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747B1 - 자동 줄감개 - Google Patents

자동 줄감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747B1
KR101850747B1 KR1020170088784A KR20170088784A KR101850747B1 KR 101850747 B1 KR101850747 B1 KR 101850747B1 KR 1020170088784 A KR1020170088784 A KR 1020170088784A KR 20170088784 A KR20170088784 A KR 20170088784A KR 101850747 B1 KR101850747 B1 KR 101850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obbin
cam plate
wir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494A (ko
Inventor
임종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콘
Priority to KR102017008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74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선을 감는 줄감개에 있어서, 도선의 자동감김 및 고정의 동작이 명확히 이루어지고 고정의 과정에서 저항을 최소화하여 부품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며, 나아가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서 조립구조의 단순화와 부품의 최소화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즉 본 발명은 사각의 케이스부, 코일스프링을 갖으며 축회전으로 도선을 감는 원통형의 보빈부, 상기 보빈부 상부에 보빈부의 회전을 고정하는 수평 이동하는 탄성력을 가진 판형의 고정캠판을 구비하고, 상부 보빈부 상부면에 고정캠판의 걸림돌기가 끼워들어가는 회전가이드부와 케이스 하부면에 고정캠판이 수평이동하는 수평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줄감개를 제공하여서, 부품들을 최소화하고 구조적으로 단순 적층방식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시에 생산성 향상 및 불량률을 감소하며, 도선의 자동감김의 고정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와 수평가이드를 이용하여 보빈부의 축회전 동작을 고정캠판의 수평이동으로 변환하여 고정함으로 인하여 고정이 명확히 이루어지며, 나아가 고정과정 중에 저항이 적어서 부품의 마모 및 파손의 위험성이 크게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줄감개{Wire-winding equipment}
본 발명은 자동 줄감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의 도선을 자동으로 감는 코일스프링을 갖는 보빈부를 구비하고, 보빈부 상부면에 회전가이드부와 이에 따라 수평이동하는 판형의 고정캠판을 구비하여,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화하는 캠구조로 인하여 보빈부의 유도회전 속도에 따라 고정캠판의 수평이동되고 고정캠판의 위치에 따라 자동줄감김의 고정 및 가동이 조정되는 자동 줄감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감개는 도선을 보관함에 있어서 도선의 엉킴, 보관시 부피증가, 재사용이 불편함과 같은 도선의 보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나 자동 줄감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07499호와 같이 회전의 중심에 태엽스프링을 구비하여 도선을 풀고나서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감기는 자동줄감개가 개발되었다.
또한, 이러한 자동 줄감개를 사용함에 있어서 일정길이로 도선을 풀어낸뒤에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한 실용신안과 같이 제동편을 이용하여 회전체 옆측면 일부분에 직접 압력을 가하여 고정하여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측면의 일부분을 누르는 고정방식은 도선을 누르는 방식의 경우 도선의 손상을 야기하고, 또한 회전 통을 누르는 방식은 누르는 핀이 회전체에 마모됨으로 인하여 고정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나 핀이 회전체의 원심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힘을 받게 되어 핀의 부러짐 또는 회전체의 손상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된 줄감개를 다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되있는 핀을 분리하고 해체하여 다시금 동작시켜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제동편은 고정시키는 핀의 밀착 및 분리시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핀을 복원시키는 별도의 탄성체를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탄성체가 탄성력으로 고정시키는 핀의 밀착력을 높였지만 이를 위한 별도의 부품과 조립과정이 필요로 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줄감개는 상기 별도의 탄성체처럼 이를 제작하기 위하여서는 많은 부품들이 필요로 했으며 이러한 많은 부품들을 제 위치에 맞게 끼워서 조립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많은 부품과 번거로운 조립의 과정은 제품의 불량률을 높이고 제작단가를 높이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캠장치이란 동력 전달방법의 하나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캠장치는 회전운동으로 조작하여 직선운동의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반대로 직선운동을 조작하여 회전운동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운동이 변환되는 과정에서 부하가 적어서 장치의 마찰 및 손상이 크게 감소하는 장점이 있는 장치인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 20-2000-0019633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 줄감개에 있어서 부품 및 이를 조립과정을 간단하고 단순화하며, 도선의 감김을 조작함에 있어서 조작이 명확히 이루어지며, 특히 도선을 감는 회전체의 회전의 조작함에 있어서 부하가 작고 조작이 명확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각의 케이스부, 코일스프링을 갖으며 축회전으로 도선을 감는 원통형의 보빈부, 상기 보빈부 상부에 보빈부의 회전을 고정하는 수평 이동하는 탄성력을 가진 판형의 고정캠판을 구비하고, 상부 보빈부 상부면에 고정캠판의 걸림돌기가 끼워들어가는 회전가이드부와 케이스 하부면에 고정캠판이 수평이동하는 수평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줄감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들을 최소화하고 구조적으로 단순 적층방식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시에 생산성 향상 및 불량률을 감소하는 것이다.
