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885B1 -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885B1
KR101850885B1 KR1020170102940A KR20170102940A KR101850885B1 KR 101850885 B1 KR101850885 B1 KR 101850885B1 KR 1020170102940 A KR1020170102940 A KR 1020170102940A KR 20170102940 A KR20170102940 A KR 20170102940A KR 101850885 B1 KR101850885 B1 KR 101850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barrel
plunger
cap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경
Original Assignee
비스코덴탈아시아 주식회사
서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스코덴탈아시아 주식회사, 서우경 filed Critical 비스코덴탈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2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61C5/62Applicators, e.g. syringes or gu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61C13/206Injection moulding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선단부에 노즐부를 가지며 후방으로 개방되고 사용할 레진을 수용하는 배럴과; 상기 배럴의 내부로 진입하여 레진을 노즐부 측으로 밀어내는 것으로서, 그 선단부는 막히고 후단부가 개방되며 측부에는 다수의 사이드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중공 파이프형 진입바디와, 상기 진입바디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진입바디의 완전 삽입시 상기 노즐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출핀과, 상기 배출핀의 후방에 위치하며 진입바디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링홈과, 상기 배출핀과 링홈의 사이에 위치하며, 진입바디의 진입시, 후방으로 전달되는 압력을 상기 링홈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월을 구비한 플런저와; 상기 링홈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월에 의해 유도된 압력을 받아 탄성 변형되며 기체는 통과시키되 레진의 유출은 차단하는 밀폐링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는, 레진의 주입과 동시에 배럴 내부의 미세공기가 후방으로 배출되므로, 도포된 레진의 내부에 기포가 남지 않아 신뢰성이 높으며, 또한 보다 적은 힘으로 레진을 압출할 수 있어 시술이 한결 편리하고, 사용 중 주입을 일시 정지하더라도 배럴로부터 레진의 관성 유출 현상이 없어 정량공급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Apparatus for injecting dental resin}
본 발명은 주로 치과치료에 사용되는 레진을 구강내 목표지점에 정량 공급하기 위한 레진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 주입이 가능하고 보다 작은 힘으로 주입이 가능한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수복(修復)을 위해 사용되는 아말감은 시술이 쉽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지만, 정상 치아와의 색상 차이가 뚜렷하고 시술시 사용된 수은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출될 수 있다는 부담을 갖는다. 이러한 부담에 더해 외모를 중시하는 정서상, 아말감을 대신하는 복합레진이 수복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복합레진은 정상 치아에 대비한 색상 및 질감의 차이가 거의 없어, 일단 티가 나지 않고 보기에 좋으며, 시술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치아의 충치부위만 삭제하면 되므로 의사나 환자에게 부담이 적다.
상기한 복합레진을 이용한 수복치료는, 치아의 충치부위를 갈아내고 그 자리에 레진을 채우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채움을 위해 전용 레진 주입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레진 주입장치는, 대부분, 시린지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배럴 내에 수용된 복합레진을 피스톤을 이용해 압출하여 목표지점에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레진 주입장치는 레진의 압출에 꽤 큰 물리적인 힘이 요구되었으며, 특히, 피스톤을 정지시켰을 때 레진의 압출이 바로 정지하지 않고 얼마간 흘러나온 후 멈춘다는 단점이 있었다.
