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839B1 -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839B1
KR101853839B1 KR1020180009505A KR20180009505A KR101853839B1 KR 101853839 B1 KR101853839 B1 KR 101853839B1 KR 1020180009505 A KR1020180009505 A KR 1020180009505A KR 20180009505 A KR20180009505 A KR 20180009505A KR 101853839 B1 KR101853839 B1 KR 101853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llow
grease
vertical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창인
Original Assignee
(주) 아시안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시안룩스 filed Critical (주) 아시안룩스
Priority to KR1020180009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01D46/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그리스필터를 분해하지 않고 그리스필터의 내부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에 관한 것으로, 유증기가 수직방향으로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과 각 중공의 내면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수직방향으로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관로를 갖는 수직필터; 수직필터의 하면에 부착되어 세척액을 수직필터의 각 관로에 전달하는 하부덮개; 및 수직필터의 상면에 부착되어 수직필터의 각 관로의 일단을 밀봉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고, 수직필터의 각 중공에는 길이방향 일측이 절개된 형태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각 중공의 슬릿으로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유증기는 수직필터의 각 중공에서 진행 방향이 수직으로 꺾여져 각 중공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유증기에 포함된 그리스가 각 중공의 내면에 흡착된다. 수직필터의 각 관로에 흐르는 세척액이 각 중공의 내면에 분사됨으로써 그리스필터의 중공의 내면에 흡착된 그리스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Grease filter embedding cleaning function and kitchen exhaust system with said Grease filter}
주방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여과하는 그리스필터와 그리스필터가 설치된 주방배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가스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음식을 가열하기 때문에, 음식 조리 과정에서 유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증기에 포함된 그리스는 주방 내부의 공기를 오염시킨다. 주방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키고 주방 내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그리스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주방배기시스템이 주방에 설치된다. 오염된 공기를 그대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은 대기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여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그리스 성분을 제거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주방배기시스템에 그리스필터를 설치하여, 그리스 성분을 여과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고 있다.
종래의 주방배기시스템에 포함되는 그리스필터는 구조와 필터링 방식에 따라 매쉬형 필터, 베플형 필터, 수직배기형 필터로 구분된다. 매쉬형 필터나 베플형 필터는 공기가 필터의 전면으로 유입되어 필터의 후면으로 배출하는 구조이고, 수직배기형 필터는 공기가 필터의 전면으로 유입되어 필터의 상하면으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수직배기형 필터는 공기의 유입방향과 배출방향이 서로 수직한다는 점에서 다른 필터들과 차이가 있다. 수직배기형 필터는 유입된 공기가 필터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배기통로의 내벽면에 수직하게 흡기되어, 내벽면과 정면으로 맞부딪치고 이러한 과정에서 공기 속에 포함된 기름이나 먼지와 같은 그리스가 필터에 흡착되는 방식으로 그리스 성분을 여과한다. 수직배기형 필터는 그것의 독특한 구조로 인해 유증기가 통과되는 통로가 다른 타입의 필터에 비해 길게 형성될 수 있어 그리스 여과 효율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갖고 있다.
그리스필터에 의해 여과되는 그리스는 끈적끈적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그리스필터의 표면에 달라붙게 된다. 그리스필터가 많은 그리스를 여과할수록 그리스필터 표면에 달라붙은 그리스의 양이 점차 증가하며, 달라붙은 그리스의 양이 증가할수록 그리스필터의 여과 효율은 감소하며, 화재의 위험성 또한 증가한다. 이에 따라, 그리스필터의 표면에 달라붙은 그리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그리스필터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수직배기형 필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스 여과 성능이 우수하나 긴 통로 구조로 인해 세척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42796호 “쌍방향 세척 기능을 갖는 천장매립형 주방배기시스템”은 그리스필터를 세척하기 위하여, 그리스필터의 외부에서 그리스필터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향해 세척액을 분사한다. 이러한 종래의 그리스필터 세척 방식은 세척액이 분사되는 그리스표면의 외부만이 세척될 뿐, 세척액이 직접 닿지 않는 그리스필터 내부는 세척되지 않아, 작업자들이 주기적으로 그리스필터를 분해하여 수작업으로 그리스필터의 내부를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수직배기형 구조에 의해 그리스 여과 효율이 높으면서도 그리스필터를 분리하지 않고 그리스필터의 내부를 쉽게 세척할 수 있어 그리스필터의 내부에 흡착된 그리스가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는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이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는 유증기가 수직방향으로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과 상기 각 중공의 내면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수직방향으로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관로를 갖는 수직필터; 상기 수직필터의 하면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세척액을 상기 수직필터의 각 관로에 전달하는 하부덮개; 및 상기 수직필터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수직필터의 각 관로의 일단을 밀봉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필터의 각 중공에는 상기 각 중공의 길이방향 일측이 절개된 형태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중공의 슬릿으로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유증기는 진행 방향이 수직으로 꺾여져 상기 각 중공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증기에 포함된 그리스는 상기 각 중공의 내면에 흡착되고, 상기 수직필터의 각 관로에 흐르는 세척액은 상기 각 중공의 내면에 분사된다.
