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015B1 -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 - Google Patents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015B1
KR101849015B1 KR1020160141914A KR20160141914A KR101849015B1 KR 101849015 B1 KR101849015 B1 KR 101849015B1 KR 1020160141914 A KR1020160141914 A KR 1020160141914A KR 20160141914 A KR20160141914 A KR 20160141914A KR 101849015 B1 KR101849015 B1 KR 101849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salt
fermented
weigh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선
Original Assignee
이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선 filed Critical 이태선
Priority to KR102016014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효된 발아현미에 천일염과 물을 혼합한 후, 제1, 2차발효단계를 거쳐 건조시켜 소금을 수득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가진 현미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 식자의 건강을 증대할 수 있는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SALT USING UMPOLISHED RICE}
본 발명은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효된 발아현미에 천일염과 물을 혼합한 후, 제1, 2차발효단계를 거쳐 건조시켜 소금을 수득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가진 현미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 식자의 건강을 증대할 수 있는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에 관한 것이다.
소금의 역사는 원시시대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며, 원시시대에는 바닷물을 증발시켜서 채취하거나 해조를 태워서 얻었으며, 사막의 오아시스에는 염분을 함유한 물이 솟아 나와 소금을 얻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또한, 소금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무기질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식염이라고도 하며, 음식에 짠맛을 부여하는 조미료로 사용되며, 식품의 보존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소금은 인체에서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산염기 평형에 관여하며, 인간의 신경이나 근육의 흥분성을 유지하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소금은 위액의 구성성분인 염산을 만드는 중요성분이다.
이처럼, 소금이 인체 내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나 소금 섭취량이 많아지면 인체 대사에 문제를 야기시키며, 특히 우리나라는 김치, 장류, 찌개 등과 같은 염분 고섭취 식습관으로 소금 섭취량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조미료로 여러 음식에 소금이 사용되고 있어 소금에 기능성 음식을 혼합하여 소금의 맛을 향상시키면서도 저염기능까지 구비시켜 양질의 소금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 또한 기존의 사용되는 소금의 단점이 보완하고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면서 맛도 좋은 소금을 제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1941호 (2015.01.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효된 발아현미에 분말 천일염과 물을 혼합한 후, 제1, 2차발효단계를 거쳐 건조시켜 소금을 수득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가진 현미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 식자의 건강을 증대할 수 있으며, 국내 벼 소비를 촉진시켜 농가 소득의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효된 현미 300중량부와, 3년 이상 저장시켜 간수 및 쓴맛이 제거되고, 불순물 및 이물질을 제거된 분말 천일염 80 ~ 120중량부를 혼합하고, 혼합된 천일염이 녹을 수 있도록 5 ~ 15분간 교반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물 300 ~ 330중량부를 혼합하고, 30 ~ 35℃의 온도로 유지되는 발효기에 넣어 28 ~ 32일간 발효하는 1차발효단계; 상기 1차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25 ~ 28℃의 온도로 120 ~ 150일간 발효하는 2차발효단계; 상기 2차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40 ~ 5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2 ~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효된 발아현미에 분말 천일염과 물을 혼합한 후, 제1, 2차발효단계를 거쳐 건조시켜 소금을 제조하기 때문에, 현미의 유효성분을 포함되어 발효된 현미의 유용한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 식자의 건강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현미의 소비를 촉진시켜 농가 소득의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효된 발아현미와 더불어 몸에 유익한 천연약초를 포함하여 2차발효단계가 수행되기 때문에, 발효과정에서 천연약초에 포함된 약용성분에 대한 추출이 극대화되어 약용성분이 우수하고 천연약초 특유의 향미를 제공하여 고품질의 소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단계(S100) - 1차발효단계(S200) - 2차발효단계(S300) - 건조단계(S400)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이루어진다.
