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383B1 -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383B1
KR101852383B1 KR1020160126550A KR20160126550A KR101852383B1 KR 101852383 B1 KR101852383 B1 KR 101852383B1 KR 1020160126550 A KR1020160126550 A KR 1020160126550A KR 20160126550 A KR20160126550 A KR 20160126550A KR 101852383 B1 KR101852383 B1 KR 101852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mesh
cavity
hollow portion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6844A (ko
Inventor
윤석규
문종욱
송주훈
Original Assignee
(주)한백산림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백산림환경 filed Critical (주)한백산림환경
Priority to KR102016012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3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18Means for filling-up wounds in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에 공동부가 형성되어도 안정적인 생장을 이끌 수 있는 수목의 공동부 보호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의 공동부 내주면을 자연 친화적인 소재로 보호 처리하는 한편 공동부 내부를 전체적으로 통기구조로 처리함으로써 수목의 부패를 차단하면서 안정적인 생장을 이끌 수 있도록 한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는, 플렉시블 특성과 부식방지 특성을 가지는 망상자재로 마련되어 수목에 형성된 공동부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1메시; 제1메시를 공동부 내주면에 밀착시키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보호층; 플렉시블 특성과 부식방지 특성을 가지는 망상자재로 마련되어 수목의 공동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제2메시; 제2메시 외표면으로 제2메시와 일체로 형성되는 표피층; 보호층과 표피층 사이로 수목의 공동부 내부에 채움재가 채워져 형성되는 채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보호층은 황토와 천연 다공성 분말 및 천연접착제가 혼합된 황토모르타르가 도포되어 형성되며, 표피층은 무기결합재, 물, 기포제가 혼합된 기포페이스트가 도포되어 형성되며, 채움부는 무기결합재와 다공성 잔골재가 혼합된 채움재가 채워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및 그 방법{Structure and Method for Protecting Cavity of Tree}
본 발명은 수목에 공동부가 형성되어도 안정적인 생장을 이끌 수 있는 수목의 공동부 보호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의 공동부 내주면을 자연 친화적인 소재로 보호 처리하는 한편 공동부 내부를 전체적으로 통기구조로 처리함으로써 수목의 부패를 차단하면서 안정적인 생장을 이끌 수 있도록 한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목에 상처가 나면 스스로 아물기도 하지만 부후균이 침입하여 썩어들어가면 공동부(구멍)가 생기고 심한 경우에는 나무가 고사하게 되므로, 수목에 공동부가 생기면 외과적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천연기념물이나 보호수 등으로 지정하여 특별히 보호하는 수목의 경우에는 더욱더 외과적 수술을 시행하는 편이다. 외과적 수술을 통해 공동부가 처치되어야 수목이 생장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수목의 외과적 수술은 수목의 썩은 부위를 도려내어 살균, 살충, 방부 처리한 후 도려낸 공동부 내부에 에폭시나 흙 또는 콘크리트 등의 충전물을 충전한 다음 인조 수피를 형성시키는 과정으로 진행해왔다.
