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648B1 - 발광 에어 헬멧 - Google Patents

발광 에어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648B1
KR101848648B1 KR1020160135311A KR20160135311A KR101848648B1 KR 101848648 B1 KR101848648 B1 KR 101848648B1 KR 1020160135311 A KR1020160135311 A KR 1020160135311A KR 20160135311 A KR20160135311 A KR 20160135311A KR 101848648 B1 KR101848648 B1 KR 101848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air
conversion value
axis conversion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훈
Original Assignee
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훈 filed Critical 박재훈
Priority to KR102016013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86Airba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02Rotary gyrosc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07Headwear
    • B29L2031/4814Hats
    • B29L2031/4821Helmet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충격이나 날카로운 물건으로부터 두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해줄 수 있고 간단한 동작만으로 다른 운전자에게 의사전달 가능하며, 나아가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발광 에어 헬멧(10)에 관한 것으로, 상부 외피(110)와 하부 외피(120)로 이루어진 헬멧 하우징(100); 상기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 저장부를 형성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를 이어주며 1구간 이상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루프사(200); 및 상기 상부 외피의 측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마련된 발광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 에어 헬멧{LUMINESCENT AIR HELMET}
본 발명은 발광 에어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성을 높이고 사용 시 헬멧에 공기를 충전해 사용 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발광 에어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이륜차를 비롯한 익스트림 스포츠 산업은 갈수록 성장 추세에 있으나, 국내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안전 인식이 낮아 그에 따른 사고대비책이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이륜차를 비롯한 익스트림 스포츠에 대한 안전장비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 공급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 안전모라 불리우는 헬멧은 사고 시 가장 부상 정도가 심한 머리를 보호해주는 중요 안전장비에 해당한다. 이러한 헬멧은 이륜차를 운전할 때 사고 예방이나 사고 악화에 대비하여 의무적으로 착용하도록 강제되고 있다.
기존의 헬멧은 부피가 크고 무거워 불편하다는 이유로 착용은 물론 휴대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이륜차 운전자가 후방 운전자에게 한 손을 이용해 수신호로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경우, 이때 한 손으로 핸들을 잡아야 해 미숙련자에 사고 위험성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광 에어 헬멧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공보 제10-1,590,581호(공고일자: 2016.01.26)는, 헬멧으로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절첩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접이식 헬멧에 관한 것으로, 재질 상의 한계로 인해 무게 및 디자인에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90,581호(공고일자: 2016.01.2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 충격이나 날카로운 물건으로부터 두부를 안정적으로 보호해줄 수 있고 간단한 동작만으로 다른 운전자에게 의사전달 가능하며, 나아가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발광 에어 헬멧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은,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로 이루어진 헬멧; 상기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 저장부를 형성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를 이어주며 1구간 이상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루프사; 및 상기 상부 외피의 측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마련된 발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은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 사이에 공기를 충전하여 헬멧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공기 배출 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 사이에 격벽을 구비함으로써 공기 충전량을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일정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외피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에 구비된 발광체를 이용하여 다른 운전자에 알림 신호를 보낼 수 있어, 이륜체 운전 중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이로센서와 발광체 리셋부를 구비함으로써, 수신호 대신 다른 운전자에 신호 알리는 발광체 동작 범위를 각각의 운전자에 맞게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 내부 루프사와 격벽을 보여주는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하우징의 소재를 보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에서 발광체와 자이로센서, 전원부, 메모리부, 발광체 리셋부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밸브가 구비된 발광 에어 헬멧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의 제1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의 제2 동작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의 공기를 배출해 보관 시 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10)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10) 내부 루프사와 격벽을 보여주는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 하우징(100)의 소재를 보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10)에서 발광체(300)와 자이로센서(400), 전원부(500), 메모리부(600), 발광체 리셋부(700)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밸브(800)가 구비된 발광 에어 헬멧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의 공기를 배출해 보관 시 상태도이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발광 에어 헬멧(10)은, 헬멧 하우징(100)과 루프사(200), 발광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자이로센서(400)와 전원부(500), 메모리부(600), 발광체 리셋부(700), 공기주입밸브(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8에 예시된 것과 같이 헬멧 하우징(100)은, 상부 외피(110)와 하부 외피(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외피(110)와 하부 외피(120)는,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을 탈거하여 폐기시킬 경우, 해당 에어백을 재가공하여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외피(110)와 하부 외피(120)는, 에어백 소재인 PA66(나일론)에 SI 코팅한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상부 외피(110)와 하부 외피(120)는, 복수의 셀들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셀들은 초음파 진동 융착 방식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외피(110)와 하부 외피(120)는, 폐차 후 폐기된 에어백을 업사이클링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날카로운 구조물로부터 두부를 보호시켜줄 수 있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격벽(130)은, 공기 주입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루프사(200)의 최대 신장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 외피(110)와 하부 외피(120)에 길이방향으로 연결 구비될 수 있다. 