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082B1 - 로즈당화액, 그 제조방법 및 응용제품 - Google Patents

로즈당화액, 그 제조방법 및 응용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082B1
KR101850082B1 KR1020160075231A KR20160075231A KR101850082B1 KR 101850082 B1 KR101850082 B1 KR 101850082B1 KR 1020160075231 A KR1020160075231 A KR 1020160075231A KR 20160075231 A KR20160075231 A KR 20160075231A KR 101850082 B1 KR101850082 B1 KR 101850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se
saccharified
petals
saccharification
immobilized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034A (ko
Inventor
배현종
조은진
이수정
송희자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082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8Hydrolysis, degree of hydroly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화액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미꽃잎을 고정화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로즈 당화액, 그 제조방법 및 응용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즈당화액, 그 제조방법 및 응용제품 {Rose hydrolyzat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lication products}
본 발명은 당화액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미꽃잎을 고정화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로즈 당화액, 그 제조방법 및 응용제품에 관한 것이다.
장미꽃은 아름다운 모양과 감미로운 향으로 인해 그 자체가 보는 대상으로 많이 이용되지만 보는 것 외에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고대 시대 때의 기록을 보면 장미향수, 장미크림, 장미시럽, 장미식초, 장미 목욕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장미꽃잎은 맛이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비타민, 유기산, 탄닌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여 강장효과, 혈압조절 효과 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장미꽃에는 폴리페놀, 카로티노이드,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리활성으로는 다양한 항산화, 항암 및 항염증 활성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장미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은 꽃잎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장미가 단순히 화전 및 화채의 재료로 극히 일부에만 식용으로 사용되었을 뿐, 소비자가 편하게 섭취할 수 있고 대중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식품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우수한 생리활성을 포함하고 있는 장미를 기능성 식품 개발에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한편, 최근 몇 년 사이 화장품은 바르는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는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먹는 화장품의 시장의 성장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먹는 화장품을 바르는 화장품의 보완재 혹은 피부 미용에 더 효과적인 제품으로 인식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어서이다. 먹는 화장품의 국내 시장 규모는 현재 약 3,000억이 넘는 규모이며 전체 건강 기능식품 시장 중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15%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국내 다이어트 시장이 매년 10% 이상 성장함에 따라 기능성 식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이어트의 적인 당분은 칼로리 함량이 높고 과다섭취시 비만은 물론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설탕에 대한 논란이 커지면서 설탕을 대체할 다양한 당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설탕을 대체할 건강한 당 제품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기능성 당 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장미꽃잎을 직접적으로 가수 분해시킨 로즈 당화액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기능성 물질과 설탕을 혼합하여 제조한 기능성 설탕들과 달리 기존의 설탕을 혼합하지 않고 장미꽃잎 자체에서 당을 생산하므로 감미성분으로 단당류만을 포함하며 또한 장미꽃잎에 함유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께 포함된 고기능성 로즈당화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조성의 효소를 고정화시켜 형성된 고정화효소를 이용하여 장미꽃잎을 직접 당화시키는 로즈당화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즈당화액으로부터 제조된 기능성감미료 및 로즈당화액을 포함하는 식품 등 로즈당화액의 응용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미꽃잎을 당화시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즈당화액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즈당화액은 당류, 페놀화합물, 무기물 및 리그닌을 포함하는데, 상기 당류 중 감미를 갖는 당류는 단당류만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당류는 글루코오스(Glucose), 프룩토오스(Fructose), 갈락토오스(Galactose), 아라비노오스(Arabinose) 및 자일로오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미꽃잎에 함유된 페놀화합물의 총함량보다 상기 로즈당화액에 포함된 페놀화합물의 총함량이 20% 이상 많다.
