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615B1 -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1615B1 KR101851615B1 KR1020170092956A KR20170092956A KR101851615B1 KR 101851615 B1 KR101851615 B1 KR 101851615B1 KR 1020170092956 A KR1020170092956 A KR 1020170092956A KR 20170092956 A KR20170092956 A KR 20170092956A KR 101851615 B1 KR101851615 B1 KR 1018516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tress
- foam
- bar
- cushion foam
- mois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of different resilienc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는, 친환경 조성물을 함유한 것으로서, 상기 매트리스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폼; 상기 쿠션폼이 내장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매트리스 포켓과, 이웃한 한 쌍의 상기 매트리스 포켓을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철부로 구성된 매트리스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식 매트리스 내부에 삽입되는 쿠션체가 인체의 곡면에 따라 부드럽게 눌러져 수면 시 안정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트리스가 접혀 보관이나 휴대가 용이할뿐더러 내장된 쿠션체의 관리나 교체가 용이한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매트리스는 접철시의 부피가 기존 부피보다 감소되므로 이동이 간편하고, 매트리스를 사용 중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접철이 가능하므로 좁은 공간에서의 공간 활용성이 뛰어나, 군대 및 기숙사, 병원 등과 같은 곳에서 대량 소비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접이식 매트리스는 상기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정작 수면의 질에 대해서는 거의 고려되지 않아 수면 시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하는 데에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매트리스에 내장되어지는 쿠션체인 스펀지는 고 반발 탄성을 지닌 탓에 상기 매트리스에 인체가 지지 될 경우, 인간의 신체부위 중 어깨나 허리, 허벅지, 종아리, 둔부 등이 쿠션체에 묻히게 되며, 이로 인해 쿠션체는 많이 압착되어진다.
이러한 압착의 결과, 인체가 매트리스에 누울 때 마다 쿠션체가 압착되면서 내부에 보관되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데, 이 때 과도하게 습기가 차거나 제대로된 관리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매트리스가 눌리는 것만으로도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악취는 사용자의 숙면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피부가 매트리스 표면에 직접 닿기 때문에 위생적으로도 매우 좋지 않다. 또한, 접이식 매트리스라는 특성 상, 하나의 접힘면만 오염되더라도 계속되는 접철과정을 통해 오염이 쉽게 전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13480호에 "둔부 및 척추를 보호하는 3단 접이식 매트리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매트리스는, 인간의 신체 부위 중 타 신체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률이 큰 둔부(13)를 가장 편안한 상태로 지지케 함으로서, 고 반발 탄성력을 지닌 스펀지 등의 완충부재로부터 둔부(13) 및 척추가 전가 받았던 압박감을 해소하여 인체의 건강을 유지시키고, 매트리스의 영역이 상단부(20), 중간부(30), 하단부(40)로 분리 결합되어진 장점을 최대한 살려, 효과적이며 경제적인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다만, 이러한 매트리스는 쿠션체의 질감만을 고려하였을 뿐 오염을 방지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013045호 “향기나는 매트”에 따르면, 위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매트 본체, 매트 본체의 테두리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띠형상의 본딩시트, 상기 본딩시트의 외측 둘레에 부착되며 내부에는 향이 유동될 수 있는 향 유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한 꼭지점에 설치되어 향을 발생시켜 상기 테두리부의 향 유동로에 전달시키도록 구성된 향 발산체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향기를 발산시키는 상면 및 하면 미세 관통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매트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이 매트의 경우에는 향의 유동로가 형성되어 지속적인 향발산을 통해 매트의 청결도를 유지할 수는 있겠으나, 이러한 구조가 접이식 매트에도 적용되기는 다소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쿠션폼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부가 접철 가능하게 형성된 접이식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쿠션폼의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쿠션폼에 친환경 조성물을 포함시킴으로써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한 매트리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쿠션폼에 제습기능 또는 방향기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쉽게 교체도 가능한 별도의 탈취 구성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탈취 구성의 추가로 사용자가 매트리스를 활용함에 있어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는, 친환경 조성물을 함유한 것으로서, 상기 매트리스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폼; 상기 쿠션폼이 내장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매트리스 포켓과, 이웃한 한 쌍의 상기 매트리스 포켓을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철부로 구성된 매트리스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매트리스 포켓은, 각각의 상기 수용부마다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상기 쿠션폼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친환경 조성물은, 활성탄, 카본, 황토, 편백, 제올라이트, 맥반석, 일라이트, 실리카, 고령토, 아민, 암모늄염, 테르펜(Terpene), 나린진(Naringin), 리모넨(limonene),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지드(ADH: Adipic Acid DiHydrazide), 바이오폴리올(biopolyol), 폴리 락틱애시드(PLA : Poly Lactic Ac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폼은, 상기 쿠션폼의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해 관통 연장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매트리스는, 휨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내부에 제습제 또는 방향제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되는 보관공간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보관공간으로부터 표면에 이르기 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탈취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에 의하면,
1) 쿠션폼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부가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쳐 활용할 수 있는 접이식 매트리스를 제공하고,
