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863B1 -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863B1
KR101853863B1 KR1020170173287A KR20170173287A KR101853863B1 KR 101853863 B1 KR101853863 B1 KR 101853863B1 KR 1020170173287 A KR1020170173287 A KR 1020170173287A KR 20170173287 A KR20170173287 A KR 20170173287A KR 101853863 B1 KR101853863 B1 KR 101853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ing
current
steel pipe
reinforcing plate
guid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김태현
(주)지구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현, (주)지구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김태현
Priority to KR1020170173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7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 E04B1/58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with separate connection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86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현재보강판이 구비된 절점보강부로 트러스의 절점부를 보강함으로써 절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현재보강판 상부에 현재를 거치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트러스 제작이 용이한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는 폐단면 강관인 상하 한 쌍의 현재와 상기 현재의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브레이싱재로 구성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에서, 상기 현재와 브레이싱재의 절점에서 현재와 브레이싱재의 사이에 현재의 절점부 측 외부면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은 현재의 절점부에 밀착 결합되고 타측면은 브레이싱재의 단부가 결합되는 현재보강판과 상기 현재보강판의 브레이싱재가 결합되는 일면에 현재의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브레이싱재의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어 브레이싱재와 용접 결합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절점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Steel pipe truss with closed cross sec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현재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현재보강판이 구비된 절점보강부로 트러스의 절점부를 보강함으로써 절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현재보강판 상부에 현재를 거치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트러스 제작이 용이한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트러스는 동일 평면 내에서 복수의 직선 부재를 각 절점에서 서로 핀으로 연결·조립함으로써 직선 부재의 축력에 의해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체이다.
이러한 트러스 구조체는 축 방향 인장 및 압축에 의해 휨모멘트에 저항하고, 절점에서만 전단력에 저항한다. 이에 일반 구조체보다 단면 효율이 높아 강재량이 적게 소요되고, 중량이 적어 가설 공정이 용이하며, 장지간 구조물에 유리한 장점 등으로 인하여 교량 거더 또는 장지간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트러스 구조체는 개단면에 비해 비틀림 강성과 좌굴 저항성이 우수한 폐단면 강재를 많이 사용하며, 통상 상현재와 하현재의 단면을 크게 형성한다.
그런데 부재를 폐단면인 강관으로 형성하면 단면이 작은 브레이싱재의 단부가 큰 직경을 갖는 현재에 결합되므로, 현재의 절점부에 큰 집중 응력이 발생하여 손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트러스 절점부의 손상 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의 (a)와 같이 현재(1)의 종방향으로 좌굴이 발생하거나 도 1의 (b)와 같이 현재(1)의 횡방향으로 현재(1)에 좌굴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도 1의 (c)와 같이 브레이싱재(2)의 단부가 인장 분리되거나 도 1의 (d)와 같이 압축 및 인장에 의하여 현재(1)가 펀칭 파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트러스 절점부의 파괴를 막기 위해서는 현재의 강관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부재의 소요 단면력에 비해 단면이 과도해져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한편, 트러스는 여타 부재를 각 절점에서 정확히 만나도록 조립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제작시 각 부재의 고정이 필요하다. 또한, 부재 길이의 오차나 용접 변형으로 인해 절점부가 불일치할 수 있어 제작 과정 중 이러한 오차를 계속 바로잡는 과정이 필요하다.
