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844B1 -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 Google Patents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844B1
KR101852844B1 KR1020160179816A KR20160179816A KR101852844B1 KR 101852844 B1 KR101852844 B1 KR 101852844B1 KR 1020160179816 A KR1020160179816 A KR 1020160179816A KR 20160179816 A KR20160179816 A KR 20160179816A KR 101852844 B1 KR101852844 B1 KR 101852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magnetic force
unit
force apply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석
최영훈
문선주
성상윤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9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22Taking-up articles from earth's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 H01F7/0257Lifting, pick-up magnetic obj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4Means for releasing the attractive force
    • B64C2201/128
    • B64D2700/626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형상의 화물에 접촉하는 제1 화물 접촉부 및 제2 화물 접촉부;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사이에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 인가부; 상기 제1 화물 접촉부 및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사이에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 인가부; 상기 자력 인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의 단부(端部)들 중 상기 화물에 접촉하는 부분과는 반대편의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1 화물 접촉부가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이동 유도부 및 상기 제2 화물 접촉부의 단부들 중 상기 화물에 접촉하는 부분과는 반대편의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화물 접촉부가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이동 유도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석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력과 스프링에 의해서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박스 형태의 화물을 무인 항공기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자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화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ENGAGING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자석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력과 스프링에 의해서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박스 형태의 화물을 무인 항공기에 안정적으로 고정(engage)하고 해제(disengage)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자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화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에 관한 것이다.
무인 항공기("드론"으로도 지칭됨)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선 전파의 유도 또는 자동 제어에 의해서 비행 및 조정이 가능한 비행체를 지칭한다. 무인 항공기는 주로 군사용으로 개발 및 사용되었으나, 민간용으로도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민간용 무인 항공기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분야는 배송 서비스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는 미국의 아마존(Amazon.com) 등의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시험 운영하고 있으며, 개발 및 성능 시험이 완료되는 대로 보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컨대 아마존 기술 회사(Amazon Technologies, Inc.)에 의해서 출원되고 2015년 4월 30일 공개된 "UNMANNED AERIAL VEHICLE DELIVERY SYSTEM"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공개공보 US2015/120094 A1호는 상품을 자동적으로 다양한 목적지로 배송하는 무인 항공기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공개공보 US2015/120094 A1호의 구성에 따르면 화물을 무인 항공기를 통하여 신속하게 배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미국 특허공개공보 US2015/120094 A1호 및 종래의 무인 항공기에 의한 배송 방식은 미리 지정된 규격의 화물 또는 화물 수용부(container)만을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미국 특허공개공보 US2015/120094 A1호의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구성은 앵글 지원 암(angled support arm)의 회전 등에 의해서 화물을 고정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다양한 규격의 화물을 고정 및 해제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화물의 크기가 앵글 지원 암의 높이보다 큰 경우에는 무인 항공기에 화물을 고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미국 특허공개공보 US2015/120094 A1호의 도 3E 내지 도 3G에 도시된 구성은 화물 수용부 내에 화물을 수용하므로 화물 수용부보다 큰 화물을 무인 항공기에 의해서 배송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한국항공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해서 2015년 12월 11일자로 출원되고 2016년 11월 29일자로 등록된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라는 명칭의 한국등록특허 제10-1682572호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82572호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물의 상기 돌출부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돌출부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돌출부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1682572호의 구성에 따르면, 화물의 돌출부와 수용부는 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된다. 따라서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가 화물을 고정하여 배송하는 경우,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는 화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화물이 공기 저항에 의해서 움직이거나 또는 무인 항공기의 비행에 따라서 화물이 움직이는 경우, 연결부에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연결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화물이 움직이는 것에 따라서 무인 항공기의 비행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단점도 가진다.
