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468B1 - 다용도 침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468B1
KR102295468B1 KR1020200010113A KR20200010113A KR102295468B1 KR 102295468 B1 KR102295468 B1 KR 102295468B1 KR 1020200010113 A KR1020200010113 A KR 1020200010113A KR 20200010113 A KR20200010113 A KR 20200010113A KR 102295468 B1 KR102295468 B1 KR 102295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waist
lower body
head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528A (ko
Inventor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씨홈
이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씨홈, 이정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씨홈
Priority to KR102020001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4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045Seating furniture having loose or by fabric hinge connected cushions changeable to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3Seating furniture having non-movable backrest changeable to beds by increasing the available seat part, e.g. by drawing seat cushion forward
    • A47C17/132Seating furniture having non-movable backrest changeable to beds by increasing the available seat part, e.g. by drawing seat cushion forward with multipl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침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단이 지게 일 측이 돌출형성되는 하체매트, 허리매트, 머리매트, 보조등받이쿠션 및 베개쿠션을 포함함으로써 매트부재를 펼쳐 사용하거나 또는 매트부재를 적층되게 절첩하거나 쿠션부재와 베개쿠션을 추가로 적층시켜 사용하여 침대용 매트리스 및 좌석부가 짧은 소파나 좌석부가 긴 카우치(couch) 스타일 소파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시키면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허리매트의 상면에 인체의 척추 곡선과 대응되어 만곡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허리매트의 상면 중앙부분에 안착홈이 함몰형성되어 안착홈 내에 상면에 지압돌기가 척추 양측에 위치하도록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는 한 쌍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쌍으로 돌출형성된 본체블록으로 구성된 지압수단이 안착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건강을 고려한 기능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침구{Multipurpose baby bedclothes}
본 발명은 다용도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이 지게 일 측이 돌출형성되는 하체매트, 허리매트, 머리매트, 보조등받이쿠션 및 베개쿠션을 포함함으로써 매트부재를 펼쳐 사용하거나 또는 매트부재를 적층되게 절첩하거나 쿠션부재와 베개쿠션을 추가로 적층시켜 사용하여 침대용 매트리스 및 좌석부가 짧은 소파나 좌석부가 긴 카우치(couch) 스타일 소파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시키면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허리매트의 상면에 인체의 척추 곡선과 대응되어 만곡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허리매트의 상면 중앙부분에 안착홈이 함몰형성되어 안착홈 내에 상면에 지압돌기가 척추 양측에 위치하도록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는 한 쌍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쌍으로 돌출형성된 본체블록으로 구성된 지압수단이 안착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건강을 고려한 기능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침구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아파트나 빌라 등의 공동 주택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서구의 입식 주거 문화가 보편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침대 및 소파 등에 대해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매트리스는 침대용 깔개, 온돌방이나 마루 위에서 잘 때 요 밑에 까는 침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 침대용 시트나 요를 깔아 사용하므로 위생적이며 탄력성도 갖추고 있으므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매트리스는 최근 사무실이나 거실 및 방 등의 좁은 공간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도 편리하게 간이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접철이 용이한 구조로 개발 및 시판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00083호 2003.01.06.공개.)에는 절첩식 매트겸 침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의 절첩식 매트겸 침구는 절첩되는 다수의 단위체로 이루어진 베드와, 상기 베드의 일측단에 위치한 단위체에 구비된 베개와, 상기 베드의 타측단에 위치한 단위체에 결합되어 상기 절첩된 단위체를 수용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와 상기 절첩된 단위체가 가방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커버의 적어도 양측면은 상기 베드에 착탈가능케 고정되며, 상기 베드에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침구로서, 절첩식 매트겸 침구는 베개와 베드를 수용하는 별도의 케이스가 불필요하여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구로서의, 절첩식 매트겸 침구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간이식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그 기능이 단순히 침구에만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최근 시판되는 매트리스는 단순히 침구만의 용도가 아닌 침구로서의 매트리스를 접어서 간이식 소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다.