KR 10-2017-0102690 A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단면 강관 트러스의 절점부를 보강함으로써, 부재 전체의 단면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절점부의 파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관 트러스 조립시 현재를 가고정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한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부재 길이의 오차나 용접 변형 등으로 인해 절점부가 불일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제작 과정 중의 오차를 흡수 가능한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폐단면 강관인 상하 한 쌍의 현재와 상기 현재의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브레이싱재로 구성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에서, 상기 현재와 브레이싱재의 절점에서 현재와 브레이싱재의 사이에 현재의 절점부 측 외부면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은 현재의 절점부에 밀착 결합되고 타측면은 브레이싱재의 단부가 결합되는 현재보강판과 상기 현재보강판의 브레이싱재가 결합되는 일면에 현재의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브레이싱재의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어 브레이싱재와 용접 결합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절점보강부가 구비되며, 상기 절점부에는 한 쌍의 브레이싱재가 일정 각도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조절부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의 측면에 밀착되는 조절바 및 상기 조절바와 가이드리브에 형성된 결합공에 체결되어 조절바를 가이드리브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공 중 어느 하나는 수직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조절부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조절바 및 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조절바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가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조절부에는 상기 연결가압부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 관통되어 가이드리브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현재보강판에는 복수의 용접균열방지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폐단면 강관인 상하 한 쌍의 현재와 상기 현재의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브레이싱재로 구성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일측 현재의 절점부에 복수의 브레이싱재 일단을 결합하는 단계; (b) 현재의 절점부 측 외부면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현재보강판 및 상기 현재보강판의 외측면에 현재의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리브로 구성되는 절점보강부의 가이드리브를 브레이싱재의 타단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하여 가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절점보강부의 현재보강판 상부에 타측 현재를 거치하되, 상기 절점부에는 한 쌍의 브레이싱재가 일정 각도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가 구비되어, 타측 현재를 거치하기 전 또는 거치한 후에 조절부를 상승시켜 좌우 브레이싱재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절점보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d) 상기 현재보강판과 타측 현재 및 절점보강부와 브래이싱재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 이후에 조절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강관 트러스 제작시 트러스 절점부에서 절점보강부가 현재의 단면을 보강하므로, 현재의 좌굴이나 펀칭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전체의 단면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절점부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둘째, 절점보강부의 현재보강판이 현재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트러스 제작시 현재의 거치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트러스 제작시 브레이싱재의 단부 절점부에 현재보강판을 결합해두면, 현재보강판 상부에 현재를 거치한 상태에서 용접하여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셋째, 절점보강부의 가이드리브에 조절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면, 조절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이웃하는 한 쌍의 브레이싱재 사이의 단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제작 및 시공 오차 등으로 인한 부재의 오차를 흡수하여 정밀 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트러스 절점부의 다양한 손상 유형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현재의 형상에 따른 절점보강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된 절점보강부와 브레이싱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된 절점보강부와 브레이싱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절점보강부에 결합되는 브레이싱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절점보강부와 조절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조절부에 의한 절점부의 높이 조절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연결가압부가 구비된 조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조절부가 결합된 절점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의 (a) 내지 (d)는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의 제작 방법에 대한 각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현재의 형상에 따른 절점보강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는 폐단면 강관인 상하 한 쌍의 현재(1a, 1b)와 상기 현재(1a, 1b)의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브레이싱재(2)로 구성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에서, 상기 현재(1a, 1b)와 브레이싱재(2)의 절점에서 현재(1a, 1b)와 브레이싱재(2)의 사이에는 현재(1a, 1b)의 절점부 측 외부면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은 현재(1a, 1b)의 절점부에 밀착 결합되고 타측면은 브레이싱재(2)의 단부가 결합되는 현재보강판(31)을 포함하는 절점보강부(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는 한 쌍의 현재(1a, 1b)와 복수의 브레이싱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현재(1a, 1b)와 브레이싱재(2)가 서로 만나는 절점부에는 절점보강부(3)가 구비된다.
상기 현재(1a, 1b)는 트러스의 상현재(1a) 또는 하현재(1b)일 수 있다.
상기 절점보강부(3)는 절점부에서 현재(1a, 1b)의 단면을 보강하여 현재(1a, 1b)의 좌굴이나 펀칭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현재(1a, 1b)의 단면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상기 절점보강부(3)는 현재보강판(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현재보강판(31)은 현재(1a, 1b)의 절점부 측 외부면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트러스 제작시 현재보강판(31)은 현재(1a, 1b)의 거치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현재보강판(31)의 일측면은 현재(1a, 1b)의 절점부에 밀착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현재보강판(31)의 타측면은 브레이싱재(2)의 단부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타측의 현재(1b)에 미리 브레이싱재(2)를 용접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브레이싱재(2)의 단부 절점부에 현재보강판(31)을 결합해두면, 일측 현재(1a)를 현재보강판(31)의 상부에 거치한 상태에서 일측 현재(1a)와 현재보강판(31)을 용접하여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트러스 제작이 편리하다.