US 5,129,825 (DENTAL SYRINGE AND CAPSULE FOR USE THEREWITH)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37964 (치과용 근관충전기구)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도포된 레진의 내부에 기포가 남지 않아 신뢰성이 높으며, 보다 적은 힘으로 레진을 압출할 수 있고, 사용 중 주입을 일시 정지하더라도 레진의 관성 유출 현상이 없는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 파이프형 부재로서, 그 선단부에 노즐부를 가지며 후방으로 개방되고 사용할 레진을 수용하는 배럴과; 상기 배럴의 내부로 진입하여 레진을 노즐부 측으로 밀어내는 것으로서, 그 선단부는 막히고 후단부가 개방되며 측부에는 다수의 사이드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중공 파이프형 진입바디와, 상기 진입바디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진입바디의 완전 삽입시 상기 노즐부의 내부 공간을 채우는 배출핀과, 상기 배출핀의 후방에 위치하는 링홈과, 상기 배출핀과 링홈의 사이에 위치하며, 진입바디의 진입시, 후방으로 전달되는 압력을 상기 링홈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월을 구비한 플런저와; 상기 링홈에 장착되되, 상기 가이드월에 의해 유도된 레진으로부터의 반작용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가이드월의 후방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반작용력에 의해 탄성 변형됨에 의해 레진의 유출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일정두께 및 직경을 갖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레진으로부터의 반작용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럴의 내주면과의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상기 배럴의 내주면에 대해 이격되고, 상기 반작용력을 받기 시작할 때 탄성 변형되어 그 외주부의 일부가 배럴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레진의 유출을 방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탄성 변형시 그 단부가 링홈의 바닥면에 접함으로써 본체부를 지지하여 본체부가 배럴의 내주면으로부터 벌어져 레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받침돌기부를 포함하는 밀폐링과; 상기 배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은; 캡이 배럴에 결합한 상태로, 배럴을 수평면상에 수직으로 세워 놓을 수 있는 받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수평면으로부터 지지력을 전달받는 안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월은 배출핀의 후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플런저의 진입시 레진을 배럴의 내주면 측으로 유도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 파이프형 부재로서, 그 선단부에 노즐부를 가지며 후방으로 개방되고 사용할 레진을 수용하는 배럴과; 상기 배럴의 내부로 진입하며 상기 레진을 노즐부 측으로 밀어내는 것으로서, 그 선단부는 막히고 후단부가 개방되며, 측부에는 다수의 사이드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중공파이프형 바디와, 상기 바디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홀더를 구비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홀더에 고정된 상태로 플런저와 함께 배럴의 내부로 진입하며 레진을 가압하기 위한 부재로서, 레진을 가압할 때 레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반작용력을 받아 반지름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경사면과, 상기 유도경사면의 테두리부에 일체를 이루되 플런저의 진행방향으로 돌출된 링의 형태를 취하여 상기 유도경사면에 의해 상기 반지름 방향으로 유도된 압력을 전달 받음으로써 그 직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배럴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레진의 유출을 방지하는 가압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변형부의 외주면에는 레진으로부터의 반작용력이 가압변형부에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럴의 내주면과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배럴의 내주면에 대해 이격되는 밀착면이 형성된 탄력푸셔와; 상기 배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캡은; 캡이 배럴에 결합한 상태로, 배럴을 수평면상에 수직으로 세워 놓을 수 있는 받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수평면으로부터 지지력을 전달받는 안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는, 레진의 주입과 동시에 배럴 내부의 미세공기가 후방으로 배출되므로, 도포된 레진의 내부에 기포가 남지 않으며, 또한 보다 적은 힘으로 레진을 압출할 수 있어 시술이 한결 편리하다.
아울러, 사용 중 주입을 일시 정지하더라도 배럴로부터 레진의 관성 유출 현상이 없어 정량공급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밀폐링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레진 주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레진 주입장치의 사용 대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레진 주입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레진 주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레진 주입장치의 사용 대기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1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밀폐링(16)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11)는, 주입할 레진을 수용하는 배럴(13)과, 상기 레진(13)을 압출하는 플런저(15)와, 주입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배럴(13)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캡(19)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배럴(13)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 내경의 공간부(13e)를 갖는 중공 파이프형 부재로서, 그 선단부에 노즐부(13f) 및 결합부(13g)를 갖는다.
상기 노즐부(13f)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13e)에 채워져 있는 레진(R)이 배출되는 통로로서 토출구(13c)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3c)를 통해 배출된 레진은 주입노즐(도 4의 21)을 거쳐 치아의 목표지점에 도포된다. 상기 노즐부(13f)의 내경은 노즐부의 전방으로 진행할수록 작아진다.