더욱이, 종래의 침구로서의, 절첩식 매트겸 침구는 사용시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눕는 면인 상부 표면이 단순히 평판 타입으로만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인체 중 척추건강을 고려한 기능이 없었다.
그러므로 침대용 매트리스 및 좌석부가 짧은 소파나 좌석부가 긴 소파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시키면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의 척추건강을 고려한 기능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침구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00083호 2003.01.06.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38256호 2001.05.15.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15522호 2005.02.21.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35530호 2007.01.23.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3730호 2011.04.29.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97889호 2013.08.12.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이 지게 일 측이 돌출형성되는 하체매트, 허리매트, 머리매트, 보조등받이쿠션 및 베개쿠션을 포함함으로써 매트부재를 펼쳐 사용하거나 또는 매트부재를 적층되게 절첩하거나 쿠션부재와 베개쿠션을 추가로 적층시켜 사용하여 침대용 매트리스 및 좌석부가 짧은 소파나 좌석부가 긴 카우치(couch) 스타일 소파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시키면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침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단이 지게 일 측이 돌출형성되는 하체매트, 허리매트, 머리매트, 보조등받이쿠션 및 베개쿠션을 포함하되 허리매트의 상면에 인체의 척추 곡선과 대응되어 만곡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허리매트의 상면 중앙부분에 안착홈이 함몰형성되어 안착홈 내에 상면에 지압돌기가 척추 양측에 위치하도록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는 한 쌍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쌍으로 돌출형성된 본체블록으로 구성된 지압수단이 안착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건강을 고려한 기능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는 침대, 좌석부가 짧은 소파, 좌석부가 긴 소파 중 어느 하나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침구에 있어서, 일 측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향 돌출되어 누웠을 때 다리를 일정높이 높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으로 일정길이에 걸쳐 단이 지게 상향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한편, 돌출부에는 폭 방향 양측으로 다리가 벗어나지 않게 구속할 수 있도록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길이에 걸쳐 하향 함몰되어 다리안착홈이 형성되는 하체매트; 펼쳐진 상태에서 하체매트의 타 측 단과 일단이 밀착되고, 선택적으로 하체매트 타 측 단에 대하여 하체매트의 하부로 적층되게 절첩되며, 상면에 인체의 척추 곡선과 대응되어 밀착되게 길이방향으로 돌출, 함몰되도록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서 만곡부가 형성되는 허리매트; 및 펼쳐진 상태에서 허리매트의 타 측 단과 일단이 밀착되고, 선택적으로 허리매트의 타 측 단에 대하여 허리매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절첩되면서 허리매트와 함께 하체매트의 하부로 적층되게 절첩되며, 상면이 허리매트의 상면과 치합 밀착되도록 상면에 상기 허리매트의 만곡부에 대하여 상하방향 반전된 형상을 가지는 반전만곡부가 형성되는 머리매트를 포함하며, 하부로부터 상향 머리매트, 허리매트, 하체매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될 수 있도록, 매트커버에 의해 하체매트와 허리매트와 머리매트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감싸지는 구성으로 이루어는 한편, 머리매트, 허리매트, 하체매트는 우레탄 폼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하부로부터 상향 머리매트, 허리매트, 하체매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될 수 있게 매트커버에 의해 하체매트와 허리매트와 머리매트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감싸질 수 있도록, 매트커버는 머리매트, 허리매트, 하체매트를 독립적으로 수용되게 감싸며, 머리매트와 허리매트의 밀착되어 이웃하는 상단이 절첩가능케 연결되고, 허리매트와 하체매트의 밀착되어 이웃하는 하단이 절첩가능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체매트는 사람이 누울 경우에 인체의 허리 벨트 라인 부분으로부터 엉덩이 부분에 걸쳐 안착되되 다리가 상향 일정높이 들려 다리안착홈 상부에 안착되면서 엉덩이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돌출부의 단이 진 측면 부분에 대하여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에 걸쳐 내향 라운드 지게 엉덩이안착홈이 더 형성되는 한편, 돌출부의 단이 진 측면 부분에 대한 엉덩이안착홈 상측의 나머지 길이에 걸쳐 외향 라운드 져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허리매트는 상면 중앙부분에 안착홈이 함몰형성되는 한편, 상기 안착홈 내에는 상면에 지압돌기가 척추 양측에 위치하도록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는 한 쌍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쌍으로 돌출형성된 본체블록으로 구성된 지압수단이 안착설치될 수 있다.