상기 수직필터의 각 중공의 내면은 횡단면이 상기 각 중공의 슬릿으로부터 상기 중공 내부로 진입할수록 곡률 반지름이 감소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중공의 슬릿으로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유증기는 상기 횡단면 나선형의 중공 내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진행하고, 상기 유증기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된 유증기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그리스는 상기 각 중공의 내면에 달라붙게 된다.
상기 수직필터는 각각이 막대 형태로 내부에 유증기가 통과하는 길이방향의 중공과 상기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단위필터; 및 각각이 관 형태로 상기 각 단위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홈 각각에 매립되어 상기 각 단위 필터의 중공의 내면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흐르는 복수 개의 매립관을 포함한다.
상기 각 매립관의 표면 중 상기 각 단위필터의 중공의 내면 측으로 노출된 전면은 분사방향이 상기 각 단위필터의 중공의 내면을 향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이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매립관에 흐르는 세척액은 상기 복수 개의 분사노즐을 통하여 상기 각 단위 필터의 중공의 내면에 분사된다.
상기 각 매립관의 표면 중 상기 각 단위필터의 홈 내부에 은닉된 후면은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각 단위필터의 각 홈의 횡단면 면적이 상기 각 매립관의 횡단면 면적보다 큼에 따라 형성되는 각 매립관의 후면과 각 홈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하부덮개를 통해 유입된 세척액이 흐르고, 상기 각 매립관의 후면과 각 홈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흐르는 세척액은 상기 각 매립관의 후면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각 매립관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하부덮개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세척액이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통로가 형성된 직사각판 형태로 상기 통로와 상기 각 매립관의 후면과 각 홈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이 연통되는 구조로 상기 수직필터의 하면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배기시스템은 만곡된 사각판 형태로 주방의 천장에 배치되고 주방에서 발생된 유증기를 수용하는 중앙 포집판; 및 상기 중앙 포집판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 포집판에 수집된 유증기를 여과하여 주방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모듈은 “L”형의 횡단면의 직관 형태로 상기 배기모듈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의 흡기 슬릿이 형성되고 주방의 천장에 부착되는 모듈본체; 상기 모듈본체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항의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그리스필터 아래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그리스필터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척액을 수용하는 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본체의 상면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모듈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그리스필터로부터의 세척액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가 형성된다.
유증기가 수직방향으로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과 각 중공의 내면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수직방향으로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관로를 갖는 수직필터의 각 중공에는 각 중공의 길이방향 일측이 절개된 형태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각 중공의 슬릿으로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유증기는 진행 방향이 수직으로 꺾여져 각 중공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증기에 포함된 그리스는 각 중공의 내면에 흡착되고, 수직필터의 각 관로에 흐르는 세척액은 각 중공의 내면에 분사됨으로써 수직배기형 구조에 의해 그리스 여과 효율이 높으면서도 그리스필터를 분리하지 않고 그리스필터의 내부를 쉽게 세척할 수 있어 그리스필터의 내부에 흡착된 그리스가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다. 게다가, 그리스필터의 내부에 흡착된 그리스가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리스필터의 여과 효율을 항상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수직필터의 각 중공의 내면은 횡단면이 각 중공의 슬릿으로부터 중공 내부로 진입할수록 곡률 반지름이 감소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각 중공의 슬릿으로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유증기는 횡단면 나선형의 중공 내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진행하고, 유증기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된 유증기의 원심력에 의해 유증기에 포함된 그리스는 각 중공의 내면에 달라붙게 됨으로써 유증기에 포함된 그리스가 각 중공의 내면에 강하게 달라붙게 되어 종래의 수직배기형 그리스필터에 비해 그리스 효과 효율이 대폭 상승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필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리스필터(1)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수직필터(12)를 구성하는 단위필터(12)의 사시도이다.
도 3b 및 3c는 도 3a에 도시된 단위필터(12)에 매립된 매립관(124)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단위필터(12)의 횡단면도로서, 각 매립관(124)의 분사노즐(1241)로부터 세척액이 분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배기시스템(5)의 사시도이다.
도 6-7은 도 5에 도시된 주방배기시스템(5)의 우측배기모듈(53)의 정면도이다.