2) 매트리스 커버에 지퍼구조를 적용하여 쿠션폼의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쿠션폼에 친환경 조성물을 포함시킴으로써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한 매트리스를 제공을 제공하며,
3) 탈취 구성으로서 탈착이 가능한 탈취 바를 쿠션폼에 삽입할 수 있되, 탈취 바에 내장된 제습제나 방향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외부에서 수명을 판단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가 장착된 탈취 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4) 나아가 쿠션폼에 탈취 바를 삽입할 수 있는 사용자가 매트리스를 활용함에 있어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매트리스, 쿠션폼 및 탈취 바가 휘거나 접히는 상태 및 다시 복원되는 상태에서도 탈취 바의 삽입된 위치에서 최대한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에 인체가 누운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에서 쿠션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쿠션폼에 탈취 바를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소켓을 통한 탈취 바와의 연계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탈취 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쿠션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에 인체가 누운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에서 쿠션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쿠션폼에 탈취 바를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소켓을 통한 탈취 바와의 연계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탈취 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쿠션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에 인체가 누운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접이식 매트리스의 기본 형태를 살펴보면, 매트리스 커버(100)와 쿠션폼(2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매트리스 커버(100)는 쿠션폼(200)이 내장되는 수용부(111) 및 수용부(111)를 개폐하는 개폐부(112)가 구비된 복수개의 매트리스 포켓(110)과, 이웃한 한 쌍의 매트리스 포켓(110)을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철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쿠션폼(200)은 친환경 조성물(210)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매트리스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쿠션폼(200)(매트리스 포켓(110))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커버(100)를 기본으로 하되, 일반적인 사람의 키는 150 내지 200센티 사이에 위치하는데, 두 개의 쿠션폼(200)(매트리스 포켓(110))을 사용하게 되면 쿠션폼(200)의 길이는 75 내지 100센티 정도가 되고, 이러한 길이는 반으로 접더라도 상당한 길이를 갖게 되어 여전히 보관이나 휴대에 불편함을 지울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세 개의 쿠션폼(200)(매트리스 포켓(110))을 사용하는 형태가 주로 활용된다.
이 때, 매트리스 커버(100)의 재질은 기본적으로는 천 등의 천연 직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인체가 직접 닿는 부위이며 오염가능성이 높아 별도의 방염코팅처리를 하거나 오염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 합성 직물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쿠션폼(200)의 경우, 스폰지나 메모리폼, 소프트폼, 라텍스, 우레탄, 러버,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형태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이 쿠션폼(200)이 매트리스 포켓(110)의 수용부(111)에 삽입되는 것으로 접이식 매트리스의 외형이 결정되므로, 직사각형 형태의 판 형상을 갖추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체가 매트리스 위에 위치하면, 인체의 무게에 의해 쿠션폼(200)이 눌리게 되는데, 이 때, 인체가 바닥에 닿으면 충분한 쿠션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므로, 충분한 두께를 갖추어 인체의 무게에 의한 눌림에도 어느 정도 버틸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서, 매트리스 커버(100)는 쿠션폼(20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개폐부(112)의 구성을 갖출 수 있다. 즉, 쿠션 삽입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입구를 형성하는 것인데, 커버의 둘레면 일 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절개선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단순히 절개만 한다면 내부에 위치한 쿠션폼(200)이 작은 충격에도 쿠션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어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절개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절개선의 상부를 덮는 별도의 커버(미도시)를 구비하거나 혹은 쿠션폼(200)의 올바른 장착을 위해서는 이러한 입구가 밀봉이 가능한 구성도 필요한 경우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지퍼레일과 지퍼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지퍼구성이 장착되거나 단추, 벨크로 테이프 등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쿠션폼(200)은 매트리스 포켓(110)에서(정확히는 수용부(111)에서) 필요에 따라 탈착 및 교체가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쿠션폼(200)은 지속적으로 인체의 무게에 의해 눌림을 받게 되는데, 초기에는 쿠션폼(200)이 원래의 부피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이러한 복귀속도가 점차 느려지고 최대로 복귀하더라도 원래의 부피보다 모자라는 부피만을 갖게 된다. 더 나아가 계속되는 사용에 의해 쿠션폼(200)도 오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사용된 쿠션폼(200)은 교체를 통해 새로운 쿠션폼(200)으로 갈아주는 것이 매트리스의 사용감 및 청결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쿠션폼(200)은 그 재질만으로는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폼이나 소프트폼, 라텍스, 스폰지와 같은 재질은 마치 인체의 피부처럼 부들부들한 느낌을 주면서도 변형이 자유로워 인체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자유롭게 그 형태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러버나 우레탄, 실리콘과 같은 재질의 경우에는 이러한 성질이 덜하므로 앞선 재질들보다는 쿠션감을 덜 느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쿠션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 있는데, 바로 내부에 수많은 기공을 형성하여 보다 부드럽게 변형되도록 유도하거나 혹은 표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하여 보다 쉬운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기공의 경우, 쿠션폼(200)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압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쉽게 눌려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충격발생 시 충격의 흡수가 용이하여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완충효과를 추가적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표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도 기공을 형성하는 경우보다는 덜하지만 어느 정도 형태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는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다만, 이런 구조적 특성 이외에도 매트리스의 소재 특성을 더 생각할 수도 있는데, 바로 이러한 접이식 매트리스에서 (가장 일반적인 3단 매트리스를 생각하면) 각각의 쿠션폼(200)은 순서대로 인체의 상체와 허리, 하체가 각각 위치하게 된다. 