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287B1 - 골 플레이트 및 골 플레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 플레이트 및 골 플레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287B1
KR101852287B1 KR1020167025048A KR20167025048A KR101852287B1 KR 101852287 B1 KR101852287 B1 KR 101852287B1 KR 1020167025048 A KR1020167025048 A KR 1020167025048A KR 20167025048 A KR20167025048 A KR 20167025048A KR 101852287 B1 KR101852287 B1 KR 101852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bia
screw
transverse
fasten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022A (ko
Inventor
고이치 구로다
미츠야 우라타
마사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테루모 바이오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테루모 바이오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테루모 바이오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52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immobilised relative to screws by interlocking form of the heads and plate holes, e.g. conical or threaded
    • A61B17/8057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immobilised relative to screws by interlocking form of the heads and plate holes, e.g. conical or threaded the interlocking form comprising a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95Wedge osteo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25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 A61B17/863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with thread interrupted or changing its form along shank, other than constant t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시술 후에 직립 상태의 관절에 연직 하중이 가해져도 인공뼈의 탈전이나 관절면 후향 경사각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경골의 내측면에 형성된 절입부보다 저위의 경골의 경사 전방 내측면에, 해당 경골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띠판 형상의 본체부(1a)와, 절입부보다 고위의 경골의 내측면에, 해당 경골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횡행부(1b)와, 본체부(1a)와 횡행부(1b)를 연결하는 연결부(1c)를 구비하고, 횡행부(1b) 및 본체부(1a)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5, 6, 7)이 설치되어 있는 골 플레이트(1)이다.

Description

골 플레이트 및 골 플레이트 시스템{BONE PLATE AND BONE PLATE SYSTEM}
본 발명은 골 플레이트 및 골 플레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골절된 대퇴골이나 경골을 포함하는 장골의 일부를 고정하는 골 플레이트로서, 장골에 체결되는 복수의 스크루의 헤드부에 설치된 수나사에 체결할 나사 구멍을 갖는 띠판 형상의 골 플레이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골 플레이트를 변형 슬관절증의 고위 경골 골절술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골의 내측면에 형성한 절입부를 벌리고, 벌려진 간극에 웨지형의 인공뼈를 삽입함과 함께, 경골에 접속하고 있는 내측 측부인대 등의 연조직을 회피하도록, 경골의 전방 내측 위치에 절입부를 건너질러 배치한 골 플레이트를, 절입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경골에 스크루에 의해 고정한다. 이때, 절입부에 의해 분리된 두 부분은, 경골 외측에 위치하는 힌지부, 후방 내측에 위치하는 인공뼈 및 전방 내측에 위치하는 골 플레이트에 의해 3점에서 지지된다.
일본특허 제5230697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골 플레이트는, 절입부보다 저위의 경골의 경사 전방 내측면에, 해당 경골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세로 길이 부분과, 절입부보다 고위의 경골의 경사 전방 내측면에 고정되는 횡행부가, 대략 동일 평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직립 상태에서 관절에 연직 하중이 가해지면, 후방측으로 쓰러지듯이 만곡시키게 되어 버려, 절입부에 삽입되어 있는 인공뼈가 탈전하거나, 만곡된 상태에서 골 유합하거나 하는 문제가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술 후에 직립 상태의 관절에 연직 하중이 가해져도 인공뼈의 탈전이나 관절면 후향 경사각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는 골 플레이트 및 골 플레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경골의 내측면에 형성된 절입부보다 저위의 상기 경골의 경사 전방 내측면에, 해당 경골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띠판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절입부보다 고위의 상기 경골의 내측면에, 해당 경골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횡행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횡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횡행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골 플레이트이다.