또한, 도선의 자동감김의 고정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와 수평가이드를 이용하여 보빈부의 축회전 동작을 고정캠판의 수평이동으로 변환하여 고정함으로 인하여 고정이 명확히 이루어지며 나아가 고정과정 중에 저항이 적어서 부품의 마모 및 파손의 위험성이 크게 감소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부구성을 보인 내부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품구성 및 조립구조를 보이기 위해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케이스의 구성 예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캠판과 상부케이스의 구성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캠판과 상부케이스의 구성 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지기판부의 구성 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보빈바디와 그 위에 놓인 코일스프링을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보빈바디의 구성 예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보빈캡의 구성 예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캠판의 구성 예를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회전가이드부의 구성을 표현하기 위해 구별되게 표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외부가이드 및 외부걸림턱을 구별되게 표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내부가이드 및 내부걸림턱을 구별되게 표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인가이드 및 고정포인트를 보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고정포인트 및 인유도면을 보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아웃가이드 및 아웃유도면을 보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로 휜 고정캠판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표시구를 구비한 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 줄감개에 있어서 도선의 자동감김 및 고정의 동작이 명확히 이루어지고 고정의 과정에서 저항을 최소화하여 부품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며, 나아가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서 조립구조의 단순화와 부품의 최소화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도선을 감는 줄감개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케이스로 분리되는 전후좌우 사측이 개방된 사각형의 케이스부(100),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부에 축회전으로 도선이 감기는 원통형의 보빈부(200), 상기 보빈부(200) 상부에 보빈부(200)의 회전을 고정하는 판형의 고정캠판(300), 상기 보빈부(200) 하부에 회전에도 도선을 상시 접지시키는 상부 및 하부접지디스크로 구성되는 회전접지기판부(400)로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내부 중심에 상기 보빈부(200)를 관통하여 회전축(111)이 되는 하부로 기둥형으로 돌출된 회전축(111), 내부 상부면에 상기 고정캠판(300)이 수평이동하도록 캠판에 맞게 수평으로 파인 수평가이드(113)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20)는 내부 하부면 중심에 상기 보빈부(200)의 하부가 끼워 들어가도록 원형으로 파인 보빈회전틀(121), 상기 보빈회전틀(121) 중심에 상기 회전접지기판부(400)가 끼워 들어가도록 원형으로 파인 하부디스크고정틀(122)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빈부(200)는 하부에 상부가 열린 원통형의 하부보빈바디(200a), 상부에 이를 덮는 원뚜껑형의 상부보빈캡(200b)으로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보빈바디(200a)는 하부에 도선이 감기는 원통형의 도선통(211), 상부에 코일스프링(500)이 들어가는 상부가 열린 원통형의 코일통(212), 도선통(211) 하부면에 상기 회전접지기판부(400)가 끼워 들어가도록 원형으로 파인 상부디스크고정틀(213)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보빈캡(200b)은 상부면에 상기 고정캠판(300)의 위치에 따라 보빈부(200)의 회전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로 파인 회전가이드부(220)를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가이드부(220)는 원주를 따라 외부로 원형으로 파여진 외부가이드(221), 상기 외부가이드(221) 보다 원중심에 가깝게 원형으로 파여진 내부가이드(222), 상기 걸림돌기(310)가 외부가이드(221)에서 내부가이드(222)로 이동을 유도하도록 내부 및 외부가이드가 이어지게 파인 인가이드(223), 상기 걸림돌기(310)가 내부가이드(222)에서 외부가이드(221)로 이동을 유도하도록 내부 및 외부가이드가 이어지게 파인 아웃가이드(225)를 구비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외부가이드(221)는 방향성을 지니도록 돌출된 외부걸림턱(221a)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가이드(222)는 상기 외부걸림턱(221a)과 반대 방향성을 지니도록 돌출된 내부걸림턱(222a)을 구비하고, 상기 인가이드(223)는 외부가이드(221)와 연결쪽에 일정속도 이하로 회전시 상기 걸림돌기(310)가 인가이드(223)로 들어오도록 돌출된 고정유도면(223a), 내부가이드(222)와 연결쪽에 상기 걸림돌기(310)가 걸려 보빈부(20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안쪽으로 