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738B1 - 의료용기용 캡 - Google Patents

의료용기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738B1
KR101851738B1 KR1020160046264A KR20160046264A KR101851738B1 KR 101851738 B1 KR101851738 B1 KR 101851738B1 KR 1020160046264 A KR1020160046264 A KR 1020160046264A KR 20160046264 A KR20160046264 A KR 20160046264A KR 101851738 B1 KR101851738 B1 KR 101851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ut
lower cap
upper cap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459A (ko
Inventor
박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경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경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경피앤씨
Priority to KR1020160046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73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25Snap-fi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4Closures in which a part has to be ruptured to gain access to the contents
    • B65D2101/0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20Frangible elements completely enclosed in closure ski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의 중앙에 외력에 의해 절취가 가능한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면의 테두리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측벽의 하단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약액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고무전의 외측에 씌워지며 상기 걸림턱이 용기의 목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하부 캡; 및 상기 하부 캡의 절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캡의 상단 외측을 커버하는 상부 캡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캡은 일측을 외력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상부 캡과 결합된 절취부가 절취되면서 상기 하부 캡과 분리되고 상기 절취부의 절취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고무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기용 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약액의 보존력을 확보하고, 의료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부산물이 발생되지 않아 위생적이며, 제조공정의 단축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캡의 분리시 하부 캡의 브릿지가 끊어지면서 절취부가 절취되기 때문에 새것과 사용된 것을 구분할 수 있고, 일회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약액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약액의 재사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세균 감염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료용기용 캡{Cap For Medical Container}
본 발명은 의료용기용 캡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의료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부산물이 발생되지 않아 위생적이고, 약액의 보존력을 확보하며, 약액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의 편의성과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의료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알은 주사액, 분말형 주사제 등의 기타 약액을 비롯하여 콘택트렌즈와 같이 내부 보관물질이 멸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약병 내지 보관용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관중인 내용물의 누출 및 변질을 막고, 외부에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도록 밀봉처리되어 있으며, 안전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바이알은 무균, 항균 처리한 유리재질 또는 소정 의약품 용기 시험법에 통과한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서 그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하도록 공간을 갖는 약액 용기(10)와, 약액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고무전(20)과, 고무전의 외측을 감싸 용기에 체결되는 커버(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커버의 상부 층을 이루고 있는 캡(31)과,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져 커버의 하부 층을 이루고 있는 슬리브(32)로 구성되며, 슬리브와 캡은 중앙 부위의 결합부(33)에 의하여 서로 고정 결합이 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의 표면에는 커버를 벗겨낼 때 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선(3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과 슬리브로 구성된 커버는 캡의 개방과 함께 슬리브(32)가 절취되게 되는데 슬리브(32)가 절취되는 과정에서 슬리브의 재료인 알루미늄 가루(이하, 부산물이라 함)가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고무전(20) 위에 떨어져 잔류하게 되고,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사 바늘이 부산물이 있는 고무전 (20)부분을 통과할 경우 약액과 함께 부산물이 신체에 주입될 수 있으며, 신체로 주입된 잔류 부산물이 신체 내에 잔류하거나 순환하면서 배출되지 않아 모세혈관을 막거나 감염,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농양, 화농성 관절염, 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특히 금속 또는 중금속 이물질이 혈관으로 유입될 경우, 신경 손상이나 혈류 방해 등 심혈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등 큰 위험에 직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의학계에서도 주사 바늘을 통해 이물질 및 부산물이 신체 내 유입되는 것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캡의 밀봉 조립 후 초음파 세척을 하거나 초음파 세척 후 조립을 하는 과정을 거치기도 하지만 캡 제조시장은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관계로 제조 공정에 따른 제조 비용의 부담이 크고, 바이알의 멸균과정에서 슬리브의 변형이 발생되어 바이알의 불량률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375320 (공고일 2014.03.18)