인체는 각각의 부위마다 돌출된 형태가 다르며, 특히 허리의 경우 과도한 힘을 받게 되면 자고 일어난 이후 통증을 수반하거나 혹은 자세가 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매트리스 포켓(110)마다 예상되는 신체 부위에 적합한 재질적 특성을 갖는 쿠션폼(200)을 장착시키게 된다면 인체가 누웠을 때, 각 부위별로 적합한 탄력성을 갖는 쿠션폼(200)을 통해 인체가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굴곡이 다르고 요구하는 탄성도도 다른 인체의 각 부위별로 다른 특성을 갖는 쿠션폼(200)이 위치하여 지지하는 것은 더욱 편안한 사용감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에서 쿠션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쿠션폼(200)에 친환경 조성물(210)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쿠션폼(200)에 친환경 조성물(210)을 포함시켜 쿠션폼(200)을 제조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친환경 조성물(210)은 쿠션폼(200)의 원료 자체가 인체의 피부에서 알러지를 발생시키는 특이체질을 가진 사용자를 위한 알러지 방지용도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일반적으로 친환경 조성물(210)은 특유의 향이나 살균 등에 용이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수 주 내지 수개월동안 연속 사용하더라도 이 친환경 조성물(210)에 의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도록 한다. 이 때, 친환경소재의 예시로서, 활성탄이나 카본, 황토, 편백, 바이오폴리올, 폴리 락틱애시드 등을 꼽을 수 있는데, 활성탄이나 카본은 모두 탄소결정을 의미하며, 이러한 탄소결정은 흡착력이 뛰어나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나 향이 탄소결정에 들러붙어 깨끗한 공기만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황토 또한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며, 특히 황토는 입자가 매우 고와 작은 이물질도 쉽게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편백의 경우, 편백나무의 껍질이나 심재 등을 갈은 것으로서, 편백나무 자체는 항균물질인 피톤치드가 다수 함유되어있어 살균작용이 뛰어나고 고유의 향이 기분을 전환하거나 피로를 푸는 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오폴리올(biopolyol 또는 Natural Polyol)은 식물에서 추출된 기름으로 합성하는 성분을 의미하며, 바이오폴리올 자체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냄새가 강하여 활용이 어렵지만, 다른 물질과 섞은 혼합물을 활용하게 되면 석유 기반의 폴리올에 비해 분자량이 작고 열안전성과 내산화성이 우수하여 보존제로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폴리 락틱애시드(PLA : Poly Lactic Acid)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서, 플라스틱과 유사한 특징인 내열성, 투명성, 강도 등이 보장되는 물질이나 특정 환경에서 자연 분해가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은의 활용도 고려할 수 있는데, 은은 일반적으로 나노사이즈의 입자로 잘게 부순 것을 도포하게 되는데, 이러한 은나노 성분 역시 항균작용이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비교적 오랜 시간동안 세척하지 않고 사용하는 침구류에 적용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할 수 있지만 은의 경우 다른 물질에 비해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쉽게 고려되지는 않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친환경 조성물(210)로서, 맥반석, 일라이트, 실리카, 고령토, 아민, 암모늄염, 테르펜(Terpene), 나린진(Naringin), 리모넨(limonene),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지드(ADH: Adipic Acid DiHydrazide) 등이 더 고려될 수 있으며, 이들 역시도 방향성을 기본적으로 가지면서도 흡습기능을 자체적으로 갖추거나 혹은 별도의 흡습제와 함께 활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친환경 조성물(210)은 모두 자연에서 유래한 성분으로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성분에 알레르기 반응이나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다른 화학 합성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인체에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쿠션폼(200)의 폐기 시에도 화학 합성물질을 코팅하게 되면 잘 썩지 않고, 태울 경우에도 유독물질이 발생하지만, 상기한 친환경 조성물(210)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썩어 사라지거나 태우더라도 유해한 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보호 면에서도 강점을 갖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친환경 조성물(210)을 도 3(b)와 같이 쿠션폼(200)의 표면에 도포하거나 도 3(c)와 같이 쿠션폼(200)의 제조 시 쿠션폼(200)의 내부에 분포시키거나 쿠션폼(200)의 재료로서 포함하되, 사용되는 양은 친환경 조성물(210)이 과도하게 쿠션폼(200)에 포함되어 쿠션폼(200)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라면 얼마든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친환경 조성물(210)을 쿠션폼(200)에 포함시키게 되면, 지속적으로 향이 방출되어 사용자의 땀이나 체취 등에 의해 침구에서 퀴퀴한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만, 앞선 설명과 같이 항균이나 청결을 위한 구성이라면 그 물성을 쉽게 잃지는 않지만, 향은 경우에 따라서는 몇 시간 이내에도 증발하여 버릴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물론 이러한 현상을 대응하기 위해 고농축 방향제(233)를 고체화시켜 쿠션폼(200)에 삽입하여 제조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방향제(233)는 주변 상황에 따라 소비되는 속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빨래 등의 과정에서 방향제(233)의 양이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매트리스를 장기간 사용하려면, 방향제(233)를 쿠션폼(200)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끝나는 방법보다는 교체가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더 좋다고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쿠션폼에 탈취 바를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소켓을 통한 탈취 바와의 연계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을 위해 도 4(a)를 보면, 쿠션폼(200)은 쿠션폼(200)의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관통 연장된 수용홈(2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수용홈(220)의 단면은 원형이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 가능하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쉽게 장착이 가능한 원형이라 할 수 있다. 이 수용홈(22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제습제(233) 또는 방향제(233)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되는 보관공간(231)을 구비한 상태에서 보관공간(231)의 일 측으로부터 표면까지 관통 연장된 복수개의 공기유통공(232)이 형성되는 탈취 바(230)가 더 포함되는 것이다.