파인 고정포인트(224)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포인트(224)의 반대되게 보빈부(200)가 감기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 걸림돌기(310)가 내부가이드(222)로 들어오도록 돌출된 인유도면(224a)을 구비하고, 상기 아웃가이드(225)는 내부가이드(222)와 연결된 일측면에 걸림돌기(310)가 외부가이드(221)로 배출되도록 돌출된 아웃유도면(225a)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캠판(300)은 하부면 일측에 상기 회전가이드부(220)를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된 반구형의 걸림돌기(310), 내부에 상기 회전축(111)을 끼워 고정캠판(300)의 이동영역제한 및 이탈방지하도록 파인 가동공간(320)을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캠판(300)은 탄성이 있는 탄성판으로 구비하고, 상기 수평가이드(113)는 상기 고정캠판(300)이 위로 휠 수 있도록 경로를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파인 굽힘공간(113a)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500)은 중심 끝단은 회전축(111)의 코일고정홈(112)에 끼워져 고정되고, 다른 바깥 끝단은 상기 코일통(212)의 하부면에 고정되도록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접지기판부(400)는 상기 하부디스크고정틀(122)에 외부 도선과 연결되는 고정된 하부접지디스크(410), 상기 하부디스크고정틀(122)에 내부 감기는 도선과 연결되는 보빈부(200)와 함께 회전하는 상부접지디스크(420)로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캠판(300)은 걸림돌기(310)가 상기 회전가이드부(220)에 더욱 밀착하고 고정캠판(300)의 탄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중심선을 따라 하부로 휘어지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빈부(200)가 고정됨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고정표시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표시구는 상부케이스(110) 상부면 고정포인트(224) 위치에 관통된 표시홀(610), 고정캠판(300)의 상부면 걸림돌기(310) 위치에 시각적으로 구별된 표시를 보이는 표시공(62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부품들은 그 조립함에 있어서 별도의 측면 끼움구조없이 정위치에 쌓는 적층형으로 구비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사용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선을 감는 줄감개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케이스로 분리되는 전후좌우 사측이 개방된 사각형의 케이스부(100),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부에 축회전으로 도선이 감기는 원통형의 보빈부(200), 상기 보빈부(200) 상부에 보빈부(200)의 회전을 고정하는 판형의 고정캠판(300), 상기 보빈부(200) 하부에 회전에도 도선을 상시 접지시키는 상부 및 하부접지디스크로 구성되는 회전접지기판부(400)로 구비하고, 상기 부품들은 그 조립함에 있어서 정위치에 쌓는 적층형으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제품의 생산에 있어서 케이스부(100) 내부에 부품을 정위치에 쌓아가며 일체형으로 단순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생산력이 향상되며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하는 것이다. 나아가구조가 단순하여 작은싸이즈에서도 제작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내부 중심에 보빈부(200)를 관통하여 회전축(111)이 되는 회전축(111),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내부 하부면 중심에 상기 보빈부(200)의 하부가 끼워 들어가도록 원형으로 파인 보빈회전틀(121)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보빈부(200)가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선을 감거나 푸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200)는 하부에 하부보빈바디(200a), 상부에 이를 덮는 상부보빈캡(200b)으로 구비하고, 상기 하부보빈바디(200a)는 하부에 원통형의 도선통(211), 상부에 코일스프링(500)이 들어가는 상부가 열린 원통형의 코일통(212)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스프링(500)을 중심 끝단을 회전축(111)의 코일고정홈(112)에 끼워져 고정되고, 다른 바깥 끝단은 상기 코일통(212)의 하부면에 고정되도록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하부보빈바디(200a)에 감긴 도선을 풀고 난후 다시 감을 때 코일스프링(5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접지기판부(400)는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하부디스크고정틀(122)에 외부 도선과 연결되는 고정된 하부접지디스크(410), 상기 하부보민몸체에 상부디스크고정틀(213)에 내부로 감기는 도선과 연결되는 보빈부(200)와 함께 회전하는 상부접지디스크(420)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도선이 보빈부(200)와 함께 회전하더라도 상부접지디스크(420)와 하부접지디스크(410)의 접지점이 상시 접하게 되어 신호의 단절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빈캡(200b)은 상부면에 상기 고정캠판(300)의 위치에 따라 보빈부(200)의 회전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로 파인 회전가이드부(220)를 구비하고,