본 형태에 따르면, 띠판 형상의 본체부를, 경골의 내측면에 형성된 절입부보다 저위의 경골의 경사 전방 내측면에 경골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하면, 횡행부가 절입부보다 고위의 경골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체부 및 횡행부를 각각 절입부를 사이에 둔 경골에, 나사 구멍에 체결한 스크루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벌려진 절입부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본체부와 횡행부는 각각 경골의 경사 전방 내측면과 내측면이 비틀어져서 고정되므로, 대략 동일 평면을 따라 고정된 종래의 골 플레이트처럼, 직립 상태에서 관절에 연직 하중이 가해져도, 골 플레이트가 만곡되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절입부에 삽입되어 있는 인공뼈가 탈전하거나, 후향 경사진 상태에서 골 유합되어 버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횡행부가, 상기 본체부의 길이축에 평행인 축선 둘레로 비틀어지듯이 연속되는 곡면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골 플레이트를 경골의 측면에 꼭 대었을 때, 골 플레이트가 경골의 측면 형상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피하에 매립되었을 때 크게 돌출되지 않아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의 골 플레이트와, 해당 골 플레이트의 상기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제1 수나사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경골에 체결되는 제2 수나사를 갖는 나사부를 갖고, 상기 골 플레이트를 상기 경골에 고정하는 스크루를 구비하는 골 플레이트 시스템이다.
본 형태에 따르면, 경골의 고위 측면에 골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본체부 및 횡행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나사 구멍에, 각각 스크루를 관통시켜서, 제2 수나사를 갖는 나사부를 경골에 체결해 가서, 마지막으로 제1 수나사를 갖는 헤드부를 나사 구멍에 체결함으로써, 절입부를 사이에 둔 양측의 경골에 골 플레이트를 확실하게 고정하여, 절입부를 벌려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스크루가, 상기 경골의 경사 내측 전방으로부터 경사 외측 후방을 향해서 경사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횡행부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스크루가, 상기 경골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해서 거의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절입부보다 고위에 배치되는 관절면 근처의 경골에는, 내측면에 배치된 횡행부의 나사 구멍을 이용하여, 경골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해서 거의 가로 방향으로 스크루가 체결된다. 경골의 경사 전방 내측면에 골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종래의 경우에는, 스크루는 전방 경사 내측면으로부터 후방 경사 외측면을 향해서 비스듬히 체결할 수 밖에 없어, 골질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는, 충분한 고정력을 얻지 못할 뿐 아니라, 해면골 내에서 스크루가 움직여서 해면골을 커트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비교하면, 경골의 횡단면 치수가 긴 거의 가로 방향으로 스크루가 체결됨으로써, 보다 긴 스크루를 사용할 수 있어, 높은 고정력을 얻어, 해면골의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스크루와, 상기 횡행부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스크루가, 상기 경골의 관절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경골의 내측면으로부터 관절면의 전체 길이의 50% 내지 80%의 범위에서 교차하고 있어도 된다.
시술 후에 직립 상태에서 관절에 대퇴골로부터의 하중이 가해지면, 경골의 관절면에 투영한 하중의 합력 중심은, 일반적으로는 경골의 내측면으로부터 관절면의 전체 길이의 60% 이상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대퇴골로부터 경골에 가해지는 하중을 골 플레이트가 받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크루가, 가이드 핀을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갖는 중공 스크루여도 된다.
본체부와 횡행부가 비틀어져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크루의 체결 방향도 고르지 않아, 하부 구멍을 뚫었다 하더라도 스크루의 고정 방향을 잘못 잡기 쉽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크루에 설치한 관통 구멍을 이용하여, 미리 하부 구멍에 삽입한 가이드 핀을 가이드로 해서 스크루를 체결해 갈 수 있어, 체결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절입부에 삽입되는 웨지형의 인공뼈 부재를 구비하고, 해당 인공뼈 부재의 상기 절입부의 절단면에 접촉하는 상하면이, 폭 방향의 일방향으로, 해당 인공뼈 부재의 두께 치수를 점차 작게 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인공뼈 부재의 상하면을 경골의 절입부의 절단면에 꼭 맞추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술 후에 직립 상태의 관절에 연직 하중이 가해져도 인공뼈의 탈전이나 관절면 후향 경사각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골 플레이트 시스템을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골 플레이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골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골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골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a의 골 플레이트에 설치된 나사 구멍과 스크루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골 플레이트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크루의 배치를 관절면에 투영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골 플레이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인공뼈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골 플레이트 시스템에 있어서, 골 플레이트의 횡행부에 고정된 스크루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비교예로서 나타내는 종래의 골 플레이트 시스템에 있어서의 스크루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골 플레이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인공뼈를 경골의 내측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골 플레이트 시스템의 변형예에 사용되는 스크루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크루를, 가이드 핀을 사용해서 체결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인공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골 플레이트(1) 및 골 플레이트 시스템(2)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골 플레이트 시스템(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 플레이트(1)와, 해당 골 플레이트(1)를 경골 X의 고위 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크루(3)와, 경골 X의 내측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형성된 절입부에 삽입되는 인공뼈(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골 플레이트(1)는, 변형 슬관절증의 고위 경골 골절술에 있어서, 골절 후의 경골 X의 고위 측면에 고정되는 가늘고 긴 띠판 형상의 부재이며, 경골 X의 골간부로부터 단부를 향해서 이행하는 위치의 경골 X 측면의 만곡된 표면 형상을 따르게 할 수 있도록, 대표적인 표면 형상에 맞추어서 미묘하게 만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골 플레이트(1)는,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띠판 형상의 본체부(1a)와, 해당 본체부(1a)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횡행부(1b)와, 본체부(1a)와 횡행부(1b)를 연결하는 연결부(1c)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c)는 본체부(1a)의 일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만곡됨과 함께 선단의 횡행부(1b)를 향해서 본체부(1a)의 길이축 둘레로 비틀어진 형상(비틀림 각도는 10°내지 25°)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연결부(1c)는, 본체부(1a)와 횡행부(1b)를 서로 교차하는 평면을 따르게 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 있다.
