방향에서 마주보도록 구비되게 된다.
부연하면, 하나의 체결부재(220)는 상기 외측 프레임(210)의 상부 코너측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의 체결부재(220)는 상기 외측 프레임(210)의 하부 코너 중에서 상기 체결부재(220)의 경사진 방향의 코너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센서부(2)는 한 쌍의 체결부재(22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 각도 조절부(300)는 상기 센서 고정부(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가이드홈(310) 및 회전돌기(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홈(310)은 원호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140)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돌기(320)의 회전을 안내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310)은 상기 힌지돌기(211)가 원호 중심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돌기(320)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310)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210)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3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홈(310)에 의해 안내된다.
이때, 상기 회전돌기(320)는 상기 외측 프레임(210)이 직립된 상태일 때, 상기 회전돌기(320)는 가이드홈(310)의 연장방향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일방향 또는 이의 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힌지돌기(211)와 가이드홈(310) 사이에는 회전각을 표시한 눈금부(미도시)를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광학센서부(2)의 각도조절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기에서는 상기에 따라 구성되는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10)를 이용하여 광학장치의 경사각 조절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장치 배치단계가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상기 광학장치는 상기 렌즈 고정부(100)에 상기 렌즈부(1)를 장착하고, 상기 센서 고정부(200)에 광학 센서부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1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게 한다. 이때, 상기 렌즈부(1)와 광학 센서부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광학장치가 장착된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10)를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한 뒤, 상기 초기 설정 단계가 이루어지면서 피사체인 복수 개의 정제 약품의 결상지점이 검출되도록 하고, 검출된 결상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광학 센서부의 회전 각을 검출한다.
이후 결상위치 보정단계가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검출된 회전 각에 따라 상기 외측 프레임(210)을 회전시켜 상기 광학센서부(2)가 결상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광학센서부(2)의 회전방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정제 약품들과 상기 렌즈부(1)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렌즈부(1)와 광학센서부(2)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광학센서부(2)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바, 쉽고 빠르게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조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 렌즈부 2 : 광학센서부
10 :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
100 : 렌즈 고정부 110 : 삽입홀
120 : 고정커버 130 : 절곡부
131 : 보조고정홈 140 : 지지판
200 : 센서 고정부 210 : 외측 프레임
211 : 힌지돌기
220 : 체결부재 230 : 접촉부재
231 : 마찰고정부재 240 : 조절부재
241 : 동작부재 242 : 손잡이
300 : 각도 조절부 310 : 가이드홈
320 : 회전돌기

Claims (5)

  1. 렌즈부(1)와 광학센서부(2)로 이루어지는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일직선상에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배치된 복수 개의 피사체를 경사진 방향에서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송장치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복수 개의 피사체의 경사 방향에서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광학장치를 배치하는 광학장치 배치단계;
    상기 렌즈부(1)와 상기 광학센서부(2)가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가 결상되는 지점을 각각 검출하는 초기 설정단계; 및
    상기 초기 설정단계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결상지점에 대응되도록 상기 광학센서부(2)를 회전시키는 결상위치 보정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설정단계는,
    복수 개의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렌즈부(1)로 유입 및 굴절된 빛이 결상된 지점을 각각 P1, P2, P3…라 할 때, 상기 렌즈부(1)의 광축과 직교하는 축(L1)과 P1, P2, P3…이 배열된 보정축(L2) 사이의 각도(α)가 검출되며,
    상기 결상위치 보정단계는,
    상기 초기 설정단계에서 검출된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광학센서부(2)가 회전되도록 구성되되, 복수 개의 피사체와 상기 렌즈부(1)의 광축 사이의 거리(A)를 각각 a1, b1, c1…이라 하고,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렌즈로 유입 및 굴절된 빛이 결상된 지점과 상기 렌즈부(1) 사이의 거리(B)를 각각 a2, b2, c2…라 할 때, 상기 a1, b1, c1의 값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경우, 상기 광학센서부(2)의 하부가 상기 렌즈부(1)측과 가까워지게 회전되고, 상기 a1, b1, c1의 값이 순차적으로 커지는 경우, 상기 광학센서부(2)의 상부가 상기 렌즈부(1)측과 가까워지게 회전되며,
    상기 광학장치는,
    상기 렌즈부(1)를 고정 설치하는 렌즈 고정부(100);
    상기 광학센서부(2)를 고정 설치하는 센서 고정부(200); 및
    상기 센서 고정부(200)를 회전시키는 각도 조절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렌즈 고정부(100)는,
    상기 렌즈부(1)가 삽입되도록 중심부에 형성되는 삽입홀(110);
    상기 삽입홀(110)의 일측에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커버(120); 및
    상기 렌즈 고정부(100)의 양단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지지판(140);
    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고정부(200)는,
    상기 지지판(1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측 프레임(210); 및
    상기 외측 프레임(210)의 코너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센서부(2)를 고정하도록 'ㄴ'자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접촉부재(230)와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접촉부재(230)와 결합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체결부재(220);
    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부재(240)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외측 프레임(210)을 관통하여 상기 접촉부재(230)와 결합되는 동작부재(241); 및
    상기 동작부재(241)의 타단에 구비되는 손잡이(242);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도 조절부(300)는,
    상기 지지판(140)에 구비되고, 원호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이루어져 회전돌기(320)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홈(310); 및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310)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210)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3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는 회전돌기(320);
    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 고정부(20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 고정부(100)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결상위치 보정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00960A 2018-01-03 2018-01-03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 KR101853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960A KR101853870B1 (ko) 2018-01-03 2018-01-03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960A KR101853870B1 (ko) 2018-01-03 2018-01-03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870B1 true KR101853870B1 (ko) 2018-06-08