격벽(130)은, 공기 저장부(A)에 최대로 공기가 주입될 경우, 격벽(130)의 길이만큼 길이방향으로 루프사(200)를 최대로 신장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벽(130)은, 상부 외피(110)와 하부 외피(120)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공기 충전량을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일정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루프사(200)는, 상부 외피(110)와 하부 외피(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루프사(200)는, 공기 저장부(A)를 형성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 외피(110)와 하부 외피(120)를 이어주며 1구간 이상 일정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루프사(200)는, 헬멧 하우징(100) 내부에 공기가 최대로 충전 시 길이방향으로 최대로 신장되어 상부 외피(110)와 하부 외피(12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루프사(200)는, 2 이상의 스레드(210)가 서로 교차되며 꼬임을 형성할 수 있다. 루프사(200)는, 상부 외피(110)에 스레드(210) 일단이 서로 일체로 융착되고, 스레드(210)의 타단이 하부 외피(120)에 서로 일체로 융착될 수 있다.
루프사(200)는, 헬멧 하우징(100)에 공기가 충진되어 상부 외피(110)가 하부 외피(120)로부터 이격될 때 직진성을 가지는 특성상, 헬멧 하우징(100)의 공기저장부의 공기 저장 공간을 마련하면서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 루프사(200)는, 2 이상의 스레드(210)가 서로 길이방향으로 교차되어 꼬임을 형성함으로써 직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루프사(200)는, 수만 가닥의 폴리에스테르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루프사(200)는, 헬멧 하우징(100)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균일하게 구비되어 공기가 주입 시 헬멧 하우징(100)의 형태를 균일하게 잡아주어 압력을 분산시켜 사고 발생 시 외부 충격이 운전자에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발광체(300)는, 상부 외피(110)의 측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는데, 더욱 자세하게는 상부 외피(110) 외주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후면부에 각각 마련되어, 운전자의 수신호를 대체하여 후방 운전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기로 사용될 수 있다. 발광체(300)는, 운전자의 머리 회전기울기 변화에 따라 조작되어 발광됨으로써 후방 운전자에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발광체(300)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구김이나 휨에 강한 EL LE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체(300)는, 상부 외피(110)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에 구비됨으로써 다른 운전자에 알림 신호를 보낼 수 있어, 이륜체 운전 중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의 제1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에어 헬멧의 제2 동작 상태도이다.
도 6과 도 7에 예시된 대로 자이로센서(400)는, 헬멧 하우징(100)이 임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각운동을 감지하여 회전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400)는, 움직임 발생 시 전원 공급이 시작되어 회전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400)는, 운전자의 머리가 기준 변화값에 대응되도록 기울어질 때 각운동을 감지하여, 두부 기울기에 대응하는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의 전류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부(500)는, 자이로센서(400)로부터 출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에 대응하는 전류값에 따라 발광체(300)에 선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500)는, 발광체(300)에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을 하기 위해 자이로센서(400)의 각 운동값에 따라 변환된 전류값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부(600)는, 자이로센서(400)로부터 출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600)는, 발광체 리셋부(700)의 작동 시 종전 운전자의 설정정보를 지우고, 새로운 운전자의 동작신호에 따른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을 저장할 수 있다.
발광체 리셋부(700)는, 메모리부(600)에 저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을 다른 운전자에 맞게 리셋할 수 있다. 발광체 리셋부(700)는 발광체(300) 일 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발광체 리셋부(700)는, 발광체(300)와 같은 부위인 상부 외피(110) 외주부 좌측면부과 우측면부, 후면부에 각각 마련되거나, 각각에 위치한 발광체(300)와 연결되어 3개 버튼으로 이루어져 상부 외피(110)의 임의의 한 지점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것이 발광체 리셋부(700)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센서(400)와 발광체 리셋부(700)는, 수신호 대신 다른 운전자에 신호 알리는 발광체 동작 범위를 각각의 운전자에 맞게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공기주입밸브(800)는, 상부 외피(110)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부 외피(110)의 후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주입밸브(800)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빼내는 공기흡입구 역할을 할 수 있다. 공기주입밸브(800)는, 슈레더 방식의 주입구로써, 일반적인 자전거 타이어 공기 주입 시 사용하는 슈레더 방식의 주입구를 적용하여, 시중에 슈레더 방식의 공기주입 펌프를 이용해 공기 저장부(A)로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다. 슈레더 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던롭 방식, 프레스타 방식 등도 이에 사용될 수 있다.
공기주입밸브(800)는, 공기배기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배기밸브(미도시)는, 공기주입밸브(800)를 통한 공기의 과충전으로 인해 발광 에어 헬멧(10)의 손상에 대비하여 일정 공기압 이상일 경우 공기 저장부(A)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발광 에어 헬멧(10)의 상부 외피(110)의 좌측면에 위치한 발광체(500)의 세팅을 위한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운전자가 발광 에어 헬멧(10)을 착용한 뒤, 상부 외피(110)의 좌측면에 위치한 발광체(300)에 대응되는 발광체 리셋부(700)의 리셋버튼(미도시)을 임의 시간, 바람직하게는 5초간 누른다. 그에 따라 좌측면에 위치한 발광체(300)에 불이 들어오면, 운전자가 좌측 방향으로 임의 각도로 머리를 기울이는 동작을 행하여, 좌측면에 위치한 발광체(300)의 작동값을 설정한다. 그 뒤 발광체 리셋부(700)의 리셋버튼(미도시)을 눌러, 각각의 운전자에 맞게 발광체(300)를 세팅할 수 있다.
상부 외피(110)의 우측면부와 후면부에 위치한 각각의 발광체(300)의 세팅을 위한 작동원리도 좌측면에 위치한 발광체(300)에 준해서 그에 대한 원용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발광 에어 헬멧
100 : 헬멧 하우징 110 : 상부 외피
120 : 하부 외피 130 : 격벽
200 : 루프사 210 : 스레드
A : 공기 저장부
300 : 발광체
400 : 자이로센서
500 : 전원부
600 : 메모리부
700 : 발광체 리셋부
800 : 공기주입밸브