혼합단계(S100)는 본 발명인 소금의 주재료가 되는 소금과 현미를 혼합시키는 단계로써, 발효된 현미 300중량부와 분말 천일염 80 ~ 120중량부를 혼합한 후 혼합된 천일염이 녹을 수 있도록 5 ~ 15분간 교반해주는 단계이다.
상기, 분말 천일염은 3년 이상 저장시켜 간수 및 쓴맛이 제거되고, 불순물 및 이물질을 제거된 것이 바람직하며, 분말 천일염은 발효된 현미와 혼합되는 과정을 고려하여 20메쉬(mesh) 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이라면 사용상의 어려움이 없다.
여기서, 천일염이란 바닷물 또는 해수를 저류지 또는 염전으로 유입시킨 후, 바람과 햇빛 등의 자연력을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바닷물을 농축시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소금을 의미하며, 칼슘, 마그네슘, 아연, 칼륨, 철 등의 많은 미네랄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며, 미네랄 소금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현미는 수확한 벼를 건조, 탈곡한 후 고무 롤러로 된 기계로 왕겨를 벗긴 쌀을 말하는 것으로 그 구조는 바깥쪽부터 과피(果皮)·종피(種皮)·호분층(糊粉層) 등의 쌀겨층과 쌀알의 기부(基部)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배(胚)와, 나머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배젖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현미는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페놀산(phenolic acid) 및 a,-토코페롤(a,-tocopherol), a,-트리에놀(a,-tocotrienol)의 함량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미강의 a,-트리에놀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동물실험을 통한 항암효과에서도 효능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현미에 함유된 비타민 B군의 영향으로 성장촉진작용 및 간기능 강화, 노화방지, 동맥경화방지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발효된 현미 300중량부와 분말 천일염 80 ~ 12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은, 혼합단계(S100)에서 분말 천일염의 함량이 너무 낮으면 소금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기 어렵고, 분말 천일염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발효된 현미에 소금이 충분히 녹지 아니하여, 제품의 상태가 저하되면서도 현미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혼합단계(S100)에서는 발효된 현미와 분말 천일염 의 혼합비율은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1차발효단계(S200)는 상기 혼합단계(S100)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물 300 ~ 330중량부를 혼합하고, 30 ~ 35℃의 온도로 유지되는 발효기에 넣어 28 ~ 32일간 발효하는 단계로써, 상기 1차발효단계(S200)에서 발효된 현미가 분말 천일염에 충분히 함침되어 발효된 현미와 분말 천일염의 안정적인 혼합을 도모하기 위한 단계이며, 이와 더불어 1차발효단계(S200)를 통해 현미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한다.
2차발효단계(S300)는 상기 1차발효단계(S200)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25 ~ 28℃의 온도로 상온이나 별도의 발효기를 이용하여 120 ~ 150일간 발효하는 단계이다.
상기 2차발효단계(S300)는 비교적 장기간 동안 수행되어 장시간 동안 수행되어 현미의 구수한 맛과 발효과정에서 발생되는 단맛을 극대화되어 소금의 맛을 좋게 하고, 현미에 포함된 약용 성분에 대한 추출이 극대화되면서도 인체에 빨리 흡수되어 빠르고 효율적인 약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건조단계(S400)는 상기 2차발효단계(S300)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40 ~ 5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2 ~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단계(S400)를 거친 건조물은 별도의 분쇄과정을 거쳐 소금으로 제조되는 것이며, 이러한 단계를 거친 소금은 발효된 현미의 유효성분을 포함되어 발효된 현미의 유용한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 식자의 건강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현미의 소비를 촉진시켜 농가 소득의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효된 현미는 상기 혼합단계(S100)에서 사용되는 발효된 현미는, 다음의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우선, 색이 선명하고 잘 건조된 현미의 잡티제거 및 미탈피한 벼를 골라낸 후 세척한 후 현미와 물을 1 : 3의 중량비율에서 24시간 동안 충분히 불리는 