위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서 수목 내부의 수분 배출 문제를 개선하고자 특허 제10-1517758호와 제10-1560313호와 같은 수목의 공동부 보호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며, 도 1은 제10-1560313호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들 특허기술은 수목의 공동부 내주면에 대한 보호처리가 미흡하고, 또한 인서트파이프가 수목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인서트 파이프 설치공간 확보를 위해 수목의 손상우려 있고 공동부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의 유도배출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17758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60313
본 발명은 종래 수목의 공동부 보호구조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수목의 공동부 내주면을 친환경적으로 보호하여 수목의 안정적인 생장을 유도할 수 있고 더불어 공동부 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효과적인 통기구조로 완성할 수 있는 새로운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와 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렉시블 특성과 부식방지 특성을 가지는 망상자재로 마련되어 수목에 형성된 공동부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1메시; 제1메시를 공동부 내주면에 밀착시키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보호층; 플렉시블 특성과 부식방지 특성을 가지는 망상자재로 마련되어 수목의 공동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제2메시; 제2메시 외표면으로 제2메시와 일체로 형성되는 표피층; 보호층과 표피층 사이로 수목의 공동부 내부에 채움재가 채워져 형성되는 채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보호층은 황토와 천연 다공성 분말 및 천연접착제가 혼합된 황토모르타르가 도포되어 형성되며, 표피층은 무기결합재, 물, 기포제가 혼합된 기포페이스트가 도포되어 형성되며, 채움부는 무기결합재와 다공성 잔골재가 혼합된 채움재가 채워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보호구조는, 플렉시블 특성과 부식방지 특성을 가지는 파이프(pipe) 표면에 타공구멍이 형성된 것으로 수목의 공동부 내부에서 공동부의 하부면 또는 수목이 식재된 토양에 고정되면서 공동부의 상부면보다 낮은 높이로 공동부 내부 형태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채움재에 둘러싸여 매설되는 인서트파이프; 인서트파이프 내부에 채워지는 수분흡수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수목에 형성된 공동부를 정리하는 제1단계; 공동부의 내주면에 제1메시를 밀착 설치하고 황토모르타르를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수목의 공동부를 차폐하도록 제2메시를 설치하는 제3단계; 수목의 공동부에 채움재를 채워 채움부를 형성하는 제4단계; 제2메시 표면으로 기포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표피층을 형성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3단계는 제2메시 상부에 투입구를 형성시키면서 이루어지고, 제4단계는 제2메시의 투입구를 통해 채움재를 채우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수목의 공동부 내주면에 메시와 황토모르타르로 친환경적인 보호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수목의 공동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면서 수목의 생장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친환경적인 보호층에 의해 채움부의 시멘트계 재료가 수목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차단되기 때문에 유해물질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수목의 공동부를 전체적으로 기공이 형성되는 통기구조로 완성하기 때문에, 공동부를 사이에 두고서도 수목의 내·외부로 수분 및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해져 수목의 효과적인 생장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수목의 공동부 내부에 인서트파이프를 더 설치하는 경우에는 인서트파이프를 통한 수분의 유도배출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수목의 공동부에 과다한 수분 침투가 우려되는 경우에도 수분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수목의 부패를 억제하면서 안정적인 생장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 제10-1560313호에 따른 수목의 공동부 보호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서트파이프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방법에 대한 작업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방법에서 채움부를 형성하기 전 상태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는, 썩은 부위를 도려내어 형성된 수목의 공동부(C)를 처리함에 있어 수목(P)의 내·외부로 수분 및 공기의 원활한 유·출입이 가능한 통기구조로 처리함으로써 수목이 안정적으로 자생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수목의 공동부(C)를 제1메시(110), 보호층(120), 제2메시(130), 표피층(140), 채움부(150)로 처리함으로써 구현되며, 나아가 인서트파이프(160)와 수분흡수재(161)를 더 처리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1메시(110)는 수목에 형성된 공동부(C)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된다. 제1메시(110)는 유연하여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연성) 특성과 부식되지 않는 부식방지 특성을 가지는 망상자재로 마련되는데, 이로써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수목의 불규칙한 공동부(C) 내주면에 밀착 설치할 수 있다. 제1메시(110)로는 알루미늄 메시, 섬유 메시 등이 적당하며, 다만 수목의 공동부(C) 경계에서 보호층(120)과 함께 수목(P)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알루미늄메시가 더욱 바람직하다.
보호층(120)은 제1메시(110)를 공동부(C) 내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황토모르타르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메시(110) 위로 황토모르타르가 도포됨으로써 제1메시(110)가 황토모르타르와 일체로 공동부(C) 내주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동시에 소정 두께의 보호층(120)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황토모르타르는 황토, 천연 다공성 분말, 천연접착제를 혼합한 습식모르타르 타입의 재료가 되며, 천연 다공성 분말로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맥반석, 백운석, 규조토, 고령토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고, 천연접착제로는 밀가루, 전분 등의 녹말풀이나 아교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이와 같은 황토모르타르에 의해 보호층(120)은 통기구조로 실현된다. 다시 말해 보호층(120) 내에 존재하는 황토와 천연 다공성 분말의 기공을 통해 상황에 따라 수목 내·외부로 수분 및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특히 보호층(120)은 수목(C)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황토모르타르는 천연재료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해물질 방출 우려가 없어 수목의 안정적인 생장을 이끌 수 있으며, 더불어 황토와 천연 다공성 분말은 음이온 방출을 통해 수목의 생장을 촉진하고 자연치유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제2메시(130)는 수목의 공동부(C)를 차폐하도록 설치된다. 제2메시(130)는 제1메시(110)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메시, 섬유 메시 등 플렉시블 특성과 부식방지 특성을 가지는 망상자재로 마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메시로 마련한다.