골 플레이트(1)의 본체부(1a)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나사 구멍(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횡행부(1b)에는, 본체부(1a)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예를 들어 3개의 나사 구멍(6)과, 이들 나사 구멍(5, 6)에 대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1개의 나사 구멍(7)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나사 구멍(5, 6, 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나사이며, 판 두께 방향으로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서, 즉 경골 X에 대향되게 되는 면측을 향해서 점차 작아지는 내경 치수를 갖고 있다. 또한, 도 3에는, 일례로서, 본체부(1a)의 나사 구멍(5)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횡행부(1b) 및 연결부(1c)의 나사 구멍(6, 7)도 마찬가지 구성이다.
스크루(3)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경골 X에 형성된 하부 구멍(도시 생략)에 체결되는 뼈 고정용 수나사부(제2 수나사)(8a)를 갖는 나사부(8)와, 골 플레이트(1)의 나사 구멍(5, 6, 7)에 체결되는 테이퍼 나사(제1 수나사)(9)를 구비하는 헤드부(10)를 구비하고 있다.
골 플레이트(1)의 본체부(1a)에 형성된 나사 구멍(5) 및 횡행부(1b)에 형성된 나사 구멍(6)에 스크루(3)의 헤드부(10)의 테이퍼 나사(9)를 체결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a)와 횡행부(1b)가 서로 비틀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관절면에 투영되는 스크루(3)는, 서로 교차하듯이 체결되게 되어 있다. 이 스크루(3)의 교차 위치는, 경골 X의 내측면으로부터 관절면의 가로 방향의 전체 폭의 50% 내지 80%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인공뼈(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산칼슘계 세라믹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대략 웨지형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뼈(4)는, 절입부에 삽입했을 때 경골 X의 절단면 Y와 접촉하게 되는 면(상하면) 중 적어도 한쪽이, 길이 방향 일방향 및 폭 방향 일방향을 따라, 두께 치수를 점차 감소시키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상하면 모두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골 플레이트(1) 및 골 플레이트 시스템(2)의 작용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골 플레이트 시스템(2)을 사용해서 변형 슬관절증의 고위 경골 골절술을 행하기 위해서는, 경골 X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경골 X의 길이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절입부를 형성하고, 소정의 기구를 사용해서 절단면 Y를 벌린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려진 절단면 Y 사이에 웨지형의 인공뼈(4)를 삽입한 상태에서, 경골 X의 경사 전방 내측면에 골 플레이트(1)의 본체부(1a)를 꼭 대면, 연결부(1c)가 절입부를 건너질러, 횡행부(1b)가 관절면측의 경골 X의 내측면에 꼭 대어지므로, 본체부(1a) 및 횡행부(1b)의 각 나사 구멍(5, 6, 7) 내에 하부 구멍을 형성한다.
이때, 각 나사 구멍(5, 6, 7)에 대하여 그 축선 방향을 따라 하부 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각 나사 구멍(5, 6, 7)을 관통시켜서 하부 구멍에 스크루(3)의 수나사부(8a)를 체결해 가고, 마지막으로, 나사 구멍(5, 6, 7)에 스크루(3)의 헤드부(10)에 설치된 테이퍼 나사(9)를 체결한다.
