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357B1 -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357B1
KR101848357B1 KR1020160078997A KR20160078997A KR101848357B1 KR 101848357 B1 KR101848357 B1 KR 101848357B1 KR 1020160078997 A KR1020160078997 A KR 1020160078997A KR 20160078997 A KR20160078997 A KR 20160078997A KR 101848357 B1 KR101848357 B1 KR 101848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insertion hole
tracto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827A (ko
Inventor
박기혁
Original Assignee
박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혁 filed Critical 박기혁
Priority to KR102016007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35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터베이터의 횡축에 체결되어 안정적으로 후방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를 키 또는 핀에 의해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연장바가 형성되며, 트랙터의 후방에 장착된 횡축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래킷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후방 작업기를 구동하는 실린더가 장착되는 거치 브래킷;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판재로 되어 횡축에 놓여지며,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전방 및 후방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연장바가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횡축을 감싸고, 그 일측이 상기 전방에 형성된 전방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고정되며, 타측은 후방 삽입공을 관통하여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체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부위에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방부위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삽입공을 관통하여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연장된 체인이 걸리는 기어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기어부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cultiva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터베이터의 횡축에 체결되어 안정적으로 후방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써레, 배토기 등의 작업기들은 트랙터의 로터베이터 후방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후방작업기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써레를 예를 들 수 있는데, 종래의 트랙터용 써레의 일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737390호(써레 승강제한기구가 구비된 써레 장착 구조물)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 후방에 설치되는 로터베이터(B)의 횡축(10)에 장착된 취부용 브래킷(20)이 U볼트 결합구(25)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취부용 브래킷(20)에 승강 실린더(50)를 장착하여 그 승강 실린더(50)의 로드 단부가 써레(60)에 힌지결합되며, 아울러 지지프레임(40)이 취부용 브래킷(20)과 써레(6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트랙터용 써레는 써레 즉, 후방작업기는 취부용 브래킷(20)이 U볼트 결합부(25)에 의해 횡축(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취부용 브래킷(20)을 횡축(1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장착하는 경우에 일일이 U볼트 결합부(25)의 너트를 풀거나 조여서 해체 및 결합하여야 한다.
이로 인하여 U볼트 결합부(25)를 풀거나 조이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또한 부식이나 너트의 잘못 조임 등에 의해 U볼트 결합부의 나사산이 망가진 경우에는 더더욱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자칫 U볼트 결합부(25)를 파손시켜 해체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린더 거치 브래킷을 횡축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을 체인으로 고정시키고, 그 체인을 손쉽게 고정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는,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연장바가 형성되며, 트랙터의 후방에 장착된 횡축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래킷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후방 작업기를 구동하는 실린더가 장착되는 거치 브래킷;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판재로 되어 횡축에 놓여지며,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전방 및 후방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연장바가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횡축을 감싸고, 그 일측이 상기 전방에 형성된 전방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고정되며, 타측은 후방 삽입공을 관통하여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체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부위에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후방 삽입공을 관통하여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연장된 체인이 걸리는 기어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기어부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횡축을 감싸는 체인에 의해 고정 브래킷을 횡축에 고정하며, 그 체인을 기어부에 걸어서 지렛대 구조에 기어부를 회전시켜 체인을 당겨서 단단히 횡축에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고정 브래킷을 횡축에 손쉽고 빠르게 탈부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써레 장착 구조물을 나타낸 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고정 브래킷을 분해하여 보인 도.
도4는 고정 브래킷의 장착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고정 브래킷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구조를 보인 도로서, 후방 작업기를 써레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트랙터의 후방에 장착되는 로터베이터의 상단에 횡축(100)이 설치되며, 이 횡축(100)에 한 쌍의 고정 브래킷(200,200')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래킷(200,200')의 상측으로는 상부연장바(270,270')가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부연장바(270,270')의 상단에는 각각 고정부(271,271')가 구비되어 있어서, 횡축(100)과 나란히 위치하는 바 형태의 거치 브래킷(300)의 양측이 고정부(271,27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거치 브래킷(300)의 가운데 부위에는 써레를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가 장착되는 장착부(3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고정 브래킷(200,200')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므로, 고정 브래킷(200)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고정 브래킷(200)은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판재로 된 플레이트(210)의 전방부위와 후방부위에 전방 삽입공(214)과 후방 삽입공(215)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플레이트(210)는 횡축(100)의 상측에 놓이게 된다.
플레이트(210)는 상기 횡축(100)의 상단에 놓이며 상측으로는 상부연장바(270)가 형성된 평탄부(211)와, 상기 평탄부(211)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전방 삽입공(214)이 형성된 전방 경사부(212)와, 상기 평탄부(211)의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후방 삽입공(215)이 형성된 후방 경사부(21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연장바(270)에는 써레의 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한 프레임 장착부(2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10)를 횡축(100)에 고정하기 위하여 체인(220)이 구비되는데, 상기 체인(220)의 일측에는 상기 전방 삽입공(214)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체(221)가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삽입체(221)는 전방 삽입공(214)을 관통하여 전방 경사부(212)의 외측에서 고정된다.