상기 절점보강부(3)는 절점 응력 해석 결과에 따라 도 2의 (a)와 같이 상현재(1a)와 하현재(1b) 중 응력이 큰 어느 한쪽에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점보강부(3)는 도 2의 (b)와 같이 상현재(1a)와 하현재(1b)의 절점부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폐단면 강관 트러스를 구성하는 현재(1a, 1b)와 브레이싱재(2)는 원형, 사각형 등의 폐단면 강관으로 구성 가능하다.
도 3의 (a) 및 (b)에는 각각 현재(1)가 원형인 경우와 사각형인 경우에 대한 현재보강판(31)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4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된 절점보강부와 브레이싱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된 절점보강부와 브레이싱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재보강판(31)의 브레이싱재(2)가 결합되는 일면에는 브레이싱재(2)의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21)에 삽입되어 브레이싱재(2)와 용접 결합되는 가이드리브(32)가 현재(1a, 1b)의 종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점보강부(3)에는 현재(1, 1a, 1b)의 종방향을 따라 가이드리브(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32)는 현재보강판(31)의 외측면에 결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싱재(2)의 단부에는 브레이싱재(2)의 종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의 절개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21)은 브레이싱재(2)의 단부에서 서로 대면하도록 한 쌍 형성 가능하다.
이에 상기 브레이싱재(2)의 절개홈(21)에 가이드리브(32)가 삽입되도록 결합한 후 브레이싱재(2)와 가이드리브(32)를 용접 결합하여 상호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브레이싱재의 외부에만 결합되는 일반적인 리브 보강과는 달리 브레이싱재(2)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가이드리브(32)가 구비되어, 브레이싱재(2)의 단부를 현재(1a, 1b)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싱재(2)는 단부가 현재보강판(31)에만 용접되는 것이 아니라 브레이싱재(2)의 절개홈(21)과 가이드리브(32)가 용접되므로, 충분한 용접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싱재(2)의 단부를 내외에서 보강하고 단면적을 증가시켜 단부 국부 좌굴, 인장 파괴 등의 방지가 가능하다.
아울러 브레이싱재(2)의 단면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리브(32)는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 제작시 일측 현재(1a, 1b)에 브레이싱재(2)가 용접 결합된 상태에서, 브레이싱재(2)의 타측 단부에 절점보강부(3)를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즉, 상기 가이드리브(32)는 절점보강부(3)를 브레이싱재(2)의 단부에 가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리브(32) 구비시,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제작할 수 있다. 우선, 일측 현재(1a, 1b)와 브레이싱재(2)의 일단을 결합한 후 절점보강부(3)의 가이드리브(32)를 브레이싱재(2)의 타단에 형성된 절개홈(21)에 삽입하여 가고정한다. 그리고 타측 현재(1a, 1b)를 절점보강부(3)의 현재보강판(31) 상부에 거치한다. 이후, 현재보강판(31)을 타측 현재(1a, 1b)에 용접하여 고정한 후 브레이싱재(2)의 타단을 가이드리브(32) 및 현재보강판(31)과 용접하여 고정함으로써 제작을 완성할 수 있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재보강판(31)에는 복수의 용접균열방지홀(3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현재보강판(31)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현재(1a, 1b)에 용접 결합되면, 현재보강판(31)에 열변형이 크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현재보강판(31)에 용접균열방지홀(311)을 복수 개 형성하여 이러한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
도 6은 절점보강부에 결합되는 브레이싱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와 같이, 상기 브레이싱재(2)는 한 쌍의 경사 브레이싱재(2)가 V형이 되도록 절점보강부(3)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와 같이 일측 브레이싱재(2)의 측면에 타측 브레이싱재(2)의 단부가 접합되도록 결합되거나, 도 6의 (c)와 같이 일측은 수직 브레이싱재(2), 타측은 경사 브레이싱재(2)(프랫트러스, pratt truss)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 6의 (d)와 같이 하나의 수직 브레이싱재(2)(비렌딜 트러스, vierendeel truss)만 절점보강부(3)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절점보강부와 조절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조절부에 의한 절점부의 높이 조절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점부에는 한 쌍의 브레이싱재(2)가 일정 각도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리브(3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2)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32)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싱재(2)의 타단은 브레이싱재(2)의 길이 오차, 타측 현재(1a, 1b)와 결합 각도의 오차, 타측 현재(1a, 1b)와의 결합시 발생하는 용접 변형 등으로 그 위치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타측 현재(1a, 1b)에 고정된 브레이싱재(2)의 타단, 즉 절점보강부(3)와 결합되는 브레이싱재(2)의 타단 측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절점보강부(3)를 포함한 절점부의 높이를 정밀하게 미세 조절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조절부(4)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브레이싱재(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다.