이에 의해, 골 플레이트(1)가 경골 X의 표면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경골 X에 고정된다. 각 나사 구멍(5, 6, 7) 및 스크루(3)의 헤드부(10)의 제1 수나사(9)는 테이퍼 나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체결의 진행에 따라 고정력이 높아져, 보다 확실하게 골 플레이트(1)를 경골 X의 표면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후에, 절입부 내에 웨지형의 인공뼈(4)를 삽입한다. 이에 의해, 벌려진 절입부의 상하 경골 X는,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부(11)와, 경사 전방 내측면으로부터 내측면에 걸쳐서 절입부를 건너질러 고정된 골 플레이트(1)와, 절단면 Y 사이에 끼워지는 인공뼈(4)와의 3점에 의해, 절입부를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걸리는 연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골 플레이트(1)에 따르면, 절입부를 사이에 두고 경골 X에 고정되는 본체부(1a)와 횡행부(1b)가, 연결부(1c)에 의해 서로 비틀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본체부(1a)는 경골 X의 경사 전방 내측면에 고정되는 데 반해, 횡행부(1b)는 경골 X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그 결과, 시술 후에 직립하는 환자의 대퇴골로부터 관절면을 통해서 경골 X에 연직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해당 연직 하중이, 골 플레이트(1)를 판 두께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즉, 본체부(1a)와 횡행부(1b)가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던 종래의 골 플레이트(12)에서는, 관절면에 연직 하중이 작용하면, 연직 하중이 골 플레이트(12)를 판 두께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모멘트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그 결과, 골 플레이트(12)가 판 두께 방향으로 만곡되면, 인공뼈(4)가 절입부로부터 밀려나와(탈전하게 되어), 벌려져 있던 절입부가 축소되어 관절면이 후방으로 경사(후향 경사)진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골 유합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골 플레이트(1)에 따르면, 연결부(1c)를 비틀어줌으로써, 연직 하중은 골 플레이트(1)와 힌지부(11) 사이에 작용하여, 양측의 2점에서 확실하게 받칠 수 있으므로, 골 플레이트(1)를 판 두께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아, 인공뼈(4)의 탈전이나 관절면의 후향 경사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a)를 경골 X 내측면에 고정할 수 있으면, 마찬가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지만, 절입부보다 저위의 경골 X에는 내측 측부인대 등의 연조직이 접속하고 있으므로, 본체부(1a)를 경골 X 내측면에 고정할 수는 없다.
경골 X의 경사 전방 내측면에 본체부(1a)를 고정하고, 연결부(1c)를 비틀어 횡행부(1b)만을 경골 X의 내측면에 고정함으로써, 내측 측부인대 등의 연조직을 회피하면서, 인공뼈(4)의 탈전이나 관절면의 후향 경사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횡행부(1b)를 경골 X의 내측면에 배치한 것으로, 횡행부(1b)에 고정되는 스크루(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면측의 경골 X를 힌지부(11)를 향해서 바로 옆으로 가로지르도록 체결된다. 종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행부(1b)를 경사 전방 내측면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스크루(3)는, 경사 후방 외측을 향해서 경골 X에 체결되어 가므로, 짧은 스크루(3)밖에 사용할 수 없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경골 X를 치수가 긴 바로 옆으로 가로지르도록 긴 스크루(3)를 체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골질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 고정 조건이 나쁠 때는, 스크루(3)가 짧으면, 스크루(3)가 해면골 내에서 이동하여 해면골을 절단해 버리는 경우도 있지만, 긴 스크루(3)를 사용함으로써 해면골을 건전한 상태로 유지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골 플레이트 시스템(2)에 따르면, 본체부(1a)를 경골 X의 경사 전방 내측면에 배치해서 스크루(3)를 경사 후방을 향해서 체결하고, 횡행부(1b)를 경골 X의 내측면에 배치해서 스크루(3)를 바로 옆을 향해서 체결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경골 X의 관절면에 투영한 스크루(3)는, 경골 X의 내측면으로부터 관절면의 가로 방향의 전체 폭의 50% 내지 80%의 범위에서 교차하고 있다.