EH한, 좌석부가 짧은 소파나 좌석부가 긴 소파의 용도로 사용시 하부로부터 상향 머리매트, 허리매트, 하체매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된 상태에서 등의 중앙으로부터 상측 부분과 경추와 머리의 후방 하측 부분에 대해 받쳐질 수 있도록, 머리매트, 허리매트, 하체매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부에 적층 안착되고, 하체매트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향 일정높이를 갖는 쿠션으로 제공되며, 별도의 보조등받이커버에 의해 감싸지는 보조등받이쿠션 및 머리매트, 허리매트, 하체매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된 상태에서 보조등받이쿠션이 상부에 적층안착된 후의 상측에 안착되고, 보조등받이쿠션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향 일정높이를 갖는 쿠션으로 제공되며, 경추와 머리의 후방 하측을 받쳐주는 한편, 별도의 베개커버에 의해 감싸지는 베개쿠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등받이쿠션은 착석 자세에서 인체의 등인 척추 라인과 대응되어 등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측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체매트에 대한 돌출부의 단이 진 측면과 대응되는 일면 하측 일정길이에 걸쳐 라운드 지게 돌출되어 등받침부가 형성되며, 하체매트에 대한 돌출부의 단이 진 측면과 대응되는 일면 나머지 상측 부분에 대하여 상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받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개쿠션은 착석 자세에서 인체의 경추와 머리의 후방 하측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보조등받이쿠션에 대한 일면 상측 부분과 대응되는 면의 상단 모서리부분에 라운드 지게 경추받침부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이 지게 일 측이 돌출형성되는 하체매트, 허리매트, 머리매트, 보조등받이쿠션 및 베개쿠션을 포함함으로써 매트부재를 펼쳐 사용하거나 또는 매트부재를 적층되게 절첩하거나 쿠션부재와 베개쿠션을 추가로 적층시켜 사용하여 침대용 매트리스 및 좌석부가 짧은 소파나 좌석부가 긴 카우치(couch) 스타일 소파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시키면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단이 지게 일 측이 돌출형성되는 하체매트, 허리매트, 머리매트, 보조등받이쿠션 및 베개쿠션을 포함하되 허리매트의 상면에 인체의 척추 곡선과 대응되어 만곡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허리매트의 상면 중앙부분에 안착홈이 함몰형성되어 안착홈 내에 상면에 지압돌기가 척추 양측에 위치하도록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는 한 쌍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쌍으로 돌출형성된 본체블록으로 구성된 지압수단이 안착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건강을 고려한 기능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에 대하여, 침대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에 대하여, 좌석부가 짧은 소파 및 좌석부가 긴 소파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의 요부인 허리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구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구에 대하여, 좌석부가 짧은 소파 및 좌석부가 긴 소파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에 대하여, 침대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에 대하여, 좌석부가 짧은 소파 및 좌석부가 긴 소파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1 내지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구는 침대, 좌석부가 짧은 소파, 좌석부가 긴 소파 중 어느 하나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크게 하체매트(110), 허리매트(120) 및 머리매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체매트(110)는 일 측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향 돌출되어 누웠을 때 다리를 일정높이 높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으로 일정길이에 걸쳐 단이 지게 상향 돌출된 돌출부(111)를 가지는 한편, 돌출부(111)에는 폭 방향 양측으로 다리가 벗어나지 않게 구속할 수 있도록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길이에 걸쳐 하향 함몰되어 다리안착홈(113)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허리매트(120)는 펼쳐진 상태에서 하체매트(110)의 타 측 단과 일단이 밀착되고, 선택적으로 하체매트(110) 타 측 단에 대하여 하체매트(110)의 하부로 적층되게 절첩되며, 상면에 인체의 척추 곡선과 대응되어 밀착되게 길이방향으로 돌출, 함몰되도록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서 만곡부(12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만곡부(1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앙부분이 