상부케이스(110)의 내부 상부면에 상기 고정캠판(300)이 수평이동하도록 캠판에 맞게 수평으로 파인 수평가이드(113)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캠판(300)은 하부면 일측에 상기 회전가이드부(220)를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된 반구형의 걸림돌기(310), 내부에 상기 회전축(111)을 끼워 고정캠판(300)의 이동영역제한 및 이탈방지 하도록 파인 가동공간(32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보빈부(200)의 회전운동이 조작에 따라 고정캠판(300)의 수평운동으로 변환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을 변화하는 캠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을 유무를 조작시에 적은 저항을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적은 저항은 부품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판(300)은 탄성이 있는 탄성판으로 구비하고, 상기 수평가이드(113)는 상기 고정캠판(300)이 위로 휠 수 있도록 경로를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파인 굽힘공간(113a)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고정캠판(3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품간의 밀착력을 높이며 고정캠판(300)의 걸림돌기(310)가 상기 회전가이드부(220)의 이동시에 정해진 노선으로 정확하게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표시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표시구는 상부케이스(110) 상부면 고정포인트(224) 위치에 관통된 표시홀(610), 고정캠판(300)의 상부면 걸림돌기(310) 위치에 시각적으로 구별된 표시를 보이는 표시공(62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고정캠판(300)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수 있어서 이를 통해 줄감개의 자동감김이 잠김여부를 명확히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구조에 따른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기 회전가이드부(220)는 원주를 따라 외부로 원형으로 파여진 외부가이드(221), 상기 외부가이드(221) 보다 원중심에 가깝게 원형으로 파여진 내부가이드(222), 상기 걸림돌기(310)가 외부가이드(221)에서 내부가이드(222)로 이동을 유도하도록 내부 및 외부가이드가 이어지게 파인 인가이드(223), 상기 걸림돌기(310)가 내부가이드(222)에서 외부가이드(221)로 이동을 유도하도록 내부 및 외부가이드가 이어지게 파인 아웃가이드(225)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가이드(221)는 방향성을 지니도록 돌출된 외부걸림턱(221a)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가이드(222)는 상기 외부걸림턱(221a)과 반대 방향성을 지니도록 돌출된 내부걸림턱(222a)을 구비하고, 상기 인가이드(223)는 외부가이드(221)와 연결쪽에 일정속도 이하로 회전시 상기 걸림돌기(310)가 인가이드(223)로 들어오도록 돌출된 고정유도면(223a), 내부가이드(222)와 연결쪽에 상기 걸림돌기(310)가 걸려 보빈부(20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안쪽으로 파인 고정포인트(224)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포인트(224)의 반대되게 보빈부(200)가 감기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 걸림돌기(310)가 내부가이드(222)로 들어오도록 돌출된 인유도면(224a)을 구비하고, 상기 아웃가이드(225)는 내부가이드(222)와 연결된 일측면에 걸림돌기(310)가 외부가이드(221)로 배출되도록 돌출된 아웃유도면(225a)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한 회전가이드부(220)에 상기 고정캠판(300)의 걸림돌기(310)가 올려지게 되고 보빈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걸림돌기(310)가 회전가이드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정확한 동작과정을 위해 단계적으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선의 감김과 풀림의 회전방향 도면에 따라 임의로 정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그 방향은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1번. 도선이 풀리는 경우에는 도선을 잡아 당기면 보빈부(2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걸림돌기(310)는 상기 외부가이드(221)에 위치하는 것이다.
2-1번. 도선을 일절길이 이상으로 풀고나서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선을 천천히 놓으면 코일스프링(500)에 의하여 보빈부(200)가 시계방향으로 천천히 회전하고, 이때 걸림돌기(310)가 상기 고정유도면(223a)을 타고 인가이드(223)를 따라 이동하게되고 최종적으로 걸림돌기(310)는 상기 고정포인트(224)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요 걸림돌기(310)가 고정포인트(224)에 위치하게 되면 보빈부(200)의 회전을 정지하고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2-2번. 만일 1번의 상황에서 도선 정지하지 않고 다시 전체적으로 감고자하는 경우 도선을 급격하게 놓으면 코일스프링(500)에 의하여 보빈부(200)가 시계방향으로 일정속도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š 속도로 인하여 걸림돌기(310)가 상기 고정유도면(223a)을 넘게 되어 계속적으로 보빈부(200)가 회전하게 되어 도선이 완전히 감기게 되는 것이다.
