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899B1 -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 Google Patents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899B1
KR101851899B1 KR1020170086355A KR20170086355A KR101851899B1 KR 101851899 B1 KR101851899 B1 KR 101851899B1 KR 1020170086355 A KR1020170086355 A KR 1020170086355A KR 20170086355 A KR20170086355 A KR 20170086355A KR 101851899 B1 KR101851899 B1 KR 101851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water
storage tank
collecting body
rainwat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782A (ko
Inventor
이옥노
Original Assignee
이옥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노 filed Critical 이옥노
Priority to KR102017008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8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899B1/ko
Priority to PCT/KR2018/007685 priority patent/WO20190096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ewag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식수대(植樹帶)에 심은 가로수 또는 대형 주차장 및 집단주택의 주차장의 주차구획을 구획(분리)하기 위한 식수대에 심은 관상수의 급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운영비가 소요되지 않으며, 비를 양호하게 빗물저장조에 모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수대(10)에 심은 조경수 사이에 배치하고 그 측면에 조경수의 뿌리방향측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분배관(21a,21b)을 설치하며, 상면을 개방한 빗물저장조(20)와; 빗물 포집체 본체(31)를 삿갓 유사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다수의 통공(32)을 형성하며, 하부 주위에 빗물포집홈을 형성하여서, 그 하단 주위를 상기 빗물저장조(20)의 상단 주위에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한 빗물포집체(30);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WATER SUPPLY MEANS FOR TREES IN A DIVIDING PLANTING STRIP ZONE}
본 발명은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식수대(植樹帶)에 심은 가로수 또는 대형 주차장 및 집단주택의 주차장의 주차구획을 구획(분리)하기 위한 식수대에 심은 관상수의 급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에 교통사고의 방지 등을 위하여 설치한 중앙분리대를 형성하는 식수대는 보행자나 운전자들에게 쾌적한 느낌과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위하여 가로수를 심고 있고, 또한 대형주차장 또는 집단주택(아파트 등)의 주차장의 전 후방 구획 또는 인접 구획을 구분하기 위하여 식수대를 설치하여서 그 식수대에 관상수를 심고 있다. 상기한 가로수 또는 관상수(이하에서는 가로수와 관상수를 조경수라 칭한다)를 심는 식수대는 통상적으로 도로 또는 주차장의 표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경계석을 설치한 후 상기 경계석 사이에 식생토(흙)를 부설하여 상기 식생토에 일정간격으로 조경수를 심고 있으며, 상기한 식수대의 식생토의 표면은 통상적으로 호상으로 형성하여 빗물이나 녹은 눈이 도로 또는 주차장 측으로 흘러내리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는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어야 양호한 성장을 할 수 있으나, 식수대의 폭은 1.5m 내외에 불과하고, 또한 식생토의 표면이 호상으로 형성 되어 있으므로 비가 오거나 눈이 와서 녹을 때 빗물 등이 식생토로 스며들지 못하고 도로 등으로 흘러내리고, 또한 조경수가 성장하고 비의 양이 적을 때에는 조경수에 방해되어 비가 조경수의 뿌리 근처에 스며들지 못하고 도로로 낙하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조경수에 충분한 급수가 실현되지 못함으로써 특히 가뭄이 심할 경우에, 성장에 장해를 일으키거나 고사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이식 초기의 조경수는 뿌리가 충분히 발달되지 못하여 상기 현상이 더욱더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뭄현상이 발생할 때 상기한 조경수의 성장장해 및 고사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서 조경수에 급수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살수차에 의한 급수를 고려할 수 있으나. 식수대의 식생토의 표면이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경수에 급수하기 위하여서는 조경수 주위에 급수가 머물 수 있는 홈을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번잡하고, 또한 살수차의 운영에 막대한 시설 및 운영비 등이 소요되고 있어 실현이 어려운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가뭄 시 조경수의 성장장해 및 고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도로의 조경 가로수 급수시설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특허문헌 1의 도로의 조경 가로수 급수시설은 그 내부 물이 보충 가능하게 충진되는 수조(10)와; 상측이 개구되며 상기 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본체(21), 이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커버(22) 및 상기본체에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그 내부의 물을 가로수에 공급하는 다수의 급수관(23)을 설치하며 연결관(40)으로 다수개를 연결한 물저장탱크(20)와; 상기 물저장탱크의 내부에 채워져 상기 물저장탱크에 저장되는 물이 일정량만큼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조절부재(30)를 포함하여서, 수조에 인공으로 물을 채우면 수조내의 물이 물저장탱크(20A)(20B)~(20N)에 순서대로 공급되어 가뭄 