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383A - 레인지 후드 - Google Patents

레인지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383A
KR20240017383A KR1020240010482A KR20240010482A KR20240017383A KR 20240017383 A KR20240017383 A KR 20240017383A KR 1020240010482 A KR1020240010482 A KR 1020240010482A KR 20240010482 A KR20240010482 A KR 20240010482A KR 20240017383 A KR20240017383 A KR 20240017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hood
air
noise
foreign mat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6814B1 (ko
Inventor
이능구
Original Assignee
(주)리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베첸 filed Critical (주)리베첸
Priority to KR102024001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814B1/ko
Publication of KR2024001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7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ternal rotors, e.g. impeller, ventilator, fan, blower, pump

Abstract

본 발명은 레인지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레인지 후드는 흡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구조물, 상기 배기 구조물이 장착되어 있고,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있고 개방된 하부를 막고 있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장착 구조물 및 상기 장착 구조물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 구조물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켜 상기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 저감 구조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인지 후드{RANGE HOOD}
본 발명은 레인지 후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체가 필요한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이물질의 세척이 가능한 레인지 후드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유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증기는 주방 내부의 공기 및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거나 배출하여 공기를 정화시킬 필요성이 존재하므로, 대부분의 경우, 주방에는 요리 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 시스템은 주로 유증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그리스(grease)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그리스 필터(grease filter)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시스템에 흡입된 공기는 그리스 필터를 통과하게 되므로, 그리스 성분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로 종이 형태로 제작된 그리스 필터는 필터링된 그리스 성분에 의해 오염되어 원활한 필터링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그리스 필터를 교체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정한 시기에 그리스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적절한 시기에 그리스 필터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주방 내의 오염된 공기로 실내 공기질이 악화되어 건강에 위협을 줄 수 있다.
또한, 교체하기 위한 그리스 필터를 구매하는 하는 경제적인 부담 역시 발생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42796호(발명의 명칭: 쌍방향 세척 기능을 갖는 천장매립형 주방배기시스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53839호(발명의 명칭: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교체가 필요한 필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오염된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레인지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레인지 후드 동작 시 발생하는 소음을 크게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레인지 후드는 흡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구조물, 상기 배기 구조물이 장착되어 있고,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있고 개방된 하부를 막고 있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장착 구조물 및 상기 장착 구조물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 구조물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켜 상기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 저감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소음 저감 구조물은 상기 하부 케이스 위에 위치하는 하부판부, 상기 하부판부 위에 위치하고 있고 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소음 저감기 및 상기 소음 저감기 위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판부와 결합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소음 유입구를 구비하고 있는 상부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소음 저감기는 가운데 부분이 비어 있고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소음 저감기는 연장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는 개방 부분과 상기 연장 방향으로 따라 막혀 있는 폐쇄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폐쇄 부분은 정해진 각도로 복수 번 절곡되어 있는 복수 개의 평탄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해 있는 상기 상부판부의 하부면과 상기 소음 저감기의 상부면 사이에는 이격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의 길이는 각각 상기 상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장착 구조물은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사이에는 외부와 통해 있는 개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레인지 후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 구조물은 하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유입부와 통해 있고 정해진 속도와 방향으로 회전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인가되는 흡입 공기에서 이물질을 외측으로 이탈시키는 원심 분리부, 상기 공기 유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원심 분리부를 에워싸게 위치하고, 상기 원심 분리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 수집부 및 상기 이물질 수집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이물질이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상부 쪽으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심 분리부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구비하고 있는 분리부 본체 및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상기 분리부 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정해진 간격으로 나란히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날개의 상단은 상기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고, 각 날개의 하단은 하부면에 결합되어 있어 있고, 각 날개는 하부면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외측 가장자리로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유입부 본체 및 상기 유입부 본체를 막고 있고 복수 개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막음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막음판에 이격되게 연결되어 있고 복수 개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소음 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측 측면 및 상기 상측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수집홈을 구비하고 있는 하측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측면의 내부면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제1 수집홈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집홈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수집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상측 측면의 내부면에는 상기 이물질 수집부의 가운데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속도 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안내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원심 분리부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안내부 본체 및 상기 안내부 본체의 측면 외부면에 상기 원심 분리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란히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방향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고, 인접한 두 방향 가이드판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이동 통로가 생성될 수 있다.
각 방향 가이드판은 일측 방향으로 굽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본 예의 레인지 후드는 오염 정도에 따라 교체해야 하는 그리스 필터지와 같은 필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사라질 수 있고, 교체할 필터를 구매하는 경제적인 부담 역시 없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레인지 후드에서 이물질이 수집되는 이물질 수집부가 용이하게 탈거되고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주방 배기 구조물에서 이물질 수집부를 분리한 후 물 등을 이용하여 분리된 이물질 수집부를 세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터를 필요한 시기에 교체하는 레인지 후드와 비교할 때, 본 예의 레인지 후드는 수집된 이물질이 깨끗이 제거되므로 청결 상태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소음 저감부를 이용하여 레인지 후드의 동작 시 발생하는 소음이 크게 감소하므로, 소비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의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획득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의 일 방향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의 배기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구조물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사시도로서, (a)와 (b)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획득된 사시도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구조물에서 이물질이 흡입 공기에서 분리되어 제1 수집홈에 모이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의 소음 저감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구조물을 일 방향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구조물의 소음 저감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구조물의 소음 저감부를 일 방향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부의 소음 저감기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일 방향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후드(1)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의 레인지 후드(1)는 모터 등의 동작에 의해, 레인지 후드(1)가 설치된 공간 내의 공기를 레인지 후드(1) 속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예의 레인지 후드(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배기 구조물(1a), 이 배기 구조물(1a)이 장착되어 있는 장착 구조물(1b) 및 장착 구조물(1b) 내에 위치하고 있는 소음 저감 구조물(1c)을 구비할 수 있다.