또한, 상기 결합부(13g)는, 상기 노즐부(13f)를 감싸는 원통형 부분으로서 노즐부(13f) 외주면과의 사이에 체결공간(13b)을 제공한다. 상기 체결공간(13b)은 주입노즐(21)이나 캡(19)이 끼워지는 공간이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13g)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걸림돌기(13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13d)는 주입노즐(21)에 마련되어 있는 지지턱(미도시)이나, 캡(19)의 나선형돌출부(19b)가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나선형돌출부(19b)는 배럴(13)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말하자면 부분 나선으로서, 가령, 캡(19)의 일부를 상기 체결공간(13b)에 삽입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걸림돌기(13d)에 걸려 고정되는 부분이다. 당연히, 캡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이 배럴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배럴(13)의 후단부에는 마치 나팔과 같이 퍼져있는 형태의 손가락걸이부(13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손가락걸이부(13a)는 플런저(15)를 배럴(13)의 내부로 진입시킬 때, 가령 검지와 중지가 걸리는 부분이다. 특히 손가락걸이부(13a)가 6각의 형태를 취하므로 배럴(13)의 축회전 방향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15)는, 배럴(13)과 마찬가지로 속이 빈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는 부재로서, 진입바디(15g), 가이드월(15e), 배출핀(15f)을 구비한다.
상기 진입바디(15g)는 전방이 막히고 후방으로 개방된 내부통로(15b)를 제공하며, 사이드홀(15c)을 통해 유입한 공기를 후방으로 배출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드홀(15c)은, 플런저(15)의 압입시, 후술할 가이드월(15e)과 밀폐링(16)을 넘어온 공기를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이다. 상기 사이드홀(15c)의 크기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월(15e)은 링홈(15d)을 사이에 두고 진입바디(15g)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15k)을 갖는다. 상기 경사면(15k)은 플런저(15)가 배럴(13)의 내부로 진입할 때, 배럴 내부에서 발생한 압력을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가이드월(15e)의 작용에 의해, 공간부(13e)의 레진의 압력이, 가이드월(15e)과 배럴(13) 내주면의 사이 틈새로 유도되어, 밀폐링(16)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밀폐링(16)이 배럴(13)의 내주면에 보다 강하게 압착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월(15e)의 전방에는 배출핀(15f)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핀(15f)은 전방으로 테이퍼진 핀으로서, 상기 노즐부(13f)의 내부를 완전히 채운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15)를 배럴(13) 내부로 완전히 진입한 상태에서 노즐부(13f)의 내주면에 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출핀(15f)을 적용한 이유는 공간부(13e) 내부의 레진을 남김없이 짜 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캡(19)은 레진주입장치(1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배럴(13)의 선단부에 결합하여 토출구(13c)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특히 평평한 안착면(19c)을 갖는다. 상기 안착면(19c)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의 테이블(23)에 면접한 상태로 배럴(13) 및 플런저(15)를 수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캡(19)은 레진주입장치(11)를 매우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가령, 상기 레진(R)이 채워진 배럴(13)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23) 위에 세워 놓을 수 있으므로, 시술시 시술자가 레진주입장치(11)를 쉽게 집어 들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능의 캡(19)이 없다면 레진주입장치를 눕혀 놓을 수밖에 없어 집어 들기가 그만큼 불편하다.
상기 캡(19)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속이 빈 수용홈(19a)을 갖는다. 상기 수용홈(19a)은 배럴(13)에 캡(19)을 결합할 때 노즐부(13f)를 수용 밀폐한다. 노즐부(13f)의 토출구(13c)가 수용홈(19a)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차단되는 것이다. 토출구(13c)내의 레진이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링홈(15d)은 밀폐링(16)을 수용하는 홈으로서, 상기 가이드월(15e)의 후방에 밀폐링(16)을 유지시켜 밀폐링(16)이 본연의 기능을 달성 하게 한다. 즉, 플런저(15)가 압출을 시작할 때, 레진의 압력을 받아 그 외주면이 배럴(13)의 내주면에 밀착함으로서 레진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15a는 푸싱부이다. 상기 푸싱부(15a)는 시술자가, 가령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는 부분이다. 특히 상기 푸싱부(15a)는 내부통로를 중심에 두고 넓은 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푸싱부(15a)를 가압할 때 내부통로를 완전히 막지 않고도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밀폐링(16)은, 일정두께 및 직경을 갖는 링형 본체부(16b)와, 상기 본체부(16b)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화살표 a방향으로 들어오는 압력의 작용에 의해 본체부(16b)의 테두리부가 후방으로 밀릴 때 화살표 b방향으로 오므라지며 본체부(16b)를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돌기부(16c)를 갖는다.