여부에 불구하고 항상 가로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신도시 친환경 도로 중앙분리대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특허문헌 2의 신도시 친환경 도로 중앙분리대는 도로 중앙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를 통한 중앙분리대 양측 도로면에 매설되는 빗물받이와; 상기 식재부 아래의 지중에 매설되며 상기 빗물받이와 수로관을 통해 연결되어 우수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우수저장탱크와; 상기 식재부에 이 식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매설되며 일측 끝단부는 상기 우수저장탱크 내측으로 연장되어 펌프를 통해 우수저장탱크내의 우수를 송수시키는 우수이송관; 및 상기 우수이송관사이에 등 간격으로 연동 배치되어 그들 사이에 가로수 또는 조경수가 식재될 수 있는 식재공간이 제공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등 간격에 걸쳐 분사구멍이 형성되어 우수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우수를 식재된 가로수 또는 조경수의 뿌리 측에 공급하는 다수의 급수관이 구비된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용이한 수분흡수성을 갖는 수분저장매트에 의해 감싸서 빗물을 우수저장탱크에 저장하였다가 건기시에 펌프를 가동하여 급수관으로 공급하여 식재된 나무의 뿌리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KR 20-0337784 Y1
(특허문헌 2) KR 10-0672232 B1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의 도로의 조경 가로수 급수시설은 수조(10)에 인공으로 물을 채우는 것이므로 수시로 충분한 양의 물을 채우면 조경수의 성장에 충분한 급수를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수조(10)에 물을 채우기 위하여서는 물탱크차를 구비하여야 하고, 또한 이를 운영하는 인력은 적어도 2인은 소요되기 때문에 운영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특허문헌 2의 신도시 친환경 도로 중앙분리대는 빗물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도 필요하므로 시공비가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관리요원도 필요하기 때문에 운영비가 많이 소요되고, 특히 기존의 식수대에는 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운영비가 소요되지 않으며, 비를 항상 양호하게 빗물저장조에 모을 수 있도록 한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 사이에 배치하고 그 측면에 조경수의 뿌리방향측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분배관을 설치하며, 상면을 개방한 빗물저장조와; 빗물포집체 본체를 삿갓 유사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며, 하부 주위에 빗물포집홈을 형성하여서, 그 하단 주위를 상기 빗물저장조의 상단 주위에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한 빗물포집체;로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주차장 등의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 사이에 빗물저장조를 배치하여 빗물을 모아서 조경수의 뿌리근처의 식생토(흙)에 스며들도록 함으로써 조경수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나무의 성장장해 및 고사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빗물저장조와 빗물포집체 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적은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또한 비가 올 때 그 비를 포집하여 조경수의 급수에 이용함으로써 운영비가 소요되지 않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빗물포집체 본체를 원추형·사각형 이상의 다각추형 또는 호상형의 삿갓 유사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다수의 통공을 형성함으로써 빗물의 포집면적이 획기적으로 확대되고 또한 빗물포집체 본체의 하부 주위에 빗물포집홈을 형성함으로써 빗물이 통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빗물포집체 본체를 미끄러지는 빗물도 양호하게 포집함으로써 빗물포집효율이 양호하여 적은 양의 비가 올 때에도 조경수의 성장에 장해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급수가 가능한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빗물포집체 본체를 삿갓 유사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바람을 동반한 비의 포집효율이 양호하고, 바람이 불때 이물질 예를 들어 낙엽, 포장지 등이 빗물포집체 본체에 접촉할 때 미끄러지면서 분리됨으로 통공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 또한 빗물포집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시도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시도의 도 2의 대응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로서
부호 10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대형 주차장 및 집단주택의 주차장을 구획(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식수대로서, 상기 식수대(10)는 포장된 도로 및 주차장의 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경계석(11a)(11b)을 설치하고, 상기 경계석(11a)(11b)사이에 식생토(흙)(12)를 채워서, 상기 식생토(12)에 일정간격으로 조경수(13a)(13b)를 심은 것이다.
20은 빗물저장조로서, 상기 빗물저장조(20)는 콘크리트, 경질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으로 원통형, 4각통형 이상의 다각형 통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면을 개방하여서, 상기 식수대(10)의 식생토(12)에 상단 주위를 노출시켜 매설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빗물저장조(20)의 측면에 조경수의 방향측으로 적어도 1개이상의 분배관(21a)(21b)을 설치하며, 상기 분배관(21a)(21b)에는 다수의 분산공(22)을 형성하여 빗물저장조(20)에 모인 빗물을 조경수의 뿌리근처의 식생토에 균등하게 분산하여 스며들게 한 것이다.
