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434B1 -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 - Google Patents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434B1
KR101848434B1 KR1020180019511A KR20180019511A KR101848434B1 KR 101848434 B1 KR101848434 B1 KR 101848434B1 KR 1020180019511 A KR1020180019511 A KR 1020180019511A KR 20180019511 A KR20180019511 A KR 20180019511A KR 101848434 B1 KR101848434 B1 KR 10184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weight
parts
extrac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길봉
Original Assignee
황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길봉 filed Critical 황길봉
Priority to KR1020180019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1/00Dyes of natural origin prepared from natural sources, e.g. vegetable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옻 추출액을 첨가하여 미려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으면서 항균성이 우수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은 황토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옻 추출액 60 내지 120중량부와, 다시마 추출액 40 내지 80중량부와, 송근 추출액 4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다.

Description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dye for natural dyeing composition having lacquer and antibiotics dyed clot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옻 추출액을 첨가하여 미려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으면서 항균성이 우수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에 관한 것이다.
인류 최초의 천연염료의 사용은 애굽시대의 미라에서 발견된 마직물을 염색한 염료인 인디고였고, 18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염색을 하였으나 이후에 염료가 최초로 합성돼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화학 염료의 발전은 거듭해 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천연 염료 염색은 가내 수공업으로 그 명목만 유지돼 오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생활수준이 높아가면서 일반적인 제품보다 건강기능, 개성적인 제품, 환경친화적인 제품 등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기능이 포함되어 있고 친환경적인 기능을 갖춘 천연염료 염색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는 추세이다.
천연염료는 동물성 및 식물성, 미생물에 의해 생화학적으로 생산되는 염료를 의미하며, 이들은 피복류,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의 착색제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천연염료 중 식물성염료는 한 종류의 염료만으로는 단색만이 염출되는 단색성 염료와 한 종류의 염료일지라도 각종의 금속염과의 결합으로 여러가지 다양한 색상이 염출되는 다색성 염료로 나눌 수 있다.
단색성 염료로는 치자, 울금 등과 같이 염료에서 가용성 색소 성분을 추출하여 그 염액에 섬유를 담가 염색하는 직접성 염료와, 람(藍)같이 불용성 색소를 알칼리로 환원시켜서 염색하고 공기중에서 산화 발색시켜 본래의 불용성색소로 돌아가서 견뢰도가 좋아지는 건염 염료, 황벽, 황연 등과 같이 다른 염료와 혼합하면 침전을 일으키는 염기성 염료가 있다.
그리고 다색성 염료에는 카사민과 자근, 심황 등이 있으며, 이들 염료의 염색에는 섬유에 금속염을 정착시켜 염료를 발색시키는 매염법과 섬유에 염료로 염색한 후 금속염으로 발색시키는 후처리법의 두 방법이 있다.
이처럼 천연염료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색상에 의해 심리적으로도 사람들을 매우 편안하게 하고 다양한 상품개발이 가능한 것이어서 염색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천연염료는 다양한 색상 발현과 견뢰도 향상 등에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능성에 대한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2360호에는 수용성 옻을 이용한 직물 염색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3997호에는 옻의 염색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천연 염료의 기능성을 높이고자 옻을 이용한 천연염료가 연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2360호: 수용성 옻을 이용한 직물 염색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3997호: 옻의 염색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항균성이 우수한 천연 염색조성물을 이용하여 의료용 의복, 벽지, 침구, 생리대 등의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항균성 옻 염색원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은 황토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옻 추출액 60 내지 120중량부와, 다시마 추출액 40 내지 80중량부와, 송근 추출액 4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되고, 상기 황토수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도 크기 20 내지 100nm로 분쇄한 황토분말 10 내지 40중량부를 교반하여 수득하고, 상기 옻 추출액은 물과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옻나무에 가해 80 내지 120℃에서 6 내지 20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하고, 상기 다시마 추출액은 물과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다시마에 가해 60 내지 100℃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하고, 상기 송근 추출액은 물과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소나무뿌리에 가해 80 내지 120℃에서 6 내지 20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다.
상기 황토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갯금불초 발효액 5 내지 15중량부가 더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항균성 옻 염색원단은 상기 천연 염색조성물에 천을 담가 염색시켜 항균활성을 갖는다.