표피층(140)은 제2메시(130) 외표면으로 기포페이스트가 도포됨으로써 제2메시(130)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메시(130)에 의해 일정 두께의 안정적인 표피층(140)이 형성된다. 기포페이스트는 무기결합재와 물에 혼합된 페이스트에 기포제가 더 혼입된 것인데, 기포페이스트에 의해 얇은 표피층(140)이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기포 기공이 형성됨으로써 표피층(140)의 통기구조가 실현된다. 기포페이스트에서 무기결합재는 채움재의 무기결합재와 동일한 재료로 이용한다.
채움부(150)는 보호층(120)과 표피층(140) 사이로 수목의 공동부(C) 내부에 채움재가 채워짐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채움재는 무기결합재(151)와 다공성 잔골재(152)가 혼합된 것인데, 물이 배합되지 않은 상태로 일종의 건식모르타르가 된다. 무기결합재(151)는 시멘트 단독보다는 플라이애시나 고로슬래가 혼합된 플라이이애시 시멘트,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바람직하게 선택하는데, 이는 산업부산물을 활용하면서도 강알칼리성 시멘트에 의한 수목의 생장 저하를 방지하여 친환경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무기결합재(151)는 수목(P) 내부에서 배출되거나 수목(P)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과 수화반응하여 경화하며, 이로써 공동부(C)에서 다공성 잔골재와 함께 경화체를 형성하면서 수목(C)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더불어 채움부(150)는 다공성 잔골재(152)에 의해 통기구조로 실현된다. 다공성 잔골재(152)로는 바텀애시, 인공경량골재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인서트파이프(160)와 수분흡수재(162)는 수목의 공동부(C)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의 흡수배출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마련한 추가적인 구성이다. 인서트파이프(160)는 표면에 타공구멍(161)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수목의 공동부(C)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인서트파이프(160)는 수목의 공동부(C) 내부에서 공동부(C)의 하부면 또는 수목(P)이 식재된 토양에 고정되면서 공동부(C) 상부면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되어 공동부(C) 내부에서 채움재에 둘러싸이게 된다. 공동부(C)가 지제부(토양의 지면과 접한 부위)에 형성된 경우라면 인서트파이프(160)는 토양에 고정 설치되고, 공동부(C)가 수목(P) 중간에 형성된 경우라면 인서트파이프(160)는 공동부의 하부면(수목)에 고정 설치된다. 특히 인서트파이프(160)는 플렉시블 특성과 부식방지 특성을 가지는 소재로 마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은 알루미늄 주름관 등으로 마련한다. 이로써 인서트파이프(160)는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수목마다 각기 다른의 공동부(C) 내부 형태에 대응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인서트파이프(160)는 수목의 공동부 체적에 따라 여러 개 설치할 수 있으며, 인서트파이프(160) 내부에는 헝겊, 부직포, 스폰지, 톱밥, 왕겨, 실리카겔 등의 수분흡수재(162)가 채워진다. 이로써 공동부 내부의 채움부로 수목의 수액이나 빗물 등이 과다하게 유입되더라도 인서트파이프(160) 내부의 수분흡수재(162)가 유도흡수하여 인서트파이프(160)를 통해 수목 또는 토양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수목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채움부(150)의 다공성 잔골재에 함유된 수분은 인서트파이프의 타공구멍(161)을 통해 수분흡수재(162)로 유도흡수되면서 능동적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방법에 대한 작업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방법에서 채움부(150)를 형성하기 전 상태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방법을 단계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수목에서 썩은 부위를 도려내면서 공동부(C)를 정리한다. 공동부(C) 내주면에는 방부제 등을 도포하여 부패가 더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어 수목의 공동부(C) 내주면에 제1메시(110)를 밀착 설치하고, 그 위로 황토모르타르를 도포하여 제1메시(110)를 부착시키면서 보호층(120)을 형성한다. 황토모르타르는 건나이트와 같은 장비로 간편하게 뿜칠하여 도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목의 공동부(C)를 차폐하는 형태로 제2메시(130)를 설치하되, 상부 쪽에 투입구가 형성되도록 설치한다. 이어 공동부(C) 내부에 공동부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시키면서 인서트파이프(160)를 고정 설치하며, 다만 공동부의 크기가 작다면 연성파이트(160)의 설치는 생략할 수 있다. 인서트파이프(160)는 내부에 수분흡수재(162)를 채운 상태로 설치한다.