상기 받침돌기부(16c)의 높이(H)는, 전방에서 들어오는 압력에 의해 받침돌기부(16c)가 화살표 b방향으로 오므라질 때, 받침돌기부(16c)의 단부 일부가 링홈(15d)의 바닥에 접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받침돌기부(16c)는 본체부(16b)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각 배치된다.
특히, 평상시, 상기 밀폐링(16)의 외주면은, 배럴(13)의 내주면에 대해 미세한 간격으로 벌어져 있다. 상기 간격은, 플런저(15)를 배럴(13)의 내부로 삽입할 때 배럴(13) 내부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이다.
아울러 상기 밀폐링(1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15)가 레진(R)을 가압하여 반작용력을 받기 시작할 때, 반작용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배럴(13)의 내주면에 긴밀히 밀착하여 레진의 유출을 방지한다. 이러한 탄성변형은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유도되는 압력에 의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레진 주입장치(1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배럴(13)로부터 캡(19)을 분리한 후 배럴(13)의 선단부에 주입노즐(21)을 채운다. 상기 주입노즐(21)도, 체결공간(13b)에 직선 삽입 후 회전시켜 주입노즐의 일부가 걸림돌기(13d)에 걸리게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배럴(13)의 내부에, 사용할 만큼의 레진(R)을 채운 후, 배럴(13) 공간부(13e)의 후방으로부터 플런저(15)를 삽입하기 시작한다.
플런저(15)가 전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레진(R)과 플런저(15) 사이의 공기는, 상기 밀폐링(16)의 테두리부와 배럴(13) 내주면의 사이로 빠져, 그 일부가 사이드홀(15c)을 통과해 내부통로(15b)를 거쳐 외부로 배기되고, 나머지는 플런저(15)의 외주면과 배럴(13) 내주면의 간극 사이를 통해 배기된다. 상기 플런저(15)가 레진(R)에 완전히 도달할 때 까지, 레진(R)과 플런저 사이에 있던 공기는 상기한 방식으로 완전히 배기된다.
참고로, 종전 레진 주입장치는, 상기한 배기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공기가 배럴 내부에 갇혀, 플런저의 삽입을 진행함에 따라 공간부(13e)의 내부 압력이 급격히 증가한다. 이러한 내부 압력은 레진의 정량토출에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가령, 플런저의 선단부가 레진에 도달하기도 전에, 레진이 공기압에 밀려 미리 토출되거나, 또는 레진 주입 중 주입을 원하는 타이밍에 일시 정지시킬 수 없는 것이다.
여하튼 본 실시예에 따른 레진 주입장치(11)는, 상기한 가이드월(15e)과 밀폐링(16)의 작용으로 말미암아, 공간부(13e)에 채워져 있는 레진(R)과 플런저(15) 사이의 공기가, 레진의 압출 전에, 이미 외부로 방출되므로, 압축공기에 의한 상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레진의 공급이 오직 플런저(15)의 진입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시술자가 의도하는 정량 공급이 가능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15)의 선단부가 레진(R)에 완전히 도달한 상태에서, 플런저(15)의 푸싱부(15a)를 화살표 F 방향으로 가압하면, 레진(R)이 토출구(13c)를 통해 토출되며 주입노즐(21)을 거쳐 목표지점에 도포된다.
