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646B1 -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646B1
KR102438646B1 KR1020200175515A KR20200175515A KR102438646B1 KR 102438646 B1 KR102438646 B1 KR 102438646B1 KR 1020200175515 A KR1020200175515 A KR 1020200175515A KR 20200175515 A KR20200175515 A KR 20200175515A KR 102438646 B1 KR102438646 B1 KR 102438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ver
spool
wir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896A (ko
Inventor
이기욱
류재욱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5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6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44B1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4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actuated by pulling on or imparting an inclination to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6Means for restitution of accumulated energy, e.g. flywhee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권취되는 스풀; 탄성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스프링; 상기 스프링 일측을 고정하는 스프링결합단과,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제1잠금/해제부재를 갖는 스프링케이스; 사용자에 의해 상승, 하강, 회전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삽입되고, 내측 중앙단에 돌출단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단 하부 끝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고정하는 스프링결합단을 갖는 커버; 및 상기 스프링 케이스에 대한 스풀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제2잠금/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Automatic wire dialing device for high-speed wearing of clothing}
본 발명은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재 신발이나 의복에 사용되는 종래 다이얼는 고속 착용이 불가하여 착용시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존재한다.
도 1a는 종래 Reel based closure system(미국공개특허 2008/0060167 A)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는 신발 끝 시스템과 같은 의류분야에서 조합하여 사용되는 레이스 조임 시스템으로, 조임 매커니즘을 통해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레이스와 가이드 표면 마찰이 낮아서 레이스가 잘 미끄러지기 때문에 전체 레이스의 장력이 균일하며 우발적인 풀림을 방지해 줄 수 있는 구조를 기재하고 있다.
도 1b는 종래 wire winding box(미국 등록특허 US 6,439,491 B)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자동으로 케이블을 감을 수 있으며, 긴 통신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넓은 면적을 가진 권선박스로 길이가 긴 케이블을 편리하게 수납하기 위한 구조를 기재하고 있다.
도 1c는 종래 와이어 와인딩장치(한국 등록특허 10-0440377)로서 케이블을 특정 위치에서 정지시켜 케이블의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키와 이러한 키가 케이블 인출에 따라 회전되다가 어느 시점에 이르러서 케이블의 인출동작을 정지시키면 태엽스프링에 의해 역회전되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톱퍼가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의 일측면에는 케이블이 인출되는 동안 특정방향으로 회전되는 키를 안내하기 위한 제2트랙과, 이러한 제2트랙의 내주면에 인접해 있고 케이블이 회수되는 동안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키를 안내하기 위한 제1트랙이 각각 형성되며, 제2트랙상에 스톱퍼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d는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한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1-0013669)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래칫의 양측 케이스 내부에는 상시 래칫의 걸림 방향으로 탄력지지 되고 와이어의 당김력으로 그 걸림이 해제되는 두 탄성폴이 대칭 형성됨으로써 케이스의 양구를 통해 인출된 와이어의 양단 중에서 일측단에만 당김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인출이 불가능하고, 양단 모두에 동시 당김력이 작용한 경우에만 인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일측 당김력 작용에 의한 와이어 인출로 발생되는 고장의 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질적향상을 기할 수 있는 구조를 기재하고 있다.