도 8-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필터(12)의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입된 유증기가 배기통로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동마찰손실을 최소화하며, 원심력 강화에 따른 여과효율을 향상시키고, 그리스필터의 분해 없이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를 간략하게 “그리스필터”로 호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필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리스필터(1)의 분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필터(1)는 수직필터(12), 상부덮개(11), 및 하부덮개(13)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수직필터(12), 상부덮개(11) 및 하부덮개(13)는 별개로 제작된 후에 결합될 수도 있고, 수직필터(12), 상부덮개(11) 및 하부덮개(13)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필터(1)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그리스필터(1)는 상기된 구성요소 이에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직필터(12)는 직사각형 블록의 형태로 형성되어 유증기가 수직방향으로 흐르는 복수 개의 중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필터(12)의 각 중공(121)에는 중공(121)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절개된 형태의 슬릿(1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필터(12)의 정면에는 복수 개의 슬릿(122)이 형성되어 있다. 주방에서 발생된 유증기는 각 슬릿(122)을 통하여 중공(121)으로 유입된다. 슬릿(122)을 통해 중공(121)으로 유입된 유증기는 진행방향이 수직으로 꺾여서 중공(121)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유증기는 중공(121)을 수직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중공(121)의 내면과 접촉하고, 유증기와 중공(121)의 내면 사이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그리스가 응결되고 중공(121)의 내면에 흡착된다. 유증기의 효율적인 응결을 위하여 수직필터(12)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수직필터(12)의 중공에서 여과된 유증기는 유입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기된다.
종래의 수직배기형 필터는 그리스를 흡착하는 판 또는 표면이 흡입되는 기류의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어 기류의 흐름을 방해하고 기류의 정압이 감소됨으로써 그리스의 여과효율이 저하된다. 이러한 기류 및 정압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필터(12) 내부의 중공을 나선형으로 형성한다. 수직필터(12)의 중공(121)의 횡단면은 슬릿(122)으로부터 중공(121)의 내부로 진입할수록 곡률 반지름이 감소하는 작아지는 나선형의 형상을 가진다. 각 중공(121)의 슬릿(122)으로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유증기는 나선형 중공(121)의 내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유입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진행한다. 유증기가 수직필터의 나선형 중공(121)에서 회전하면서 원심력이 발생하고, 유증기의 원심력에 의해 유증기에 함유된 그리스 성분이 중공(121)의 내면을 향해 쏠리게 됨으로써, 그리스가 중공(121)의 내면에 달라붙게 된다. 결과적으로, 수직필터(12)의 중공(121)을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슬릿(122)을 통해서 유입된 유증기의 기류 및 정압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중공(121)의 나선형 내면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종래의 수직배기형 그리스필터에 비하여 높은 그리스 여과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스는 끈끈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리스필터(1)에 의해 더 많은 유증기가 여과될수록, 중공(121)의 내면에 붙어있는 그리스가 누적된다. 그리스가 누적될수록 그리스필터(1)의 여과 효율을 점차 떨어지게 된다. 게다가, 그리스필터(1)에 누적된 그리스는 화재의 원인이기 때문에 제거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그리스필터(1)는 누적된 그리스를 제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세척되어야 한다. 종래의 대부분의 주방배기시스템은 그리스필터의 외부에서 그리스필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그리스필터를 세척한다. 종래의 세척 방식은 그리스필터의 외부만이 세척될 뿐, 그리스필터의 내부는 세척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직필터(12)는 각 중공(121)의 내면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수직방향으로 흐르는 두 개의 관로(123)가 형성된다. 수직필터(12)의 관로(123)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세척액이 각 중공(121)의 내면에 분사됨으로써, 중공(121)의 내면에 흡착되어 있는 그리스가 세척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 중공(121)에 두 개의 관로(123)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중공(121)에 형성된 관로의 개수나 배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수직필터(12)의 관로(123)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부덮개(11)는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수직필터(12)의 상부에 부착되어 수직필터(12)의 각 관로(123)의 일단을 밀봉한다. 상부덮개(11)는 각 관로(123)에서 흐르는 세척액이 수직필터 외부로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각 관로(123)의 일단을 밀봉한다. 이에 따라, 각 관로(123)에 흐르는 세척액은 그리스필터의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고 각 관로(123)에서만 흐르게 된다. 각 관로(123) 내부에 흐르는 세척액의 압력이 유지되고 세척액이 고압으로 각 중공(121)의 내면에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부덮개(11)에는 수직필터(12)의 각 중공(121)에서 여과된 유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각 중공(121)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개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덮개(11)의 복수 개의 개구(111)는 각 중공(121)에서 여과된 유증기를 유증기가 중공에 유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출한다.