배기 구조물(1a)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장착 구조물(1b)과 결합되어 장착 구조물(1b)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 구조물(1a)은 장착 구조물(1b)을 통과하여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배기 구조물(1a)은 회전 동작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그리스 성분 및 수분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이물질을 분리한 후, 이물질이 분리된 정화된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배기 구조물(1a)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장착 구조물(1b)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배기 구조물(1a)과 결합될 수 있고내부에 소음 저감 구조물(1c)을 내장할 수 있다.
장착 구조물(1b)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직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이나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구조물(1b)은 상부 케이스(11b)와 상부 케이스(11b)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12b), 및 상부 케이스(11b) 및 하부 케이스(12b)에 결합되어 있는 장착부(1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부(11b)는 상부면, 양 측면 및 전면을 구성하고 있는 제1 부분(11b1)와 후면 및 하부면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제2 부분(11b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분(11b1)의 상부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배기 구조물(1a)이 삽입된 후 장착되는 장착 구멍(예, 제1 장착 구멍)(H11b)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구조물(1a)의 일부가 장착 구멍(H11b) 속으로 삽입되어 장착부(13b)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된 것처럼, 장착 구멍(H11b)에는 공기 유입부(30)와 결합된 하부 하우징(20)의 일부가 삽입되어 장착부(13b)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b)의 후면을 구성하는 제2 부분(11b2)은 나사 등을 이용한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제1 부분(11b1)과 결합될 수 있고, 후면부(11b21)와 하부면부(11b22)을 각각 이루는 대략 'ㄴ'자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분(11b1)은 장착 구조물(1b)의 후면뿐만 아니라 하부면 일부도 구성할 수 있다.
제2 부분(11b2)의 후면부(11b21)는 제1 부분(11b1)과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후면부(11b21)와 대응되는 제1 부분(11b1)에는 후면부(11b21)의 일부와 중첩되는 결합부인 결합턱(C11)를 구비할 수 있다.
후면부(11b21)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는 제2 부분(11b2)의 하부면부(11b22)는 조명(L11) 등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상부 케이스(11b)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1 부분(11b1)과 제2 부분(11b2)으로 나눠져 있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제1 부분(11b1)과 제2 부분(11b2)은 끊김없이 연결된 하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케이스(12b)는 상부 케이스(11b)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일 예로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는 면이 완전히 막혀 있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12b)는 장착부(13b)를 통해 상부 케이스(11b)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2b)는 필요에 따라 상부 케이스(11b)와 체결 상태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하부 케이스(12b)를 탈거하여 청소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12b)의 길이 방향(예, 장축 방향)의로의 길이와 폭 방향(예, 단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각각 상부 케이스(11b)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와 폭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12b)가 상부 케이스(11b)의 하부면을 덮을 때, 하부 케이스(12b)와 상부 케이스(11b)의 사이, 즉 평면 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하부 케이스(12b)와 상부 케이스(11b) 사이에는 외부와 통해 있는 개방부(H111)가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케이스(11b)의 하부 테두리 부분에 접하게 개방부(H111)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H111)는 장착 구조물(1b)의 내부 공간과 통해 있어, 배기 구조물(1a)이 동작되어 배기 구조물(1a)에 의한 공기의 흡입 동작이 이루어질 때, 외부 공기는 개방부(H111)를 통해 장착 구조물(1b) 속으로 흡입된 후 장착 구조물(1b) 속에 장착되어 있는 배기 구조물(1a) 속으로 흡입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 케이스(11b)의 제1 부분(11b1)과 제2 부분(11b2)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위쪽(즉, 높이 방향)으로 돌출된 후 평면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막음판(C121, C1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막음판(C121, C122)은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하부 케이스(12b)와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막음판(C121, C122)이 존재하더라도 개방부(H111)는 막음판(C121, C122)과 하부 케이스(12b)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장착 구조물(1b)와 통해 있으므로, 장착 구조물(1b)의 내부 공간과 레인지 후드(1)가 장착된 외부 공간은 개방부(H111)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2b)가 장착될 때 이들 막음판(C121, C122)과 하부 케이스(12b)의 가장자리 부분이 두께 방향을 따라 중첩되어, 하부 케이스(12b)와 상부 케이스(11b) 사이의 크기 차이로 인해 장착 구조물(1b)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레인지 후드(1)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장착 구조물(1b)의 하부는 개방부(H111)를 제외하면 하부 케이스(12b)로 모두 막혀 있게 된다. 따라서, 배기 구조물(1a)의 동작, 예를 들어, 공기 흡입을 위한 모터의 회전 동작에 의해 소음이 발생될 때, 아래쪽으로 배출되는 소음은 하부 케이스(12b)에 의해 막히게 되어 배기 구조물(1a)이 장착된 공간으로의 배출이 크게 억제될 수 있다.