도 1e는 종래 이어폰용 와이어 자동감김장치(한국 공개특허 10-2017-0090378)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f는 종래 와이어를 이용한 휴대폰용 자가발전장치(한국 실용신안 출원 번호 20-2005-0015763)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태엽스프링을 활용한 와이어 와인딩 장치들은 직접적으로 와이어를 당겨서 감겨 있는 와이어를 풀고 동시에 스프링을 감기 때문에 의복에 적용시 의복의 고정을 해제하는데 와이어를 당겨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고 의복을 착용한 신체의 팽창, 수축 시 라쳇에 의해 와이어가 풀릴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장치 자체가 당겨와 의복 적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90378 미국 등록특허 US 6,439,49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4037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50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속 착용 다이얼을 활용해 혼자 의복 착용이 어려운 상황이나 급하게 의복을 착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빠르게 와이어를 감음으로써 고속 착용이 가능한,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얼의 커버가 당겨진 상태에서 커버를 돌려 태엽스프링에 에너지를 저장한 후 커버를 눌러서 에너지를 방출시켜 와이어를 고속으로 감을 수 있고, 이후 커버를 당기면 스풀의 고정이 풀리면서 자유 회전 상태가 되어 와이어를 당겨서 풀 수 있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다이얼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권취되는 스풀; 탄성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스프링; 상기 스프링 일측을 고정하는 스프링결합단과,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제1잠금/해제부재를 갖는 스프링케이스; 사용자에 의해 상승, 하강, 회전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삽입되고, 내측 중앙단에 돌출단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단 하부 끝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고정하는 스프링결합단을 갖는 커버; 및 상기 스프링 케이스에 대한 스풀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제2잠금/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은 권취된 형태의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태엽스프링의 외측 끝단측은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스프링결합단에 고정되고, 상기 태엽스프링의 내경은 상기 커버의 스프링결합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잠금/해제부재는, 스프링케이스의 외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기어와, 상기 하우징 상측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의 돌출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제2기어와 항시 결합되어 저장된 탄성에너지가 커버로 소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라쳇파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상향 이동시, 상기 제1기어가 상기 제2기어와 맞물려,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고, 상기 커버의 하향 이동시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잠금/해제부재는,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하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풀연결단과, 상기 스풀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케이스연결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하향 이동시, 상기 스풀연결단과 상기 케이스연결단이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케이스 회전시 상기 스풀이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커버의 상향 이동시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저장모드시, 상기 커버를 상향 이동시켜, 상기 제1기어가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스풀연결단과 상기 케이스연결단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특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태엽스프링의 외측 끝단측이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스프링결합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스프링결합단에 고정된 상기 태엽스프링의 내경이 회전되어 상기 태엽스프링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방출모드시, 상기 커버를 하향 이동시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가 해제되고, 상기 스풀연결단과 상기 케이스연결단이 연결되어, 저장된 상기 탄성에너지가 방출되어 상기 스프링케이스와 상기 스풀이 연동되어 상기 특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와이어가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타이트 모드시, 상기 커버가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상기 특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케이스와 연동된 상기 스풀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풀림모드시, 상기 커버가 상향 이동되어, 스프링케이스와 상기 스풀이 분리되어 스풀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른 다이얼장치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커버를 상향 이동시켜, 제1기어가 제2기어와 맞물리고, 스풀연결단과 케이스연결단의 연결이 해제되는 제1단계; 상기 커버를 특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태엽스프링의 외측 끝단측이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스프링결합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스프링결합단에 고정된 상기 태엽스프링의 내경이 회전되어 상기 태엽스프링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되는 제2단계; 에너지 방출모드시, 상기 커버를 하향 이동시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스풀연결단과 상기 케이스연결단이 연결되는 제3단계; 및 저장된 상기 탄성에너지가 방출되어 상기 스프링케이스와 상기 스풀이 연동되어 특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와이어가 당겨지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작동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단계 후에, 와이어 타이트 모드 진행시, 상기 커버가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상기 특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케이스와 연동된 상기 스풀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타이트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타이트 모드 후, 와이어 풀림모드 진행시, 상기 커버를 상향 이동시켜, 스프링케이스와 상기 스풀을 분리시켜 스풀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따르면, 고속 착용 다이얼을 활용해 혼자 의복 착용이 어려운 상황이나 급하게 의복을 착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빠르게 와이어를 감음으로써 고속 착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따르면, 다이얼의 커버가 당겨진 상태에서 커버를 돌려 태엽스프링에 에너지를 저장한 후 커버를 눌러서 에너지를 방출시켜 와이어를 고속으로 감을 수 있고, 이후 커버를 당기면 스풀의 고정이 풀리면서 자유 회전 상태가 되어 와이어를 당겨서 풀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종래 Reel based closure system(미국공개특허 2008/0060167 A)의 사시도,
도 1b는 종래 wire winding box(미국 등록특허 US 6,439,491 B)의 분해 사시도,
도 1c는 종래 와이어 와인딩장치(한국 등록특허 10-0440377)의 분해 사시도,
도 1d는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한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1-0013669)의 단면도,
도 1e는 종래 이어폰용 와이어 자동감김장치(한국 공개특허 10-2017-0090378)의 분해 사시도,
도 1f는 종래 와이어를 이용한 휴대폰용 자가발전장치(한국 실용신안 출원 번호 20-2005-0015763)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작동방법의 흐름도,
도 6a는 커버 당김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6b 내지 도 6e는 에너지 저장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에너지 방출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와이어 타이트 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와이어 풀림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가 장착된 의복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100)는 전체적으로 하우징(10), 스풀(20), 태엽스프링(30), 스프링케이스(40), 커버(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우징(10)은 중공관 형태로 구성되며, 와이어 관통홀(13)과, 하부면 중앙에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스풀(20)이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스풀(20)이 연결되는 스풀 연결단(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풀(20)은 하우징(10) 내에 스풀 연결단(11)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귄취부(21)를 구비한다.