상기 천은 의료용 옷감, 침구용 시트, 종이의 일면에 합지되는 벽지용 시트, 피부와 접촉하는 생리대용 시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옻 추출액을 첨가하여 미려한 천연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항균성이 우수한 천연 염색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천연 염색조성물로 염색된 원단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의료용 옷감, 침구용 시트, 생리대용 시트, 벽지용 시트 등에 항균활성을 부여하여 유해세균의 증식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 염색조성물로 염색된 원단의 항균실험결과를 나타낸 시험성적서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시험시료와 대조구의 공시균 배양 사진을 나타낸 모습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천연 염색 조성물은 황토수, 옻 추출액, 다시마 추출액, 송근 추출액을 함유한다. 가령, 황토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옻 추출액 60 내지 120중량부와, 다시마 추출액 40 내지 80중량부와, 송근 추출액 4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할 수 있다.
황토수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세한 황토분말 10 내지 30중량부를 첨가하여 골고루 교반하여 수득한다. 물로 깨끗한 지하수나 상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황토분말은 미세한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황토분말은 나노사이즈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일 예로 황토분말은 20 내지 100nm 입도크기로 분쇄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황토분말은 안료의 역할과 함께 매염제의 역할을 한다.
옻 추출액은 8~10년생인 옻나무로부터 추출한다. 산에서 자생하는 옻나무를 10월에서 다음해 3월 사이에 채취한다. 옻나무로 참옻나무 또는 개옻나무를 이용할 수 있다. 채취한 옻나무는 줄기와 가지를 잘게 절단한 후 추출할 수 있다.
옻 추출액은 폴리페놀(polyphenol) 유도체인 우루시올(urushiol)에 의해 발진, 가려움증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를 위해 알러지 유발물질인 우루시올이 제거되거나 우루시올의 독성이 제거된 옻 추출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루시올의 독성을 중화시키는 방법으로 옻나무를 고온에서 볶거나 밀폐된 가마에서 200℃ 이상의 고온으로 탄화하는 정제 과정을 거쳐 만든다.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나무를 이용하여 옻 추출액을 추출한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도 통상적인 우루시올을 중화시키는 방법 또는 제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옻 추출액은 추출용매를 옻나무에 가해 80 내지 120℃에서 6 내지 20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옻 추출액은 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옻 추출액은 염료에 항균성을 부여하여 염색된 원단의 기능성을 높인다.
다시마 추출액은 추출용매를 다시마에 가해 60 내지 100℃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 옻 추출액의 추출시 사용한 추출용매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마 추출액은 염색시 발색도와 견뢰도를 향상시킨다.
송근 추출액은 추출용매를 소나무뿌리에 가해 80 내지 120℃에서 6 내지 20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 옻 추출액의 추출시 사용한 추출용매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송근 추출액은 소나무뿌리로부터 추출된 것으로서, 염료의 역할과 함께 항균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 갯금불초 발효액을 더 함유할 수 있다. 가령, 천연 염색조성물은 황토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옻 추출액 60 내지 120중량부와, 다시마 추출액 40 내지 80중량부와, 송근 추출액 40 내지 60중량부, 갯금불초 발효액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할 수 있다.
갯금불초(Wedelia prostrata)는 바닷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갯금불초 발효액은 천연 염색조성물을 항산화 효과를 높여 탈색 및 변색 등을 방지한다.
갯금불초 발효액을 얻기 위해 갯금불초를 잘게 세절한 후 흑설탕과 혼합하여 발효용기에 담는다. 이때 혼합비율은 갯금불초 100중량부에 대하여 흑설탕 1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용기에 투입한다. 갯금불초와 흑설탕이 혼합된 혼합물에 발효균주를 접종하고 20 내지 30℃에서 2 내지 4개월 동안 보관하여 발효시킨다. 갯금불초와 흑설탕이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효균주 0.01 내지 0.05중량부를 접종한다. 발효균주로는 누룩, 효모 또는 유산균을 사용할 수 있다. 효모균으로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할 수 있다. 발효 후 발효물을 분쇄기에서 투입하여 곱게 갈아서 균질화시킨 다음 원심분리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갯금불초 발효액으로 이용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천연 염색조성물을 이용하여 천을 담가 염색시켜 항균성 옻 염색원단을 얻을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천연 염색조성물 3ℓ에 천 100 내지 200g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것이 적당하다. 염색시간은 20 내지 60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염색과정 중간에 천을 가볍게 주물러 색상이 천에 골고루 분산 착색되도록 한다.