만곡 볼록하면서 길이방향 양측은 만곡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즉 이러한 만곡부(121)는 인체의 척추 곡선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머리매트(130)는 펼쳐진 상태에서 허리매트(120)의 타 측 단과 일단이 밀착되고, 선택적으로 허리매트(120)의 타 측 단에 대하여 허리매트(120)의 상부에 적층되어 절첩되면서 허리매트(120)와 함께 하체매트(110)의 하부로 적층되게 절첩되며, 상면이 허리매트(120)의 상면과 치합 밀착되도록 상면에 상기 허리매트(120)의 만곡부(121)에 대하여 상하방향 반전된 형상을 가지는 반전만곡부(131)가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반전만곡부(131)는 허리매트(120)의 만곡부(121)에 대하여 상하방향 반전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길이방향 중앙부분이 만곡 오목하면서 길이방향 양측은 반곡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이때 만곡 오목한 부분은 사용자가 누울 경우에 머리의 뒤통수 부분이 안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상기 머리매트(130)는 별도의 쿠션타입의 베개가 안착되어 사용자가 머리를 베고 누울 수 있게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는 하체매트(110), 허리매트(120) 및 머리매트(130)에 대하여 단일의 매트커버(140a)에 의해 감싸지는 것이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는 하부로부터 상향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는 매트커버(140a)에 의해 하체매트(110)와 허리매트(120)와 머리매트(130)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감싸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를 구성하는 상기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는 우레탄 폼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는 하부로부터 상향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될 수 있게 매트커버(140a)에 의해 하체매트(110)와 허리매트(120)와 머리매트(130)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감싸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매트커버(140a)는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를 독립적으로 수용되게 감싸며, 머리매트(130)와 허리매트(120)의 밀착되어 이웃하는 상단이 절첩가능케 연결되고, 허리매트(120)와 하체매트(110)의 밀착되어 이웃하는 하단이 절첩가능케 연결된다.
이러한 매트커버(140a)는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를 독립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3개로 분리되어 각각의 수용공간에 대하여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 중 어느 하나의 매트가 수용된 후 슬라이드파스너(미도시)를 닫으면서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매트커버(140a)는 머리매트(130)와 허리매트(120)의 밀착되어 이웃하는 상단이 절첩가능케 연결되면서 마주하는 면 상에 벨크로테이프가 각각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토록 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머리매트(130)와 허리매트(120)의 밀착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연결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매트커버(140a)는 허리매트(120)와 하체매트(110)의 밀착되어 이웃하는 하단이 절첩가능케 연결되면서 마주하는 면 상에도 벨크로테이프가 각각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토록 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허리매트(120)와 하체매트(110)의 밀착된 상태도를 선택적으로 연결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에서의 상기 하체매트(110)는 사람이 누울 경우에 인체의 허리 벨트 라인 부분으로부터 엉덩이 부분에 걸쳐 안착되되 다리가 상향 일정높이 들려 다리안착홈(113) 상부에 안착되면서 엉덩이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체매트(110)는 돌출부(111)의 단이 진 측면 부분에 대하여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에 걸쳐 내향 라운드 지게 엉덩이안착홈(115)이 더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체매트(110)는 돌출부(111)의 단이 진 측면 부분에 대한 상기 엉덩이안착홈(115) 상측의 나머지 길이에 걸쳐 외향 라운드 져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에서의 하체매트(110)는 돌출부(111)에 폭 방향 양측으로 다리가 벗어나지 않게 구속할 수 있도록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길이에 걸쳐 하향 함몰되어 다리안착홈(113)이 형성되되, 다리안착홈(113)의 양 측벽 부분의 형상은 다리와 대응되어 라운드 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다리안착홈(113)은 