또한, 본 발명은 장미꽃잎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장미꽃잎을 당화하는 당화단계; 및 상기 당화물을 감압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는 로즈당화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장미꽃잎을 세척하고 동결 건조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당화단계는 상기 장미꽃잎을 당화조에 넣고 고정화효소를 이용하여 40 내지 50도에서 효소 당화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화효소는 셀룰라아제(cellulase) 및 펙티나아제(pectinase)를 9-13:5-9의 중량비로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룰라아제는 엔도-글루카나제(endo-glucanase) 및 엑소-글루카나제(exo-glucanase)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펙티나아제는 람노갈락트로나제(rhamnogalacturonase) 및 폴리갈락트로나제(polygalacturonase)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화효소는 알긴산 용액에 효소를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용액을 비드화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과단계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잠재적인 고형물 및 유해성분을 제거하여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로즈당화액으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감미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로즈당화액을 포함하는 기능성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로즈당화액에 의하면 기존의 기능성 물질과 설탕을 혼합하여 제조한 기능성 설탕들과 달리 기존의 설탕을 혼합하지 않고 장미꽃잎 자체에서 당을 생산하므로 감미성분으로 단당류만을 포함하며 또한 장미꽃잎에 함유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께 포함된 고기능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로즈당화액 제조방법에 의하면 특정조성의 효소를 고정화시켜 형성된 고정화효소를 이용하여 장미꽃잎을 직접 당화시키게 되므로 장미꽃잎에 포함된 기능성성분을 훼손함 없이 그대로 또는 더 향상된 상태로 함유된 로즈당화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즈당화액 응용제품에 의하면 로즈당화액으로부터 제조된 기능성감미료 및 로즈당화액을 포함하는 식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즈당화액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조방법의 각 공정 중 효소가수분해 즉 당화단계에서 셀룰라아제(cellulase)와 펙티나아제(pectinase)의 함량에 따른 환원당 생성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조방법의 각 공정 중 효소가수분해 즉 당화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기존의 설탕을 혼합하지 않고 고정화효소를 이용하여 장미꽃잎 자체를 당화시켜 당을 생산하므로 감미성분으로 단당류만을 포함하는 동시에 장미꽃잎에 함유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훼손함 없이 그대로 포함되거나 효소가수분해공정을 거치면서 보다 향상된 상태로 포함된 기능성 로즈당화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기능성설탕은 기능성성분을 추출한 후 설탕과 혼합하거나, 설탕과 천연물을 섞어서 발효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감미성분이 주로 이당류인 수크로오스이고, 더 나아가 천연물에 포함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추출과정이나 고형물제거과정에서 훼손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로즈당화액은 장미꽃잎을 당화시켜 얻어진 것으로, 당류, 페놀화합물, 무기물 및 리그닌을 포함하는데, 상기 당류 중 감미를 갖는 당류는 단당류만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단당류는 글루코오스(Glucose), 프룩토오스(Fructose), 갈락토오스(Galactose), 아라비노오스(Arabinose), 및 자일로오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데, 주로 글루코오스(Glucose)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로즈당화액에 포함되는 단당류 함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프룩토오스(Fructose), 갈락토오스(Galactose), 아라비노오스(Arabinose), 및 자일로오스 순으로 포함되는 함량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로즈당화액은 감미성분으로 이당류가 아닌 단당류만을 포함하므로, 섭취 시 소화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인체에 흡수되며 흡수가 빨라 피로한 몸에 에너지를 빠른 시간에 공급해주고 단백질이 잘 동화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따라서 근육 형성을 위하여 근력 운동을 할 때에는 운동전 섭취하면 훨씬 효율적으로 단백질이 몸에 작용하여 근육 생성에 도움이 된다. 또한 아침에 섭취하면 밤새 떨어진 혈당을 빠르게 올려주므로 몸에 활력을 빠르게 찾아줄 수 있다.
특히, 장미꽃잎에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예들 들면 항산화활성 등을 나타내는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페놀화합물의 총함량은 효소가수분해를 통해 그 함량이 증가하여 장미꽃잎에 함유된 페놀화합물의 총함량보다 로즈당화액에 포함된 페놀화합물의 총함량이 20% 이상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로즈당화액 제조방법은 장미꽃잎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장미꽃잎을 당화하는 당화단계; 및 상기 당화물을 감압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한다.
준비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미꽃잎을 세척하고 동결 건조하여 수행된다.
또한, 당화단계는 장미꽃잎을 당화조에 넣고 고정화효소를 이용하여 40 내지 50도에서 효소 당화하여 수행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화완료시간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얻어지는 환원당의 양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36시간 이내, 필요한 경우 24시간 이내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장미꽃잎을 당화시키기 위한 고정화효소가 중요한데, 고정화효소는 셀룰라아제(cellulase) 및 펙티나아제(pectinase)를 9-13:5-9의 중량비로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셀룰라아제는 엔도-글루카나제(endo-glucanase) 및 엑소-글루카나제(exo-glucanase)로 구성되는데, 엔도-글루카나제(endo-glucanase) 및 엑소-글루카나제(exo-glucanase)가 1-3:8-10의 중량비로 함유될 수 있다. 펙티나아제는 람노갈락트로나제(rhamnogalacturonase) 및 폴리갈락트로나제(polygalacturonase)로 구성되는데, 람노갈락트로나제(rhamnogalacturonase) 및 폴리갈락트로나제(polygalacturonase)가 2-4:3-5의 의 중량비로 함유될 수 있다.