즉, 타측 현재(1a, 1b)에 브레이싱재(2)를 결합한 후 브레이싱재(2)의 타단 절점부의 높이가 설계 높이보다 낮으면, 조절부(4)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웃하는 브레이싱재(2) 사이의 단부 간격을 조절한다. 다시 말하면 도 8과 같이 조절부(4)를 현재(1a, 1b) 측인 상부로 이동시키면 이웃하는 브레이싱재(2) 사이의 단부가 벌어지면서 현재보강판(31)의 높이 및 절점부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조절부(4)는 가이드리브(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다.
상기 조절부(4)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2)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32)의 측면에 밀착되는 조절바(41) 및 상기 조절바(41)와 가이드리브(32)에 형성된 결합공(411, 321)에 체결되어 조절바(41)를 가이드리브(32)에 고정하는 고정볼트(42)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공(411, 321) 중 어느 하나는 수직 장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4)는 조절바(41)와 고정볼트(42)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조절바(41)는 양단이 좌우에 위치하는 브레이싱재(2)의 측면을 각각 지지한다.
상기 조절바(41)는 가이드리브(32)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양단에 브레이싱재(2)가 지지된 조절바(41)의 상승이 용이하도록 조절바(41)의 양단, 특히 양단 상부는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볼트(42)는 조절바(41)를 가이드리브(32)에 결합한다.
상기 고정볼트(42)는 복수 개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작업의 용이성, 절점보강부(3)의 안정적인 승하강 등을 위하여 고정볼트(42)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바(41)와 가이드리브(32)에는 각각 결합공(411, 321)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바(41)는 고정볼트(42)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위로 상승시킨 후 다시 고정볼트(42)로 조여 가이드리브(32)에 결합한다.
상기 고정볼트(42)가 조절바(41)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조절바(41)의 높이가 상승할 수 있도록 결합공(411, 321)은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중, 가이드리브(32)는 보강재의 역할도 수행하므로, 조절바(41)의 결합공(411)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가이드리브(32)의 단면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연결가압부가 구비된 조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조절부가 결합된 절점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4)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2)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32)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조절바(41) 및 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조절바(41)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가압부(43)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4)는 조절바(41)와 연결가압부(43)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바(41)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2)의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32)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조절바(41)는 가이드리브(32)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결가압부(43)는 한 쌍의 조절바(41)의 하부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조절바(41)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가압부(43)의 하부를 공구 등으로 타격하여 조절부(4) 전체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과 같이, 한 쌍의 조절바(41)와 가이드리브(32)는 고정볼트(42)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절바(41)와 가이드리브(32)에는 각각 결합공(411, 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공(411, 321)은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바(41)의 결합공(411)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가이드리브(32)의 단면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4)에는 상기 연결가압부(43)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공(431)에 삽입 관통되어 가이드리브(32)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4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32)의 하부에는 고정공(322)을 소정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공(322)의 내주면에는 조절볼트(4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공구 타격 없이 조절볼트(44)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조절부(4)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가압부(43)의 결합공(431)에 볼트몸통이 관통 삽입된 조절볼트(44)를 조이면, 조절볼트(44)의 볼트몸통이 고정공(322) 내로 진입하면서 조절볼트(44)의 머리부가 연결가압부(43)를 가압하여 조절부(4)를 상승시킨다.