3번. 2-1번 상황에서 고정된 보빈부(200)를 다시금 회전시켜 도선을 감고자 하는 경우 다시 도선을 천천히 잡아당기고 천천히 놓게 되면, 천천히 잡아당길 때 상기 걸림돌기(310)가 인유도면(224a)을 타고 내부가이드(222)로 들어가게 되고 그 후 천천히 놓게 되면 걸림돌기(310)가 아웃유도면(225a)을 따라 아웃가이드(225)를 타고 외부가이드(221)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외부 가이드로 이동 후 2-2번의 상황이 되어 도선이 완전히 감기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된 외부걸림턱(221a) 및 내부걸림턱(222a)은 보빈부(200)가 천천히 회전했을 때 걸림돌기(310)가 고정유도면(223a) 및 아웃유도면(225a)을 타고 인가이드(223) 및 아웃가이드(225)로 이동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하며 보빈부(200)가 회전시에 약간의 걸림턱이 됨으로서 급속한 속도를 조정하는 제동장치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10: 도선
100: 케이스부 110: 상부케이스 111: 회전축
112: 코일고정홈 113: 수평가이드 113a: 굽힘공간
120: 하부케이스 121: 보빈회전틀 122: 하부디스크고정틀
200: 보빈부 200a: 하부보빈바디 211: 도선통
212: 코일통 213: 상부디스크고정틀
200b: 상부보빈캡 220: 회전가이드부 221: 외부가이드
221a: 외부걸림턱 222: 내부가이드 222a: 내부걸림턱
223: 인가이드 223a: 고정유도면 224: 고정포인트
224a: 인유도면 225: 아웃가이드 225a: 아웃유도면
300: 고정캠판 310: 걸림돌기 320: 가동공간
400: 회전접지기판부 410: 하부접지디스크 420: 상부접지디스크
500: 코일스프링
(600: 고정표시구) 610: 표시홀 620: 표시공

Claims (3)

  1. 도선을 감는 줄감개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케이스로 분리되는 전후좌우 사측이 개방된 사각형의 케이스부(100),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부에 축회전으로 도선이 감기는 원통형의 보빈부(200), 상기 보빈부(200) 상부에 보빈부(200)의 회전을 고정하는 판형의 고정캠판(300), 상기 보빈부(200) 하부에 회전에도 도선을 상시 접지시키는 상부 및 하부접지디스크로 구성되는 회전접지기판부(400)로 구비하고,

    상기 상부케이스(110)는 내부 중심에 상기 보빈부(200)를 관통하여 회전축(111)이 되는 하부로 기둥형으로 돌출된 회전축(111), 내부 상부면에 상기 고정캠판(300)이 수평이동하도록 캠판에 맞게 수평으로 파인 수평가이드(113)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20)는 내부 하부면 중심에 상기 보빈부(200)의 하부가 끼워 들어가도록 원형으로 파인 보빈회전틀(121), 상기 보빈회전틀(121) 중심에 상기 회전접지기판부(400)가 끼워 들어가도록 원형으로 파인 하부디스크고정틀(122)을 구비하고,

    상기 보빈부(200)는 하부에 상부가 열린 원통형의 하부보빈바디(200a), 상부에 이를 덮는 원뚜껑형의 상부보빈캡(200b)으로 구비하고,

    상기 하부보빈바디(200a)는 하부에 도선이 감기는 원통형의 도선통(211), 상부에 코일스프링(500)이 들어가는 상부가 열린 원통형의 코일통(212), 도선통(211) 하부면에 상기 회전접지기판부(400)가 끼워 들어가도록 원형으로 파인 상부디스크고정틀(213)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보빈캡(200b)은 상부면에 상기 고정캠판(300)의 위치에 따라 보빈부(200)의 회전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로 파인 회전가이드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캠판(300)은 하부면 일측에 상기 회전가이드부(220)를 따라 이동하도록 돌출된 반구형의 걸림돌기(310), 내부에 상기 회전축(111)을 끼워 고정캠판(300)의 이동영역제한 및 이탈방지하도록 파인 가동공간(320)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스프링(500)은 중심 끝단은 회전축(111)의 코일고정홈(112)에 끼워져 고정되고, 다른 바깥 끝단은 상기 코일통(212)의 하부면에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회전접지기판부(400)는 상기 하부디스크고정틀(122)에 외부 도선과 연결되는 고정된 하부접지디스크(410), 상기 상부디스크고정틀(213)에 내부로 감기는 도선과 연결되는 보빈부(200)와 함께 회전하는 상부접지디스크(420)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줄감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220)는 원주를 따라 외부로 원형으로 파여진 외부가이드(221), 상기 외부가이드(221) 보다 원중심에 가깝게 원형으로 파여진 내부가이드(222), 상기 걸림돌기(310)가 외부가이드(221)에서 내부가이드(222)로 이동을 유도하도록 내부 및 외부가이드가 이어지게 파인 인가이드(223), 상기 걸림돌기(310)가 내부가이드(222)에서 외부가이드(221)로 이동을 유도하도록 내부 및 외부가이드가 이어지게 파인 아웃가이드(225)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가이드(221)는 방향성을 지니도록 돌출된 외부걸림턱(221a)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가이드(222)는 상기 외부걸림턱(221a)과 반대 방향성을 지니도록 돌출된 내부걸림턱(222a)을 구비하고,