즉, 탈취 바(230)는 도 4(b)의 단면도를 통해 확인 가능하듯이, 실리카겔 등의 제습제(233)나 방향제(233)가 내부에 위치한 보관공간(231)에 구비되되, 보관공간(231)으로부터 표면에 이르기 까지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유통공(232)에 의해 외부(쿠션폼(200))와 내부(보관공간(231)) 사이에서 공기가 유통되면서 흡습기능을 수행하거나 방향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제습제(233)와 방향제(233)는 기능적으로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공기유통공(232)을 통해 외부로 제습제(233)나 방향제(233)가 유출되지 않도록 공기유통공(232)의 크기는 제습제(233)나 방향제(233)의 입자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습제(233)나 방향제(233)의 경우에도 쉽게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액체나 너무 작은 입자를 갖는 가루형태를 배제하고 어느 정도 굵기가 있는 입자형태의 분말이나 덩어리, 혹은 휨성을 갖는 겔 형태를 갖는 것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탈취 바(230)는 쿠션폼(200)이 눌리거나 휘거나 접히는 등의 상황에서도 쿠션폼(200)과 함께 형태의 변형이 자유롭게 발생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져 유연하고 수축 및 연장이 비교적 자유로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추가적으로 매트리스 포켓(110)에는 개폐부(112)의 주변 영역에서 수용홈(220)과 마주보는 위치를 관통한 장착부(113)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장착부(113)에는 장착부(113)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 상태에서 장착부(113)에 끼워지고, 테두리가 장착부(113)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고정부(241)를 포함하는 고정소켓(240)이 더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소켓(240)에 의해 매트리스 커버(100)의 내외부가 투명하게 보여질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탈취 바(230)와 고정부(241)의 사이에 탈취 바(230)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탈취 바(230)의 단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탈취 바(230)로부터 흡수된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안내부(252)를 포함하는 교체 안내장치(250)가 더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안내부(252)에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되며 이 인디케이터에 따라 안내부(252)가 습기를 흡수하게 되면 고정소켓(240)을 통해 외부에서 색상의 판단이 가능하여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내용을 통해 진행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구성에서 쿠션폼(200)은 일반적으로 인체에 의해 눌렸을 때 변형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복수개의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기공에 의해 수용홈(220)에 탈취 바(230)를 삽입시키기만 하더라도 습기의 이동이나 향기의 이동이 충분히 가능하지만,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려면 다음의 구성이 더 고려될 수 있다.
다시 도 4(a)를 보면, 수용홈(220)의 좌 또는 우측면에 일정 간격마다 분기되어 쿠션폼(200)의 좌우 측면을 향해 관통 연장된 유통 연장홈(221)을 더 형성함으로써 이 유통 연장홈(221)을 통해 기존과 대비하여 좌우 측면에서도 추가로 습기를 흡수하거나 혹은 향기를 확산시키기 위한 통로를 더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통로의 형성으로 인해 기존의 기공과 대비하였을 때, 흡수 또는 확산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추게 된다. 또한, 유통 연장홈(221)이 측면을 향해 수평된 형태로 연장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가 위치하는 상면으로 직접 연장되지 않으므로 과도한 향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됨은 물론이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렇게 수평방향으로만 형성되지 않고 다양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러한 구성에서 다시 매트리스 포켓(110)의 구성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추가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a)를 참고하여, 매트리스 포켓(110)의 내부이자 수용부(111)에는 쿠션폼(200)이 내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쿠션폼(200)은 필연적으로 수용홈(220)과 마주보는 면을 갖추게 된다. 따라서 이 위치에 탈취 바(23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 측이 함입된 고정소켓(240)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탈취 바(23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소켓(240)을 통해 쿠션폼(20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휨 또는 접히는 상황에서도 탈취 바(230)가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계속해서 언급되듯이 쿠션폼(200)에는 기공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수용홈(220)과 별도로 유통 연장홈(221)의 구성도 갖출 수 있다. 또한, 쿠션폼(200) 자체가 누르는 힘에 의해 변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쿠션폼(200)이 충격을 받거나 휨, 접힘 등이 발생한 상황에서 탈취 바(230)가 다른 구멍을 찾아 들어가거나 혹은 수용홈(220)의 측면을 새롭게 눌러 자체적으로 홈을 형성하여 끼워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고정소켓(240)을 통해 탈취 바(230)의 단부를 고정시켜 일정 위치에서 일정 방향으로 고정된 탈취 바(230)의 형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한 특수 상황이 발생할 확률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소켓(240)은 다음의 상세한 구성을 갖는다.