장착 구조물(1b)의 장착부(13b)는 상부 케이스(11b)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고, 장착 구조물(1b) 속으로 유입된 배기 구조물(1a)의 부분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예의 장착부(13b)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하부에 위치한 하부 케이스(12b)와 결합되어 하부 케이스(12b)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13b)는,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의 가운데 부분에 상부 케이스(11b)의 장착 구멍(H11b)과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한 장착 구멍(예, 제2 장착 구멍)(H13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13b)는 또한 양 측면에서부터 연장된 후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하부 위치한 하부 케이스(12b)와 결합되는 결합 부분(131b)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하부 케이스(12b)는 장착부(13b)를 통해 상부 케이스(11b)에 안정적으로 매달려 있을 수 있게 된다.
소음 저감 구조물(1c)은 배기 구조물(1a)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여, 배기 구조물(1a)이 장착된 공간으로 배출되는 소음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소음 저감 구조물(1c)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장착 구조물(1b)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 소음 저감 구조물(1c)은 장착 구조물(1b)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공기 유입부(30)의 유입구 본체(31)와 반대편에서 대면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유입구 본체(31)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개방된 유입구 본체(31)의 하부와 대면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소음 저감 구조물(1c)은 배기 구조물(1a)의 동작으로 인해, 개방된 유입구 본체(31)의 하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구조물(1a)의 동작 소음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소음 저감 구조물(1c)는 상부에 위치한 배기 구조물(1a)과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 저감 구조물(1c)은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하부판부(11c), 하부판부(11c) 내에 위치하는 소음 저감부(12c) 및 소음 저감부(12c) 위에 위치하는 상부판부(13c)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판부(11c)는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부와 측부를 각각 막고 있는 하부면과 측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개방된 상부를 통해 소음 저감부(12c)가 하부판부(11c)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소음 저감부(12c)는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소음 저감기(121c)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소음 저감기(121c)는 하부판부(11c)의 일 방향(예, 단축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각 소음 저감기(121c)는 가운데 부분이 비어 있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17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소음 저감기(121c)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는 부분인 개방 부분(P121c)과 길이 방향을 따라 막혀 있는 폐쇄 부분(P122c)을 구비할 수 있고, 도 17의 (b)에 도시한 단면의 형상에서 볼 수 있듯이, 일부는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폐쇄 부분(P122c)으로 막혀 있을 수 있다.
이때, 폐쇄 부분(P122c)은 원형이나 타원형과 같은 곡면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복수 번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평탄면 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복수 개의 직선 부분이 정해진 각도와 방향으로 끊김없이 절곡되어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폐쇄 부분(P122c)은 개방 부분(P121c) 쪽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것처럼, 하부 케이스(11c)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소음 저감기(121c)의 배치 형태, 예를 들어, 배치 방향은 모두 동일할 수 있고, 개방 부분(P121c)이 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이러한 소음 저감기(121c)의 배치 방향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소음 저감기(121c)는 상부 측, 즉 배기 구조물(1a)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 즉 음파는 원 형태로 절곡된 폐쇄 부분(P122c)을 따라 해당 소음 저감기(121c)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소음 저감기(121c) 내부로 유입된 소음은 폐쇄 부분(P122c)의 절곡 방향으로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소음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되어 상부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새로운 소음과 다른 진행 방향으로 가질 수 있다.
이처럼, 각 소음 저감기(121c) 내로 유입되는 소음과 소음 저감기(121c) 내부에서 진행하는 소음의 진행 방향으로 서로 상이하게 되어, 각 소음 저감기(121c) 내부에서는 소음의 상쇄 간섭 등의 현상으로 인해 상쇄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소음의 크기는 크게 줄어들게 된다.
상부판부(13c)는 도 14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소음 저감기(121c) 위에 위치하여 하부판부(11c)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방된 하부판부(11c)의 상부는 상부판부(13c)로 덮여질 수 있고, 복수 개의 소음 저감기(121c)는 하부판부(11c)와 상부판부(13c)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판부(13c)의 상부면에는 소음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소음 유입구(H13c)를 구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부판부(13c)는 다공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다공판 형태의 상부판부(13c)에 의해 배기 구조물(1a)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의 크기는 크게 감소할 수 있다.