단계 및 24시간 동안 현미를 불린 물을 버리고 현미에 다시 물을 부은 후 15시간 침전 후 건져서 가볍게 씻어 물기를 제거하여 현미의 불순물 제거 및 깨끗하게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기를 제거된 현미를 용기에 담아 고르게 편 후, 수분증발을 막기 위하여 젖은 삼베나 면 보자기로 덮은 상태에서 25℃ ~ 30℃의 온도에서 20 ~ 28시간 동안 발아하되, 최초 발아시점에서 6 ~ 7시간 지난 후 수분보충을 위하여 물을 공급하여 1 ~ 1.5mm로 발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아된 현미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물을 넣은 찜기에 김이 오르기 시작하면 발아된 현미를 찜기에 넣어 30 ~ 50분 동안 찐 후 10분 뜸을 들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찐 현미를 35 ~ 40℃의 온도에서 식힌 후 발효기에 넣고 35 ~ 40℃의 온도에서 35 ~ 38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즉, 혼합단계(S100)에서 사용되는 발효된 현미는 발아과정을 통하여 현미에 비해 비타민·아미노산·효소·SOD(superoxide dismutase) 등 몸에 유용한 성분들이 더욱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현미를 발아시키는 것은 현미의 발아과정에서 물성적 변화를 일으켜 연화(軟化)되는 동시에 발효과정중 아미노산이나 비타민,자율신경계와 고혈압에 유용성이 입증된 감마오리자놀 성분 및 면역력 증진효과가 있는 아리비녹시 성분이 활성화되어 소금의 영양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현미 발아과정에서 가바(GABA)성분을 3배이상 증대시켜 주며, 이러한 가바(GABA)는 단백질에서는 발견이 되지 않는 비단백질성 아미노산으로 소화촉진 및 혈액순환 기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신진대사 작용을 도와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현미의 발효과정에서 현미 특유의 쓴맛을 잡아주고 단맛을 나게 하여 소금의 맛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2차발효단계(S300)에서 1차발효단계(S200)에서 발효된 발효물 92 ~ 98 중량%와 천연약초 2 ~ 8중량%를 혼합하여 발효가 이루어지며, 상기 천연약초는 다래, 엉겅퀴, 가시오가피, 쑥, 냉이, 구지뽕잎, 씀바퀴, 솔잎, 뽕잎, 취나물, 인동초, 헛개나무, 겨우살이, 산사나무, 괴화, 구기자, 비단초, 토사자, 토복령, 금은화, 도라지, 갈대뿌리, 쇠비름, 맥문동, 하수오, 삽주, 머위, 잔대, 더덕, 미나리, 와송, 부처손, 하고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3종 이상인 것으로 하며, 식자의 취향과 체질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천연약초들의 효능은 한방분야의 문헌이나 전문가들에 의해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발효된 현미와 더불어 몸에 유익한 천연약초를 포함하여 2차발효단계(S300)가 수행되어 발효과정에서 천연약초에 포함된 약용성분에 대한 추출이 극대화되는 소금을 제조하게 됨으로써 약용성분이 우수하고 천연약초 특유의 향미를 제공하여 고품질의 소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천연약초의 향과 맛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2차발효단계(S300)에서 혼합되는 천연약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과실 및 채소로 이루어지는 부재료 50 ~ 100중량부를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부재료는 자몽, 유자, 딸기, 청포도, 포도, 블루베리, 복분자, 석류, 자색고구마, 배, 사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3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또한 식자의 취향과 체질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차발효단계(S300)는 1차발효단계(S200)에서 발효된 발효물 92 ~ 98 중량%와 양념재료 2 ~ 8중량%를 혼합하여 발효가 이루어지며, 상기 양념재료는 생강, 마늘, 고추, 강황, 곽향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이다.
즉, 소금에 양념재료가 혼합된 상태에서 발효가 장시간 이루어져 별다른 양념없이 소금만으로 양념 특유의 향미가 어우러져 음식의 맛을 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발효된 발아현미 300중량부와, 분말 천일염 80 ~ 120중량부를 혼합하고, 혼합된 천일염이 녹을 수 있도록 5 ~ 15분간 교반한다.
상기 교반된 혼합물에 물 300 ~ 330중량부를 혼합하고, 30 ~ 35℃의 온도로 유지되는 발효기에 넣어 28 ~ 32일간 1차발효한다.
상기 1차발효된 발효물을 25 ~ 28℃의 온도로 120 ~ 150일간 2차발효한다.
상기 2차발효된 발효물을 40 ~ 5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2 ~ 24시간 동안 건조한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소금의 형태로 분쇄가공하여 소금을 수득한다.
상기의 실시예 방법으로 만들어진 소금과 일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소금, 맛소금, 천일염(비교예)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관능검사요원 100인에 대해 5점 척도 기호도 검사(5: 매우 좋다, 4: 좋다,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구분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소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4.5