상기 조절볼트(44)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시공의 용이성, 조절부(4)의 안정적인 상승 등을 고려하여 연결가압부(43)의 하단에 좌우 한 쌍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볼트(44)가 구비되는 경우, 고정볼트(42)의 시공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1의 (a) 내지 (d)는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의 제작 방법에 대한 각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의 제작 방법은 폐단면 강관인 상하 한 쌍의 현재(1a, 1b)와 상기 현재(1a, 1b)의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브레이싱재(2)로 구성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의 제작 방법은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전술한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도 11의 (a) 내지 (d)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폐단면 강관 트러스의 제작 방법에서는 먼저 (a) 일측 현재(1a)의 절점부에 복수의 브레이싱재(2) 일단을 결합한다(도 11의 (a)).
상기 복수의 브레이싱재(2)는 각각 일측 현재(1a)의 절점부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b) 현재(1a, 1b)의 절점부 측 외부면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현재보강판(31) 및 상기 현재보강판(31)의 외측면에 현재(1a, 1b)의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리브(32)로 구성되는 절점보강부(3)의 가이드리브(32)를 브레이싱재(2)의 타단에 형성된 절개홈(21)에 삽입하여 가결합한다(도 11의 (b)).
상기 가이드리브(32)는 브레이싱재(2)의 단부를 관통하여 브레이싱재(2)의 상단을 현재(1a, 1b)에 고정하는 것으로, 절점보강부(3)를 브레이싱재(2)의 단부에 가고정한다.
이후, (c) 상기 절점보강부(3)의 현재보강판(31) 상부에 타측 현재(1b)를 거치한다(도 11의 (c)).
상기 절점보강부(3)의 현재보강판(31)은 현재(1b)가 거치되는 거치대 역할을 하므로 강관 트러스 제작이 용이하다.
그리고 (d) 상기 현재보강판(31)과 타측 현재(1b) 및 절점보강부(3)와 브래이싱재를 용접하여 고정한다(도 11의 (d)).
상기 브레이싱재(2)는 단부가 현재보강판(31)에만 용접되는 것이 아니라 브레이싱재(2)의 절개홈(21)과 가이드리브(32)가 용접되므로, 충분한 용접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싱재(2)의 단부를 내외에서 보강하고 단면적을 증가시켜 단부 국부 좌굴, 인장 파괴 등의 방지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절점부에는 한 쌍의 브레이싱재(2)가 일정 각도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리브(3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2)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32)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4)가 구비되어, 상기 (c) 단계에서, 타측 현재(1b)를 거치하기 전 또는 거치한 후에 조절부(4)를 상승시켜 좌우 브레이싱재(2)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절점보강부(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부(4)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브레이싱재(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절점보강부(3)를 포함하여 절점부의 위치에서 각 부재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4)는 가이드리브(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4)는 조절바(41)와 고정볼트(42)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바(41)와 가이드리브(32)에는 각각 결합공(411, 3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4)는 한 쌍의 조절바(41)와 연결가압부(43)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한 쌍의 조절바(41)와 가이드리브(32)는 고정볼트(42)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부(4)에는 상기 연결가압부(43)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공(431)에 삽입 관통되어 가이드리브(32)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4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 이후에는 조절부(4)를 제거할 수 있다.
제거된 조절부(4)는 재사용 가능하다.