1. 미국 특허공개공보 US2015/120094 A1. 2. 한국등록특허 제10-168257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석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력과 스프링에 의해서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박스 형태의 화물을 무인 항공기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자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화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스 형상의 화물에 접촉하는 제1 화물 접촉부 및 제2 화물 접촉부;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사이에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 인가부; 상기 제1 화물 접촉부 및 상기 제2 화물 접촉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사이에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 인가부; 상기 자력 인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의 단부(端部)들 중 상기 화물에 접촉하는 부분과는 반대편의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1 화물 접촉부가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이동 유도부 및 상기 제2 화물 접촉부의 단부들 중 상기 화물에 접촉하는 부분과는 반대편의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화물 접촉부가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이동 유도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스 형상의 화물에 접촉하는 제1 화물 접촉부 및 제2 화물 접촉부; 상기 제1 화물 접촉부 상에 접속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상에 접속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인가부; 상기 제1 연결부에 접속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 본체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접속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 본체 연결부; 상기 제1 본체 연결부 및 상기 제2 본체 연결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본체 연결부와 상기 제2 본체 연결부 사이에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 인가부; 상기 자력 인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본체 연결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본체 연결부가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이동 유도부 및 상기 제2 본체 연결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본체 연결부가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이동 유도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석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력과 스프링에 의해서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박스 형태의 화물을 무인 항공기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자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화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제1 화물 접촉부 및 제2 화물 접촉부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본체와 제1 화물 접촉부 및 제2 화물 접촉부가 접속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자력 인가부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제1 화물 접촉부 및 제2 화물 접촉부에 의해서 화물을 고정하는 상태 및 해제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탄성 인가부가 접속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제1 본체 연결부 또는 제2 본체 연결부가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접속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실제 구성 중 일부만을 도시하거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거나 변형하여 도시하거나 또는 축척이 다르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100)는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와, 탄성 인가부(130)와, 자력 인가부(150)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와, 본체(170)를 포함한다.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는 박스 형상의 화물에 접촉하여 화물을 지지한다.
도 1의 예에서, 제1 화물 접촉부(110)는 2개가 도시되고, 제2 화물 접촉부(120)는 2개가 도시되나,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화물 접촉부(110)는 1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화물 접촉부(120)는 1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므로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는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제1 화물 접촉부 및 제2 화물 접촉부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화물 접촉부(110)는 화물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된 단부(110-2)를 포함한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제1 화물 접촉부(110)는 화물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된 단부(110-2)를 포함하고, 제2 화물 접촉부(120)는 화물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된 단부(120-2)를 포함한다.
화물은 예컨대 단부(110-2) 또는 단부(110-2) 및 단부(120-2)에 의해서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본체와 제1 화물 접촉부 및 제2 화물 접촉부가 접속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에서 제1 화물 접촉부(110)의 단부(110-1)의 주변의 구성예를 설명을 위해서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본체(170)의 제1 이동 유도부(180)에 제1 화물 접촉부(110)의 단부(110-1),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화물 접촉부(110)의 단부들 중 화물에 접촉하는 부분과는 반대편의 단부인 단부(110-1)가 삽입되며 배출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제2 화물 접촉부(120)의 단부(120-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3b는 도 1에서 제1 화물 접촉부(110)의 단부(110-1)와 제2 화물 접촉부(120)의 단부(120-1)와 제1 이동 유도부(180)와 제2 이동 유도부(18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화물 접촉부(110)는 제1 이동 유도부(180)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며, 제2 화물 접촉부(120)는 제2 이동 유도부(185)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도 3c는 제1 화물 접촉부(110)의 단부(110-1)의 주변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을 위해서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이동 유도부(180)는 본체(170) 내에 배치된 구멍 형상을 가진다. 본체(170)의 제1 이동 유도부(180)에 제1 화물 접촉부(110)의 단부(110-1)가 삽입되며 배출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도 3d는 도 3c의 구성예에서 제1 화물 접촉부(110)의 단부(110-1)와 제2 화물 접촉부(120)의 단부(120-1)와 제1 이동 유도부(180)와 제2 이동 유도부(18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1 화물 접촉부(110)는 제1 이동 유도부(180)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며, 제2 화물 접촉부(120)는 제2 이동 유도부(185)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탄성 인가부(130)는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에 접속되며,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 사이에 탄성을 인가한다.
탄성 인가부(130)는 예컨대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에 고정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의 재질 및 형상은 예컨대 금속제의 스프링일 수 있으나, 예컨대 플라스틱 제의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형태도 무방하다.