상기한 빗물저장조(20)는 식수대(10)의 식생토(12)에 매설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식생토(12)의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빗물저장조(20)를 식생토(12)의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할 경우에도 분배관(21a)(21b)은 조경수의 뿌리 근처까지 유도되게 설치하는 것이다.
30은 빗물포집체로서. 상기 빗물포집체(30)는 빗물포집체 본체(31)를 강판, 경질플라스틱판, 섬유강화플라스틱판으로 원추형. 4각추형의 삿갓 유사형상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통공(32)을 형성하고, 상기 빗물포집체 본체(31)의 하단 주위에 수직벽(33)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벽(33)에 걸림턱(34)을 외측으로 수평지게 형성하며, 상기 빗물포집체 본체(31)의 하부 주위에 빗물포집홈(35)을 형성하여서, 상기 걸림턱(34)을 빗물저장조(20)의 상단에 걸고 수직벽(33)을 상기 빗물저장조(20)의 상단 내벽에 지지한 후 볼트, 분할핀 등의 체결요소(36)로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시도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로서, 상기 빗물포집체 본체(31)의 상하방향에 다수의 비 안내편(37)을 돌출되게 설치하여서, 폭풍우가 올 때에 비 안내편(37)이 폭풍우를 빗물포집홈(35)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서 빗물포집효율을 극대화 한 것이다.
또한 빗물저장조(20)의 상단주위에 빗물포집체(30)의 하단주위를 결합할때 빗물저장조(20)의 상당주위에 단턱(24)을 형성하고, 빗물포집체 본체(31)의 하단에 빗물포집홈(35)이 형성되게 지지판(38)을 형성하여 지지판(38)을 단턱(24)에 지지하고 빗물포집홈(35)과 단턱(24)을 볼트, 핀, 등의 체결요소(36)로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빗물저장조(20)에 빗물포집체(30)를 결합하면 빗물포집홈(35)에 모인 빗물은 통공(32)을 통하여 빗물저장조(20)로 낙하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시도의 도 2의 대응 단면도로서, 빗물포집체(30)를 반원형 등의 호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식수대(10)의 식생토(12)에 빗물저장조(20)를 매설하거나 빗물저장조(20)를 식수대(10)의 식생토(12)에 노출되게 설치한 후 분배관(12a)(12b)을 조경수의 뿌리근처로 유도하고, 빗물저장조(20)의 상부에 빗물포집체(30)를 결합하면 그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설치한 후 비가 오면 그 비는 삿갓 유사형상으로 된 빗물포집체(30)의 상면에 낙하되면서 통공(32)을 통하여 빗물저장조(20)내로 낙하되고 통공(32)을 통하여 낙하 되지 못한 비는 빗물포집홈(35)에 모이면서 빗물포집체 본체(31)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통공(32)을 통하여 빗물저장조(20)에 낙하 되어 빗물저장조(20)에 빗물이 모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비가 빗물포집체(30)에 낙하될 때 특히 폭풍우일 경우에는 빗물포집체 본체(31)의 상하방향에 걸쳐 설치한 비 안내편(37)이 폭풍우가 빗물포집체 본체(31)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방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악천우일 경우에도 모든 비를 양호하게 포집함으로써 포집효율을 획기적으로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빗물저장조(20)에 모인 빗물은 분배관(21a)(21b)의 분산공(22)을 통하여 천천히 조경수의 뿌리근처의 식생토에 분산되면서 식생토에 많은 수분을 저장시키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식생토에 저장된 수분은 천천히 조경수의 성장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비가 올 때 그 비를 양호하게 포집하여 조경수의 급수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조경수를 양호하게 육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비를 포집하여 조경수에 급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가뭄이 매우 심하고 이식된 조경수의 뿌리의 발달이 불완전할 경우 등 불가피할 경우에는 빗물저장조(20)에 인공으로 물을 보충할 수도 있는 것이다.