1, 1a, 1b: 현재
2: 브레이싱재
21: 절개홈
3: 절점보강부
31: 현재보강판
311: 용접균열방지홀
32: 가이드리브
321: 결합공
322: 고정공
4: 조절부
41: 조절바
411: 결합공
42: 고정볼트
43: 연결가압부
431: 결합공
44: 조절볼트

Claims (10)

  1. 폐단면 강관인 상하 한 쌍의 현재(1a, 1b)와 상기 현재(1a, 1b)의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브레이싱재(2)로 구성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에서,
    상기 현재(1a, 1b)와 브레이싱재(2)의 절점에서 현재(1a, 1b)와 브레이싱재(2)의 사이에 현재(1a, 1b)의 절점부 측 외부면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은 현재(1a, 1b)의 절점부에 밀착 결합되고 타측면은 브레이싱재(2)의 단부가 결합되는 현재보강판(31)과 상기 현재보강판(31)의 브레이싱재(2)가 결합되는 일면에 현재(1a, 1b)의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브레이싱재(2)의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21)에 삽입되어 브레이싱재(2)와 용접 결합되는 가이드리브(32)를 포함하는 절점보강부(3)가 구비되며,
    상기 절점부에는 한 쌍의 브레이싱재(2)가 일정 각도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리브(3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2)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32)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조절부(4)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2)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32)의 측면에 밀착되는 조절바(41) 및 상기 조절바(41)와 가이드리브(32)에 형성된 결합공(411, 321)에 체결되어 조절바(41)를 가이드리브(32)에 고정하는 고정볼트(42)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공(411, 321) 중 어느 하나는 수직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
  5. 제1항에서,
    상기 조절부(4)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2)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32)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조절바(41) 및 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조절바(41)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가압부(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
  6. 제5항에서,
    상기 조절부(4)에는 상기 연결가압부(43)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공(431)에 삽입 관통되어 가이드리브(32)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4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
  7. 제1항에서,
    상기 현재보강판(31)에는 복수의 용접균열방지홀(311)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
  8. 폐단면 강관인 상하 한 쌍의 현재(1a, 1b)와 상기 현재(1a, 1b)의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브레이싱재(2)로 구성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일측 현재(1a)의 절점부에 복수의 브레이싱재(2) 일단을 결합하는 단계;
    (b) 현재(1a, 1b)의 절점부 측 외부면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현재보강판(31) 및 상기 현재보강판(31)의 외측면에 현재(1a, 1b)의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리브(32)로 구성되는 절점보강부(3)의 가이드리브(32)를 브레이싱재(2)의 타단에 형성된 절개홈(21)에 삽입하여 가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절점보강부(3)의 현재보강판(31) 상부에 타측 현재(1b)를 거치하되, 상기 절점부에는 한 쌍의 브레이싱재(2)가 일정 각도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리브(3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양단이 좌우의 브레이싱재(2)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리브(32)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4)가 구비되어, 타측 현재(1b)를 거치하기 전 또는 거치한 후에 조절부(4)를 상승시켜 좌우 브레이싱재(2)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절점보강부(3)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d) 상기 현재보강판(31)과 타측 현재(1b) 및 절점보강부(3)와 브래이싱재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의 제작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조절부(4)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강관 트러스의 제작 방법.