자력 인가부(150)는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 사이에 자력을 인가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자력 인가부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되듯이, 자력 인가부(150)는, 예컨대 제1 화물 접촉부(110)에 접속되고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 자력 인가부(150a)와 제2 화물 접촉부(120)에 접속되고 자석을 포함하는 제2 자력 인가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4b에 도시되듯이, 자력 인가부(150)는, 예컨대 제1 화물 접촉부(110)에 접속되고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 자력 인가부(150a)와 제2 화물 접촉부(120)에 접속되고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2 자력 인가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력 인가부(150)는, 예컨대 본체(170)에 전자석 또는 자석을 구비하는 제3 자력 인가부(미도시)가 배치되고, 제1 화물 접촉부(110)에 접속되고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 자력 인가부(150a)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력 인가부(150)는, 예컨대 본체(170)에 전자석 또는 자석을 구비하는 제3 자력 인가부(미도시)가 배치되고, 제2 화물 접촉부(110)에 접속되고 자석을 포함하는 제2 자력 인가부(15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듯이 자력 인가부(150)는 탄성 인가부(130)가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에 접속되는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탄성 인가부(130)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도록 자력 인가부(150)는 탄성 인가부(130)가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에 접속되는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자력 인가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구체적으로, 자력 인가부(150)가 도 4a에 도시된 제1 자력 인가부(150a)와 제2 자력 인가부(150b)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자력 인가부(150a)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 자력 인가부(150a)와 제2 자력 인가부(150b)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켜서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자력 인가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자력 인가부(150)가 도 4b에 도시된 제1 자력 인가부(150a)와 제2 자력 인가부(150b)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자력 인가부(150a)와 제2 자력 인가부(150b)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 자력 인가부(150a)와 제2 자력 인가부(150b)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켜서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자력 인가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되듯이, 제1 자력 인가부(150a)와 제2 자력 인가부(150b)의 마주보는 부분에는 동일한 자극이 형성되어 척력이 발생한다.
한편 예컨대 급격하게 자력이 인가되는 경우, 박스 형상의 화물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자력 인가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 자력 인가부(150)에 의해서 인가되는 자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자력 인가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70)는 제1 이동 유도부(180)와 제2 이동 유도부(185)를 구비한다.
제1 이동 유도부(180)에는 제1 화물 접촉부(110) 단부들 중 화물에 접촉하는 부분과는 반대편의 단부(110-1)에 접속된다. 제1 이동 유도부(180)는 예컨대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되듯이, 제1 화물 접촉부(110)가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 이동 유도부(185)에는 제2 화물 접촉부(120) 단부들 중 화물에 접촉하는 부분과는 반대편의 단부(120-1)에 접속된다. 제2 이동 유도부(185)의 구성은 예컨대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제1 이동 유도부(180)의 구성과 동일하며, 제2 이동 유도부(185)는 예컨대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되듯이, 제2 화물 접촉부(120)가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 화물 접촉부(110), 제2 화물 접촉부(120), 제1 이동 유도부(180) 및 제2 이동 유도부(185)의 구성은 도 2a 내지 도 2b,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로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는 화물을 지지하기 위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이동 유도부(180) 및 제2 이동 유도부(185) 역시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를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제1 화물 접촉부 및 제2 화물 접촉부에 의해서 화물을 고정하는 상태 및 해제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에 의해서 화물(300)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예컨대 화물(300)이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력 인가부(150)에 의해서 척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는 탄성 인가부(130)에 의해서 화물(300)에 접촉하여 압부한다. 따라서 화물(300)은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에 의해서 고정된다. 예컨대 무인 항공기가 화물(300)을 배송하는 도중에는 도 5a의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도 5b는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에 의해서 화물(30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다. 예컨대 화물(300)이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력 인가부(150)에 의해서 척력이 인가되면 경우에는,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는 자력에 의해서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이 경우, 화물(300)은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이동한다. 예컨대 무인 항공기가 화물(300)을 배송한 후 최종 목적지에서 하역하는 상태에서는 도 5b의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100)는 화물(300)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탄성 인가부(130) 및 자력 인가부(150)에 의해서 화물(300)을 용이하게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다. 즉 화물(300)의 치수가 변경되더라도 탄성 인가부(130)에 의해서 용이하게 고정이 가능하며, 자력 인가부(150)에 의해서 해제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100)는 예컨대 무인 항공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100)는 무인 항공기 결합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인 항공기 결합부(190)는 본체(170) 상에 배치되며, 무인 항공기에 탈착 가능하다. 