천의 소재로 면, 견, 마, 모 등의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을 염색시켜 만든 염색원단은 미려한 천연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으면서 항균성이 우수하다.
염색되는 천은 의료용 옷감일 수 있다. 의료용 옷감으로 의사의 가운, 간호사의 간호복, 환자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염색되는 천은 침구용 시트일 수 있다. 침구용 시트로 이불의 커버, 침대 매트리스 커버, 베갯잇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염색되는 천은 생리대용 시트일 수 있다. 특히, 피부와 접촉되는 생리대의 내측 시트일 수 있다.
또한, 염색되는 천은 벽지용 시트일 수 있다. 이러한 시트는 벽지용 종이의 일면에 합지되어 벽지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료용 옷감, 침구용 시트, 생리대용 시트, 벽지용 시트 등에 항균성을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황토수는 지하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60nm 입도크기의 황토분말 20중량부를 첨가하여 골고루 교반하여 수득하였다. 그리고 옻 추출액은 1월에 채취한 8년생 옻나무를 팬에서 볶은 다음 중량비로 10배의 물을 가한 후 12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그리고 다시마 추출액은 말린 다시마에 중량비로 6배의 물을 가한 후 8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그리고 송근 추출액은 생 소나무뿌리에 중량비로 10배의 물을 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황토수 10kg에 대하여 옻 추출액 9kg, 다시마 추출액 6kg, 송근 추출액 5kg을 혼합하여 천연 염색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 염색조성물을 제조하되, 갯금불초 발효액 1kg을 더 혼합하였다.
갯금불초 발효액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잘게 세절한 갯금불초 100중량부에 대하여 흑설탕 2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발효용기에 투입한 다음,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효균주(건조 효모균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를 0.03중량부를 접종한 다음 25℃에서 3개월 동안 보관하여 발효시켰다. 그리고 분쇄기에서 투입하여 곱게 갈아서 균질화시킨 다음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을 얻었다.
<항산화활성 실험>
실시예 1 및 2의 천연 염색조성물을 시료로 하여 항산화 활성을 실험하였다. 시료를 여과지로 여과하여 고형물질을 제거한 후 50mL로 농축(Tokyo rkiakikai, N-1000, Japan)하고 증류수를 가해 1000ppm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시료 2mL에 0.2mM의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0.5mL를 놓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라디칼소거능은 시료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라디칼소거능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라디칼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라디칼소거능(%)
실시예1 52.7±0.3
실시예2 35.1±0.5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 모두 항산화 활성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시예 1보다 실시예 2가 라디칼소거능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항산화 기능면에서는 실시예 1보다 실시예 2가 더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항균활성 실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천연 염색조성물의 항균성을 평가하기 위해 항균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2의 천연 염색조성물에 면소재의 천을 40분 동안 침지하여 염색하였고, 염색과정 중간에 천을 가볍게 주물러 색상이 천에 골고루 분산 착색되도록 하였다. 염색된 천을 통풍이 잘 통하는 야외에서 말린 다음 시험시료로 이용하였다. 그리고 대조구로 염색되지 않은 면소재의 천을 이용하였다.
항균실험은 한국섬유기술연구소(KOTITI)의 시험연구원에 2017년 09월 12일에 시험의뢰하였다. 항균 시험방법은 KS KO693:2016이고, 공시균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과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이용하였다.
시험시료와 대조구에 공시균을 접종 후 균주 수와 10회 세탁 후 균주 수를 측정하였다. 정균감소값과 정균감소율을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Ma는 대조구의 접종 직후 생균수이고, Mb는 대조구의 18시간 배양 후 생균수이고, Mc는 시험시료의 18시간 배양 후 생균수이다.
정균감소값은 logMb-logMc이고, 정균감소율(%)는 (Mb-Mc)×100/Mb이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배지의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2는 세탁 전 대조구와 시험시료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18시간 배양 후 모습이고, 도 3은 세탁 전 대조구와 시험시료에서 대장균의 18시간 배양 후 모습이고, 도 4는 10회 세탁 후 시험시료에서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의 18시간 배양 후 모습이다.