환자가 직립한 상태에서는, 대퇴골로부터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의 합력 중심은, 일반적으로는, 내측면으로부터 관절면의 전체 길이의 60% 이상의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크루(3)가 교차하는 위치를 하중의 합력 중심의 위치에 일치시킴으로써, 대퇴골로부터 경골 X에 가해지는 하중을 골 플레이트(1)에 의해 받치기 쉽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골 플레이트 시스템(2)에 있어서는, 인공뼈(4)가 길이 방향을 따라 끝이 가늘어지는 웨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도 일방향으로 두께가 작아지는 경사면을 갖고 있으므로,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길이 방향을 따라 끝이 가늘게 되어 있으므로, 벌려짐으로써 내측면측의 개구단부를 향해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절입부에, 내측면측으로부터 웨지형의 인공뼈(4)를 삽입함으로써, 인공뼈(4)의 상하면을 절입부의 상하의 절단면 Y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인공뼈(4)는, 상하면 중 적어도 한쪽이, 폭 방향으로도 일방향으로 두께가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으로는 두꺼워지게, 전방으로는 얇아지게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술 후에 직립하는 환자의 대퇴골로부터 관절면을 통해서 경골 X에 연직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관절면이 후향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인공뼈(4)의 상하면을 절입부의 양 절단면 Y에 보다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3)로서 가이드 핀(14)을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13)을 갖는 중공의 스크루(3)를 채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 플레이트(1)의 본체부(1a)와 횡행부(1b)가, 연결부(1c)를 비트는 것에 의해 다른 면내에 배치되므로, 스크루(3)의 체결 방향도 고르지 않아, 경골 X에 하부 구멍을 뚫었다 하더라도 스크루(3)의 고정 방향을 잘 못 잡기 쉽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3)에 설치한 관통 구멍(13)을 이용하여, 미리 하부 구멍(15)에 삽입한 가이드 핀(14)을 가이드로 해서 스크루(3)를 체결해 갈 수 있어, 체결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형의 인공뼈(4)의 치수를 이하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θ|-|A|≤±1.5
5≤A≤20㎜
5≤B≤20㎜
10≤C≤50㎜
여기서, θ는 인공뼈(4)의 웨지형의 선단 각도, A는 인공뼈(4)의 최대 높이 치수, B는 인공뼈(4)의 폭 치수, C는 인공뼈(4)의 길이 치수이다. 이러한 치수로 구성함으로써, 사람의 경골 X의 사이즈에 꼭 맞는 사이즈의 웨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θ|≒|A|
6≤A≤15㎜
8≤B≤15㎜
25≤C≤50㎜
이다.
또한, 인공뼈(4)는, 기공률 30% 내지 80%의 인산칼슘계 세라믹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βTCP, αTCP, OCP,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생체 유래 재료, 황산칼슘 시멘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인공뼈(4)가 상하 양면에 경사면을 갖는 것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또는 하면만을 경사면으로 하기로 해도 된다.
1, 12 : 골 플레이트
1a : 본체부
1b : 횡행부
1c : 연결부
2 : 골 플레이트 시스템
3 : 스크루
4 : 인공뼈(인공뼈 부재)
5, 6, 7 : 나사 구멍
8 : 나사부
8a : 수나사부(제2 수나사)
9 : 테이퍼 나사(제1 수나사)
10 : 헤드부
13 : 관통 구멍
14 : 가이드 핀
X : 경골

Claims (7)

  1. 경골의 내측면에 형성된 절입부보다 저위의 상기 경골의 경사 전방 내측면에, 해당 경골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띠판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절입부보다 고위의 상기 경골의 내측면에, 해당 경골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횡행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횡행부 사이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횡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횡행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횡행부가, 연속되는 곡면 형상을 갖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연결부의 길이축에 대하여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횡행부가 다른 평면으로 넓어지도록 비틀어져 있는 골 플레이트.
  2. 삭제
  3. 제1항에 기재된 골 플레이트와,
    해당 골 플레이트의 상기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제1 수나사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경골에 체결되는 제2 수나사를 갖는 나사부를 갖고, 상기 골 플레이트를 상기 경골에 고정하는 스크루를 구비하는 골 플레이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스크루가, 상기 경골의 경사 내측 전방으로부터 경사 외측 후방을 향해서 경사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고,
    상기 횡행부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스크루가, 상기 경골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해서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는 골 플레이트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스크루와, 상기 횡행부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스크루가, 상기 경골의 관절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경골의 내측면으로부터 관절면의 전체 길이의 50% 내지 80%의 범위에서 교차하고 있는 골 플레이트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가, 가이드 핀을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갖는 중공 스크루인 골 플레이트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부에 삽입되는 웨지형의 인공뼈 부재를 구비하고,
    해당 인공뼈 부재의 상기 절입부의 절단면에 접촉하는 상하면이, 폭 방향의 일방향으로, 해당 인공뼈 부재의 두께 치수를 점차 작게 하도록 경사져 있는 골 플레이트 시스템.