도 5(b)와 (c)를 참고하면, 매트리스 포켓(110)은 개폐부(112)의 주변 영역에서 수용홈(220)과 마주보는 위치를 관통한 장착부(1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13)은 바람직하게는 개폐부(112)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혹은 개폐부(112)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한다. 이 때, 장착부(113)에는 고정부(241)가 장착되게 되는데, 이 고정부(241)는 장착부(113)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 상태에서 장착부(113)에 끼워진 상태로 테두리가 장착부(113)의 내주면에 압착 고정됨으로써 압착공이 뒤틀리는 상황에서도 쉽게 빠져버리지 않고 고정을 유지하는 고정부(241)와, 이 고정부(241)에서 수용홈(220)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것으로서, 탈취 바(23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연장된 단면의 중앙부위가 함입된 결합홈(242)로 구성되는 고정소켓(240)이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고정소켓(240)과 고정소켓(240)에 끼워지는 탈취 바(230)의 단부 표면에는 별도로 돌기나 함입부, 단차 등을 형성하여 보다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소켓(240)을 더욱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구성이 더 고려될 수 있다. 먼저, 고정소켓(240)에서 특히 고정부(241)를 투명 재질로 형성한다. 이러한 투명 재질의 대표적인 예는 유리나 플라스틱, 아크릴 등이 있으며, 이 고정부(241)는 매트리스 포켓(110)의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항상 매트리스에 장착되어있을 뿐더러 탈취 바(230)의 단부와 결합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 및 경도를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추가로 탈취 바(230)에는 탈취 바(230)의 일 단면 중앙부위로부터 보관공간(231)까지 관통 연장된 관통홈(234)이 더 형성되며, 이 관통홈(234)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탈취 바(230)와 고정부(241)의 사이에는 관통홈(234)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관공간(231)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는 감지봉과, 감지봉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탈취 바(230)의 단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감지봉에서 흡수된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안내부(252)를 포함하는 교체 안내장치(2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감지봉의 경우, 보관공간(231)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시켜 보관공간(231) 내부 전범위에서 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 감지봉은 쉽게 말하면 안내부(252)에 내장된 인디케이터를 통해 습기의 고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보관공간(231) 내부의 습기를 전달하는 기능만 하면 되기 때문에, 보관공간(231)의 내부로 약간만 삽입되더라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다만, 이렇게 약간만 삽입된다면, 오로지 감지봉이 접촉된 위치의 수분만을 감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보관공간(231)을 전부 통과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좋다. 이 때, 감지봉의 재질은 습기가 이동될 수 있거나 혹은 방향제(233)가 흡수되어 이동할 수 있는 재질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또, 안내부(252)에서 인디케이터의 경우 수분과 반응하면 색상이 변화하는 물질이 활용되는데, 대표적으로 염화코발트(CoCl2)를 들 수 있다. 이 염화코발트는 일반적인 경우 푸른색을 띄지만, 수분과 반응하면 붉은색으로 변색되는 특징이 있다. 이 외에도 무수 황산구리(CuSO4)는 일반적인 경우 흰색을 띄지만, 수분과 반응하면 푸른색을 띄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메틸 바이올렛(C24H28ClN3)은 일반적인 경우 노란색을 띄다가 수분과 반응하면 녹색을 띄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인디케이터가 적용된 안내부(252)의 색상변화를 통해 보관공간(231) 내부의 습기가 과도하게 채워진 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것처럼 고정소켓(240)을 통해 인디케이터의 색상변화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고정소켓(240)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되 되도록 색상은 포함되지 않거나 인디케이터의 색상변화를 충분히 식별할 수 있는 색상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직접 고정소켓(240)을 자세하게 바라보면서 색상의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제습제(233)의 수명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다. 다만, 사용자가 항상 고정소켓(240)을 주시하지는 않기 때문에 이를 더욱 확실하게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구성이 더 적용될 수 있다. 즉, 고정부(241)를 광투과성 뿐만 아니라 휨성까지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탈취 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때 도 6(a)와 같이, 보관공간(231)에는, 보관공간(231)의 내측에 위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수하여 부피가 증가하는 신축성 재질의 흡습제로 구성되는 메인 흡습제(235)와, 이 메인 흡습제(235)의 표면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습기 흡수에 따른 부피변화가 거의 없는 실리카겔로 구성되는 서브 흡습제(236)로 구성되는 제습제(233)가 내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실리카겔을 통해 1차적으로 습기를 흡수하되, 실리카겔이 수분을 흡수하는 한계치에 다다르게 되면, 실리카겔이 포함된 서브 흡습제(236)를 통과하여 메인 흡습제(235)에 습기가 흡수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메인 흡습제(235)는 벤토나이트(Bentonite)와 같은 성질을 갖는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벤토나이트는 응회암 또는 화산재와 같은 유리질 화산물질의 화학적 변질로 수반된 광물 또는 탈 유리화 작용에 의해 형성된 결정질 점토로서, 공기중의 수분(습기)을 흡수하여 결정물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갖는다. 