무인 항공기 결합부(190)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되듯이, 본체(170)의 상면의 양 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 구조(190a, 190b)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쌍의 체결 구조(190a 내지 190b) 각각은 예컨대 나사 등을 통하여 무인 항공기에 체결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무인 항공기 결합부(190)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 6에 도시된 본체(170)의 상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1개의 체결 구조(190c)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체결 구조(190c)는 예컨대 나사 등을 통하여 무인 항공기에 체결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무인 항공기 결합부(190)는 도 1 내지 도 6를 통하여 예시적인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기타 다른 형태로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100)를 무인 항공기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에 따르면, 전자석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력과 스프링에 의해서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박스 형태의 화물을 무인 항공기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자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화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200)는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와, 탄성 인가부(130')와, 자력 인가부(150')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와, 제1 연결부(210) 및 제2 연결부(220)와, 제1 본체 연결부(230) 및 제2 본체 연결부(240)와, 본체(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200)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는 박스 형상의 화물에 접촉하여 화물을 지지한다.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는 제1 연결부(210) 및 제2 연결부(220)에 각각 접속된다는 점에서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와 차이가 있는 점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 각각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제1 연결부(210) 및 제2 연결부(220)와, 제1 본체 연결부(230) 및 제2 본체 연결부(240), 제1 이동 유도부(180')와 제2 이동 유도부(185') 역시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는 하나만이 도시된다.
탄성 인가부(130')는 제1 연결부(210) 및 제2 연결부(220)에 접속되며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탄성 인가부(130')는 제1 연결부(210) 및 제2 연결부(220)에 접속되는 점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 인가부(130)와 동일하다. 따라서 탄성 인가부(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력 인가부(150')는 제1 본체 연결부(230) 및 제2 본체 연결부(24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제1 본체 연결부(230)와 제2 본체 연결부(240) 사이에 자력을 인가한다. 자력 인가부(150')는 제1 본체 연결부(230) 및 제2 본체 연결부(24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점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력 인가부(150)와 동일하다. 따라서 자력 인가부(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어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70')는 제1 이동 유도부(180')와 제2 이동 유도부(185')를 구비한다. 본체(170')는 제1 이동 유도부(180')와 제2 이동 유도부(185')에 각각 제1 본체 연결부(230)와 제2 본체 연결부(240)가 접속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본체(170)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체(17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이동 유도부(180')와 제2 이동 유도부(185')에 접속되는 제1 본체 연결부(230)와 제2 본체 연결부(240)의 단부의 구성은 예컨대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로 설명한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100)의 본체(170)와 제1 화물 접촉부(110) 및 제2 화물 접촉부(120)가 접속된 상태에 대한 설명을 참조로 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10)는 제1 화물 접촉부(110)에 접속되며, 제2 연결부(220)는 제2 화물 접촉부(120)에 접속된다.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는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 사이의 거리를 보다 더 확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자력 인가부(150)에 의해서 자력이 인가되어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되었을 때의 간격보다 큰 박스 형태의 화물은 제1 실시에 따르면 고정 또는 해제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에 의해서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 사이의 거리는 더 확장될 수 있으므로, 배송 가능한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제한을 완화할 수 있다.
제1 본체 연결부(230)는 제1 연결부(210)에 접속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제2 본체 연결부(240)는 제2 연결부(220)에 접속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자력 인가부(150')는 제1 본체 연결부(230) 및 제2 본체 연결부(24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하듯이 제1 본체 연결부(230)와 제2 본체 연결부(240)는 본체(170')의 제1 이동 유도부(180')와 제2 이동 유도부(185')에 각각 접속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탄성 인가부가 접속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탄성 인가부(130')는 제1 연결부(210) 및 제2 연결부(220)에 접속된다. 예컨대 탄성 인가부(130')는 제1 연결부(210) 및 제2 연결부(22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접속될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되듯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21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공(中空)인 형상을 가지는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제1 연결부(210)의 제1 화물 접촉부(110')에 접속된 부분의 단부는 폐쇄되고 다른 쪽의 단부는 개방된다. 제2 연결부(22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공인 형상을 가지는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제2 연결부(220)의 제2 화물 접촉부(120')에 접속된 부분의 단부는 폐쇄되고 다른 쪽의 단부는 개방된다.