특히 상기 플런저(15)의 전방향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반작용력은 화살표 a방향으로 유도되어 밀폐링(16)에 도달한다. 상기 밀폐링(16)에 가해진 압력은 본체부(16b)를 후방으로 밀어, 본체부(16b) 외주면의 일측 모서리부가 배럴(13)의 내주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상기 배럴(13)에 대한 본체부(16b)의 압착력은 반작용력에 비례한다.
상기 상태에서 플런저(15)를 화살표 F방향으로 계속 가압 이동시키면 레진의 토출이 진행된다. 상기 토출은 배출핀(15f)이 노즐부(13f)의 내부에 삽입될 때 까지 진행된다.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레진 주입장치(11)의 사용 대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19)을 배럴(13)의 선단부에 끼운 상태로 주입장치(11)를 가령 테이블(23)의 수평면상에 세워 놓을 수 있다. 상기 배럴(13)에 레진(R)이 주입되어 있는 경우라면, 세워져 있는 레진 주입장치(11)를 잡아 캡(19)을 분리한 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3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레진 주입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레진주입장치(31)는, 레진을 수용하는 배럴(33)과, 상기 배럴(33)의 내부로 진입하며 레진을 노즐부 측으로 밀어내는 플런저(35)와, 상기 플런저(35)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탄력푸셔(36)와, 상기 배럴의 노즐부(33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캡(37)을 포함한다.
상기 배럴(33)은, 일정 내경의 공간부(33d)를 가지며 그 선단에는 공간부(33d) 내에 담겨있는 레진이 빠져나가는 노즐부(33b)가 위치한다. 상기 노즐부(33b)에 토출구(33c)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공간부(33d)는 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플런저(35)가 공간부(33d)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럴(33)의 후단부에는 손가락걸이부(3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가락걸이부(33a)는 시술자의 검지와 중지가 걸리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손가락걸이부(33a)를 검지와 중지로 걸어 잡은 상태로 플런저(35)의 푸싱부(35a)를 엄지로 눌러 레진을 짜 낼 수 있다.
상기 캡(37)은 노즐부(33b)를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배럴(33)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레진 주입장치를 사용하기 전까지 배럴(33)에 끼워져, 토출구(33c)로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특히 캡(37)에는 평평한 안착면(37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안착면(37a)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진 주입장치(31)를 수평의 테이블(23) 상에 수직으로 세워 놓을 수 있게 지지력을 제공한다.
상기 플런저(35)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럴(33)의 내부 공간부(33d)로 진입하며 레진(R)을 토출구(33c)외부로 압출하는 것으로서, 종공형 진입바디(35e)와, 상기 진입바디(35e)의 선단부에 형성된 홀더(35d)와, 진입바디(35e)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푸싱부(35a)를 구비한다.
상기 진입바디(35e)는 선단부가 막히고 후단부가 개방된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진입바디(35e)의 외주면과 배럴(33)의 내주면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틈새로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런저(35)를 상기 배럴(33)의 공간부(33d)에 삽입한 상태로 전진시킬 때, 배럴(33) 내부의 공기가 상기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진입바디(35e)의 측부에는 다수의 사이드홀(35c)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홀(35c)은, 플런저(35)를 배럴(33)의 내부로 진입할 때 배럴 내부로부터 빠져나온 공기의 일부를 내부통로(35b)로 유도하는 구멍이다.
상기 홀더(35d)는 진입바디(35e)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용 돌출부로서, 탄력푸셔(36)의 끼움구멍(36e)에 끼워져, 플런저(35)와 탄력푸셔(36)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홀더(35d)의 구조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탄력푸셔(36)는 탄성 변형 가능한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진입바디(35e)의 전방에 고정된 상태로 레진을 압착한다. 상기 탄력푸셔(36)의 중심부에는 상기 홀더(35d)가 끼워지는 끼움구멍(36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구멍(36e)에 홀더(35d)를 삽입함으로서 진입바디(35e)에 대한 탄력푸셔(36)의 결합이 유지된다.