KR1020170173287A 2017-12-15 2017-12-15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853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287A KR101853863B1 (ko) 2017-12-15 2017-12-15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287A KR101853863B1 (ko) 2017-12-15 2017-12-15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863B1 true KR101853863B1 (ko) 2018-05-02

Family

ID=6218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287A KR101853863B1 (ko) 2017-12-15 2017-12-15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8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6032A (zh) * 2019-11-27 2020-04-17 航天海鹰(镇江)特种材料有限公司 一种长桁零件压损实验制件的成型装置及其应用
DE102022206427A1 (de) 2022-06-27 2023-12-28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Verbindungselement zum Verbinden eines Gurts einer Stabwerkstruktur mit mindestens einer Strebe einer Stabwerkstruktu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256B1 (ko) * 2007-02-20 2007-12-06 현대건설주식회사 T형 전단연결재와 볼트 연결구조를 가지는 복부 트러스복합 거더 및 그 격점부 연결구조
KR100994960B1 (ko) * 2010-07-28 2010-11-17 고재욱 강관 트러스교의 보강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강관 트러스교의 시공방법
KR101139778B1 (ko) * 2009-07-31 2012-04-26 (주)경남윈스텍 패널지지용 커튼월의 스페이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90065B1 (ko) * 2015-09-10 2016-01-29 주식회사 우정테크 조립형 합성 트러스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1669441B1 (ko) * 2015-12-30 2016-10-27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강관 트러스구조물의 힌지격점부,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강관 트러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66429B1 (ko) * 2017-06-05 2017-08-08 주재호 강관 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교의 시공 방법
KR101798038B1 (ko) * 2017-01-12 2017-11-16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내부보강판과 거세트 판에 의해 보강된 강관트러스 구조물의 연결부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256B1 (ko) * 2007-02-20 2007-12-06 현대건설주식회사 T형 전단연결재와 볼트 연결구조를 가지는 복부 트러스복합 거더 및 그 격점부 연결구조
KR101139778B1 (ko) * 2009-07-31 2012-04-26 (주)경남윈스텍 패널지지용 커튼월의 스페이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94960B1 (ko) * 2010-07-28 2010-11-17 고재욱 강관 트러스교의 보강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강관 트러스교의 시공방법
KR101590065B1 (ko) * 2015-09-10 2016-01-29 주식회사 우정테크 조립형 합성 트러스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1669441B1 (ko) * 2015-12-30 2016-10-27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강관 트러스구조물의 힌지격점부,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강관 트러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98038B1 (ko) * 2017-01-12 2017-11-16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내부보강판과 거세트 판에 의해 보강된 강관트러스 구조물의 연결부 시공방법
KR101766429B1 (ko) * 2017-06-05 2017-08-08 주재호 강관 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교의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6032A (zh) * 2019-11-27 2020-04-17 航天海鹰(镇江)特种材料有限公司 一种长桁零件压损实验制件的成型装置及其应用
DE102022206427A1 (de) 2022-06-27 2023-12-28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Verbindungselement zum Verbinden eines Gurts einer Stabwerkstruktur mit mindestens einer Strebe einer Stabwerkstrukt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608B1 (ko) 파이 트러스 구조
KR101853863B1 (ko) 폐단면 강관 트러스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868677B1 (ko) 메인 철골보와 보조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2358872B1 (ko) 가설건축물용 보강구조물
KR101697234B1 (ko) 기둥과 보의 강접합 구조물
WO2019074050A1 (ja) H形鋼の接合構造
KR20110113444A (ko) 가조립이 가능한 파이프 트러스 조인트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교의 시공방법
KR100516332B1 (ko) 댐퍼 접합부를 구비한 철골구조
KR101766429B1 (ko) 강관 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교의 시공 방법
KR200383847Y1 (ko) 철근 연결구
KR102035390B1 (ko) 이중강관을 이용한 트러스트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2008025236A (ja) 端部と中央部とで強度の異なる緊張材を用いた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梁
KR101795607B1 (ko) 부모멘트부 스틸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CN116464161A (zh) 震后可更换装配式管状腹板削弱连接节点及其拼装方法
KR100506573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세그먼트부재에 의해 구축되는강판빔 및 그 시공방법
JP2020111930A (ja) 木質梁接合構造
KR101590065B1 (ko) 조립형 합성 트러스거더 및 그 시공방법
JP7440037B2 (ja) 取付治具
JP7265417B2 (ja) 柱梁接合方法
JP2005248487A (ja) 中空鋼管鉄塔の添接丸材による補強構造
KR101953016B1 (ko) 좌굴 방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셋 플레이트의 무용접/조립형 보강방법
KR101716675B1 (ko) 이음부가 보강된 강관 연결 구조체 및 이러한 강관 연결 구조체를 구비하는 교량
KR200386308Y1 (ko) 철근 연결구
KR101003000B1 (ko) 더블티 트러스 구조
KR102183913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