탄성 인가부(130')는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의 개방된 단부들 및 중공인 형상을 가지는 부분들을 통하여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의 폐쇄된 단부들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서 탄성 인가부(130')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길이를 보다 더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화물의 크기가 더 커지더라도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탄성 복원력을 보다 더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에 의해서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 사이의 거리는 더 확장될 수 있으므로, 배송 가능한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제한을 완화할 수 있지만, 보다 더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 사이의 거리를 확장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의 제1 본체 연결부 또는 제2 본체 연결부가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에 접속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1 본체 연결부(230)가 제1 연결부(210)에 접속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1 본체 연결부(230)가 제1 연결부(210)에 접속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제2 본체 연결부(240)가 제2 연결부(220)에 접속되는 구성도 동일하다. 이하의 도 8c 내지 도 8e에서도 마찬가지이므로, 제1 본체 연결부(230)가 제1 연결부(210)에 접속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2 본체 연결부(240)가 제2 연결부(220)에 접속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 본체 연결부(230)는 제1 본체 연결부(230)가 제1 연결부(210)에 접속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접속 구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 구조(250)는 제1 연결부(210)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 형태를 구비하며 제1 체결 구조(255), 예컨대 나사(255)를 이용하여 제1 연결부(210)에 고정된다.
제1 접속 구조(250)에 의해서 제1 본체 연결부(230)와 제1 연결부(210)를 접속하는 위치를 변경하고 제1 체결 구조(255)를 이용하여 제1 연결부(21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제1 본체 연결부(230)가 제1 연결부(210)에 접속되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8c 내지 도 8e는 제1 본체 연결부(230)가 제1 연결부(210)에 접속되는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제1 본체 연결부(230)는 제1 본체 연결부(230)가 제1 연결부(210)에 접속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접속 구조(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속 구조(260)는 제1 연결부(210)에 접속될 수 있는 형태를 구비하며 제2 체결 구조(265), 예컨대 나사(265)를 이용하여 제1 연결부(210)에 고정된다. 한편 제1 연결부(210)는 복수의 위치에 제2 체결 구조(265), 예컨대 나사(265)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는 나사 구멍(270)(270a 내지 270d)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서, 제1 화물 접촉부(110)와 제2 화물 접촉부(120) 사이의 거리는 더 확장될 수 있으므로, 배송 가능한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제한을 더 완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 결합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인 항공기 결합부(190)는 본체(170)의 상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1개의 체결 구조(190c)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체결 구조(190c)는 예컨대 나사 등을 통하여 무인 항공기에 체결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무인 항공기 결합부(190), 즉 본체(170)의 상면의 양 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 구조(190a, 190b)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200)의 무인 항공기 결합부(19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200)의 무인 항공기 결합부(19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에 따르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효과에 더해서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효과를 가진다.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의해서 제1 화물 접촉부와 제2 화물 접촉부 사이의 거리는 더 확장될 수 있으므로, 배송 가능한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제한을 더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가 제1 본체 연결부 및 제2 본체 연결부에 접속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배송 가능한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제한을 더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의 길이를 보다 더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화물의 크기가 더 커지더라도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탄성 복원력을 보다 더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구성>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400)의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100, 200)가 무인 항공기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것을 제외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100, 2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예컨대 회전 날개가 8개인 옥타드론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에 따르면, 전자석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력과 스프링에 의해서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박스 형태의 화물을 무인 항공기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자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화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석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력과 스프링에 의해서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박스 형태의 화물을 무인 항공기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자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화물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100: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110: 제1 화물 접촉부
120: 제2 화물 접촉부 130: 탄성 인가부
150: 자력 인가부 170: 본체
180: 제1 이동 유도부 185: 제2 이동 유도부
190: 무인 항공기 결합부 200: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210: 제1 연결부 220: 제2 연결부
230: 제1 본체 연결부 240: 제2 본체 연결부