    상기 인가이드(223)는 외부가이드(221)와 연결쪽에 일정속도 이하로 회전시 상기 걸림돌기(310)가 인가이드(223)로 들어오도록 돌출된 고정유도면(223a), 내부가이드(222)와 연결쪽에 상기 걸림돌기(310)가 걸려 보빈부(20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안쪽으로 파인 고정포인트(224)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포인트(224)의 반대되게 보빈부(200)가 감기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 걸림돌기(310)가 내부가이드(222)로 들어오도록 돌출된 인유도면(224a)을 구비하고,

    상기 아웃가이드(225)는 내부가이드(222)와 연결된 일측면에 걸림돌기(310)가 외부가이드(221)로 배출되도록 돌출된 아웃유도면(225a)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캠판(300)은 탄성이 있는 탄성판으로 구비하고, 상기 수평가이드(113)는 상기 고정캠판(300)이 위로 휠 수 있도록 경로를 따라 상부로 오목하게 파인 굽힘공간(113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줄감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판(300)은 걸림돌기(310)가 상기 회전가이드부(220)에 더욱 밀착하고 고정캠판(300)의 탄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중심선을 따라 하부로 휘어지게 형성하고,

    상기 상부케이스 및 고정캠판에 상기 보빈부(200)가 고정됨을 알려주는 고정표시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표시구는 상부케이스(110) 상부면 고정포인트(224) 위치에 관통된 표시홀(610), 고정캠판(300)의 상부면 걸림돌기(310) 위치에 시각적으로 구별된 표시를 보이는 표시공(6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줄감개.
KR1020170088784A 2017-07-13 2017-07-13 자동 줄감개 KR101850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784A KR101850747B1 (ko) 2017-07-13 2017-07-13 자동 줄감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784A KR101850747B1 (ko) 2017-07-13 2017-07-13 자동 줄감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494A KR20170113494A (ko) 2017-10-12
KR101850747B1 true KR101850747B1 (ko) 2018-05-30

Family

ID=6014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784A KR101850747B1 (ko) 2017-07-13 2017-07-13 자동 줄감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7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887Y1 (ko) 1999-12-07 2000-05-15 최은석 이어폰 권취장치
KR200207499Y1 (ko) 2000-07-10 2000-12-15 박상찬 이어폰줄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887Y1 (ko) 1999-12-07 2000-05-15 최은석 이어폰 권취장치
KR200207499Y1 (ko) 2000-07-10 2000-12-15 박상찬 이어폰줄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494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7186B2 (en) Motorized hose reel with anti-rotation interlock
US10087040B2 (en) Retractable cord storage reel assembly
US8720657B2 (en) Rewindable electrical cable extension device
US20070295850A1 (en) Automatically lockable cable rewinding structure
US20210066903A1 (en) Cable organizer
US20160013627A1 (en) Flat cable reeling device
KR101850747B1 (ko) 자동 줄감개
CN115666313A (zh) 线拉紧装置
US3695544A (en) Retractable cord reel assembly
KR101874288B1 (ko) 자동 케이블권취구
US8366033B2 (en) Cord winding device for window covering
KR101256082B1 (ko) 필름 권취용 보빈
KR20180090065A (ko) 끈 조임 장치
JP2011213488A (ja) 巻取カラー
US3502281A (en) Thread canister
US3937419A (en) Spool for fishline
US20060266864A1 (en) Universal cord winder
US816328A (en) Reel.
GB2079247A (en) Reels for Thread
US3483898A (en) Retractor
US5865394A (en) Self contained bobbin winder
KR102438646B1 (ko)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827443B1 (ko)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KR100948206B1 (ko) 권취장치
KR200411957Y1 (ko) 줄넘기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