하부덮개(13)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세척액이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통로(132)가 형성된 직사각판 형태로 통로(132)와 각 매립관(124)의 후면과 각 홈(123)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이 연통되는 구조로 수직필터(12)의 하면에 부착된다. 하부덮개(13)의 통로(132)는 “U”형의 횡단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덮개(13)는 외부로부터 세척액이 주입되는 세척액 주입구(131)를 더 포함한다. 하부덮개(13)의 세척액 주입구(131)에 주입된 세척액은 하부덮개(13)의 통로(132)를 통해서 수직필터(12)의 각 관로(123)로 유입된다. 또한, 하부덮개(13)에는 수직필터(12)의 각 중공(121)에서 여과된 유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각 중공(121)과 연통되는 복수의 개구(133)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덮개(13)의 복수 개의 개구(133)는 각 중공(121)에서 여과된 유증기를 유증기가 중공에 유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출한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수직필터(12)를 구성하는 단위필터(12)의 사시도이고, 도 3b 및 3c는 도 3a에 도시된 단위필터(12)에 매립된 매립관(124)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단위필터(12)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수직필터(12)는 복수 개의 단위필터(12) 및 복수 개의 단위필터(12)에 매립되는 복수 개의 매립관(124)으로 구성된다. 도 3a 내지 4를 참조하면, 각 단위필터(12)는 사각막대 형태로 내부에 유증기가 통과하는 길이방향의 중공(121), 중공(121)의 길이방향 일측이 절개된 형태의 슬릿(122), 및 중공(121)이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두 개의 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각 매립관(124)은 사각관 형태로 각 단위필터(12)의 두 개의 홈(123) 각각에 매립되어 그 내부에 각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흐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필터(12)는 하나의 중공(121)을 갖는 복수 개의 단위필터(12)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중공(121)을 갖는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단위필터(12)에서 유증기에 포함된 그리스를 여과하는 방식은 수직필터(12)에 대한 설명된 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수직필터(12)에서 기재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각 단위필터(12)에는 세척액이 길이방향으로 흐르는 두 개의 관로(123)가 형성되어 있다. 각 관로(123)는 중공(121)의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홈(123)과 각 홈(123)에 매립된 매립관(124)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위필터(12)의 각 홈(123)을 통하여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으로 분사되는 세척액이 단위필터(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단위필터(12)의 두 개의 관로(123)는 그 횡단면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위필터(12)에 두 개의 관로를 형성한 것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형성된 관로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단위필터(12)의 양 측면 중 일측에는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암부와 수부 중 하나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암부와 수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있다. 암부와 수부의 맞물림 결합에 의해 복수 개의 단위필터(12)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단위필터(12)의 각 관로(123)가 홈 형태로 형성되고 단위필터 간의 결합을 위한 암부와 수부가 홈과 돌출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단위필터(12)는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단위필터를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단위필터를 결합하여 대형 수직필터를 저렴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각 단위필터(12)의 각 홈(123)에 매립된 매립관(124)은 금속재질의 단위필터(12)의 홈(123)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매립관(124)의 표면 중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 측으로 노출된 전면은 단위필터(12)의 중공(121)에서 회전하는 유증기의 기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립관(124) 근처의 중공(121) 내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매립관(124)의 전면에는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을 향하여 세척액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1241)이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분사노즐(1241)은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을 향하는 분사방향을 가지고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위필터(12)의 두 개의 홈(123)은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각 홈(123)에 결합된 매립관(124)에 포함된 복수 개의 분사노즐의 분사방향이 중공(121)의 내면의 상이한 부분을 향한다. 이에 따라,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고,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에 흡착된 그리스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각 매립관(124)의 횡단면은 단위필터(12)의 각 홈(123)에 끼워 맞춰지도록 각 홈의 전단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제조된다. 각 매립관(124)이 각 단위필터(12)의 각 홈(123)에 끼워 맞춰지기 위하여, 각 홈(123)의 횡단면 면적은 각 매립관(124)의 횡단면 면적보다 미세하게 크다. 각 홈의 전단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각 매립관(124)은 각 홈(123)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매립관(124)과 홈(123) 사이에서 흐르는 세척액이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세척액이 복수 개의 분사노즐(1241)을 통하여 고압으로 중공(121)의 내면으로 분사될 수 있게 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각 매립관(124)의 표면 중 각 단위필터(12)의 홈(123) 내부에 은닉된 후면은 개구되어 있다. 각 단위필터(12)의 각 홈(123)의 횡단면 면적이 각 매립관(124)의 횡단면 면적보다 큼에 따라 형성되는 각 매립관(124)의 후면과 각 홈(123)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하부덮개(13)의 세척액 주입구(131)를 통해서 주입된 세척액이 흐른다. 각 매립관(124)의 후면과 각 홈(123)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서 흐르는 세척액은 각 매립관(124)의 후면 개구를 통하여 각 매립관(124)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각 매립관(124)의 내부로 유입된 세척액은 각 매립관(124)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분사노즐에 의하여 각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으로 분사된다.