아울러 상기 탄력푸셔(36)의 외주면에는 여유홈부(36d)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여유홈부(36d)는 탄력푸셔(36)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배럴(33) 내주면에 대한 탄력푸셔(36)의 과도한 마찰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탄력푸셔(36)의 진행방향 전면에는 유도경사면(36a)이 위치한다. 상기 유도경사면(36a)은 중심부로부터 외곽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진(R)을 가압할 때 발생하는 반작용력을 화살표 e방향으로 유도한다. 즉 반작용에 따른 압력을 탄력푸셔(36)의 반지름 방향으로 인가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탄력푸셔(36)의 테두리부에는 가압변형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변형부(36b)는, 탄력푸셔(36)의 테두리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링의 형태를 취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유도경사면(36a)에 의해 유도된 압력을 받아 직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상기 가압변형부(36b)의 외주면은 밀착면(36c)으로서, 탄성 변형되기 전에는 배럴(33)의 내주면으로부터 미세하게 이격되지만, 압력을 받아 변형될 때에는 배럴(33)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공기나 레진의 유출을 차단한다.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레진 주입장치(3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플런저(35)를 배럴(33)의 공간부(33d)에 끼운 상태로 진입시키면, 공간부(33d)에 머물러 있는 공기가 상기 탄력푸셔(36)와 배럴(33)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후방으로 빠져나간다. 탄력푸셔(36)의 가압변형부(36b)가 변형되기 전이므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탄력푸셔(36)의 후방으로 빠진 공기는, 사이드홀(35c)을 통과해 플런저(35)의 내부통로(35b)를 거쳐 배기되거나, 플런저(35)의 외주면과 배럴(33)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배출된다.
플런저(35)가 계속 전진하여 마침내 탄력푸셔(36)가 레진(R)에 접하였다면 레진의 주입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이 상태에서 플런저(35)를 화살표 F방향으로 압입하면, 레진이 토출구(33c)를 통해 압출됨과 아울러, 탄력푸셔(36)에 전달되는 반작용력은 화살표 e방향으로 유도되어 가압변형부(36b)를 외측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가압변형부(36b)는 배럴(33)의 내주면에 긴밀히 밀착하며, 탄력푸셔(36) 뒤쪽으로 레진의 누설이 없다. 이와 같이 밀폐를 이룬 상태에서 플런저(35)를 계속 압입하여 레진을 목표지점에 도포한다.
도 10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레진 주입장치(31)의 사용 대기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레진 주입장치(31)가 수평의 테이블(23)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진 주입장치(31)가 수직으로 대기할 수 있는 것은 캡(37)에 안착면(37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캡(37)의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캡(19)과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레진 주입장치 13:배럴 13a:손가락걸이부
13b:체결공간 13c:토출구 13d:걸림돌기
13e:공간부 13f:노즐부 13g:결합부
15:플런저 15a:푸싱부 15b:내부통로
15c:사이드홀 15d:링홈 15e:가이드월
15f:배출핀 15g:진입바디 15k:경사면
16:밀폐링 16b:본체부 16c:받침돌기부
19:캡 19a:수용홈 19b:나선형돌출부
19c:안착면 21:주입노즐 23:테이블
31:레진 주입장치 33:배럴 33a:손가락걸이부
33b:노즐부 33c:토출구 33d:공간부
35:플런저 35a:푸싱부 35b:내부통로
35c:사이드홀 35d:홀더 35e:진입바디
36:탄력푸셔 36a:유도경사면 36b:가압변형부
36c:밀착면 36d:여유홈부 36e:끼움구멍
37:캡 37a:안착면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 파이프형 부재로서, 그 선단부에 노즐부를 가지며 후방으로 개방되고 사용할 레진을 수용하는 배럴과;
    상기 배럴의 내부로 진입하며 상기 레진을 노즐부 측으로 밀어내는 것으로서, 그 선단부는 막히고 후단부가 개방되며, 측부에는 다수의 사이드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중공파이프형 바디와, 상기 바디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홀더를 구비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홀더에 고정된 상태로 플런저와 함께 배럴의 내부로 진입하며 레진을 가압하기 위한 부재로서, 레진을 가압할 때 레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반작용력을 받아 반지름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경사면과, 상기 유도경사면의 테두리부에 일체를 이루되 플런저의 진행방향으로 돌출된 링의 형태를 취하여 상기 유도경사면에 의해 상기 반지름 방향으로 유도된 압력을 전달 받음으로써 그 직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배럴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레진의 유출을 방지하는 가압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변형부의 외주면에는 레진으로부터의 반작용력이 가압변형부에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럴의 내주면과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배럴의 내주면에 대해 이격되는 밀착면이 형성된 탄력푸셔와;