특히 벤토나이트의 경우 원래 부피의 5 내지 9배에 달하는 수분을 흡수할 만큼 흡습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분의 흡수와 동시에 부피가 증가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벤토나이트를 보관공간(231)에 위치시키되, 벤토나이트가 습기를 흡수하게 되면 증가하는 부피에 의해 용이하게 안내부(252) 및 고정부(241)를 밀어낼 수 있도록 형태를 가공하여 위치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이 준비되고, 서브 흡습제(236)의 실리카겔이 습기흡수의 한계에 다다르면, 도 6(b)와 같이 메인 흡습제(235)의 벤토나이트가 습기를 흡수하면서 부피가 증가하여 팽창되면서 안내부(252) 및 고정부(241)를 외측을 향해 점차 밀어내어 볼록하게 돌출시키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고정부(241)가 돌출된 것을 확인함과 동시에 안내부(252)에 포함된 인디케이터로부터 색상이 변화된 것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쿠션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나아가 쿠션폼(200)은 다음의 구성이 더 적용될 수도 있다. 먼저 도 7(a)와 같이, 수용홈(220)을 기준으로 쿠션폼(200)이 상하로 분리되는 구성을 갖추는 것이다. 즉,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 1 폼(201)과, 제 1 폼(201)의 상단에 적층되는 제 2 폼(202)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이 둘은 서로 다른 탄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 1 폼(201)의 경우 탄성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 2 폼(202)의 경우 제 1 폼(201)보다 높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바닥면에 위치하되 인체와 직접 닿지 않는 제 1 폼(201)은 단단한 재질로서 인체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거나 혹은 변형되더라도 메모리폼이나 소프트폼 등과 같이 눌리는 힘에 비례하는 그대로의 변형이 아닌 약간의 눌림 정도만 발생하는 폼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폼(201)은 인체가 매트리스에 눕거나 앉더라도 과도하게 매트리스가 주저앉아 지면이 느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면보다는 제 1 폼(201)이 더 부드럽고 쿠션감이 있기 때문에 제 2 폼(202)이 최대로 눌리더라도 지면으로부터 느낄 수 있는 이질감과 같은 것이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제 1 폼(201)에 앞서 설명한 유통 연장홈(221)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유통 연장홈(221)은 수용홈(220)과 함께 마치 생선뼈와 같은 형태로 제 1 폼(201)에 형성되는데, 제 1 폼(201)의 경우 제 2 폼(202)과 달리 인체의 무게에 의한 변형이 제 2 폼(202)보다 덜하여(물론 제 1 폼(201)이 변형이 아예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제 1 폼(201)의 변형과 비교하면 변형이 덜하다) 과도한 변형에 의해 유통 연장홈(221)의 일부가 막히거나 공간이 눌려 사라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인체에 의해 약간씩 눌리면서 이 공간을 통해 향기가 전달되거나 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유통 연장홈(221)을 제 2 폼(202)에도 형성할 수 있으며, 유통 연장홈(221)이 다양한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지만, 너무 많은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게 되면 오히려 쿠션폼(200)의 내구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복합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의 유통 연장홈(221)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이 때, 매트리스 커버(100)에는 제 1 폼(201)과 제 2 폼(202)으로 나뉘어진 쿠션폼(200)의 사이에 삽입되는 분리커버(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분리커버(130)는 매트리스 커버(100)의 횡단면과 동일한 면적을 갖되, 측면이 각각 매트리스 포켓(110)의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분리커버(130)를 기준으로 제 1 폼(201)과 제 2 폼(202)이 각각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분리커버(130)는 그 재질이나 두께 등이 크게 한정되지는 않으나, 두께는 천이나 종이와 같이 너무 얇은 것은 적절하지 않고, 재질도 인체에 불편함을 주지 않는 수준에서 선택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분리커버(130)는 도 7(b)와 같이, 제 1 폼(201)과 제 2 폼(202)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수용홈(220)을 관통하게 된다. 이 때, 수용홈(220)에는 탈취 바(230)가 삽입되게 되는데, 분리커버(130)가 수용홈(220)을 관통하고 있는 경우에는 탈취 바(230)의 삽입이 불편하거나 혹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분리커버(130)에는 이 수용홈(220)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태 또는 탈취 바(230)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수용홈(220)이 위치한 영역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보조 수용홈(1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보조 수용홈(131)을 통해 탈취 바(230)의 삽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특히 탈취 바(230)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보조 수용홈(131)을 형성하게 되면, 수용홈(220)과 별개로 탈취 바(230)의 양 측면에 밀착되어 탈취 바(230)를 추가로 고정시킬 수 잇는 구성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접이식 매트리스가 구겨지거나 굽혀지는 등의 외력을 받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으며, 도 7(c)에 나타난 것처럼 외력에 의해 매트리스가 변형되면 쿠션폼(200) 또한 동일하게 변형되면서, 수용홈(220) 역시도 변형된 형상을 갖게된다. 이 때, 탈취 바(230) 또한 이러한 변형에 대응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함께 변형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탈취 바(230)와 쿠션폼(200), 매트리스 커버(100)는 각각 다른 물질로 구성되는 만큼 그 특성에 조금씩 차이를 가지게 되어 셋 중 어느 하나의 변형이 다르게 일어나는 경우에는 복원 후에 원래의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를 가진 채로(예를 들면 탈취 바(230)가 수용홈(220)을 벗어난 영역(측면을 추가로 관통)에 위치하게 된다는 등의 상황) 남을 수도 있다.