태엽스프링(30)은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에너지 저장모드시, 탄성에너지를 저장하며, 에너지 방출모드시 탄성에너지를 방출하여 고속으로 스풀(20)을 회전시켜 와이어(2)를 당기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태엽스프링(30)은 판스프링이 귄취된 형태를 가지며, 외측 끝단부(31)는 스프링케이스(40)의 스프링결합단(44)에 의해 결합되고, 태엽스프링(30)의 내측끝단부인 내경면(32)은 커버(50)에 구비된 스프링결합단(52)에 고정되어 진다. 따라서 스풀(20)의 회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커버(50)를 회전시키면 태엽스프링(30)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스프링케이스(40)는 관통홀(41)과, 태엽스프링(30)의 외측 끝단부(31)를 고정하는 스프링결합단(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50)는 사용자에 의해 상승, 하강, 회전 가능하며, 하우징(10) 외측으로 삽입되고, 내측 중앙단에 형성된 돌출단(51)이 스프링케이스(40)의 관통홀(4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돌출단(51) 하부 끝단에는 태엽스프링(30)의 내경면(32)을 고정하는 스프링결합단(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태엽스프링(30)의 외측 끝단부(31)는 스프링케이스(40)의 스프링결합단(44)에 고정되고, 태엽스프링(30)의 내경면(32)은 커버(50)의 스프링결합단(52)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버(50)의 상향이동, 하향이동에 따라 하우징(10)에 대한 스프링케이스(40)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제1잠금/해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버(50)의 상향이동, 하향이동에 따라 스프링 케이스(40)에 대한 스풀(20)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제2잠금/해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잠금/해제부재는, 스프링케이스(40)의 외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기어(42)와, 하우징(1) 상측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기어(1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50)의 상향 이동시, 제1기어(42)가 제2기어(12)와 맞물려, 하우징(10)에 대한 스프링케이스(40)의 회전이 구속되게 된다. 반면, 커버(50)의 하향 이동시 이러한 구속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의 돌출단(51) 중단 외면으로 서로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라쳇파울(Rachet pawl)(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라펫파울(53)의 외측 끝단부 각각은 하우징(10)의 제2기어(12)와 항시 결합되어 태엽스프링(30)에 의해 저장된 탄성에너지가 커버(50)로 소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잠금/해제부재는, 스프링케이스(40)의 하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풀연결단(43)과, 스풀(20)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케이스연결단(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50)의 하향 이동시, 스풀연결단(43)과 상기 케이스연결단(22)이 접촉, 연결되어 스프링케이스(40) 회전시 스풀(20)이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반면, 커버(50)의 상향 이동시 연결이 해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100)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작동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에너지 저장모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커버(50)를 상향 이동시키게 되면 커버(50)와 함께 태엽스프링(30)과 스프링케이스(40)가 상향이동되게 된다(S1). 즉, 태엽스프링(30)의 내경면(32)은 커버(50)의 스프링결합단(52)에 고정되어 있고, 태엽스프링(30)의 외측 끝단부(31)는 스프링케이스(40)의 스프링결합단(44)에 고정되어 있어, 커버(50) 상향이동시, 커버(50)와 함께, 태엽스프링(30), 스프링케이스(40)가 함께 상향이동되게 된다.