각 매립관(124)의 표면 중 상면과 후면은 각 매립관(124)의 내부로 유입된 세척액이 각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매립관(124)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판으로 밀폐되어 있다. 각 매립관(124)의 상면과 후면에 형성된 각 판으로 인해, 수직필터(12)가 상부덮개(11와 하부덮개(13)와 결합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는 틈에 의해 각 매립관(124) 내부에 유입된 세척액이 각 단위필터(12)의 중공(121) 내부로 새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단위필터(12)의 횡단면도로서, 각 매립관(124)의 분사노즐(1241)로부터 세척액이 분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위필터(12)의 각 홈(123)에 결합된 각 매립관(124)의 분사노즐(1241)로부터 세척액이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을 향하여 고압으로 분사되고 있다. 각 매립관(124)의 분사노즐(1241)로부터 고압으로 분사된 세척액은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을 강타하고, 중공(121)의 내면의 표면을 따라 흐르며 중공(121)의 내면에 흡착된 그리스를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경우, 각 매립관(124)의 분사노즐(1241)로부터 분사된 세척액은 중공(121)의 내면을 강타하고 중공(121)의 나선형 내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중공(121)의 내면에 흡착된 그리스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그리스필터(1)를 분해하지 않더라도 그리스필터(1)의 내부를 쉽고 깔끔하게 세척할 수 있다.
중공(121)의 내면을 따라 흐르면서 그리스를 제거한 세척액은 각 단위필터(12)의 슬릿(122)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그리스필터(1)가 주방배기시스템에 기울어지게 배치된 경우, 기울어진 방향의 아래쪽으로 흘러 각 단위필터(12)의 중공(121)과 연통된 하부덮개(13)의 각 개구를 통해서 그리스필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스필터의 중공의 내면을 세척하고 배출된 세척액을 처리하는 방식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그리스필터(1)의 내부에 세척액이 흐르는 관로(123)를 형성하고, 관로(123)에 흐르는 세척액을 그리스필터(1)의 중공(121)의 내면에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1241)을 갖는 매립관(124)을 삽입함으로써, 그리스필터(1)를 분해하지 않고 그리스필터(1)의 내부를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그리스필터(1)에 삽입되는 각 매립관(124)을 그리스필터(1)의 각 홈(123)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하고 매립관(124)에 상면과 후면을 밀폐시키는 판을 형성함으로써 각 관로에 유입된 세척액이 그리스필터(1)의 중공(121)으로 새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배기시스템(5)의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7은 도 5에 도시된 주방배기시스템(5)의 우측배기모듈(53)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방배기시스템(5)은 포집판(51), 좌측배기모듈(52) 및 우측배기모듈(53)로 구성된다. 주방배기시스템(5)은 일반적으로 주방의 천장에 매립형으로 설치되고, 주방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여과하고, 여과된 공기를 주방 외부로 배출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주방배기시스템에는 외부로 신선한 공기를 주방으로 공급하는 급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특징은 주방 배기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포집판(51)은 주방의 상측 콘크리트벽면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좌측배기모듈(52)과 우측배기모듈(5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포집판(51)은 주방의 천장에 배치되어, 주방에서 음식 조리시 올라오는 유증기를 포집하여 좌측배기모듈(52) 또는 우측배기모듈(53)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우측배기모듈(52)과 좌측배기모듈(53)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및 7은 주방배기시스템(5)의 우측배기모듈(53)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우측배기모듈(53)은 그리스필터(1), 모듈본체(531) 및 차단판(533)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우측배기모듈(53)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우측배기모듈(53)은 상기된 구성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측배기모듈(52)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우측배기모듈(53)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좌측배기모듈(5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우측배기모듈(53)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모듈본체(531)는 전체적으로 "L" 형태의 횡단면의 직관 형태로 형성되어 주방의 천장의 모서리에 설치된다. 모듈본체(531)의 하단부에는 주방으로부터 올라오는 유증기를 모듈본체(531) 내부로 흡기하기 위한 길이방향의 흡기구(532)가 형성된다. 흡기구(532)는 모듈본체(531)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L" 형태의 횡단면의 직관 형태의 모듈본체(531)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535)가 형성된다. 모듈본체(531)의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535)는 건물의 외벽에 매설된 배기관(미도시)과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듈본체(531) 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하기 위하여 배기관의 후단이나 중간에 환풍기(미도시)가 배치되어, 모듈본채(531) 내의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한다. 환풍기의 강제 배기로 인하여, 모듈본체(531)는 흡기구(532)를 통하여 포집판에 포집된 유증기를 모듈본체(531)로 흡기할 수 있다.