250: 제1 접속 구조 255: 제1 체결 구조
260: 제2 접속 구조 265: 제2 체결 구조
270: 나사 구멍 300: 화물
400: 무인 항공기

Claims (23)

  1. 박스 형상의 화물에 접촉하는 제1 화물 접촉부 및 제2 화물 접촉부;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사이에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 인가부;
    상기 제1 화물 접촉부 및 상기 제2 화물 접촉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사이에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 인가부;
    상기 자력 인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의 단부(端部)들 중 상기 화물에 접촉하는 부분과는 반대편의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1 화물 접촉부가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이동 유도부 및 상기 제2 화물 접촉부의 단부들 중 상기 화물에 접촉하는 부분과는 반대편의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화물 접촉부가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이동 유도부를 구비하는 본체
    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인가부는,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에 접속되고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 자력 인가부; 및
    상기 제2 화물 접촉부에 접속되고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2 자력 인가부
    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력 인가부 및 상기 제2 자력 인가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자력 인가부와 상기 제2 자력 인가부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자력 인가부를 제어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인가부는,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에 접속되고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 자력 인가부; 및
    상기 제2 화물 접촉부에 접속되고 자석을 포함하는 제2 자력 인가부
    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력 인가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자력 인가부와 상기 제2 자력 인가부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자력 인가부를 제어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상기 자력 인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물 접촉부 및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화물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인가부는 상기 탄성 인가부가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에 접속되는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무인 항공기에 탈착 가능한 무인 항공기 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의 양 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10. 박스 형상의 화물에 접촉하는 제1 화물 접촉부 및 제2 화물 접촉부;
    상기 제1 화물 접촉부 상에 접속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상에 접속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인가부;
    상기 제1 연결부에 접속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 본체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접속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 본체 연결부;
    상기 제1 본체 연결부 및 상기 제2 본체 연결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본체 연결부와 상기 제2 본체 연결부 사이에 자력을 인가하는 자력 인가부;
    상기 자력 인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본체 연결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본체 연결부가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이동 유도부 및 상기 제2 본체 연결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본체 연결부가 미리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 이동 유도부를 구비하는 본체;
    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공(中空)인 형상을 가지는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에 접속된 부분의 단부는 폐쇄되고 다른 쪽의 단부는 개방된 것이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공인 형상을 가지는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화물 접촉부에 접속된 부분의 단부는 폐쇄되고 다른 쪽의 단부는 개방된 것이고,
    상기 탄성 인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개방된 단부들 및 중공인 형상을 가지는 부분들을 통하여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폐쇄된 단부들에 접속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인가부는,
    상기 제1 본체 연결부에 접속되고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 자력 인가부; 및
    상기 제2 본체 연결부에 접속되고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2 자력 인가부
    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력 인가부 및 상기 제2 자력 인가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자력 인가부와 상기 제2 자력 인가부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자력 인가부를 제어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인가부는,
    상기 제1 본체 연결부에 접속되고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 자력 인가부; 및
    상기 제2 본체 연결부에 접속되고 자석을 포함하는 제2 자력 인가부
    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력 인가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자력 인가부와 상기 제2 자력 인가부 사이에서 척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제1 화물 접촉부와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상기 자력 인가부를 제어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상기 자력 인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물 접촉부 및 상기 제2 화물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화물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 연결부가 상기 제1 연결부에 접속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접속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구조와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체결 구조에 의해서 접속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 연결부는 상기 제2 본체 연결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접속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접속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구조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제2 체결 구조에 의해서 접속되는 것이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체결 구조에 대응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을 구비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무인 항공기에 탈착 가능한 무인 항공기 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의 양 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