도 1 내지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에 대하여 중앙부분이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볼록하도록 만곡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를 침대로만 사용할 경우에는 하체매트(110), 허리매트(120) 및 머리매트(130)의 매트부재들만 사용하여 침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구를 좌석부가 짧은 소파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조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트부재들을 적층되도록 하면서 절첩한 상태로서의 소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를 좌석부가 긴 소파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조는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앉는 부위인 좌석부에 대하여 길게 형성되도록 하체매트(110)에 대하여 허리매트(120)와 머리매트(130)가 순차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물론 사용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하체매트(110)에 대하여 허리매트(120)만 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에서의 상기 허리매트(120)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욕창방지를 위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통공이 관통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의 요부인 허리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이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4b를 참고하여 설명한 허리매트와는 지압수단이 더 안착설치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의 요부인 허리매트(120)는 상면 중앙부분에 안착홈(125)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125) 내에는 상면에 지압돌기(123a)가 척추 양측에 위치하도록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는 한 쌍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쌍으로 돌출형성된 본체블록(121a)으로 구성된 지압수단(120a)이 안착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구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구에 대하여, 좌석부가 짧은 소파 및 좌석부가 긴 소파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6 내지 7b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4b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보조등받이쿠션(150) 및 베개쿠션(170)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구는 좌석부가 짧은 소파나 좌석부가 긴 소파의 용도로 사용시 하부로부터 상향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된 상태에서 등의 중앙으로부터 상측 부분과 경추와 머리의 후방 하측 부분에 대해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구는 하체매트(110), 허리매트(120) 및 머리매트(130)를 포함하되, 특히 보조등받이쿠션(150) 및 베개쿠션(17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등받이쿠션(150)은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부에 적층 안착되고, 하체매트(1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향 일정높이를 갖는 쿠션으로 제공되며, 별도의 보조등받이커버(150a)에 의해 감싸지는 것이다.
상기 보조등받이커버(150a)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쿠션에 대한 커버에서와 같이 섬유 등의 재질로 절개된 라인에 대하여 수용후 밀폐를 위한 슬라이드파스너(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조등받이쿠션(150)은 착석 자세에서 인체의 등인 척추 라인과 대응되어 등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측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보조등받이쿠션(150)은 하체매트(110)에 대한 돌출부(111)의 단이 진 측면과 대응되는 일면 하측 일정길이에 걸쳐 라운드 지게 돌출되어 등받침부(151)가 형성되며, 아울러 하체매트(110)에 대한 돌출부(111)의 단이 진 측면과 대응되는 일면 나머지 상측 부분에 대하여 상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받침부(15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개쿠션(170)은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된 상태에서 보조등받이쿠션(150)이 상부에 적층안착된 후의 상측에 안착되고, 보조등받이쿠션(15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향 일정높이를 갖는 쿠션으로 제공되며, 경추와 머리의 후방 하측을 받쳐주는 한편, 별도의 베개커버(170a)에 의해 감싸지는 것이다.