구분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세탁전

Ma 1.3×105 1.3×105
Mb 5.5×106 3.9×107
Mc <20 <20
정균감소값 5.4 6.3
정균감소율(%) 99.9 99.9

10회
세탁후

Ma 1.3×105 1.3×105
Mb 5.5×106 3.9×107
Mc <20 <20
정균감소값 5.4 6.3
정균감소율(%) 99.9 99.9
상기 표 2 및 도 2 내지 도 4의 결과를 참조하면, 세탁 전 및 세탁 후 모두 시험시료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정균감소율이 99.9%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항균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황토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옻 추출액 60 내지 120중량부와, 다시마 추출액 40 내지 80중량부와, 송근 추출액 40 내지 6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되고,
    상기 황토수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도 크기 20 내지 100nm로 분쇄한 황토분말 10 내지 40중량부를 교반하여 수득하고, 상기 옻 추출액은 물과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옻나무에 가해 80 내지 120℃에서 6 내지 20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하고, 상기 다시마 추출액은 물과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다시마에 가해 60 내지 100℃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하고, 상기 송근 추출액은 물과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소나무뿌리에 가해 80 내지 120℃에서 6 내지 20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갯금불초 발효액 5 내지 15중량부가 더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천연 염색조성물에 천을 담가 염색시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옻 염색원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천은 의료용 옷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옻 염색원단.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천은 침구용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옻 염색원단.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천은 종이의 일면에 합지되는 벽지용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옻 염색원단.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천은 피부와 접촉하는 생리대용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옻 염색원단.
KR1020180019511A 2018-02-19 2018-02-19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 KR10184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511A KR101848434B1 (ko) 2018-02-19 2018-02-19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511A KR101848434B1 (ko) 2018-02-19 2018-02-19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434B1 true KR101848434B1 (ko) 2018-04-12

Family

ID=6196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511A KR101848434B1 (ko) 2018-02-19 2018-02-19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4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163B1 (ko) * 2019-04-12 2020-01-31 박영희 플라즈마를 이용한 항균방취용 천연섬유의 제조방법
KR20220045632A (ko)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사람사랑 울금함유 원단
KR102428889B1 (ko) 2021-02-04 2022-08-02 이아름 화살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염색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68596B1 (ko) 2021-12-24 2024-05-22 김천우 발효천연물을 이용한 기능성 벽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997B1 (ko) 2007-09-13 2008-08-25 서영수 옻의 염색방법
KR101252360B1 (ko) 2011-04-18 2013-04-08 권영길 수용성 옻을 이용한 직물 염색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997B1 (ko) 2007-09-13 2008-08-25 서영수 옻의 염색방법
KR101252360B1 (ko) 2011-04-18 2013-04-08 권영길 수용성 옻을 이용한 직물 염색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163B1 (ko) * 2019-04-12 2020-01-31 박영희 플라즈마를 이용한 항균방취용 천연섬유의 제조방법
KR20220045632A (ko)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사람사랑 울금함유 원단
KR102428889B1 (ko) 2021-02-04 2022-08-02 이아름 화살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염색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68596B1 (ko) 2021-12-24 2024-05-22 김천우 발효천연물을 이용한 기능성 벽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434B1 (ko) 옻을 함유한 천연 염색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옻 염색원단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62383B1 (ko) 환경 친화적인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염색방법
KR101677362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420132B (zh) 一种酿酒酵母及其在制备皮肤外用剂中的应用
KR102235334B1 (ko) 전복, 굴껍질을 이용한 칼슘분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칼슘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화장료, 의약품
CN104920714A (zh) 一种青稞银耳红曲茶及其制备方法
KR101465696B1 (ko) 항균 및 방충 조성물
KR20200063706A (ko) 천연 색소의 저장 안정성 향상을 위한 조성물 및 그 향상방법
KR20220046122A (ko) 미이용 천연염색자원의 미생물 발효추출 및 천연염색 전처리가공 방법
KR101085401B1 (ko) 오배자 탄닌 및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감물 염료
WO2022085847A1 (ko)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복합 천연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5538B1 (ko) 다알리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다알리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6211764A (zh) 组合物及其发酵产物与在制备化妆品中的应用
KR101797548B1 (ko)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조성물
KR102114392B1 (ko) 모발 염모제 조성물
KR101332255B1 (ko) 강황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CN111718597A (zh) 一种纺织染料制备工艺
KR101208101B1 (ko) 홍삼염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KR102641057B1 (ko) 아선약 및 붉나무 혼합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6848B1 (ko) 방사무늬 김을 이용한 직물의 염색방법
KR102522412B1 (ko) 항균성 염료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내의
KR20200074568A (ko) 발효 꽃차 조성물
CN111202699A (zh) 一种蓝莓花发酵原浆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606098B1 (ko) 아주까리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