모듈본체(531)의 가운데에는 그리스필터(1)가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그리스필터(1)의 복수 개의 슬릿(122)이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스필터(1)는 모듈본체(531)의 흡기구(532)를 통해 흡기된 유증기를 여과하고, 정화된 공기가 배기구(535)와 배기관을 통해서 건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스필터(1)에 의해 여과되는 그리스는 그리스필터(1)의 내부 표면에서 응결되고, 이러한 응결로 인해 형성된 그리스 액체는 그리스필터(1)의 내부 표면에 달라붙어 있게 된다. 이러한 그리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그리스필터(1)의 하부덮개(13)의 세척액 주입구(131)를 통해서 세척액을 주입하고, 주입된 세척액은 하부덮개(13)의 통로(132)와 수직필터(12)의 관로(123)를 통해서 흐르고, 수직필터(12)에 삽입된 각 매립관(124)의 복수 개의 분사노즐(1241)에 의해 그리스필터(1)의 중공(121)의 내면에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스필터(1)의 중공(121)의 내면에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액에 의하여, 그리스필터(1)의 중공(121)의 내면에 달라붙어 있는 그리스들이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그리스필터(1)의 중공(121)의 내면을 세척한 세척액은 그리스필터(1)의 슬릿(122), 상부덮개(11의 복수 개의 개구 및 하부덮개(13)의 복수 개의 개구를 통해서 흘러내리게 된다. 그리스와 세척액이 섞인 오수가 주방으로 떨어질 경우 주방이 오염될 수 있다.
그리스와 세척액이 섞인 오수가 주방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듈본체(531)에는 사각판 형태의 차단판(533)이 그리스필터(1)의 아래쪽에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차단판(533)은 그리스필터(1)의 중공(121)의 내면에 누적되어 흘러내리는 그리스 및/또는 세척시 그리스필터(1)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수를 수용하여, 그리스와 오수가 주방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L" 형태의 횡단면의 직관 형태의 모듈본체(531)의 하면에는 그리스필터(1)로부터 흘러내리는 그리스 및 세척액을 수용하기 위한 배수로(534)가 형성되어 있다. 차단판(533)에 의해 수용된 그리스와 오수는 모듈본체(531)의 하면에 형성된 배수로(534)에 모여진 후에 배수구(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모듈본체(531)의 하면에 형성된 배수로(534)에는 오수가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로(534) 전단에 "U" 형의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로(534)는 오수를 배수구로 흘려보내기 위해 배수구 쪽이 낮아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배수로(534)에 의해 수용된 오수는 배수구 및 배수구와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서 주방 외부로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배수관의 후단에는 오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정화장치에서 오수를 정화하고 정화된 물을 하수도로 배출해야 한다.
도 8-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필터(12)의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단위필터(12)에서는 관로(123)가 단위필터(12)의 슬릿(122)이 배치된 모서리와 대향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단위필터(12)에 따르면, 관로(123)가 단위필터(12)의 슬릿(122)이 배치된 모서리와 인접한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단위필터(12)의 중공(121)에 형성된 관로(123)의 위치에 따라 관로(123)에 매립된 매립관(124)의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액의 분사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리스의 세척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단위필터(12)에 형성되는 관로(123)의 개수 또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로(12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단위필터(12)에서 관로(123)의 배치위치 및 관로(123)의 개수를 조절하여 그리스필터(1)의 내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그리스필터 11: 상부덮개
12: 수직필터, 단위필터 13: 하부덮개
111: 개구 121: 중공
122: 슬릿 123: 관로, 홈
124: 매립관 1241: 분사노즐
131: 세척액 주입관 132: 통로
133: 개구
5: 주방배기시스템 51: 포집판
52: 좌측배기모듈 53: 우측배기모듈
531: 모듈본체 532: 흡기구
533: 차단판 534: 배수로
535: 배기구

Claims (7)

  1. 유증기가 수직방향으로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121)과 상기 각 중공(121)의 내면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수직방향으로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관로(123)를 갖는 수직필터(12);
    상기 수직필터(12)의 하면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세척액을 상기 수직필터(12)의 각 관로(123)에 전달하는 하부덮개(13); 및