이때, 베개커버(170a)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쿠션에 대한 커버에서와 같이 섬유 등의 재질로 절개된 라인에 대하여 수용후 밀폐를 위한 슬라이드파스너(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은 베개쿠션(170)은 착석 자세에서 인체의 경추와 머리의 후방 하측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베개쿠션(170)은 보조등받이쿠션(150)에 대한 일면 상측 부분과 대응되는 면의 상단 모서리부분에 라운드 지게 경추받침부(171)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먼저, 도 6 내지 7b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구는 침대로만 사용할 경우에는 도 1 내지 4b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체매트(110), 허리매트(120) 및 머리매트(130)의 매트부재들만 사용하여 침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구를 좌석부가 짧은 소파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조는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은 매트부재들을 적층되도록 하면서 절첩한 상태에서, 상부에 보조등받이쿠션(150) 및 베개쿠션(170)을 순차적으로 추가 적층시켜 소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앉은 자세에서 엉덩이 위의 등부분과 목 및 머리부분에 대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받쳐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구를 좌석부가 긴 소파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조는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앉는 부위인 좌석부에 대하여 길게 형성되도록 하체매트(110)에 대하여 허리매트(120)와 머리매트(130)가 순차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에 보조등받이쿠션(150) 및 베개쿠션(170)을 순차적으로 추가 적층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물론 사용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하체매트(110)에 대하여 허리매트(120)만 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다용도 침구를 좌석부가 긴 소파를 형성하여 사용하면서 앉은 자세에서 엉덩이 위의 등부분과 목 및 머리부분에 대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받쳐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침구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단이 지게 일 측이 돌출형성되는 하체매트, 허리매트, 머리매트, 보조등받이쿠션 및 베개쿠션을 포함함으로써 매트부재를 펼쳐 사용하거나 또는 매트부재를 적층되게 절첩하거나 쿠션부재와 베개쿠션을 추가로 적층시켜 사용하여 침대용 매트리스 및 좌석부가 짧은 소파나 좌석부가 긴 카우치(couch) 스타일 소파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시키면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단이 지게 일 측이 돌출형성되는 하체매트, 허리매트, 머리매트, 보조등받이쿠션 및 베개쿠션을 포함하되 허리매트의 상면에 인체의 척추 곡선과 대응되어 만곡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허리매트의 상면 중앙부분에 안착홈이 함몰형성되어 안착홈 내에 상면에 지압돌기가 척추 양측에 위치하도록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는 한 쌍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쌍으로 돌출형성된 본체블록으로 구성된 지압수단이 안착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건강을 고려한 기능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 하체매트 111: 돌출부
113: 다리안착홈 115: 엉덩이안착홈
120: 허리매트 121: 만곡부
125: 안착홈 120a: 지압수단
121a: 본체블록 123a: 지압돌기
130: 머리매트 131: 반전만곡부
140a: 매트커버 150: 보조등받이쿠션
151: 등받침부 153: 경사받침부
150a: 보조등받이커버 170: 베개쿠션
171: 경추받침부 170a: 베개커버

Claims (7)