고정화효소는 알긴산 용액에 상술된 특정조성으로 효소를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용액을 비드화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비드를 형성하기위한 일 구현예로서 CaCl2 용액에 혼합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떨어뜨리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여과단계는 당화단계가 수행되어 얻어진 당화액을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감압여과하여 수행되고, 이 과정에서 잠재적인 고형물 및 장미꽃잎에 포함되었을 수도 있는 잠재적인 유해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장미꽃의 생장 중에 토양 또는 대기를 통해 흡수된 중금속 등 각종 유해성분을 보다 정밀하게 제거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중금속 이온의 제거방법으로는 화학적 침전법, 활성탄 등에 의한 흡착, 용매 추출, 막을 이용한 한외 여과 또는 이온 교환수지를 통한 이온 교환법 공정 등이 있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로즈당화액은 장미 꽃잎에 포함된 각종 생리활성물질은 물론 감미성분으로 단당류만을 포함하고 장미 특유의 향기를 포함하게 되므로, 기호성 및 기능성이 우수하므로, 기능성감미료 및 음료 등 각종 기능성식품을 포함하여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하여 로즈당화액을 형성하였는데, 그 구체적인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준비단계
먼저, 장미꽃잎을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동결 건조하여 준비하였다.
2. 당화단계
① 고정화효소 형성
고정화효소에 함유될 효소인 endo-glucanase, exo-glucanase, rhamnogalacturonase, polygalacturonase를 2 : 9 : 3 : 4의 중량비로 알길산(sodium alginate) 2.0% 용액에 혼합하여 효소혼합액을 준비한 다음, 효소혼합액을 100mM의 CaCl2 용액에 주사기를 사용하여 떨어뜨리면서 bead를 형성하여 고정화효소를 형성하였다.
② 고정화효소를 이용한 장미꽃잎 당화
건조된 로즈꽃잎 중량 100.0g 당 고정화효소 (총 20.0g 효소 고정, 중량비; endo-glucanase:exo-glucanase:rhamnogalacturonase:polygalacturonase=2:9:3:4)를 첨가하여 45도에서 24 시간 동안 가수분해하였다.
3. 여과단계
가수분해 후 얻어진 당화물을 마이크로 필터로 감압 여과하여 로즈당화액 37.2g을 얻었다.
실험예 1. 장미 꽃잎 화학 성분 분석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장미 꽃잎의 화학 성분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Composition Content(%, d.w)
Ash 4.05±0.38
Organic solvent extractives 18.85±2.1
Holocellulose 32.98±2.3
Monosaccharide
Rhamnose
Arabinose
Xylose
Mannose
Galactose
Glucose
19.71±0.42
0.50±0.26
1.35±0.01
1.59±0.07
1.17±0.05
2.77±0.02
12.33±0.03
Acid soluble lignin 10.69±0.46
Acid insoluble lignin 13.73±0.9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수화물인 홀로셀룰로오스와 단당류 함량은 각각 32.98%, 19.71%로 전체 장미 꽃잎 무게의 약 52.69%를 차지하였다. 이는 로즈 당화액 생산을 위한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 외에 리그닌 (24.42%; 산 가용성 리그닌과 산 불용성 리그닌 함량), 유기 추출물 (18.85%), 회분(4.05%)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19.71%를 차지하고 있는 단당류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 중 glucose가 12.33%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실험예 2
실시예1에서 얻어진 로즈당화액에 포함된 단당류 함유량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Content(%) 로즈 당화액
Glucose 17.52 ±0.24
Xylose -
Galactose 3.15 ±0.10
Fructose 12.03 ±0.40
Arabinose 0.93 ±0.02
Total 33.62
표 2로부터, 로즈당화액에 함유된 총 함유된 단당류의 양은 33.62 중량%로서 그 중에 glucose와 fructose가 각각 17.52중량%와 12.03중량%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 외 galactose, arabinose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페놀화합물의 총함량 측정
장미 꽃잎에 포함된 페놀화합물의 총함량과 실시예1에서 얻어진 로즈 당화액에 포함된 페놀화합물의 총함량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당화 전의 장미 꽃잎은 물(보통 페놀화합물 함량 측정시 50% 에탄올 추출과 열수 추출을 이용하는데 저희는 로즈당화액과 비교하기 위해 물로 추출했습니다.)로 추출하여 함량을 측정하였다. 장미꽃잎추출물 및 로즈 당화액 125 μL에 0.5 mL distilled water와 Folin-Ciocalteu reagent를 125 μL 첨가 후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다. 여기에 1.25 mL의 7% Na2CO3 용액을 첨가하여 total volume을 3 mL로 맞춘다. 실온에서 90분 동안 반응시킨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서로 비교하였으며, gallic acid (Sigma-Aldrich)를 표준물질로 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대입하여 건조 시료 1 g에서 용출되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gallic acid 기준으로 구하였다.