KR1020167025048A 2014-03-26 2015-03-20 골 플레이트 및 골 플레이트 시스템 KR101852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70445P 2014-03-26 2014-03-26
US61/970,445 2014-03-26
PCT/JP2015/058633 WO2015146866A1 (ja) 2014-03-26 2015-03-20 骨プレートおよび骨プレート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022A KR20160131022A (ko) 2016-11-15
KR101852287B1 true KR101852287B1 (ko) 2018-04-25

Family

ID=5419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048A KR101852287B1 (ko) 2014-03-26 2015-03-20 골 플레이트 및 골 플레이트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43503B2 (ko)
EP (1) EP3123971B1 (ko)
JP (1) JP6296466B2 (ko)
KR (1) KR101852287B1 (ko)
CN (1) CN106132324B (ko)
MY (1) MY168985A (ko)
PH (1) PH12016501795A1 (ko)
SG (1) SG11201607425YA (ko)
WO (1) WO2015146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556B1 (ko) * 2014-12-03 2016-12-01 백혜선 폐쇄성 원위 대퇴골 절골술용 고정 기구
GB201520176D0 (en) 2015-11-16 2015-12-30 Isis Innovation Proximal tibial osteotomy
JP7208791B2 (ja) * 2016-05-11 2023-01-19 オリンパステルモバイオマテリアル株式会社 骨プレートおよび骨プレートシステム
JPWO2017208318A1 (ja) 2016-05-31 2019-03-22 オリンパステルモバイオマテリアル株式会社 骨プレートおよび骨プレートシステム
CN109288575A (zh) * 2018-09-30 2019-02-01 创美得医疗器械(天津)有限公司 一种腓骨远端b型骨折带侧翼环抱接骨板
CN109288574A (zh) * 2018-09-30 2019-02-01 创美得医疗器械(天津)有限公司 腓骨远端b型骨折环抱接骨板
US10864026B2 (en) 2019-02-08 2020-12-15 Steris Instrument Management Services, Inc. Tibial fixation plate
CN110236659A (zh) * 2019-07-09 2019-09-17 曾忠友 胫骨高位截骨钢板
US11395686B2 (en) 2020-04-20 2022-07-26 Khay-Yong Saw Bone fixation plate and method of using thereof
WO2021250853A1 (ja) * 2020-06-11 2021-12-16 オリンパステルモバイオマテリアル株式会社 骨プレート
WO2023074889A1 (ja) * 2021-11-01 2023-05-04 Auspicious株式会社 膝関節治療用固定具
CN114469302B (zh) * 2022-02-11 2024-04-02 张永飞 腱骨联合部位固定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0226A1 (en) * 2003-05-30 2005-01-13 Grady Mark P. Bone plate
US20060004362A1 (en) * 2004-07-02 2006-01-05 Patterson Chad J Distal radius bone plating system with locking and non-locking screws
US20130211463A1 (en) * 2010-09-28 2013-08-15 Olympus Terumo Biomaterials Corp. Bone plate and bone plat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72373A1 (fr) 1979-12-24 1981-07-03 Tornier Sa Plaques epiphysaires perfectionnees
AT387711B (de) * 1986-07-15 1989-03-10 David Thomas Knochenfixationsplatte
US5938664A (en) 1998-03-31 1999-08-17 Zimmer, Inc. Orthopaedic bone plate
CN1172634C (zh) 1999-09-13 2004-10-27 库尔斯恩蒂斯股份公司 骨板系统
DE10153467B4 (de) 2001-10-30 2006-05-24 Königsee Implantate und Instrumente zur Ostheosynthese GmbH Vorrichtung zur Stabilisierung der Tibia und/oder des Tibiakopfes nach Osteotomie-Eingriffen
ITBO20020224A1 (it) * 2002-04-23 2003-10-23 Citieffe Srl Supporto stabilizzatore per osteotomie di addizione e sottrazione
US20060173458A1 (en) * 2004-10-07 2006-08-03 Micah Forstein Bone fracture fixation system
US8382807B2 (en) * 2005-07-25 2013-02-26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polyaxial plates
US8523921B2 (en) 2006-02-24 2013-09-03 DePuy Synthes Products, LLC 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 plate
JP3124178U (ja) * 2006-05-29 2006-08-10 株式会社ホリックス 中空スクリュー
US8317842B2 (en) * 2007-11-30 2012-11-27 Biomet C.V. Distal tibia plating system