도 6a는 커버 당김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b 내지 도 6e는 에너지 저장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스프링케이스(40)가 상향 이동되면, 스풀연결단(43)과 케이스연결단(22)의 연결이 해제된다. 즉, 스풀(20)과 스프링케이스(40)의 연동 회동구속이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케이스(40)의 제1기어(42)가 하우징(10)의 제2기어(12)와 맞물리게 되어, 스프링케이스(40)의 회전이 구속되게 된다(S2).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50)를 특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태엽스프링(30)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되게 되나(S4).
즉, 태엽스프링(30)의 외측 끝단부(31)는 스프링케이스(40)의 스프링결합단(44)에 고정되고, 태엽스프링(30)의 내경면(32)은 커버(50)의 스프링결합단(5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커버(50)를 회전하게 되면, 외측 끝단부(31)는 고정된 상태에서 태엽스프링(30)의 내경이 회전되어 태엽스프링(30)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에너지 방출모드시, 커버(50)를 하향 이동시키면, 태엽스프링(30)와 스프링 케이스(40)이 하향이동되게 된다(S5). 도 7은 에너지 방출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스프링케이스(40)가 하향이동되면, 스프링케이스(40)의 제1기어(42)와 하우징(10)의 제2기어(12)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게 된다. 반면, 스풀연결단(43)과 케이스연결단(22)이 연결되게 된다(S6).
따라서 저장된 탄성에너지가 방출되어 스프링케이스(40)와 스풀(20)이 연동되어 특정방향으로 자동 고속 회전되어 와이어(2)가 당겨지게(귄취되게) 된다(S7).
그리고 에너지 방출모드 후에, 와이어 타이트 모드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커버(50)가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커버(50)를 특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태엽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케이스(40)와 연동된 스풀(20)을 회전시켜, 와이어(2)를 더욱 타이트하게 당길 수 있다(S8).
그리고 와이어 타이트 모드 후, 와이어 풀림모드 진행시, 커버(50)를 상향 이동시켜, 스프링케이스(40)와 상기 스풀(20)을 분리시켜 스풀(20)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와이어(2)를 당겨서 쉽게 풀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와이어 풀림모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의복
2:와이어
10:하우징
11:스풀연결단
12:제2기어
13:와이어관통홀
20:스풀
21:와이어권취부
22:케이스연결단
30:태엽스프링
31:외측끝단부
32:내경면
40:스프링케이스
41:관통홀
42:제1기어
43:스풀연결단
44:스프링케잇 스프링결합단
50:커버
51:돌출단
52:커버 스프링결합단
53:라쳇파울
100: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Claims (14)

  1. 다이얼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권취되는 스풀; 탄성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스프링; 상기 스프링 일측을 고정하는 스프링결합단과,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제1잠금/해제부재를 갖는 스프링케이스; 사용자에 의해 상승, 하강, 회전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삽입되고, 내측 중앙단에 돌출단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단 하부 끝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고정하는 스프링결합단을 갖는 커버; 및 상기 스프링 케이스에 대한 스풀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제2잠금/해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권취된 형태의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태엽스프링의 외측 끝단측은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스프링결합단에 고정되고, 상기 태엽스프링의 내경은 상기 커버의 스프링결합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1잠금/해제부재는,
    스프링케이스의 외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기어와, 상기 하우징 상측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돌출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제2기어와 항시 결합되어 저장된 탄성에너지가 커버로 소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라쳇파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향 이동시, 상기 제1기어가 상기 제2기어와 맞물려,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고, 상기 커버의 하향 이동시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해제부재는,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하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풀연결단과, 상기 스풀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케이스연결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향 이동시, 상기 스풀연결단과 상기 케이스연결단이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케이스 회전시 상기 스풀이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커버의 상향 이동시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에너지저장모드시,
    상기 커버를 상향 이동시켜, 상기 제1기어가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스풀연결단과 상기 케이스연결단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특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태엽스프링의 외측 끝단측이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스프링결합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스프링결합단에 고정된 상기 태엽스프링의 내경이 회전되어 상기 태엽스프링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에너지 방출모드시,
    상기 커버를 하향 이동시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가 해제되고, 상기 스풀연결단과 상기 케이스연결단이 연결되어, 저장된 상기 탄성에너지가 방출되어 상기 스프링케이스와 상기 스풀이 연동되어 상기 특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와이어가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와이어 타이트 모드시,