한국공개특허: 10-2006-0083955 (공개일 2006.07.21)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을 구성하는 하부 캡과 상부 캡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 캡 상면 중앙에 절취 가능한 절취부가 형성되며, 하부 캡의 절취부에 상부 캡의 축심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 캡의 분리시 하부 캡의 절취부가 절취되면서 분리되고 상기 절취부의 절취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통해 고무전이 외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상부 캡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부산물(al가루)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위생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의료용기용 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캡의 분리시 하부 캡의 상면이 절취되어 내부의 고무전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용기 내의 약액이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기용 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캡과 상부 캡이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사출성형만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제조 공정의 단축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조과정에서 불량률이 발생하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의료용기용 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기용 캡은 상면의 중앙에 외력에 의해 절취가 가능한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면의 테두리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측벽의 하단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약액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고무전의 외측에 씌워지며 상기 걸림턱이 용기의 목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하부 캡; 및 상기 하부 캡의 절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캡의 상단 외측을 커버하는 상부 캡;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캡은 일측을 외력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상부 캡과 결합된 절취부가 절취되면서 상기 하부 캡과 분리되고 상기 절취부의 절취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고무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캡의 절취부와 상부 캡의 결합은 상기 상부 캡의 저면 중앙에 축심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캡의 절취부 중앙에 상기 축심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의 축심이 상기 절취부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초음파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취부는 하부 캡의 상면의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경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브릿지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캡의 측벽 하단에는 외향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상기 하부 캡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캡의 외측에 끼워지는 보강 링이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턱에 걸쳐진 보강 링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캡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보강 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캡의 하단과 상기 보강 링 사이에는 상기 상부 캡의 하단 테두리부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기구 또는 손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gap)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캡 하단의 일측에는 손 또는 기구가 걸릴 수 있게 외향 돌출되는 날개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캡과 상부 캡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약액의 보존력을 확보하고, 의료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부산물이 발생되지 않아 위생적이며, 제조공정의 단축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캡의 분리시 하부 캡의 브릿지가 끊어지면서 절취부가 절취되기 때문에 새것과 사용된 것을 구분할 수 있고, 일회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약액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약액의 재사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세균 감염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멸균과정에서 보강링이 하부 캡의 변형을 방지하므로 제품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캡과 보강 링 사이의 공간과 날개편으로 인해 상부 캡의 분리가 용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의료용기용 캡을 도시한 이미지.
도 2의 (a)는 도 1에서 플라스틱 재질의 캡의 개방과 함께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가 절취될 때 고무전에 알루미늄 가루가 잔류한 상태를 도시하고, (b)는 고무전에 잔류한 알루미늄 가루가 약액과 함께 주사기에 주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기용 캡을 도시한 외형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기용 캡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기용 캡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기용 캡이 의료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기용 캡에서 상부 캡의 일측에 날개편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8은 의료용기에 결합된 의료용기용 캡의 상부 캡이 하부 캡으로부터 분리될 때 하부 캡의 절취부가 절취되면서 분리되고 절취부가 절취된 중공부를 통해 고무전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기용 캡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기용 캡의 구성을 설명하고, 도 6을 참고로 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기용 캡이 의료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며,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부 캡의 일측에 상부 캡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날개편이 더 부가되는 것을 설명하고, 도 8을 참고로 하여 의료용기용 캡의 상부 캡이 하부 캡으로부터 분리될 때 하부 캡의 브릿지가 끊어지면서 절취부가 절취되고, 절취부가 절취된 중공부를 통해 고무전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기용 캡(100)은 플라스틱 재질의 하부 캡(110)과 상부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하부 캡(110)은 상면의 중앙에 외력에 의해 절취가 가능한 절취부(113)가 형성되고, 상면의 테두리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측벽의 하단 내측면에 걸림턱(1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절취부(113)는 하부 캡의 상면의 중앙에 중공부(111)가 형성되고, 중공부(111)의 내경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브릿지(112)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절취부(113)의 중앙에는 결합공(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캡(110)은 약액을 수용하는 용기(200)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고무전(300)의 외측에 씌워지고 걸림턱(115)이 용기(200)의 목부(210)에 걸림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하부 캡 측벽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15)은 용기(200)의 목부(210)에 걸림되기 위해서 하부 캡(110)의 내면보다 돌출되는 구조로 갖기 때문에 용기(200)의 외측에 끼워질 때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력을 발휘해야 한다. 따라서, 걸림턱(11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의 내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 걸림턱이 복수 개 분할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캡(110)의 측벽 하단의 외측면에는 외향 돌출되는 단턱(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단턱(116)에는 하부 캡(1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캡(110)의 외측에 끼워지는 보강 링(117)이 걸쳐진다.