이 때, 분리커버(130)에서 수용홈(220)을 관통하는 부위에는 탈취 바(230)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태로 내측으로 함입된 보조 수용홈(1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보조 수용홈(131)은 탈취 바(230)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태를 갖기 때문에 수용홈(220)과 함께 탈취 바(230)를 고정하되, 수용홈(220)의 경우 쿠션폼(200)(제 1 폼(201), 제 2 폼(202)) 자체가 인체에 의해 바로 압력을 받기 때문에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고 하더라도 분리커버(130)는 적어도 제 1 폼(201) 또는 제 2 폼(202)이 인체로부터 무게나 압력을 받은 후에 무게 또는 압력이 전달되어 과도한 힘이 전달되지 않으며, 나아가 매트리스 커버(100)의 내측면 일 측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단단하게 형태를 유지하면서 보조 수용홈(131)을 통해 탈취 바(230)의 측면에 최대한 밀착된 형태를 유지하면서 탈취 바(230)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쿠션폼(200)(제 1 폼(201), 제 2 폼(202)), 매트리스 커버(100) 및 분리커버(130) 모두 인체의 무게나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겠으나, 과도한 변형에 의해 탈취 바(230)가 위치하여야 할 곳(수용홈(220))을 벗어나지 않도록 보조 수용홈(131)을 통해 추가로 잡아주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최대한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나아가 탈취 바(230)도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매트리스 커버 110: 매트리스 포켓
111: 수용부 112: 개폐부
113: 장착부 120: 접철부
130: 분리커버 131: 보조 수용홈
200: 쿠션폼 201: 제 1 폼
202: 제 2 폼 210: 친환경 조성물
220: 수용홈 221: 유통 연장홈
230: 탈취 바 231: 보관공간
232: 공기유통공 233: 제습제, 방향제
234: 관통홈 235: 메인 흡습제
236: 서브 흡습제 240: 고정소켓
241: 고정부 242: 결합홈
250: 교체 안내장치 251: 감지바
252: 안내부
111: 수용부 112: 개폐부
113: 장착부 120: 접철부
130: 분리커버 131: 보조 수용홈
200: 쿠션폼 201: 제 1 폼
202: 제 2 폼 210: 친환경 조성물
220: 수용홈 221: 유통 연장홈
230: 탈취 바 231: 보관공간
232: 공기유통공 233: 제습제, 방향제
234: 관통홈 235: 메인 흡습제
236: 서브 흡습제 240: 고정소켓
241: 고정부 242: 결합홈
250: 교체 안내장치 251: 감지바
252: 안내부
Claims (11)
-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로서,
친환경 조성물을 함유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해 관통 연장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쿠션폼;
상기 쿠션폼이 내장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매트리스 포켓과, 이웃한 한 쌍의 상기 매트리스 포켓을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철부로 구성된 매트리스 커버;
휨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내부에 제습제가 내장되는 보관공간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보관공간으로부터 표면에 이르기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탈취 바;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리스 포켓에는, 상기 개폐부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수용홈과 마주보는 위치를 관통한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장착부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에 끼워진 상태로 테두리가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소켓이 부착되고,
상기 탈취 바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는,
상기 탈취 바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탈취 바의 단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탈취 바로부터 흡수된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안내부를 포함하는 교체 안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포켓은,
각각의 상기 수용부마다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상기 쿠션폼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조성물은,
활성탄, 카본, 황토, 편백, 제올라이트, 맥반석, 일라이트, 실리카, 고령토, 아민, 암모늄염, 테르펜(Terpene), 나린진(Naringin), 리모넨(limonene),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지드(ADH: Adipic Acid DiHydrazide), 바이오폴리올(biopolyol), 폴리 락틱애시드(PLA : Poly Lactic Ac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폼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수용홈의 좌우 측면에서 일정 간격마다 분기되어 관통 연장된 복수개의 유통 연장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포켓은,
상기 개폐부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수용홈과 마주보는 위치를 관통한 장착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장착부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에 끼워진 상태로 테두리가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게 연장된 것으로서, 연장된 단면의 중앙부위가 함입되어 상기 탈취 바의 단부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고정소켓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탈취 바는,