Content(%) 장미 꽃잎 로즈당화액
Total phenols(mg GAE/g) 63.2 77.3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장미꽃잎의 경우 페놀화합물의 총함량이 63.2 mg/g이였는데 로즈 당화액의 페놀화합물의 총함량은 77.3 mg/g으로 나타나 장미꽃잎의 효소가수분해과정에서 페놀화합물의 총함량이 10%이상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홍차, 녹차 등에 함유된 총 페놀함량이 10.1, 9.5mg/g라고 보고한 것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로즈당화액에 포함된 페놀화합물 함량이 7배 이상 더 높아서 그 기능성 또한 우수할 것이 당연히 예측된다.
실험예 4
장미 꽃잎과 로즈당화액의 총 항산화활성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장미꽃잎추출물 및 로즈 당화액 각각의 시료 2 mL에 DPPH 시약 2 mL을 넣고 상온에서 20분 동안 빛을 차단하고 반응시킨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시약은 빛을 차단한 상은 하기 식을 이용해 EC50 (effective concentration) 값으로 산출하였다.
EC50:
Figure 112016058078469-pat00001
Content(%) 장미 꽃잎 로즈 당화액
DPHH activity 항산화 (IC50 μg/ml) 61.36 97.51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즈당화액에서 97.51 μg/ml로 장미꽃잎추출물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즈 당화액은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효율적으로 로즈 당화액을 생산하기 위해서 당화단계에 사용되는 고정화효소에 포함되는 cellulase와 pectinase의 최적량으로 투입될 필요가 있다. 효소의 최적 투입량을 측정하기 위해 cellulase와 pectinase 양을 변경하면서 장미꽃잎 당화를 위해 투입되기 적합한 최적 조건을 확립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효소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 생산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셀룰라아제(cellulase) 및 펙티나아제(pectinase)의 함량이 9-13:5-9 사이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효율적으로 로즈 당화액을 생산하기 위해서 당화시간을 단축하면서도 당화가 많이 일어나는 처리시간을 결정해야한다. 이를 위해 다른 조건은 동일하고 당화시간만을 변수로 사용하여 환원당의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으로부터 고정화효소를 이용하여 장미꽃잎의 가수분해를 수행한 결과 거의 24시간 이내에 당화가 끝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당화시간은 짧게는 12시간 내지 24시간 범위, 약간 길어지는 경우에는 24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1에서 얻어진 로즈당화액 16L를 진공동결건조기(-20℃~-40℃까지 예비동결한 후 진공을 통해 건조)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분말화된 1Kg의 기능성감미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1에서 얻어진 로즈 당화액 10.0 중량%, 정제수 90.0 중량%을 소정 비율로 배합하여 기능성 장미음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로즈 당화액의 당도는 10-15 brix이다.