여기서, 의료용기(200)는 캡(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의 약액이 멸균 상태를 유지하도록 120℃에서 20분간 멸균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플라스틱 재질인 하부 캡(110)은 고온에 의해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캡(110)의 외측에는 하부 캡(1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 링(115)이 끼워지고 이러한 보강 링(115)을 지지하도록 단턱(11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하부 캡(110) 측벽의 외측면에는 단턱(116)에 안착된 보강 링(117) 상부에 보강 링(11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118)가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118)는 측벽의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는 형태로 동일선상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동일선상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돌기(118)는 하부 캡(110)의 외측에 보강 링(117)이 인위적으로 끼워질 때는 크게 걸림되지 않으면서 보강 링(117)이 자연적으로 이탈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게 곡면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캡(120)은 하부 캡의 절취부(113)에 축심(121)이 결합되어 하부 캡(110)의 상단 외측을 커버한다.
여기서, 축심(121)은 상부 캡(120)의 저면 중앙에서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하부 캡의 절취부(113)에 형성된 결합공(114)에 삽입된다.
그리고, 결합공(114)에 삽입된 축심(121)은 초음파 융착을 통해 하부 캡의 절취부(113)와 일체화가 된다.
이처럼, 상부 캡(120)은 하부 캡의 절취부(113)와 결합되어 하부 캡(110)의 상단 외측을 긴밀하게 커버한다.
이때, 상부 캡(120)의 하단과 하부 캡(110)의 외측에 끼워진 보강 링(115) 사이에는 상부 캡(120)의 하단 테두리부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기구 또는 손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gap)(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공간은 하부 캡(110)으로부터 상부 캡(120)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 손가락 또는 기구 등이 끼워져 상부 캡(120)을 벗겨내기 위한 외력을 가하기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캡(120) 하단의 일측에는 손 또는 기구가 쉽게 걸릴 수 있게 외향 돌출되는 날개편(1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날개편(123)을 통해 손이나 기구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 인하여 상부 캡(120)에 외력을 가하기가 용이하고 아울러 상부 캡(120)을 보다 더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의료용기용 캡(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을 수용하는 용기(200)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고무전(300)의 외측에 씌워진다. 그리고, 하부 캡의 걸림턱(115)이 용기(200)의 목부(2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걸려 고정됨으로써 용기(200)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의료용기용 캡(100)에 의해 밀폐된 용기(200)는 120℃에서 20분간 멸균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하부 캡(110)은 외측에 끼워진 보강 링(117)에 의해 강도가 보강되어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멸균 처리된 의료용기(200) 내의 약액은 밀봉된 상태로 안전하게 보관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기(200)에 담긴 약액의 사용 시 상부 캡(120)과 보강 링(117) 사이의 공간(gap)(122)을 통해 상부 캡(120)의 하단 테두리부 일측을 상부로 밀어올리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날개편(123)에 손가락 또는 기구를 걸어 날개편(123)을 외력으로 밀어올리면 상부 캡(120)이 하부 캡(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하부 캡의 브릿지(112)가 끊어지고 이로 인하여 하부 캡의 절취부(113)가 상부 캡(120)의 축심(121)과 일체화된 상태로 하부 캡(110)으로부터 분리되며, 절취부(113)의 절취에 위해 형성된 구멍 즉, 하부 캡의 중공부(111)를 통해 고무전(300)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플라스틱 재질의 상부 캡(120)은 하부 캡(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부산물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아울러 고무전(300) 위에 부산물이 잔류하지 않게 되어 고무전(300)을 통과한 주사 바늘에 용기(200) 내의 약액이 위생적으로 주입된다.
또한, 상부 캡(120)의 분리시 하부 캡(110)의 절취부(113)를 연결하는 브릿지(112)가 끊어지면서 절취부(113)가 절취되기 때문에 한번 분리된 상부 캡(120)과 하부 캡(110)은 재결합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의료용기용 캡(100)은 일회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용기 내의 약액이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알루미늄재질의 슬리브와 슬리브를 절취하기 위한 캡의 구조에서 탈피하여 플라스틱 재질의 하부 캡과 상부 캡이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약액의 보존력을 확보하고 의료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부산물이 발생되지 않아 위생적이게 된다.