소음 유입구(H13c)는 각 소음 저감기(121c)의 연장 방향(예, 세로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소음 유입구(H13c)는 상부판부(13c)에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도 16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판부(13c)의 하부면과 하부면의 해당 부분과 대면하고 있는 각 소음 저감기(121c)의 상면 사이, 즉, 서로 인접해 있는 상부판부(13c)의 하부면과 소음 저감기(121c)의 상부면 사이에는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이격 간격(D12)이 존재하여, 상부판부(13c)는 소음 저감기(121c)와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판부(13c)와 소음 저감기(121c) 사이의 이격 간격(D12)을 통해 소음 유입구(H13c)를 통해 유입된 소음은 해당하는 소음 저감기(121c)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구조물(1a)에 의해 발생하여 배기 구조물(1a)의 하부에 위치한 장착 구조물(1b) 쪽으로 이동하는 소음은 복수 개의 소음 유입구(H13c)를 통해 소음 저감 구조물(1c)의 내부 공간, 즉 하부판부(11c)와 상부판부(13c)의 결합으로 생성된 공간 속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소음 저감 구조물(1c)의 내부 공간 속으로 유입된 소음은 절곡된 소음 유입구(H13c)의 폐쇄 부분(P122c)을 따라 진행하여 진행 방향을 바뀌게 되고, 이러한 진행 방향의 변화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소음의 위상이 서로 상이하여 상쇄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음 저감 구조물(1c) 내로 유입된 소음은 상쇄되거나 크게 줄어들 수 있게 되어, 레인지 후드(1)가 장착된 공간으로 배출되는 소음의 크기 역시 크게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레인지 후드(1)는 레인지 후드(1)가 장착되어 있는 공간과 통해있는 하부의 일부만을 개방된 후 하부 케이스(12b)로 막아 배기 구조물(1a)에서 발생한 소음이 해당 공간으로 배출되는 양을 감소시키고, 이에 더하여, 다공판 형태를 갖는 상부판부(13c)와 복수 개의 소음기(121c)를 구비한 소음 저감 구조물(1c)을 이용하여 발생된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레인지 후드(1)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는 크게 감소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다음, 도 5 내지 도 12을 추가로 참고하여, 배기 구조물(1a)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예의 배기 구조물(1a)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 하우징(10), 상부 하우징(10)과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20), 하부 하우징(20)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 유입부(30),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되어 있고, 공기 유입부(30)의 상부에 위치하여 공기 유입부(30)와 통해 있는 원심 분리부(40), 원심 분리부(40)를 에워싸게 위치하고 있고, 공기 유입부(30)와 하부 하우징(20)에 결합되어 있는 이물질 수집부(50) 및 이물질 수집부(50) 위에서 상부 하우징(10) 내에 위치하고 있는 공기 안내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0) 위에 위치하여 하부 하우징(20)과 결합하는 상부 하우징(10)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 하우징 본체(11) 및 상부 하우징 본체(11)에 연결되어 있는 장착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본체(11)는 상부와 하부 역시 개방될 수 있고, 이때, 상부에 위치한 개구부는 공기 배출구(H11)로서 기능하여 도시하지 않은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구조물(1b) 내로 유입된 후 배기 구조물(1a)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H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본체(11)는 대략 2단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하부에 위치한 1단 부분의 폭은 상부에 위치한 2단 부분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 본체(11)는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된 종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면에 결합되게 위치하는 장착부(12)는 복수 개의 연결 부분(121)과 장착 부분(122)을 구비할 수 있다.
장착 부분(122)은 복수 개의 연결 부분(121)과 연결되어 상부 하우징 본체(11)로 에워싸여져 있는 내부 공간의 대략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고, 가운데 부분에 원형의 구멍을 갖는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 부분(121)은 상부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면에서 하부 쪽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고, 상부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면을 따라 원형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연결 부분(121)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각 연결 부분(121)은 상부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면과 연결되는 연결편(1211) 및 각 연결편(1211)에 연결되어 하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 막대(1212)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연결편(1211)은 대략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연결 막대(1212)는 연결편(1211)을 통해 안전하게 상부 하우징(10)의 내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연결부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 본체(11)의 일체의 구조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20)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2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20)은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되어 본 예의 배기 구조물(1a)을 이물질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서로 결합되어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으로 에워싸여진 내부의 빈 공간 속에 공기 유입부(30), 원심 분리부(40), 이물질 수집부(50) 및 공기 안내부(60)를 수납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은 나사와 나사홈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공기 유입부(30)는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 수집부(5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유입구(H33)는 역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유입부 본체(31), 유입부 본체(31)의 상부에 위치하는 막음판(32), 유입부 본체(31)의 상부면(411)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연결부, 유입부 본체(3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소음 저감부(33) 및 유입부 본체(31)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결합부(34)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부 본체(31)는,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곡면의 측면을 갖고 있고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부의 폭이 하부이 폭보다 좁아, 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나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측면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내부의 공간 역시 나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입부 본체(31)의 측면 상부는 상부에 위치한 이물질 수집부(50)의 하부와 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측면 하부는 하부 하우징(20)의 하단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 유입구(H33)로 유입된 공기는 측면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내부 공간 속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부 본체(31)의 개방된 상부를 막고 있는 막음판(32)은 유입부 본체(31)의 상부면(411)을 구성할 수 있고 안전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막음판(32)은 매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입부 본체(31)의 상부는 막음판(32)의 개방된 부분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입부 본체(31) 내로 유입된 공기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막음판(32)을 통과하여 상부에 위치한 원심 분리부(40)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막음판(32)을 이용하여 소음 저감부(33)가 유입부 본체(31)의 상부면(411)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막음판(32)은 상부에 위치한 원심 분리부(40) 등의 구성요소가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소음 저감부(33)는 배기 구조물(1a)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H33)를 구비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 판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소음 저감부(33)는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에서 하부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된 복수 개의 연결핀(331)에 의해 막음판(32)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소음 저감부(33)는 막음판(32)의 하부면(412)에서부터 정해진 길이, 예를 들어, 연결핀(331)의 연장 길이만큼 하부 쪽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있다.