    상기 수직필터(12)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수직필터(12)의 각 관로(123)의 일단을 밀봉하는 상부덮개(11)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필터(12)의 각 중공(121)에는 상기 각 중공(121)의 길이방향 일측이 절개된 형태의 슬릿(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중공(121)의 슬릿(122)으로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유증기는 진행 방향이 수직으로 꺾여져 상기 각 중공(121)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증기에 포함된 그리스는 상기 각 중공(121)의 내면에 흡착되고,
    상기 수직필터(12)의 각 관로(123)에 흐르는 세척액은 상기 각 중공(121)의 내면에 분사되는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필터(12)의 각 중공(121)의 내면은 횡단면이 상기 각 중공(121)의 슬릿(122)으로부터 상기 중공(121) 내부로 진입할수록 곡률 반지름이 감소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중공(121)의 슬릿(122)으로 수평방향으로 유입된 유증기는 상기 횡단면 나선형의 중공 내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진행하고, 상기 유증기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된 유증기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유증기에 포함된 그리스는 상기 각 중공(121)의 내면에 달라붙게 되는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필터(12)는
    각각이 막대 형태로 내부에 유증기가 통과하는 길이방향의 중공(121)과 상기 중공(121)이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홈(123)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단위필터(12); 및
    각각이 관 형태로 상기 각 단위필터(12)의 적어도 하나의 홈(123) 각각에 매립되어 상기 각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에 분사되는 세척액이 흐르는 복수 개의 매립관(124)을 포함하는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매립관(124)의 표면 중 상기 각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 측으로 노출된 전면은 분사방향이 상기 각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을 향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1241)이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매립관(124)에 흐르는 세척액은 상기 복수 개의 분사노즐(1241)을 통하여 상기 각 단위필터(12)의 중공(121)의 내면에 분사되는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매립관(124)의 표면 중 상기 각 단위필터(12)의 홈(123) 내부에 은닉된 후면은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각 단위필터(12)의 각 홈(123)의 횡단면 면적이 상기 각 매립관(124)의 횡단면 면적보다 큼에 따라 형성되는 각 매립관(124)의 후면과 각 홈(123)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하부덮개(13)를 통해 유입된 세척액이 흐르고,
    상기 각 매립관(124)의 후면과 각 홈(123)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흐르는 세척액은 상기 각 매립관(124)의 후면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각 매립관(124)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13)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세척액이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통로(132)가 형성된 직사각판 형태로 상기 통로(132)와 상기 각 매립관(124)의 후면과 각 홈(123)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이 연통되는 구조로 상기 수직필터(12)의 하면에 부착되는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7. 만곡된 사각판 형태로 주방의 천장에 배치되고 주방에서 발생된 유증기를 포집하는 포집판(51); 및
    상기 포집판(51)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포집판(51)에 포집된 유증기를 여과하여 주방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모듈(52, 53)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모듈(53)은:
    “L”형의 횡단면의 직관 형태로 상기 배기모듈(53)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의 흡기구(532)가 형성되고 주방의 천장에 부착되는 모듈본체(531);
    상기 모듈본체(531)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항의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1); 및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그리스필터(1) 아래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그리스필터(1)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척액을 수용하는 차단판(533)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본체(531)의 상면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535)가 형성되고, 상기 모듈본체(531)의 하면에는 상기 그리스필터(1)로부터의 세척액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5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배기 시스템.