KR1020160179816A 2016-12-27 2016-12-27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KR101852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816A KR101852844B1 (ko) 2016-12-27 2016-12-27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816A KR101852844B1 (ko) 2016-12-27 2016-12-27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844B1 true KR101852844B1 (ko) 2018-04-27

Family

ID=6208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816A KR101852844B1 (ko) 2016-12-27 2016-12-27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8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6617B1 (ja) * 2018-12-27 2019-10-23 楽天株式会社 無人航空機
WO2019210407A1 (en) * 2018-04-30 2019-11-07 Avidrone Aerospace Incorporated Modular unmanned automated tandem rotor aircraft
WO2020136804A1 (ja) * 2018-12-27 2020-07-02 楽天株式会社 無人航空機
CN114228998A (zh) * 2021-12-23 2022-03-25 台州市公安局 一种装载有防爆箱的警用无人机
KR102643382B1 (ko) * 2022-09-28 2024-03-05 주식회사 파블로항공 화물 결속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0094A1 (en) 2013-10-26 2015-04-30 Amazon Technologie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delivery system
KR101682570B1 (ko) 2015-12-14 2016-12-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 지지 장치 및 무인 항공기 지지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82572B1 (ko) 2015-12-11 2016-12-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용 화물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KR101682574B1 (ko) 2015-12-18 2016-12-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용 화물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0094A1 (en) 2013-10-26 2015-04-30 Amazon Technologie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delivery system
KR101682572B1 (ko) 2015-12-11 2016-12-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용 화물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KR101682570B1 (ko) 2015-12-14 2016-12-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 지지 장치 및 무인 항공기 지지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82574B1 (ko) 2015-12-18 2016-12-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항공기용 화물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0407A1 (en) * 2018-04-30 2019-11-07 Avidrone Aerospace Incorporated Modular unmanned automated tandem rotor aircraft
CN111629964A (zh) * 2018-12-27 2020-09-04 乐天株式会社 无人飞机
CN111629964B (zh) * 2018-12-27 2023-09-29 乐天集团股份有限公司 无人飞机
WO2020136803A1 (ja) * 2018-12-27 2020-07-02 楽天株式会社 無人航空機
EP3702279A1 (en) * 2018-12-27 2020-09-02 Rakuten, Inc. Unmanned aircraft
CN111629963A (zh) * 2018-12-27 2020-09-04 乐天株式会社 无人飞机
JP6596617B1 (ja) * 2018-12-27 2019-10-23 楽天株式会社 無人航空機
EP3702279A4 (en) * 2018-12-27 2021-07-21 Rakuten, Inc. UNMANNED PLANE
CN111629963B (zh) * 2018-12-27 2023-10-17 乐天集团股份有限公司 无人飞机
US11554856B2 (en) 2018-12-27 2023-01-17 Rakuten Group, Inc. Unmanned aerial vehicle
US11643203B2 (en) 2018-12-27 2023-05-09 Rakuten Group, Inc.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package carrier
WO2020136804A1 (ja) * 2018-12-27 2020-07-02 楽天株式会社 無人航空機
CN114228998A (zh) * 2021-12-23 2022-03-25 台州市公安局 一种装载有防爆箱的警用无人机
CN114228998B (zh) * 2021-12-23 2024-02-09 台州市公安局 一种装载有防爆箱的警用无人机
KR102643382B1 (ko) * 2022-09-28 2024-03-05 주식회사 파블로항공 화물 결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844B1 (ko)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KR101682572B1 (ko) 무인 항공기용 화물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KR101682574B1 (ko) 무인 항공기용 화물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US10661882B2 (en) Wing lock and disconnect mechanisms for a RC aircraft
US6622579B1 (en) Bearing arrangement for tension forces and bearing head therefor
US10919646B2 (en) Unmanned vehicle
JP6465205B2 (ja) 飛行体
JP2021523056A (ja) 飛行体をドッキング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KR101384140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진동저감장치
JP2017206238A (ja) 航空機翼移動装置
KR101682570B1 (ko) 무인 항공기 지지 장치 및 무인 항공기 지지 장치의 제어 방법
US10640214B2 (en) Payload release apparatus
CN105000201A (zh) 一种五棱锥控制力矩陀螺群隔振支架一体化装置
KR101682573B1 (ko) 무인 항공기용 화물 고정 보조 장치
KR101852845B1 (ko)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화물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US11548657B2 (en) Aerial vehicle securing system and method
CN109131932A (zh) 飞机姿态调整装置及落震试验系统
KR101826194B1 (ko) 무인 항공기용 화물 수용 장치 및 무인 항공기
KR102508583B1 (ko) 편대 유지 기구
KR101826195B1 (ko) 무인 항공기용 화물 수용 장치 및 무인 항공기
KR101852846B1 (ko)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화물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JP5698406B1 (ja) ブレードの取り付け構造及び無人ヘリコプタ
JP2019182089A5 (ko)
KR101852847B1 (ko)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화물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JP7062148B2 (ja) 供試機器保持装置、及びemc試験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