이로 인해, 막음판(32)과 소음 저감부(33) 사이에는 정해진 길이만큼 이격 공간이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이격 공간에 의해 하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상부 쪽으로 좀 더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부(40) 등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은 소음 저감부(33)에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인 공기 유입구(H33)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므로, 주방과 같이 실내에서 느끼는 소음의 크기는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부(34)는 이물질 수집부(50)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유입부 본체(31)의 측면 외측,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부(34)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외부 측으로 돌출된 결합핀이나 결합 나사와 같은 결합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원심 분리부(40)는 정해진 속도를 갖고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 유입부(3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흡입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그리스 성분 및 수분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흡입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원심 분리부(40)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이물질 수집부(50) 쪽으로 튕겨져 나가게 된다. 이때, 흡입된 공기 속에서 외측으로의 튕김 동작에 의한 이물질의 배출 순서는 무게가 무거운 성분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원심 분리부(40)는 자체의 회전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원심 분리부(40)는, 도 9에 도시한 것처처럼, 분리부 본체(41), 분리부 본체(4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날개(42) 및 구동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분리부 본체(41)는 상부를 덮고 있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부면(411)과 상부면(411)의 반대편에서 상부면(411)과 대향하고 있는 하부면(4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면(411)과 하부면(412)은 서로 정해진 거리를 두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고, 이 상하 방향으로의 이격 공간에 복수 개의 날개(42)가 회전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하부면(412)은 가운데 부분에 구멍을 구비하고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정해진 길이로 아래쪽 방향으로 하강한 하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부(40)의 하부면(412)은 설치면에 평행한 평면 방향을 따라 연장한 후 하부 쪽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부면(412)은 높이에 따라 폭이 상이한 다단 구조(예, 2단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하부면(412)의 상부보다 하부의 폭이 작을 수 있다.
각 날개(42)의 일측단은 하부면(412)의 구멍과 접해있는 내측 가장자리(IB)와 접하게 위치하고 타측단은 외측 가장자리(OB)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날개(42)는 내측 가장자리에서 외측 가장자리)(OB)로 사선으로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고, 인접한 두 날개(42) 사이에는 빈 공간이 위치하여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원심 분리부(40)의 측부는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날개(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 날개(42)는 배기 구조물(1a)의 높이 방향(즉,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복수 개의 날개(42)는 원심 분리부(40)의 상부면(411)의 연장 방향(즉, 원형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이런 상태로 각 날개(42)의 상단은 상부면(411)에 일체로 결합되게 위치하고 하단은 하부면(412)에 일체로 결합되게 위치하므로, 상부면(411), 하부면(412) 및 복수 개의 날개(42)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면(411), 하부면(412) 및 복수의 날개(42)로 인해, 원심 분리부(40)는 상부면(411), 하부면(412) 및 복수의 날개(42)로 에워싸여진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 내부 공간 속으로 공기 유입부(30)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구동부(43)의 상부면(411)의 빈 구멍에 장착되어 상부면(411)과 일체로 연결된 후, 상하 방향으로의 이격 공간을 통해 아래쪽인 공기 유입구(H33)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부(40)의 상부는 상부면(411)과 구동부(43)에 의해 막혀 있어, 하부면(412)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공기 유입부(30)로부터 유입된 흡입 공기는 인접한 두 날개(42) 사이를 통해 원심 분리부(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43)는 모터 및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구동부(43)의 상부는 상부 하우징(10)의 장착 부분(122)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하우징(10)의 장착 부분(122)과 구동부(43) 사이에는 베어링 등이 위치하므로, 구동부(43)의 회전 동작에도 상부 하우징(10)의 장착 부분(122)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43)의 회전 동작에 의해, 구동부(43)와 일체로 연결된 상부면(411)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부면(411)의 회전에 의해 복수 개의 날개(42) 및 하부면(412) 역시 구동부(43)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원심 분리부(4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공기는 인접한 날개(42)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원심 분리부(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날개(42)가 사선으로 위치하므로 원심 분리부(4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외측으로 흩어지지 않고 날개(42)의 설치 방향을 따라서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심 분리부(40)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원심력에 의해 흡입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외측 방향으로 튕겨져 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심 분리부(40)의 하부면(412) 끝단은 이물질 수집부(5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원심 분리부(40)가 정해진 속도로 정해진 방향을 따라 회전하므로, 원심 분리부(40)의 외측면 쪽으로 배출된 공기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원심 분리부(40)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원심 분리부(40)는 고속으로 정해진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공기보다 무거운 무게를 갖는 수분과 유분 들의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튕겨져 나가게 되므로, 흡입 공기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원심 분리부(40)를 외측에서 감싸고 있는 이물질 수집부(50)는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외측으로 튕겨진 이물질이 부딪히는 부분일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예의 이물질 수집부(50)는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수집부 본체(51) 및 수집부 본체(51)에 위치하는 속도 저감부(52)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집부 본체(51)는 곡면의 측면을 갖는 상측 측면(511)과 상측 측면(511)의 아래에 위치하고 가장자리에 수집홈(P511, P512)을 구비하고 있는 하측 측면(5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측 측면(511)의 지름은 하측 측면(512)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수집부 본체(51)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수집부 본체(51)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으며 곡면의 측면을 갖는 대략 항아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은 가운데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측 측면(512)은 상부 측면과 끊김없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수집부(50)의 하측 측면(512)은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1 수집홈(P511)과 이 제1 수집홈(P511)에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는 제2 수집홈(P512)이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에는 가운데 쪽으로 제1 수집홈(P511)과 제2 수집홈(P512)이 연속해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부(40)에서 튕겨져 나온 이물질은 이물질 수집부(50)의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에 부딪힌 후 경사면인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려와 하측 측면(512)에 위치한 제1 수집홈(P511)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집홈(P511)은, 도 10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상측 측면(511)의 끝단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정해진 깊이와 폭을 갖고 있으며, 개방된 하측 측면(512)을 따라 원형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측 측면(511)과 연결된 제1 수집홈(P511)의 내부면은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으므로,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 쪽으로 튕겨져 나가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에 부착된 이물질(100)은 경사진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을 따라 제1 수집홈(P511) 쪽으로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흘러내려가 제1 수집홈(P511) 내에 모일 수 있다.