다음으로 투입구를 통해 보호층(120)과 제2메시(130) 사이의 공동부(C) 내부에 채움재를 채워 채움부(150)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제2메시(130)는 거푸집으로 역할하게 되며, 채움재를 다 채운 후에는 투입구를 차폐할 수 있다. 채움재는 무기결합재(시멘트 등, 151)와 다공성 잔골재(바텀애시 등, 152)를 1:9 정도의 중량비로 혼합한 건식모르타르를 이용하는데, 건식모르타르로 채움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메시(130) 표면에 기포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표피층(140)을 형성하며, 기포페이스트는 뿜칠하여 도포할 수 있다. 기포페이스트는 채움재와 마찬가지로 무기결합재를 이용하며, 이로써 기포페이스트에 의한 표피층(140)은 채움재에 의한 채움부(150)에 일체로 결합되어 박리·박락이나 탈락이 억제된다. 표피층(140) 표면에는 수목 색상으로 칠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
이로써 수목의 공동부(C)가 친환경적인 통기구조로 보호된다. 다시 말해 보호층(120), 채움부(150), 표피층(140)으로 처리되면서 각각 황토와 천연 다공성 분말, 다공성 잔골재, 기포에 의해 기공이 형성됨으로써 수분 및 공기의 유·출입이 자유로운 통기구조로 완성되며, 더불어 수목의 공동부(C) 내주면이 친환경적인 황토모르타르에 의한 보호층(120)으로 보호됨으로써 수목의 안정적인 생장이 유도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며,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P: 수목 C: 공동부
110: 제1메시 120: 보호층
130: 제2메시 140: 표피층
150: 채움부 151: 무기결합재
152: 다공성 잔골재
160: 인서트파이프 161: 타공구멍
162: 수분흡수재

Claims (6)

  1. 플렉시블 특성과 부식방지 특성을 가지는 망상자재로 마련되어, 수목에 형성된 공동부(C)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1메시(110);
    상기 제1메시(110)를 공동부(C) 내주면에 밀착시키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보호층(120);
    플렉시블 특성과 부식방지 특성을 가지는 망상자재로 마련되어, 상기 수목의 공동부(C)를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제2메시(130);
    상기 제2메시(130) 외표면으로 제2메시(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표피층(140);
    상기 보호층(120)과 표피층(140) 사이로 수목의 공동부(C) 내부에 채움재가 채워져 형성되는 채움부(150);
    플렉시블 특성과 부식방지 특성을 가지는 파이프(pipe) 표면에 타공구멍(16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목의 공동부(C) 내부에서 공동부의 하부면 또는 수목이 식재된 토양에 고정되면서 공동부의 상부면보다 낮은 높이로 공동부 내부 형태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채움재에 둘러싸여 매설되는 인서트파이프(160);
    상기 인서트파이프(160) 내부에 채워지는 수분흡수재(16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호층(120)은, 황토와 천연 다공성 분말 및 천연접착제가 혼합된 황토모르타르가 도포되어 형성되며,
    상기 표피층(140)은, 무기결합재, 물, 기포제가 혼합된 기포페이스트가 도포되어 형성되며,
    상기 채움부(150)는, 무기결합재와 다공성 잔골재가 혼합된 채움재가 채워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제1,2메시(110, 130)는, 알루미늄 메시로 마련되어 설치되며,
    상기 보호층(120)은, 다공성 분말로 제올라이트, 활성탄, 맥반석, 백운석, 규조토, 고령토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황토모르타르로 형성되며,
    상기 표피층(140)은, 무기결합재로 고로슬래그 시멘트 또는 플라이애시 시멘트가 선택된 기포페이스트로 형성되며,
    상기 채움부(150)는, 무기결합재(151)로 고로슬래그 시멘트 또는 플라이애시 시멘트가 선택되고 다공성 잔골재(152)로 바텀애시가 선택되어 건조모르타르 타입으로 혼합된 채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인서트파이프(160)는, 알루미늄 주름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수목에 형성된 공동부(C)를 정리하는 제1단계;
    공동부(C)의 내주면에 제1메시(110)를 밀착 설치하고 황토모르타르를 도포하여 보호층(120)을 형성하는 제2단계;
    수목의 공동부(C)를 차폐하도록 제2메시(130)를 설치하는 제3단계;
    수목의 공동부(C)에 채움재를 채워 채움부(150)를 형성하는 제4단계;
    제2메시(130) 표면으로 기포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표피층(140)을 형성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 사이에는, 인서트파이프(160)를 내부에 수분흡수재(162)를 채운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고,
    상기 제3단계는, 제2메시(130) 상부에 투입구를 형성시키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4단계는, 제2메시(130)의 투입구를 통해 채움재를 채우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방법.