Claims (7)

  1. 헬멧 하우징;
    상기 헬멧 하우징의 외측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하부 외피;
    상기 하부 외피에 대해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공기를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외피;
    상기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를 저장하는 공간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를 이어주며 1구간 이상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루프사 및
    상기 상부 외피의 측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마련된 발광체를 포함하고,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는 공기 주입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상기 루프사의 최대 신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에 길이방향으로 연결 구비된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루프사는 상기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 내부의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균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기를 저장하는 공간의 형태를 균일하게 유지하며, 외력이 발생 시 상기 외력을 분산시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에어 헬멧.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사는,
    2 이상의 스레드가 서로 교차되며 꼬임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외피에 상기 스레드 일단이 서로 일체로 융착되고 상기 스레드의 타단이 상기 하부 외피에 서로 일체로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에어 헬멧.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하우징이 임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각운동을 감지하여 회전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출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에 대응하는 전류값에 따라 상기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에어 헬멧.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출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을 다른 운전자에 맞게 리셋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외피의 외주부에 마련된 발광체 리셋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에어 헬멧.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외피의 일 측에 구비된 공기주입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에어 헬멧.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는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을 탈거 후 폐기된 상기 에어백을 재가공하여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에어 헬멧.
KR1020160135311A 2016-10-18 2016-10-18 발광 에어 헬멧 KR101848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311A KR101848648B1 (ko) 2016-10-18 2016-10-18 발광 에어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311A KR101848648B1 (ko) 2016-10-18 2016-10-18 발광 에어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648B1 true KR101848648B1 (ko) 2018-04-16

Family

ID=6208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311A KR101848648B1 (ko) 2016-10-18 2016-10-18 발광 에어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378B1 (ko) * 2018-05-16 2019-11-15 (주)티피엘테크놀로지 생체센서와 자이로센서가 내장된 스마트 헬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377B2 (ja) * 1999-04-28 2000-12-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ピングリッドアレイ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及び端子
KR100973975B1 (ko) * 2009-10-27 2010-08-10 박혜민 에어 헬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377B2 (ja) * 1999-04-28 2000-12-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ピングリッドアレイ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及び端子
KR100973975B1 (ko) * 2009-10-27 2010-08-10 박혜민 에어 헬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378B1 (ko) * 2018-05-16 2019-11-15 (주)티피엘테크놀로지 생체센서와 자이로센서가 내장된 스마트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7260B1 (en) Body cover structure for straddle type vehicle
US6230333B1 (en) Life jacket with cushioning air-bag
US5259071A (en) Safety helmet and liner
EP1342653B1 (en) Air bag apparatus for a scooter type motorcycle
KR101848648B1 (ko) 발광 에어 헬멧
CN102009678B (zh) 工作机
KR101865805B1 (ko) 발광 에어헬멧
JP5860442B2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および自転車、ならびに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EP3237272B1 (en) Inflatable protection for a child seat
JP6029735B2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および自転車、ならびに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101470238B1 (ko)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헬멧
US4922642A (en) Long gun muzzle tether and protector
TW201945232A (zh) 跨坐型車輛之安全氣囊裝置
KR101054350B1 (ko) 이륜차 운전자 보호복
JP2011184015A (ja) 倒立車輪型移動体
KR102585289B1 (ko) 스마트 에어 헬멧
KR20160102651A (ko) 이륜차의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CN210809446U (zh) 一种建筑用安全帽
KR100894722B1 (ko) 오토바이 에이튜브형 상체 보호구
KR102619144B1 (ko) 이륜차 탑승자의 백팩형 에어백 장치
JP4700239B2 (ja) 車椅子用転倒衝撃吸収装置
ES2404171B2 (es) Sistema de protección mandibular para cascos de tipo abierto
KR101772773B1 (ko) 분리 가능 헬멧
KR102211276B1 (ko) 다단 충격 흡수 구조의 접이식 보호 캡
KR101256214B1 (ko) 신체 보호 기능을 가지는 안전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