  1. 침대, 좌석부가 짧은 소파, 좌석부가 긴 소파 중 어느 하나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침구에 있어서, 일 측 일정길이에 대하여 상향 돌출되어 누웠을 때 다리를 일정높이 높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으로 일정길이에 걸쳐 단이 지게 상향 돌출된 돌출부(111)를 가지는 한편, 돌출부(111)에는 폭 방향 양측으로 다리가 벗어나지 않게 구속할 수 있도록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일정길이에 걸쳐 하향 함몰되어 다리안착홈(113)이 형성되는 하체매트(110); 펼쳐진 상태에서 하체매트(110)의 타 측 단과 일단이 밀착되고, 선택적으로 하체매트(110) 타 측 단에 대하여 하체매트(110)의 하부로 적층되게 절첩되며, 상면에 인체의 척추 곡선과 대응되어 밀착되게 길이방향으로 돌출, 함몰되도록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서 만곡부(121)가 형성되는 허리매트(120); 및 펼쳐진 상태에서 허리매트(120)의 타 측 단과 일단이 밀착되고, 선택적으로 허리매트(120)의 타 측 단에 대하여 허리매트(120)의 상부에 적층되어 절첩되면서 허리매트(120)와 함께 하체매트(110)의 하부로 적층되게 절첩되며, 상면이 허리매트(120)의 상면과 치합 밀착되도록 상면에 상기 허리매트(120)의 만곡부(121)에 대하여 상하방향 반전된 형상을 가지는 반전만곡부(131)가 형성되는 머리매트(130)를 포함하며, 하부로부터 상향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될 수 있도록, 매트커버(140a)에 의해 하체매트(110)와 허리매트(120)와 머리매트(130)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감싸지는 구성으로 이루어는 한편,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는 우레탄 폼으로 제작되되,
    하부로부터 상향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될 수 있게 매트커버(140a)에 의해 하체매트(110)와 허리매트(120)와 머리매트(130)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감싸질 수 있도록, 매트커버(140a)는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를 독립적으로 수용되게 감싸며, 머리매트(130)와 허리매트(120)의 밀착되어 이웃하는 상단이 절첩가능케 연결되고, 허리매트(120)와 하체매트(110)의 밀착되어 이웃하는 하단이 절첩가능케 연결되고,
    상기 하체매트(110)는 사람이 누울 경우에 인체의 허리 벨트 라인 부분으로부터 엉덩이 부분에 걸쳐 안착되되 다리가 상향 일정높이 들려 다리안착홈(113) 상부에 안착되면서 엉덩이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돌출부(111)의 단이 진 측면 부분에 대하여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에 걸쳐 내향 라운드 지게 엉덩이안착홈(115)이 더 형성되는 한편, 돌출부(111)의 단이 진 측면 부분에 대한 엉덩이안착홈(115) 상측의 나머지 길이에 걸쳐 외향 라운드 져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허리매트(120)는 상면 중앙부분에 안착홈(125)이 함몰형성되는 한편, 상기 안착홈(125) 내에는 상면에 지압돌기(123a)가 척추 양측에 위치하도록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는 한 쌍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쌍으로 돌출형성된 본체블록(121a)으로 구성된 지압수단(120a)이 안착설치되고,
    좌석부가 짧은 소파나 좌석부가 긴 소파의 용도로 사용시 하부로부터 상향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된 상태에서 등의 중앙으로부터 상측 부분과 경추와 머리의 후방 하측 부분에 대해 받쳐질 수 있도록,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부에 적층 안착되고, 하체매트(1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향 일정높이를 갖는 쿠션으로 제공되며, 별도의 보조등받이커버(150a)에 의해 감싸지는 보조등받이쿠션(150) 및 머리매트(130), 허리매트(120), 하체매트(1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절첩된 상태에서 보조등받이쿠션(150)이 상부에 적층안착된 후의 상측에 안착되고, 보조등받이쿠션(15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향 일정높이를 갖는 쿠션으로 제공되며, 경추와 머리의 후방 하측을 받쳐주는 한편, 별도의 베개커버(170a)에 의해 감싸지는 베개쿠션(170)을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보조등받이쿠션(150)은 착석 자세에서 인체의 등인 척추 라인과 대응되어 등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측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체매트(110)에 대한 돌출부(111)의 단이 진 측면과 대응되는 일면 하측 일정길이에 걸쳐 라운드 지게 돌출되어 등받침부(151)가 형성되며, 하체매트(110)에 대한 돌출부(111)의 단이 진 측면과 대응되는 일면 나머지 상측 부분에 대하여 상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받침부(153)가 형성되며,
    상기 베개쿠션(170)은 착석 자세에서 인체의 경추와 머리의 후방 하측 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보조등받이쿠션(150)에 대한 일면 상측 부분과 대응되는 면의 상단 모서리부분에 라운드 지게 경추받침부(17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10113A 2020-01-28 2020-01-28 다용도 침구 KR102295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113A KR102295468B1 (ko) 2020-01-28 2020-01-28 다용도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113A KR102295468B1 (ko) 2020-01-28 2020-01-28 다용도 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528A KR20210096528A (ko) 2021-08-05