    상기 커버가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상기 특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케이스와 연동된 상기 스풀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와이어 풀림모드시,
    상기 커버가 상향 이동되어, 스프링케이스와 상기 스풀이 분리되어 스풀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12. 제 1항, 및 제 5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이얼장치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커버를 상향 이동시켜, 제1기어가 제2기어와 맞물리고, 스풀연결단과 케이스연결단의 연결이 해제되는 제1단계;
    상기 커버를 특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태엽스프링의 외측 끝단측이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스프링결합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스프링결합단에 고정된 상기 태엽스프링의 내경이 회전되어 상기 태엽스프링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되는 제2단계;
    에너지 방출모드시, 상기 커버를 하향 이동시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스풀연결단과 상기 케이스연결단이 연결되는 제3단계; 및
    저장된 상기 탄성에너지가 방출되어 상기 스프링케이스와 상기 스풀이 연동되어 특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와이어가 당겨지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작동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후에, 와이어 타이트 모드 진행시, 상기 커버가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상기 특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케이스와 연동된 상기 스풀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타이트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작동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타이트 모드 후, 와이어 풀림모드 진행시, 상기 커버를 상향 이동시켜, 스프링케이스와 상기 스풀을 분리시켜 스풀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의 작동방법.






KR1020200175515A 2020-12-15 2020-12-15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2438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515A KR102438646B1 (ko) 2020-12-15 2020-12-15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515A KR102438646B1 (ko) 2020-12-15 2020-12-15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896A KR20220085896A (ko) 2022-06-23
KR102438646B1 true KR102438646B1 (ko) 2022-09-01

Family

ID=8222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515A KR102438646B1 (ko) 2020-12-15 2020-12-15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6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627B1 (ko) * 2005-06-27 2006-07-13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기
KR101607690B1 (ko) * 2015-06-05 2016-03-30 구연욱 와이어 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9491B1 (en) 2000-12-18 2002-08-27 Sheng Hsin Liao Wire winding box
KR100440377B1 (ko) 2002-05-28 2004-07-14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와이어 와인딩장치
KR101065008B1 (ko) 2009-03-17 2011-09-19 강석영 플라이 리일용 스풀
KR101765680B1 (ko) 2016-01-18 2017-08-08 주식회사 비에스이 이어폰용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627B1 (ko) * 2005-06-27 2006-07-13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기
KR101607690B1 (ko) * 2015-06-05 2016-03-30 구연욱 와이어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896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816B2 (en) Retractable leash
US9198407B2 (en) Fishing reel having reliability in opening side cover
US9567186B2 (en) Motorized hose reel with anti-rotation interlock
CN106687402B (zh) 用于将电缆卷起的装置
US2510939A (en) Ruler construction
KR102438646B1 (ko) 의복 고속착용을 위한 와이어 자동 다이얼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180090065A (ko) 끈 조임 장치
JP6147383B2 (ja) 隠蔽型ラインストッパー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
JP3685796B2 (ja) 糸巻
US20080223972A1 (en) Independently drawing and tensioning lines with bi-directional rotary device having two spools
US20160138546A1 (en) Recoil starter
KR101827443B1 (ko) 하이브리드형 코드감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US7571874B2 (en) Wire winding device with spring loaded retractable wire reel
CN110902503A (zh) 一种具有收放线功能的电力柜体
KR200411957Y1 (ko) 줄넘기 손잡이
JP4793738B2 (ja) コード巻き取り器
JP2008197530A (ja) 光ファイバ巻き取り装置
JP2015084696A (ja) リール内部の巻き取り機構
KR200381677Y1 (ko) 기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있는 롤형 기기
KR101850747B1 (ko) 자동 줄감개
US20060035684A1 (en) Two-way au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B2475069A (en) Reel automatic lock and rewind mechanism
KR200355142Y1 (ko) 스테레오 이어폰 수납 케이스
KR200420542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KR200420804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