    상기 배럴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캡이 배럴에 결합한 상태로, 배럴을 수평면상에 수직으로 세워 놓을 수 있는 받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수평면으로부터 지지력을 전달받는 안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
  7. 삭제
KR1020170102940A 2017-08-14 2017-08-14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 KR101850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940A KR101850885B1 (ko) 2017-08-14 2017-08-14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940A KR101850885B1 (ko) 2017-08-14 2017-08-14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885B1 true KR101850885B1 (ko) 2018-04-20

Family

ID=6208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940A KR101850885B1 (ko) 2017-08-14 2017-08-14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8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499B1 (ko) * 2021-01-28 2021-03-16 (주)스피덴트 의료용 레진 배출이 가능한 실린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9816A1 (en) * 2003-10-01 2009-06-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ow extractable, thermoplastic syringe and tip cap
WO2011121867A1 (ja) * 2010-03-29 2011-10-06 テルモ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5317845B2 (ja) * 2009-06-23 2013-10-16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ペースト注出器
WO2014050550A1 (ja) 2012-09-28 2014-04-03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シリン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9816A1 (en) * 2003-10-01 2009-06-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ow extractable, thermoplastic syringe and tip cap
JP5317845B2 (ja) * 2009-06-23 2013-10-16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ペースト注出器
WO2011121867A1 (ja) * 2010-03-29 2011-10-06 テルモ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WO2014050550A1 (ja) 2012-09-28 2014-04-03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シリン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499B1 (ko) * 2021-01-28 2021-03-16 (주)스피덴트 의료용 레진 배출이 가능한 실린지
WO2022163942A1 (ko) * 2021-01-28 2022-08-04 (주)스피덴트 의료용 레진 배출이 가능한 실린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7234A (en) Cartridge for dispensing dental material
US3581399A (en) Composite resin filling syringe and technique
US4664656A (en) Injection syringe
US6095814A (en) Dispensing cartridge with stepped chamber
US4710178A (en) Precision in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raligmental anesthesia
JP4896727B2 (ja) ウェット/ドライ自動注射器アッセンブリー
US3291128A (en) Hypodermic syringe construction with sealable vent means
JPH02228958A (ja) 歯科用注射器チツプ
JPH0622637B2 (ja) 特に歯科治療用の針の無い液体注射装置
KR20010071316A (ko) 자체 철수형 아이브이 카테테르 도입기
JP4638428B2 (ja) 液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物質を駆出する装置
JPS5820629B2 (ja) 歯科用ガンに用いるノズル構造体
JP2009532151A (ja) 薬剤を高圧により送達するための無針注射システム
KR101850885B1 (ko) 치과용 레진 주입장치
EP1998708B1 (en) Dental apparatus for irrigating root canals of teeth
US20110217670A1 (en) Device for supplying a dental retraction cor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such a device, and a method for gingival retraction
IL264569A (en) Liquid drug injection device with additional liquid injection capability after completion of liquid drug injection
US4617918A (en) Device for combined therapeutic and stimulative treatment of the gums
US20150050615A1 (en) Applicator Tip
JPH11267137A (ja) カ―トリッジを収容するための手動操作可能なエジェクタ装置
EP2977024B1 (en) Adapter
JP6334975B2 (ja) 注出器及び注出器へのペースト材の充填方法
KR100506703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JP2010099135A (ja) 薬剤塗布装置及び薬剤塗布装置用カートリッジ
KR940002246B1 (ko) 피하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