KR1020180009505A 2018-01-25 2018-01-25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KR101853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05A KR101853839B1 (ko) 2018-01-25 2018-01-25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05A KR101853839B1 (ko) 2018-01-25 2018-01-25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839B1 true KR101853839B1 (ko) 2018-06-08

Family

ID=6259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505A KR101853839B1 (ko) 2018-01-25 2018-01-25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8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976B1 (ko) * 2022-05-27 2023-03-10 (주) 아시안룩스 상업용 주방후드시스템
KR102529288B1 (ko) 2022-09-20 2023-05-08 (주) 아시안룩스 유증기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주방용 조리기기
KR20230123063A (ko) 2022-02-14 2023-08-23 (주)리베첸 주방 배기 구조물
KR20230135210A (ko) 2022-03-15 2023-09-25 (주)리베첸 레인지 후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2903B1 (en) * 1984-03-09 1990-01-03 Halton Oy Grease filter
EP0543108B1 (de) * 1991-09-26 1995-06-14 RENTSCHLER-REVEN-LÜFTUNGSSYSTEME GmbH Abscheider für Flüssigkeiten aus einem Gasstrom, insbesondere für Ölnebel
JP3661067B2 (ja) * 1995-10-11 2005-06-15 富士工業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におけるフィルター清掃装置
JP3743076B2 (ja) * 1996-10-30 2006-02-08 富士工業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のフィルター清掃装置
KR200436864Y1 (ko) * 2006-12-29 2007-10-10 (주)지오퓨어텍 배기후드의 수직형 그리스 필터
WO2008061012A1 (en) * 2006-11-10 2008-05-22 Illinois Tool Works Inc. Impact filter with grease trap
US20080202083A1 (en) * 2007-02-23 2008-08-28 Thomas Graham Grease filter
EP2859931A1 (en) * 2013-10-11 2015-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ease filter
KR101540546B1 (ko) * 2014-12-19 2015-07-30 (주) 아시안룩스 필터효율이 우수한 수직배기형 그리스필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2903B1 (en) * 1984-03-09 1990-01-03 Halton Oy Grease filter
EP0543108B1 (de) * 1991-09-26 1995-06-14 RENTSCHLER-REVEN-LÜFTUNGSSYSTEME GmbH Abscheider für Flüssigkeiten aus einem Gasstrom, insbesondere für Ölnebel
JP3661067B2 (ja) * 1995-10-11 2005-06-15 富士工業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におけるフィルター清掃装置
JP3743076B2 (ja) * 1996-10-30 2006-02-08 富士工業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のフィルター清掃装置
WO2008061012A1 (en) * 2006-11-10 2008-05-22 Illinois Tool Works Inc. Impact filter with grease trap
KR200436864Y1 (ko) * 2006-12-29 2007-10-10 (주)지오퓨어텍 배기후드의 수직형 그리스 필터
US20080202083A1 (en) * 2007-02-23 2008-08-28 Thomas Graham Grease filter
EP2859931A1 (en) * 2013-10-11 2015-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ease filter
KR101540546B1 (ko) * 2014-12-19 2015-07-30 (주) 아시안룩스 필터효율이 우수한 수직배기형 그리스필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063A (ko) 2022-02-14 2023-08-23 (주)리베첸 주방 배기 구조물
KR20230145980A (ko) 2022-02-14 2023-10-18 (주)리베첸 주방 배기 구조물
KR20230145979A (ko) 2022-02-14 2023-10-18 (주)리베첸 주방 배기 구조물
KR20230135210A (ko) 2022-03-15 2023-09-25 (주)리베첸 레인지 후드
KR20240017383A (ko) 2022-03-15 2024-02-07 (주)리베첸 레인지 후드
KR102508976B1 (ko) * 2022-05-27 2023-03-10 (주) 아시안룩스 상업용 주방후드시스템
KR20230165689A (ko) * 2022-05-27 2023-12-05 (주) 아시안룩스 상업용 주방후드시스템
KR102628949B1 (ko) * 2022-05-27 2024-01-24 (주) 아시안룩스 상업용 주방후드시스템
KR102529288B1 (ko) 2022-09-20 2023-05-08 (주) 아시안룩스 유증기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주방용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839B1 (ko)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CN102414360B (zh) 家用干衣机及过滤方法
KR100876198B1 (ko) 다중세척장치가 적용된 여과장치
KR101642796B1 (ko) 쌍방향 세척 기능을 갖는 천장매립형 주방배기시스템
KR101642799B1 (ko) 수렴형 공기막을 형성하는 천장매립형 주방환기시스템
CN103732994A (zh) 抽油烟机
US20090038659A1 (en) Plastic duct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on
CN101545653B (zh) 自洁式过滤器组件及循环系统
JP7340869B2 (ja) レンジフード
KR20200079410A (ko) 세척수 분사장치가 설치된 배수트렌치
JP5541013B2 (ja) レンジフード
CN109519999B (zh) 水箱喷雾式除油烟机
KR101390567B1 (ko) 하수 고액분리 집수정
CN201666605U (zh) 抽油烟机风扇和油脂过滤器的清洗系统
CN106196212A (zh) 管状油烟分离清洗器
KR100927042B1 (ko) 세척수 유도기능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형 연속 여과장치
KR102293204B1 (ko) 양방향 집진 및 여과면적 확대구조의 재생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
KR200366739Y1 (ko) 자외선 살균수단과 물방울 비산방지수단을 구비한에어필터 자동세정장치
JP2017219224A (ja) レンジフード
KR200278984Y1 (ko) 공기 정화용 자동 재생형 공기 필터 장치
KR20070009027A (ko) 렌지후드용 필터 세정장치
CN212157525U (zh) 一种洁净车间新风系统
KR101509621B1 (ko) 펠렛 보일러용 집진장치
RU218778U1 (ru) Скруббер
CN218154378U (zh) 烟罩及油烟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