따라서, 흡입된 공기 속에 포함된 이물질(100)은 원심력에 의해 무게에 따라서 이물질 수집부(50)의 제1 수집홈(P511) 속으로 순차적으로 고이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교체를 해야 되는 별도의 필터 없이도 흡입 공기에서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다.
제2 수집홈(P512)은 제1 수집홈(P511)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수집홈(P511)의 외주연을 따라 원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집홈(P512)은 제1 수집홈(P511)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정해진 폭과 깊이를 갖는 원형의 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집홈(P511)의 내부 바닥면의 높이는 제2 수집홈(P512)의 내부 바닥면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수집홈(P511)과 제2 수집홈(P512)을 구분하기 위해, 제1 수집홈(P511)과 제2 수집홈(P512) 사이에는 격벽(W511)이 존재할 수 있고, 격벽(W511)을 넘어서, 제1 수집홈(P511)과 제2 수집홈(P512)의 공간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집홈(P512)은 제1 수집홈(P511)에 고인 이물질이 제1 수집홈(P511)과 제2 수집홈(P512) 사이에 위치한 격벽(W511)을 넘어 제1 수집홈(P511) 외부, 즉 제2 수집홈(P512) 쪽으로 넘칠 경우를 대비한 예비 수집홈일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2 수집홈(P512)은 제1 수집홈(P511)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수집홈(P511)에서 격벽을 넘어 외부로 이탈한 이물질은 제1 수집홈(P511)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수집홈(P512) 내로 유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집홈(P512)에 의해, 원심 분리부(40)의 동작에 의해 흡입 공기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안전하게 이물질 수집부(50) 내에 위치할 수 있어, 공기 유입구(H33)의 외측면와 같이 배기 구조물(1a)의 다른 구성요소가 분리된 이물질에 의해 2차적으로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원심 분리부(40)의 분리부 본체(41)의 하단은 제2 수집홈(P512)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제2 수집홈(P512)과 인접하거나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부(40)의 내부로 유입된 흡입 공기는 가능한 한 인접한 두 날개(42) 사이의 이격 공간만을 통해 원심 분리부(40)의 외부로 배출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흡입 공기 속에 이물질이 원심력이 의해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있다.
속도 저감부(52)는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 상부쪽에 위치하고 있는 원형의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속도 저감부(52)는 후크 형식으로 이물질 수집부(50)의 해당 위치에 억지 끼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속도 저감부(52)는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속도 저감부(52)는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에서 가운데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후 다시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 쪽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속도 저감부(52)의 하단은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면에 가운데 부분으로 돌출되어 내부 쪽으로 평탄하게 튀어나온 평탄면일 수 있고, 이러한 하단이 공기의 속도를 늦추는 속도 저감턱(521)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속도 저감턱(521)을 포함하는 속도 저감부(52)의 적어도 일부에는 기름과 수분 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착하는 이물질 흡착재(예, 부직포)가 도포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 즉 정화된 공기는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면을 따라 상부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면 상부에 속도 저감부(52)의 속도 저감턱(521)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면을 따라 상부 쪽으로 이동하는 정화된 공기는 속도 저감부(52)의 속도 저감턱(521)에 부딪힌 후 다시 상부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정화된 공기가 속도 저감턱(521)에 부딪히게 되면, 위쪽으로 상승하는 공기의 속도가 줄어들어 공기 속에 남아있는 이물질(100)이 아래쪽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도 12 참고). 또한, 정화된 공기 속에 잔존하는 이물질 역시 속도 저감턱(521)에 부착되어 정화된 공기 속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속도 저감턱(521)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100) 역시 자중에 의해 하부 쪽으로 이동하여 제1 수집홈(P511) 속으로 흘러내려갈 수 있다.