Family

ID=6260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960A KR101853870B1 (ko) 2018-01-03 2018-01-03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8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4437A (ja) * 2002-04-10 2003-10-24 Ricoh Co Ltd 画像入力装置
KR100659140B1 (ko) 2004-06-23 2006-12-19 조옥현 비전을 이용한 다기능 불량 판별 및 카운팅 시스템
JP2007047596A (ja) * 2005-08-11 2007-02-22 Minoru Inaba ディジタルカメラ
JP2015219754A (ja) * 2014-05-19 2015-12-07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4437A (ja) * 2002-04-10 2003-10-24 Ricoh Co Ltd 画像入力装置
KR100659140B1 (ko) 2004-06-23 2006-12-19 조옥현 비전을 이용한 다기능 불량 판별 및 카운팅 시스템
JP2007047596A (ja) * 2005-08-11 2007-02-22 Minoru Inaba ディジタルカメラ
JP2015219754A (ja) * 2014-05-19 2015-12-07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9751B2 (ja) 平板ガラスの異物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TWI471542B (zh) Tire shape inspection device and tire shape inspection method
US20180357757A1 (en) Defect inspection apparatus for tubular product such as intermediate transfer belt
JP2000314908A (ja) カメラ用リングライトガイド装置
JP6778754B2 (ja) ガラス容器の焼傷検査装置
JPH09501242A (ja) キー物体の整合状態を直接モニターする立体写真プリンターおよび立体写真プリント方法
JP4687248B2 (ja) 外観検査装置
KR102580389B1 (ko) 유리 시트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853870B1 (ko) 경사진 방향에서 복수 개의 피사체 촬영방법
JP6310372B2 (ja) 検査装置
KR101038739B1 (ko) 나사 검사 장비
JP4052547B2 (ja) 複数の1次元ccdカメラの姿勢および位置の調整方法
JP5127781B2 (ja) 角缶の内面検査方法
WO2015079937A1 (ja) シート状物の検査装置
TW440689B (en) Image fetching apparatus
JP2530532B2 (ja) 錠剤シ―トの検査装置
JPH10274515A (ja) 曲面検査方法及び検査用カメラユニット
JPS5862542A (ja) 粒子凝集パタ−ン検査方法及び装置
JP2008107348A (ja) ガラス容器を検査するための機械
CN113646624A (zh) 检查装置、检查方法以及膜的制造方法
JP2000346813A (ja) 物品の表面検査装置
JPH01217445A (ja) モニタ付写真焼付装置
TWI825932B (zh) 用於內螺紋瑕疵檢測之機構及方法
US20220390384A1 (en) Product Inspection System, Imaging System and Mirror
JP2012163533A (ja) レンチキュラシートの欠陥検査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