KR102295468B1 true KR102295468B1 (ko) 2021-08-31

Family

ID=7731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113A KR102295468B1 (ko) 2020-01-28 2020-01-28 다용도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003B1 (ko) * 2021-01-19 2023-10-1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목 지지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788A (ja) * 2000-09-15 2002-05-08 Ryu Genyu 折り畳み式のマットレス兼用安楽座椅子
CN2592051Y (zh) * 2002-12-31 2003-12-17 上海申田金属制品有限公司 曲线形床垫
KR200434771Y1 (ko) * 2006-09-27 2006-12-27 이상엽 의료용 보조매트
KR101590068B1 (ko) * 2015-03-20 2016-01-29 이상일 자세 교정용 기능성 취침구
CN206462694U (zh) * 2016-11-11 2017-09-05 于涛 一种腰背零压力阅读靠垫
KR101851615B1 (ko) * 2017-07-21 2018-04-24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530B1 (ko) 1999-09-10 2004-06-09 전자부품연구원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KR20010038256A (ko) 1999-10-23 2001-05-15 최병옥 조립식 쇼파겸용 침구
KR20030000083A (ko) 2001-06-22 2003-01-06 최병옥 절첩식 매트겸 침구
KR20050015522A (ko) 2003-08-06 2005-02-21 진종도 다기능 매트리스
KR101033730B1 (ko) 2009-01-29 2011-05-09 서효석 다용도 매트리스
KR20100013050U (ko) * 2009-06-24 2010-12-31 이정문 발 쿠션
KR101297889B1 (ko) 2012-07-25 2013-08-19 고정옥 다용도 유아용 침구
BE1021902B1 (nl) * 2014-03-27 2016-01-25 Heeren Katrien Justina 's Kussen voor het verzachten van rugpij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788A (ja) * 2000-09-15 2002-05-08 Ryu Genyu 折り畳み式のマットレス兼用安楽座椅子
CN2592051Y (zh) * 2002-12-31 2003-12-17 上海申田金属制品有限公司 曲线形床垫
KR200434771Y1 (ko) * 2006-09-27 2006-12-27 이상엽 의료용 보조매트
KR101590068B1 (ko) * 2015-03-20 2016-01-29 이상일 자세 교정용 기능성 취침구
CN206462694U (zh) * 2016-11-11 2017-09-05 于涛 一种腰背零压力阅读靠垫
KR101851615B1 (ko) * 2017-07-21 2018-04-24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528A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443B2 (en) Body support pillow and methods
US7547073B2 (en) Modular furniture assembly
US7086108B1 (en) Sectional non-slip mattress and support frame therefor
US4212090A (en) Ottoman convertible
EP1624777A2 (en) Back support system
US11160397B2 (en) Orthopedic cushion
US5367727A (en) Flotation bed with enhanced postural support
JPH0326962B2 (ko)
KR102295468B1 (ko) 다용도 침구
US20080060132A1 (en) Sofa protector and bedding substitute
KR200407189Y1 (ko) 팔걸이 접이식 소파 겸용 침대 매트리스
KR20090007215U (ko) 소파
KR101850765B1 (ko) 베개 겸용 좌식 의자 및 테이블이 부설된 휴대용 매트리스
KR200429165Y1 (ko) 소파 겸용 침대
KR200485842Y1 (ko) 접이식 매트
CN219556851U (zh) 一种野餐垫
US20230389710A1 (en) Convertible Mattress
TWI786014B (zh) 墊體組
KR102552180B1 (ko) 변형이 가능한 기능성 소파
US20070192956A1 (en) Multifunctional furniture
KR102162327B1 (ko) 공기주입이 가능한 다기능 에어쿠션
TWM636279U (zh) 兩用沙發床
KR100196781B1 (ko) 다목적매트용 매트대
JP2023055517A (ja) 敷き寝具
JP2005152299A (ja) 座卓兼用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