속도 저감부(52)에 이물질 흡착재가 존재할 경우, 속도 저감부(52)에 의한 이물질 흡착 효과는 더욱더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예의 배기 구조물(1a) 속으로 흡입된 흡입 공기 속의 이물질(100)은 1차적으로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동작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고 2차적으로 속도 저감턱(521)에 의해 분리되어 이물질 수집부(50) 속으로 모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두 번의 이물질 분리 동작에 의해, 배기 구조물(1a) 속으로 흡입된 흡입 공기의 정화 효율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1차 정화된 공기의 이동 속도는 속도 저감턱(521)에 부딪히면서 크게 감소하여 정화된 공기의 회전 속도는 크게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속도 감소로 인해, 공기 안내부(60) 쪽으로 흘러가는 정화된 공기의 편류 현상은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집부 본체(51)의 외측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결합부(53)는 공기 유입부(30)에 위치한 복수 개의 결합부(34)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대응되는 수집부 본체(51)의 결합부(53)와 공기 유입부(30)의 결합부(34)의 결합에 의해, 공기 유입부(30)는 이물질 수집부(50)에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유입부(30)와 결합되어 있는 이물질 수집부(5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하부 하우징(20)의 내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20)과의 결합을 위해, 도 7과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이물질 수집부(50)의 수집부 본체(51)의 외측면에는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걸림핀(P513)이 존재할 수 있고, 하부 하우징(20)의 대응되는 내부면에는 각 걸림핀(P513)이 위치하는 걸림턱(P20)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홈의 형성으로 발생된 걸림턱(P20)에 걸림핀(P513)이 장착되어, 이물질 수집부(50)는 하부 하우징(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걸림핀(P513)이 위치하는 이물질 수집부(50)를 하부 하우징(20) 속에 삽입한 후 회전 동작을 통해 걸림턱(P20)에 걸림핀(P513)이 안착되거나 빠져나오게 하여, 하부 하우징(20)에 이물질 수집부(50)를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공기 유입부(30)와 결합되어 있는 이물질 수집부(50)를 수동으로 하부 하우징(20)에 결합하거나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공기 유입부(30)가 결합된 이물질 수집부(50)만을 배기 구조물(1a)에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이물질 수집부(50)는 하부 하우징(20)으로부터 탈거된 후 세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 수집부(50)에 고여있는 이물질은 용이하고 깨끗하게 제거되므로, 본 예의 배기 구조물(1a)의 청결 상태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미 기술한 것처럼, 이물질 수집부(50)의 부착 및 탈거가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 역시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공기 안내부(60)는 상부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연결핀(331)이나 나사 등을 통해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이러한 공기 안내부(60)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안내부 본체(61) 및 안내부 본체(61)의 외부면에 안내부 본체(61)의 연장 방향 또는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방향 가이드판(62)을 구비할 수 있다.
위에 기술한 것처럼, 안내부 본체(61)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개방된 안내부 본체(61)의 상부를 통과하여 상부 하우징(10)의 장착부(12)가 아래쪽에 위치한 원심 분리부(40)의 상부면(411)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원형판 형태의 장착 부분(122)은 원심 분리부(40)의 상부면(411)에 위치한 구동부(43)와 결합되므로, 원심 분리부(40)는 상부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부 하우징(10)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향 가이드판(62)은,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정해진 곡률을 갖는 곡면판이 공기 안내부(60)의 외부면을 따라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다. 각 방향 가이드판(62)은 동일한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 굽어진 곡면판일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두 방향 가이드판(62) 사이에는 공기 안내부(60)의 외부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고, 이 노출된 외부면의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이동 통로가 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공기 이동 통로는 인접한 두 방향 가이드판(62)이 위치하여 공기 이동 통로의 양 측은 곡면을 갖는 두 방향 가이드판(62)으로 막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공기 이동 통로 역시 직선의 경로가 아닌 곡선의 경로를 가지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방향 가이드판(62)에 의해,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면을 따라 상부 쪽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정화된 공기는 대략 직선의 공기 이동 통로 속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정화된 공기의 회전 동작은 대응하는 공기 이동 통로를 지나면서 곡면인 공기 안내부(60)의 외부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의 회전 운동은 공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거의 직선 운동으로 변하면서 상부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부 쪽으로 이동하는 정화된 공기의 배출 속도는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안내부(60)는 상부가 개방된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되어 상부 하우징(10) 내에 위치하므로, 공기 이동 통로를 따라 상부 쪽으로 이동한 정화된 공기는 상부 하우징(10)의 상부에 위치한 공기 배출구(H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이동 통로에 의해, 정화된 공기의 이동 속도가 향상되므로 신속한 공기 배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레인지 후드 1a: 배기 구도물
1b: 장착 구조물 1c: 소음 저감 구조물
11c: 하부판부 12c: 소음 저감부
13c: 상부판부 121c: 소음 저감기
11b: 상부 케이스 12b: 하부 케이스
13b: 장착부 10: 상부 하우징
11: 상부 하우징 본체 12: 장착부
121: 연결 부분 1211: 연결편
1212: 연결 막대 122: 장착 부분
20: 하부 하우징 30: 공기 유입부
31: 유입부 본체 32: 막음판
33: 소음 저감부 331: 연결핀
H33: 공기 유입구 34: 결합부
40: 원심 분리부 41: 분리부 본체
411: 상부면 412: 하부면
42: 날개 43: 구동부
50: 이물질 수집부 51: 수집부 본체
511: 상측 측면 512: 하측 측면
52: 소음 저감부 53: 결합부
60: 공기 안내부 61: 안내부 본체
62: 방향 가이드판 P121c: 개방 부분
P122c: 폐쇄 부분 H13c: 소음 유입구
H11: 공기 배출구 P20: 걸림홈
P511: 제1 수집홈 P512: 제2 수집홈
P513: 걸림핀

Claims (18)

  1. 흡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구조물;
    상기 배기 구조물이 장착되어 있고,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있고 개방된 하부를 막고 있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장착 구조물; 및
    상기 장착 구조물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 구조물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켜 상기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 저감 구조물
    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 저감 구조물은,
    상기 하부 케이스 위에 위치하는 하부판부;
    상기 하부판부 위에 위치하고 있고 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소음 저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소음 저감기 위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판부와 결합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소음 유입구를 구비하고 있는 상부판부
    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해 있는 상기 상부판부의 하부면과 각 소음 저감기의 상부면 사이에는 이격 간격이 존재하는 레인지 후드.