3.6

4.3

3.9

짠맛

3

4.5

3.9

4.5

쓴맛

2.8

4.3

3.8

4.0

종합적인 기호도

4.8

3.7

3.8

3.8
S100 : 혼합단계 S200 : 1차발효단계
S300 : 2차발효단계 S400 : 건조단계

Claims (6)

  1. 발효된 현미 300중량부와, 3년 이상 저장시켜 간수 및 쓴맛이 제거되고, 불순물 및 이물질을 제거된 분말 천일염 80 ~ 120중량부를 혼합하고, 혼합된 천일염이 녹을 수 있도록 5 ~ 15분간 교반하는 혼합단계(S100);
    상기 혼합단계(S100)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물 300 ~ 330중량부를 혼합하고, 30 ~ 35℃의 온도로 유지되는 발효기에 넣어 28 ~ 32일간 발효하는 1차발효단계(S200);
    상기 1차발효단계(S200)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25 ~ 28℃의 온도로 120 ~ 150일간 발효하는 2차발효단계(S300);
    상기 2차발효단계(S300)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40 ~ 5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2 ~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S400);가 포함되고,
    상기 혼합단계(S100)에서 사용되는 발효된 현미는,
    색이 선명하고 잘 건조된 현미의 잡티제거 및 미탈피한 벼를 골라낸 후 세척한 후 현미와 물을 1 : 3의 중량비율에서 24시간 충분히 불리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불린 물을 버리고 현미에 다시 물을 부은 후 15시간 침전 후 건져서 가볍게 씻어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물기를 제거된 현미를 용기에 담아 고르게 편 후, 젖은 삼베나 면 보자기로 덮은 상태에서 25℃ ~ 30℃의 온도에서 20 ~ 28시간 동안 발아하되, 최초 발아시점에서 6 ~ 7시간 지난 후 수분보충을 위하여 물을 공급하여 1 ~ 1.5mm로 발아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아된 현미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물을 넣은 찜기에 김이 오르기 시작하면 발아된 현미를 찜기에 넣어 30 ~ 50분 동안 찐 후 10분 뜸을 들이는 단계와,
    상기 찐 현미를 35 ~ 40℃의 온도에서 식힌 후 발효기에 넣고 35 ~ 40℃의 온도에서 35 ~ 38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발효단계(S300)는 1차발효단계(S200)에서 발효된 발효물 92 ~ 98 중량%와 천연약초 2 ~ 8중량%를 혼합하여 발효가 이루어지며,
    상기 천연약초는 다래, 엉겅퀴, 가시오가피, 쑥, 냉이, 구지뽕잎, 씀바퀴, 솔잎, 뽕잎, 취나물, 인동초, 헛개나무, 겨우살이, 산사나무, 괴화, 구기자, 비단초, 토사자, 토복령, 금은화, 도라지, 갈대뿌리, 쇠비름, 맥문동, 하수오, 삽주, 머위, 잔대, 더덕, 미나리, 와송, 부처손, 하고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3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차발효단계(S300)에서 혼합되는 천연약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과실 및 채소로 이루어지는 부재료 50 ~ 100중량부를 혼합하며,
    상기 부재료는 자몽, 유자, 딸기, 청포도, 포도, 블루베리, 복분자, 석류, 자색고구마, 배, 사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3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발효단계(S300)는 1차발효단계(S200)에서 발효된 발효물 92 ~ 98 중량%와 양념재료 2 ~ 8중량%를 혼합하여 발효가 이루어지며,
    상기 양념재료는 생강, 마늘, 고추, 강황, 곽향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소금.
KR1020160141914A 2016-10-28 2016-10-28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 KR101849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914A KR101849015B1 (ko) 2016-10-28 2016-10-28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914A KR101849015B1 (ko) 2016-10-28 2016-10-28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015B1 true KR101849015B1 (ko) 2018-04-16

Family

ID=6208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914A KR101849015B1 (ko) 2016-10-28 2016-10-28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413A (ko) 2022-01-06 2023-07-13 배서원 명이나물을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명이소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6825A (ja) * 2004-12-17 2006-06-29 Soichi Yamaguchi 加工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6825A (ja) * 2004-12-17 2006-06-29 Soichi Yamaguchi 加工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에쎈 11월호 시오 코우지에 대해서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oj388/220524911695) (2015.10.3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413A (ko) 2022-01-06 2023-07-13 배서원 명이나물을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명이소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996B1 (ko) 영양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53379B1 (ko) 즉석 건조 매생이해장국의 제조방법
KR20170035449A (ko) 발아메밀가루가 첨가된 발아커피가루의 제조방법
CN105901490A (zh) 一种发芽营养米和发芽营养米粉的制备方法
KR101342517B1 (ko)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KR101849015B1 (ko) 현미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소금
KR101952904B1 (ko) 보리소금을 이용한 보리성분 함유 굴비 및 그 제조방법
KR100784895B1 (ko) 콩나물을 이용한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063973B1 (ko) 떡의 제조방법
KR101922941B1 (ko) 해조 쌈피 및 그 제조방법
KR101327810B1 (ko)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KR101265290B1 (ko) 발아곡물과 발효된 약초잎 그리고 된장을 이용한 편의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101673400B1 (ko) 노근 추출물이 포함된 갈대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갈대김치
KR101211075B1 (ko) 고압 열수추출 함초 분말을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KR102022677B1 (ko) 천연 저염소스의 제조 방법
CN106616317A (zh) 一种桂香莲藕面条及其制备方法
KR20130058230A (ko) 함초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함초차
KR102061721B1 (ko) 황국균으로 발효한 현미-해조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56746B1 (ko) 대두박 및 함초를 이용한 메주의 제조방법 및 그 메주를 이용한 재래식 간장의 제조방법
KR100736834B1 (ko) 함초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CN111264595A (zh) 一种发芽苦荞巧克力夹心曲奇及其制作方法
KR102603696B1 (ko) 단백질 함유 음료 조성물
KR101374798B1 (ko) 함초를 이용한 함초된장 제조방법
KR102181795B1 (ko) 발효 원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발효 원두
KR102500985B1 (ko)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시락용 즉석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