10 : 식수대 20 : 빗물저장조 30 : 빗물포집체
31 : 빗물포집체 본체 32 : 통공
35 : 빗물포집홈 37 : 비 안내편

Claims (7)

  1.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 사이에 배치하고 그 측면에 조경수의 뿌리방향측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분배관을 설치하며, 상면을 개방한 빗물저장조와; 빗물 포집체 본체를 삿갓 유사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에 다수의 비 안내편을 돌출되게 설치하며, 하부 주위에 빗물포집홈을 형성하여서, 그 하단 주위를 상기 빗물저장조의 상단 주위에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한 빗물포집체;로 구성한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빗물저장조를 식생토에 매설한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빗물저장조는 식생토의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한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빗물포집체는 빗물포집체 본체의 하단 주위에 수직벽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벽에 걸림턱을 외측으로 수평지게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을 빗물저장조의 상단에 걸고 상기 수직벽을 상기 빗물저장조의 상단 내벽에 지지한 후 체결요소로 결합한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빗물포집체는 빗물저장조의 상단 주위에 단턱을 형성하고 빗물포집체 본체의 하단에 지지판을 형성하여 지지판을 단턱에 지지하고 체결요소로 결합한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분배관에 다수의 분산공을 형성한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KR1020170086355A 2017-07-07 2017-07-07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KR101851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55A KR101851899B1 (ko) 2017-07-07 2017-07-07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PCT/KR2018/007685 WO2019009658A1 (ko) 2017-07-07 2018-07-06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55A KR101851899B1 (ko) 2017-07-07 2017-07-07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782A KR20170088782A (ko) 2017-08-02
KR101851899B1 true KR101851899B1 (ko) 2018-04-24

Family

ID=5965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355A KR101851899B1 (ko) 2017-07-07 2017-07-07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1899B1 (ko)
WO (1) WO2019009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899B1 (ko) * 2017-07-07 2018-04-24 이옥노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CN109526687A (zh) * 2019-01-16 2019-03-29 重庆盛物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山地农业种植的灌溉方法
CN111316834A (zh) * 2019-12-26 2020-06-23 景古环境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施工的道路绿化隔离带
CN112106575A (zh) * 2020-08-11 2020-12-22 上海有间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农业大棚灌溉装置
CN112112218B (zh) * 2020-08-17 2022-01-25 济南城建监理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市政工程园林区的雨水收集利用装置
CN113310016A (zh) * 2021-04-21 2021-08-27 广州市立晟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景区用集水式路灯及集水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352A (ja) * 2001-05-29 2002-12-03 Takami Ito 雨水集水装置
KR101488139B1 (ko) * 2014-09-25 2015-01-29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수를 활용한 무동력 가로수 관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82B1 (ko) * 2009-01-02 2011-08-09 대한민국 지중 관배수시스템
KR20130112164A (ko) * 2012-04-03 2013-10-1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빗물을 활용한 관개시스템
KR101756086B1 (ko) * 2014-11-04 2017-07-10 한경수 수목을 보호 생육하기 위한 급양, 급수용 통기관의 뚜껑
KR101851899B1 (ko) * 2017-07-07 2018-04-24 이옥노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352A (ja) * 2001-05-29 2002-12-03 Takami Ito 雨水集水装置
KR101488139B1 (ko) * 2014-09-25 2015-01-29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수를 활용한 무동력 가로수 관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782A (ko) 2017-08-02
WO2019009658A1 (ko)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899B1 (ko)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CN102217518B (zh) 均衡式供水植物抗干旱集雨器
CN104652452A (zh) 一种用于喀斯特地区护坡的集水灌溉装置
CN210151758U (zh) 一种带蓄水供水系统的边坡生态防护结构
CN106320494B (zh) 基于既有城市道路与排水条件的海绵工程系统的施工方法
KR20140135441A (ko) 에어컨 배출수를 활용한 관수시스템
KR100863625B1 (ko)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KR101024843B1 (ko) 주택지 또는 도로의 법면에서 조경용 급,배수 장치
KR100826512B1 (ko) 격자망을 이용한 식생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녹화공법
CN111593750A (zh) 一种露天矿山陡坡生态修复结构及修复方法
CN208280285U (zh) 一种园林用自动浇灌排水系统
CN112502168B (zh) 一种近地铁运营线深基坑边坡防护网
CN209816818U (zh) 一种用于公路的防风固沙生态毯
CN213061576U (zh) 一种基于道路的多功能一体化绿化带装置
WO2008035964A1 (en) Growing location, method and holder
KR101404854B1 (ko) 빗물 공급에 의한 만경식물 생육용 조경구조물
CN113789795A (zh) 一种公路边坡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129005B1 (ko) 벽면녹화장치
CN101084731B (zh) 眼袋式坡地植树法
KR100577846B1 (ko) 친환경적인 도로 옹벽 설치구조
KR20150127324A (ko) 우수 저류침투형 잔디조성구조
CN219352477U (zh) 一种利用藤本植物及灌木复绿边坡的结构
CN216452109U (zh) 一种应用于边坡修复的藤本植物绿化结构
CN212270973U (zh) 一种露天矿山陡坡生态修复结构
KR100993448B1 (ko) 계단식 옹벽 녹지화용 친환경 화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