또한, 종래 의료용기용 캡의 제조 공정은 사출단계, AL코팅단계, 프레스단계, 조립단계, 세척단계, 검사단계의 6단계를 거쳐야 하는 반면 본 발명의 의료용기용 캡의 제조공정은 사출단계, 조립단계, 세척 또는 멸균단계, 검사단계의 4단계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크게 단축되며 이로 인하여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멸균과정에서 보강링이 하부 캡의 변형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아울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부 캡과 보강 링 사이의 공간과 날개편으로 인해 상부 캡의 분리가 용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캡의 분리시 하부 캡의 브릿지가 끊어지면서 절취부가 절취되기 때문에 새것과 사용된 것을 구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약액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약액의 재사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세균 감염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의료용기용 캡 110: 하부 캡
111: 중공부 112: 브릿지
113: 절취부 114: 결합공
115: 걸림턱 116: 단턱
117: 보강링 118: 돌기
120: 상부 캡 121: 축심
122: 공간 123: 날개편
200: 용기 210: 목부
300: 고무전

Claims (8)

  1. 상면의 중앙에 외력에 의해 절취가 가능한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면의 테두리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측벽의 하단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약액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고무전의 외측에 씌워지며 상기 걸림턱이 용기의 목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하부 캡; 및 상기 하부 캡의 절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캡의 상단 외측을 커버하는 상부 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캡의 절취부와 상부 캡의 결합은 상기 상부 캡의 저면 중앙에 축심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캡의 절취부 중앙에 상기 축심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의 축심이 상기 절취부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초음파 융착되고, 상기 절취부는 하부 캡의 상면의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내경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브릿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캡의 일측을 외력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상부 캡과 결합된 절취부의 브릿지가 절취되면서 상기 하부 캡과 분리되고 상기 절취부의 절취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고무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 캡과 상부 캡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캡의 측벽 하단에는 외향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에는 상기 하부 캡의 외측에 끼워지는 보강 링이 걸쳐지고, 상기 단턱에 걸쳐진 보강 링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캡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보강 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멸균과정에서 상기 하부 캡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기용 캡.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의 하단과 상기 보강 링 사이에는 상기 상부 캡의 하단 테두리부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기구 또는 손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gap)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기용 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 하단의 일측에는 손 또는 기구가 걸릴 수 있게 외향 돌출되는 날개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기용 캡.
  8. 삭제
KR1020160046264A 2016-04-15 2016-04-15 의료용기용 캡 KR10185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64A KR101851738B1 (ko) 2016-04-15 2016-04-15 의료용기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64A KR101851738B1 (ko) 2016-04-15 2016-04-15 의료용기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459A KR20170118459A (ko) 2017-10-25
KR101851738B1 true KR101851738B1 (ko) 2018-04-24

Family

ID=6030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264A KR101851738B1 (ko) 2016-04-15 2016-04-15 의료용기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866B1 (ko) * 2018-09-05 2020-01-17 김돈일 의료 폐기물 수거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1430A (ja) * 2006-06-19 2008-01-10 Grifols Sa 無菌製品のフラスコ用の栓及び無菌計量充填における当該栓の使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1430A (ja) * 2006-06-19 2008-01-10 Grifols Sa 無菌製品のフラスコ用の栓及び無菌計量充填における当該栓の使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866B1 (ko) * 2018-09-05 2020-01-17 김돈일 의료 폐기물 수거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459A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1941B2 (en) Prefilled hypodermic syringe
FI89697B (fi) Foerslutning foer en laekemedelsflaska sam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foerslutningen
CA2888637C (en) Sealing arrangement and container associated with same
US20100089862A1 (en) Closure to be pressed and latched onto a container
RU252798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борки шприца для медицинских процедур
JP2008212694A (ja) 乳児用哺乳瓶
BRPI0908827B1 (pt) tampa de fechamento, método para produção de uma tampa de fechamento, e, recipiente termoplástico
CN105073168A (zh) 带注射针的注射器及带注射针的注射器的制造方法
JP6240317B2 (ja) 医療用容器に結合するためのアダプタとブリスタとを備えるアセンブリ
WO2012039276A1 (ja) 薬剤注射装置の組立方法
JP2004527408A (ja) 薬品用瓶のための閉鎖栓ならびに閉鎖栓の製作方法
JP4891815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及びオーバーキャップを装着したバイアル
KR101851738B1 (ko) 의료용기용 캡
US20130180999A1 (en) Pre-filled fluid cartridge and filling methods
KR101788162B1 (ko) 의료용기용 캡
JP6320114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付バイアル
KR200443796Y1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US20190183228A1 (en) Ampoule for storing cosmetic liquid
KR100746773B1 (ko) 주사제용 수액용기의 제조방법
CN106580695B (zh) 一种兽药用输液组合盖
KR20090007179U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KR100648437B1 (ko) 수액팩용 밀봉캡
CN110914167A (zh) 压紧盖和密封容器
KR20160147522A (ko) 화장용 면봉 튜브
JPH06110Y2 (ja) 輸液用プラスチック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