  6. 삭제
KR1020160126550A 2016-09-30 2016-09-30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및 그 방법 KR101852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550A KR101852383B1 (ko) 2016-09-30 2016-09-30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550A KR101852383B1 (ko) 2016-09-30 2016-09-30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844A KR20180036844A (ko) 2018-04-10
KR101852383B1 true KR101852383B1 (ko) 2018-04-30

Family

ID=6197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550A KR101852383B1 (ko) 2016-09-30 2016-09-30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3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8565B2 (ja) * 1999-06-07 2001-09-17 扇精光株式会社 樹木の空洞、欠損部分の補修材料およびその補修方法
KR101517758B1 (ko) 2014-10-13 2015-05-06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의 공동보호 구조
KR101560313B1 (ko) 2015-04-14 2015-10-16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의 공동보호 구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8565B2 (ja) * 1999-06-07 2001-09-17 扇精光株式会社 樹木の空洞、欠損部分の補修材料およびその補修方法
KR101517758B1 (ko) 2014-10-13 2015-05-06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의 공동보호 구조
KR101560313B1 (ko) 2015-04-14 2015-10-16 푸른공간 주식회사 수목의 공동보호 구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844A (ko) 201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7568B2 (ja) 乾燥建築材料混合物及びそれから形成される断熱プラスター
US7096630B1 (en) Composite tangled filament mat with overlying liquid moisture barrier for cushioning and venting of vapor, and for protection of underlying subfloor
JP6527169B2 (ja) 断熱パネル
JP2017502916A5 (ko)
CN1282257A (zh) 含硅酸盐的整形外科支承材料
JP2008544125A (ja) 泥土ハウス
KR101852383B1 (ko) 수목의 친환경적 통기식 공동부 보호구조 및 그 방법
JP5739240B2 (ja) コンクリート養生シートおよび養生方法
KR101003480B1 (ko) 방수 공법 및 그 방수 구조
KR101270248B1 (ko) 바이오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콘크리트 구조물
JP5252619B2 (ja) 外壁素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101357770B1 (ko) 황토, 배양토, 씨앗이 부착된 포러스콘크리트 블록 및 제조방법
JP6717525B2 (ja) 斜面保護用具及びその防湿方法並びに斜面保護方法
CN210191745U (zh) 一种船舶舱室减震降噪浮动地板
JP6975999B2 (ja) 斜面保護用具及び斜面保護方法
JPH10315217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008038452A (ja) 保水性の躯体と透水性の頭部を有し前面に着生層を設け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FI119296B (fi) Suolahuone ja menetelmä suolahuoneen seinien/katon pinnoittamiseksi
KR102644280B1 (ko)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한 생태 방음벽의 시공방법
KR101517758B1 (ko) 수목의 공동보호 구조
KR101560313B1 (ko) 수목의 공동보호 구조 및 그 방법
JP4116923B2 (ja) 緑化用構造体
JP2022009828A (ja) 斜面保護用具及び斜面保護方法
CN214884812U (zh) 一种具有保温隔热的混凝土砌块
KR101306222B1 (ko) 고어텍스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