US20090177203A1 (en) * 2008-01-04 2009-07-09 Inbone Technologie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alignment of bone
US20090248084A1 (en) 2008-03-27 2009-10-01 Beat Hinterman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kle arthrodesis in a human patient
AU2008353332B2 (en) 2008-03-27 2015-04-16 Smith & Nephew Asia Pacific Pte. Limited Arthrodesis system for the ankle of a human patient
US9072555B2 (en) 2008-07-21 2015-07-07 Arthrex, Inc. Carbon fiber reinforced peek bone plate with titanium fixation screws
US8257405B2 (en) * 2008-07-31 2012-09-04 Biomet C.V. Periarticular bone plate with biplanar offset head member
JP5419426B2 (ja) 2008-11-20 2014-02-19 株式会社ホリックス 骨接合装置
JP5505767B2 (ja) * 2009-03-23 2014-05-28 オリンパステルモバイオマテリアル株式会社 骨プレートおよび骨プレートシステム
JP5777047B2 (ja) * 2011-02-16 2015-09-09 オリンパステルモバイオマテリアル株式会社 骨プレートシステム
FR2980967B1 (fr) 2011-10-10 2013-11-15 D L P Sarl Plaque d'osteosynthese pour une technique d'osteotomie tibiale de valgisation par addition interne
CN103169534B (zh) * 2011-12-20 2016-03-30 上海市第六人民医院 胫骨平台后外侧解剖型锁定接骨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0226A1 (en) * 2003-05-30 2005-01-13 Grady Mark P. Bone plate
US20060004362A1 (en) * 2004-07-02 2006-01-05 Patterson Chad J Distal radius bone plating system with locking and non-locking screws
US20130211463A1 (en) * 2010-09-28 2013-08-15 Olympus Terumo Biomaterials Corp. Bone plate and bone plat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6501795B1 (en) 2016-11-21
JPWO2015146866A1 (ja) 2017-04-13
WO2015146866A1 (ja) 2015-10-01
SG11201607425YA (en) 2016-10-28
PH12016501795A1 (en) 2016-11-21
EP3123971A1 (en) 2017-02-01
US10143503B2 (en) 2018-12-04
JP6296466B2 (ja) 2018-03-20
US20170007304A1 (en) 2017-01-12
MY168985A (en) 2019-01-29
EP3123971A4 (en) 2017-12-06
KR20160131022A (ko) 2016-11-15
CN106132324A (zh) 2016-11-16
CN106132324B (zh) 2019-03-22
EP3123971B1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287B1 (ko) 골 플레이트 및 골 플레이트 시스템
JP7383653B2 (ja) 骨固定装置および方法
US11123118B2 (en) Periprosthetic bone plates
KR101768706B1 (ko) 척골 골절술 시스템
KR101926785B1 (ko) 뼈 접합판 및 뼈 접합 시스템
EP3226791B1 (en) Active tension bone and joint stabilization devices
US4936844A (en) Bone fixation system
US116073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ne fixation
EP1728480B1 (en) Scapholunate disassociation repair system
US20220183680A1 (en) Bone clip with resilient arm for proximal compression
KR100641312B1 (ko) 개방형 설상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금속고정구
US6398787B1 (en) Cable sleeve system for bone fixation
US98614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 fractured bone
EP2903541B1 (en) Posterior stabilization systems
KR20150120777A (ko)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위한 고정 기구
US20190090921A1 (en) Bone plate and bone plate system
JP6654147B2 (ja) 張力調節を伴う組織移植片固定
US20130030479A1 (en) Bone wedge
JP2011019710A (ja) 鎖骨固定用プレート
US11337740B2 (en) Bone plate and method for use in a 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 (TPLO)
KR20160116077A (ko) 개방형 설상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금속고정장치
KR20160066888A (ko) 폐쇄성 원위 대퇴골 절골술용 고정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