  2. 제1 항에 있어서,
    각 소음 저감기는 가운데 부분이 비어 있고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바 형상을 갖는 레인지 후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음 저감기는 연장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있는 개방 부분과 상기 연장 방향으로 따라 막혀 있는 폐쇄 부분을 구비하는 레인지 후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분은 정해진 각도로 복수 번 절곡되어 있는 복수 개의 평탄면 부분을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의 길이는 각각 상기 상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은 레인지 후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조물은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사이에는 외부와 통해 있는 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구조물은,
    하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유입부와 통해 있고 정해진 속도와 방향으로 회전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인가되는 흡입 공기에서 이물질을 외측으로 이탈시키는 원심 분리부;
    상기 공기 유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원심 분리부를 에워싸게 위치하고, 상기 원심 분리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 수집부; 및
    상기 이물질 수집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이물질이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상부 쪽으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부
    를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분리부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구비하고 있는 분리부 본체; 및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상기 분리부 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나란히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날개
    를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10. 제9 항에 있어서,
    각 날개의 상단은 상기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고, 각 날개의 하단은 하부면에 결합되어 있어 있고, 각 날개는 하부면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외측 가장자리로 연장되게 위치하고 있는 레인지 후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유입부 본체; 및
    상기 유입부 본체를 막고 있고 복수 개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막음판
    을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막음판에 이격되게 연결되어 있고 복수 개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소음 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측 측면; 및
    상기 상측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수집홈을 구비하고 있는 하측 측면
    을 포함하고 있는 레인지 후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측면의 내부면은 경사면을 갖는 레인지 후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제1 수집홈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집홈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수집홈을 더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상측 측면의 내부면에는 상기 이물질 수집부의 가운데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속도 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17.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원심 분리부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안내부 본체; 및
    상기 안내부 본체의 측면 외부면에 상기 원심 분리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란히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방향 가이드판
    을 포함하고,
    인접한 두 방향 가이드판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이동 통로가 생성되는
    레인지 후드.
  18. 제17 항에 있어서,
    각 방향 가이드판은 일측 방향으로 굽어진 형태를 갖는 레인지 후드.
KR1020240010482A 2022-03-15 2024-01-23 레인지 후드 KR102656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0482A KR102656814B1 (ko) 2022-03-15 2024-01-23 레인지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067A KR102656812B1 (ko) 2022-03-15 2022-03-15 레인지 후드
KR1020240010482A KR102656814B1 (ko) 2022-03-15 2024-01-23 레인지 후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067A Division KR102656812B1 (ko) 2022-03-15 2022-03-15 레인지 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383A true KR20240017383A (ko) 2024-02-07
KR102656814B1 KR102656814B1 (ko) 2024-04-25

Family

ID=881906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067A KR102656812B1 (ko) 2022-03-15 2022-03-15 레인지 후드
KR1020240010482A KR102656814B1 (ko) 2022-03-15 2024-01-23 레인지 후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067A KR102656812B1 (ko) 2022-03-15 2022-03-15 레인지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568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96B1 (ko) 2015-11-03 2016-07-28 주식회사 동방포쎄 쌍방향 세척 기능을 갖는 천장매립형 주방배기시스템
KR101853839B1 (ko) 2018-01-25 2018-06-08 (주) 아시안룩스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9645B2 (ja) 2016-10-27 2021-07-07 株式会社ハーマン レンジフード
WO2019117141A1 (ja) * 2017-12-11 2019-06-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
CN210485815U (zh) 2019-06-20 2020-05-08 广东和用电气有限公司 一种抽油烟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96B1 (ko) 2015-11-03 2016-07-28 주식회사 동방포쎄 쌍방향 세척 기능을 갖는 천장매립형 주방배기시스템
KR101853839B1 (ko) 2018-01-25 2018-06-08 (주) 아시안룩스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210A (ko) 2023-09-25
KR102656812B1 (ko) 2024-04-25
KR102656814B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516B1 (ko) 라디에이터 그릴
RU2234232C2 (ru) Решетка циклонного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KR100412585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RU2181254C1 (ru) Пылесоб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для вакуумного пылесоса
FI77163B (fi) Luftrenare.
KR102373165B1 (ko) 필터 청소 장치
KR20040094734A (ko) 연기흡인후드용 필터장치
JP5027904B2 (ja) ルーバー構造の通気口を備えたエンジン駆動作業機
JP6220109B2 (ja) サイクロン集塵機
EP2063189A2 (de) Dunstabzugshaube
KR100902921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2656814B1 (ko) 레인지 후드
KR102621059B1 (ko) 주방 배기 구조물
KR102273280B1 (ko) 그리스 필터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조리장치
KR100670677B1 (ko) 공기정화기의 활성탄 필터장치
KR20200127706A (ko) 대형 공기청정기
KR20050083412A (ko) 천장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착탈 구조
KR100390605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배기구조
JP4942573B2 (ja) 電気機器及び電気掃除機
KR102149319B1 (ko) 그리스 필터
EP2839220B1 (en) Range hood comprising an odour filter
CN209448601U (zh) 滑环室和滑环电机
CN218522709U (zh) 空气预净化装置
CN206334455U (zh) 一种手持式切割机用空滤器
KR200144815Y1 (ko) 개방형 공기청정장치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