실험예 7
실시예 2와 3에서 얻어진 기능성감미료 및 기능성 장미음료에 대해 기호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기호도
구분
향기
기능성 감미료 4.3 3.7 4.2
기능성 장미음료 4.1 4.0 3.9
로즈 당화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감미료와 기능성 장미 음료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20대 남, 여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기능성 감미료와 기능성 장미 음료의 색상, 향, 맛에 대하여 5점 평점법으로 평가하여 가장 좋다 5, 가장 나쁘다 1로 점수를 표시하였다. 표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로즈 당화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감미료와 기능성 장미 음료는 향과 맛에 대한 기호도에서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장미꽃잎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장미꽃잎을 당화하는 당화단계; 및
    상기 당화물을 감압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당화단계는 상기 장미꽃잎을 당화조에 넣고 고정화효소를 이용하여 40 내지 50도(℃)에서 효소 가수분해하여 수행되고,
    상기 고정화효소는 알긴산 용액에 효소를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용액을 비드화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즈당화액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장미꽃잎을 세척하고 동결 건조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즈당화액 제조방법.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화효소는 셀룰라아제(cellulase) 및 펙티나아제(pectinase)를 9-13:5-9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즈당화액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라아제는 엔도-글루카나제(endo-glucanase) 및 엑소-글루카나제(exo-glucanas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즈당화액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펙티나아제는 람노갈락트로나제(rhamnogalacturonase) 및 폴리갈락트로나제(polygalacturonas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즈당화액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단계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잠재적인 고형물 및 유해성분을 제거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즈당화액 제조방법.
  13. 제 5 항, 제 6 항,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로즈당화액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로즈당화액으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감미료.
  14. 제 5 항, 제 6 항,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로즈당화액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로즈당화액을 포함하는 기능성식품.
KR1020160075231A 2016-06-16 2016-06-16 로즈당화액, 그 제조방법 및 응용제품 KR101850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31A KR101850082B1 (ko) 2016-06-16 2016-06-16 로즈당화액, 그 제조방법 및 응용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31A KR101850082B1 (ko) 2016-06-16 2016-06-16 로즈당화액, 그 제조방법 및 응용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34A KR20170142034A (ko) 2017-12-27
KR101850082B1 true KR101850082B1 (ko) 2018-05-31

Family

ID=6093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231A KR101850082B1 (ko) 2016-06-16 2016-06-16 로즈당화액, 그 제조방법 및 응용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0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905B1 (ko) 2010-12-13 2011-06-22 예정수 감피로부터 추출한 천연당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101536941B1 (ko) * 2014-10-02 2015-07-17 박형석 효소 복합물을 이용한 식물 효소분해물의 제조방법
JP5852783B2 (ja) 2011-02-25 2016-02-03 小川香料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の呈味改善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905B1 (ko) 2010-12-13 2011-06-22 예정수 감피로부터 추출한 천연당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JP5852783B2 (ja) 2011-02-25 2016-02-03 小川香料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の呈味改善剤
KR101536941B1 (ko) * 2014-10-02 2015-07-17 박형석 효소 복합물을 이용한 식물 효소분해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34A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2543B1 (en) Alpha-amylase activity inhibitors
KR100941160B1 (ko) 식혜의 제조방법
CN1093544C (zh) 水苏低聚糖及其生产方法
CN109315574A (zh) 一种桑叶苦瓜压片糖果
CN105950327A (zh) 一种碱性保健啤酒的配方及制备方法
KR102199599B1 (ko) 약용 식물 추출물이 첨가되어 항산화력이 증가된 쌀 발효 음료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008336B1 (ko) 요리조청 및 그 제조방법
CN111587974B (zh) 一种饮料
KR102150162B1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가 증진된 활성산양삼 추출액을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용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0082B1 (ko) 로즈당화액, 그 제조방법 및 응용제품
KR101459060B1 (ko) 감귤박을 이용한 제과류 원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원료를 이용한 제과류의 제조 방법
KR100337740B1 (ko) 섬오갈피 건강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71149A (ko) 인삼 젤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26207A (ko) 알긴산의 함량이 증진된 갈조류 효소 분해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00437B1 (ko) 차엿 제조방법
KR101413492B1 (ko) 홍삼전분과 유산균을 이용한 막걸리 및 제조방법
CN108741046A (zh) 一种酸角水晶啤酒糕及其制备方法
KR101994458B1 (ko) 율피 조청 제조방법
KR102428525B1 (ko) 은행잎추출물, 홍삼농축액 및 해안소나무껍질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KR102428520B1 (ko) 홍삼농축액, 당귀추출물, 클로렐라 및 소엽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101528467B1 (ko) 설탕 및 꿀을 첨가한 더덕 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더덕 차
KR101413261B1 (ko) 홍삼전분을 이용한 막걸리 및 제조방법
KR20160060460A (ko) 대잎 조청의 제조 방법
KR20230112583A (ko) 브로콜리 및 효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