일 단면의 중앙부위로부터 상기 보관공간까지 관통 연장된 관통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탈취 바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는,
상기 관통홈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관공간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는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탈취 바의 단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감지봉에서 흡수된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안내부를 포함하는 교체 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공간에는,
상기 보관공간의 내측에 위치하여 습기를 흡수함으로써 부피가 증가하는 신축성 재질의 흡습제로 구성되는 메인 흡습제와,
상기 메인 흡습제의 표면을 둘러싸는 것으로서, 습기 흡수에 따른 부피변화가 없는 실리카겔로 구성되는 서브 흡습제로 구성되는 제습제가 내장되어,
상기 메인 흡습제가 습기를 흡수하여 팽창되면서 상기 안내부 및 상기 고정부를 외측을 향해 밀어내어 볼록하게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2956A KR101851615B1 (ko) | 2017-07-21 | 2017-07-21 |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2956A KR101851615B1 (ko) | 2017-07-21 | 2017-07-21 |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1615B1 true KR101851615B1 (ko) | 2018-04-24 |
Family
ID=6208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2956A KR101851615B1 (ko) | 2017-07-21 | 2017-07-21 |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161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7485B1 (ko) | 2018-10-11 | 2020-04-06 | 주식회사 옥토아이앤씨 | 접이식 통기성 매트 |
KR20210096528A (ko) * | 2020-01-28 | 2021-08-05 | 주식회사 이씨홈 | 다용도 침구 |
KR102598518B1 (ko) * | 2022-12-13 | 2023-11-06 | 주식회사 에이아이젬 | 욕창방지용 매트리스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2638Y1 (ko) * | 2004-10-11 | 2005-01-15 | 주식회사 님프만 | 접이형 매트리스 |
KR101001211B1 (ko) * | 2010-03-19 | 2010-12-15 | (주)금성토탈퍼니처 | 미니 포켓 스프링을 구비한 3단 접이식 매트리스 |
KR101213197B1 (ko) * | 2012-05-30 | 2012-12-18 | 주식회사 금성침대 | 공기 정화수단이 구비된 침대용 매트리스 |
-
2017
- 2017-07-21 KR KR1020170092956A patent/KR1018516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2638Y1 (ko) * | 2004-10-11 | 2005-01-15 | 주식회사 님프만 | 접이형 매트리스 |
KR101001211B1 (ko) * | 2010-03-19 | 2010-12-15 | (주)금성토탈퍼니처 | 미니 포켓 스프링을 구비한 3단 접이식 매트리스 |
KR101213197B1 (ko) * | 2012-05-30 | 2012-12-18 | 주식회사 금성침대 | 공기 정화수단이 구비된 침대용 매트리스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7485B1 (ko) | 2018-10-11 | 2020-04-06 | 주식회사 옥토아이앤씨 | 접이식 통기성 매트 |
KR20210096528A (ko) * | 2020-01-28 | 2021-08-05 | 주식회사 이씨홈 | 다용도 침구 |
KR102295468B1 (ko) * | 2020-01-28 | 2021-08-31 | 주식회사 이씨홈 | 다용도 침구 |
KR102598518B1 (ko) * | 2022-12-13 | 2023-11-06 | 주식회사 에이아이젬 | 욕창방지용 매트리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85604B2 (en) | Orthopedic pet cushion | |
KR101851615B1 (ko) |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 |
WO2006009974A1 (en) | Foam core pillow or mattress allowing adjustment for rebound speed | |
KR101820512B1 (ko) | 교체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기능성 쿠션소파 | |
ES2251593T3 (es) | Dispositivo absorbente y desorbente. | |
JP2009291450A (ja) | クッション構造体 | |
JP2005118097A (ja) | 体圧分散マットレス | |
US20080066237A1 (en) | Anti-Microbial Mattress and Improved Support Core | |
CN201668172U (zh) | 床垫 | |
KR100639956B1 (ko) | 실리콘 스폰지를 이용한 신발깔창 | |
KR20090009745U (ko) | 땀 흡수 방지용 위생 베개 | |
KR102206064B1 (ko) | 애완 동물용 통풍매트 | |
JP2000202011A (ja) | 消臭除湿シ―ト | |
US20060054020A1 (en) | Toy having air purification features | |
JP2000189290A (ja) | クッション | |
JP3847272B2 (ja) | 消臭・脱臭剤とそれを使用した消臭・脱臭効果を有する物品、臭気低減システム及び臭気低減方法 | |
JP2020006154A (ja) | クッション材 | |
KR200410868Y1 (ko) | 침구류의 지압구조 | |
KR200324245Y1 (ko) | 애완동물용 소파 | |
KR200226845Y1 (ko) | 야자 활성탄을 이용한 침구류 | |
KR200368041Y1 (ko) | 황토 시트 | |
JP3183095U (ja) | マット | |
JP2006218082A (ja) | 蒸れ防止用シート | |
KR200402467Y1 (ko) | 숯 매트리스 | |
JP4453873B2 (ja) | 足踏みマ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