이때 전방 경사부(212)의 외측에 고정된 삽입체(221)에는 그 외측에 스프링으로 된 탄성체(230)가 끼워져서 탄성지지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후방 경사부(213)에는 후방 삽입공(215)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체인(220)의 타측이 삽입되어 후방 삽입공(21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데, 이때 후방 삽입공(215)의 양측에는 한 쌍의 지지부(240)가 입설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한 쌍의 지지부(240) 사이에 기어부(250)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240)에는 동일한 위치에 힌지공(244)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로 된 힌지(241)가 힌지공(244)과 기어부(250)의 축공(251)을 관통하여 삽입된 다음 너트(245)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기어부(250)에는 손잡이(260)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방 경사부(213)의 외측으로 노출된 체인(220)에 기어치에 물리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40)에는 기어부(20)의 회전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핀구멍(242)과 고정핀(243)으로 구성된 고정부가 구비되는데, 핀구멍(242)은 상기 기어부(250)의 기어치의 위치에 형성되고, 고정핀(243)은 상기 핀구멍(242)에 삽입되어 기어치 사이에 위치하여 기어부(250)의 회전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고정 브래킷(200)을 횡축(100)에 장착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플레이트(210)를 횡축(100)의 상측에 얹은 다음, 체인(220)을 전방 경사부(212)의 외측에서 전방 삽입공(214)을 통해 삽입시키면, 삽입체(221)의 일측은 전방 경사부(212)의 외측에서 탄성체(230)에 의해 탄성지지되면서 고정된다.
이후 체인(220)을 후방 경사부(213)에 구비된 후방 삽입공(215)에 삽입시키게 되면, 자연스럽게 횡축(100)의 하측을 감싸게 되고, 도4에서와 같이 후방 경사부(213)의 외측으로 노출된 체인(220)을 기어부(250)에 건 다음 손잡이(260)를 아랫방향으로 누르면, 기어부(250)와 손잡이(260)가 지렛대로 작용하여 체인(220)이 팽팽히 당겨진다.
이때, 탄성체(230)에 의해 체인(220)도 탄성지지되므로, 탄성체(230)의 탄성력에 의해 체인(220)의 양측에서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횡축(100)에 단단히 조여지게 되는 것이다.
손잡이(260)의 경우에는 기어부(250)를 회전시키기 위한 다른 구조물로 대체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손잡이(260)가 삭제되고, 힌지(241)를 직접 회전시키도록 하는 별도의 렌치 등의 도구로 대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힌지(241)의 회전에 의해 기어부(25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체인(220)이 당겨진 상태에서 핀구멍(242)에 고정핀(243)을 끼우게 되면, 고정핀(243)이 기어부(250)의 기어치에 삽입되어 체인(220)이 기어부(250)로부터 폴리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횡축(100)에 고정 브래킷(200)이 설치되는 것이다.
반대로 고정 브래킷(200)을 횡축(1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손잡이(260)를 살짝 당겨서 고정핀(243)을 빼게 되면, 자연스럽게 체인(220)이 기어부(250)로부터 풀리게 된다.
이렇게 풀린 체인(220)을 후방 삽입공(215)을 통해 플레이트(210)의 내측으로 넣게 되면, 고정 브래킷(200)이 횡축(100)으로부터 간단히 분리되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고정부(310)는 횡축(100)의 일부를 감싸고, 그 일측이 상기 전방 경사부(212)에 형성된 전방 삽입공(214)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210)의 외측에서 탄성체(320)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횡축(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회전부(330)는 횡축(100)의 일부를 감싸는 만곡된 바 형태로서, 상기 고정부(310)의 타측에 일측이 힌지부(3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방 경사부(213)에 형성된 후방 삽입공(215)을 관통하여 플레이트(2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회전하며, 그 타측부위에는 복수의 기어치(3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 경사부(213)의 후방부위에는 지지부(340)가 입설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40)에는 지렛대(342)가 힌지(34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지렛대(342)의 전방부위가 기어치(331)에 물리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지지부(340)에는 상기 회전부(330)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고정부는 고정공(343)과 고정핀(345)으로 구성되며, 회전부(330)에도 기어치(331)가 위치하는 부근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핀구멍(3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310)와 회전부(330)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와 같이 전방 삽입공(214)을 통해 끼운 다음 회전부(33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후방 삽입공(215)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지렛대(342)의 선단을 기어치(331)에 물린다.
이 상태에서 지렛대(342)를 누르게 되면 회전부(330)가 당겨지게 되고, 이로인해 고정부(310)와 회전부(330)에 의해 횡축(100)을 단단히 조이게 되며, 이때, 탄성체(320)에 의해 고정부(310)와 회전부(330)의 양측에서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횡축(100)에 더욱 단단히 조여지게 되는 것이다.
고정부(310)와 회전부(330)가 당겨진 상태에서 고정공(343)에 핀구멍(332)을 일치시킨 다음 고정핀(345)을 끼우게 되면, 지지부(340)에 회전부(330)가 고정됨으로써 횡축(100)에 고정 브래킷(300)이 설치되는 것이다.
반대로 고정 브래킷(300)을 횡축(1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지렛대(342)를 살짝 당겨서 고정핀(345)을 빼게 되면, 자연스럽게 회전부(330)가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지렛대(342)의 물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지지부(340)에서의 고정상태가 풀리게 된다.
이렇게 풀린 회전부(330)를 후방 삽입공(215)을 통해 플레이트(210)의 내측으로 넣게 되면, 고정 브래킷(300)이 횡축(100)으로부터 간단히 분리되는 것이다.
200 : 고정 브래킷 210 : 플레이트
211 : 평탄부 212 : 전방 경사부
213 : 후방 경사부 214 : 전방 삽입공
215 : 후방 삽입공 220 : 체인
221 : 삽입체 230 : 탄성체
240 : 지지부 241 : 힌지
242 : 핀구멍 243 : 고정핀
244 : 힌지공 250 : 기어부
260 : 손잡이 240 : 상부연장바
250 : 프레임 장착부

Claims (7)

  1.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연장바가 형성되며, 트랙터의 후방에 장착된 횡축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래킷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후방 작업기를 구동하는 실린더가 장착되는 거치 브래킷;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판재로 되어 횡축에 놓여지며,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전방 및 후방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연장바가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횡축을 감싸고, 그 일측이 상기 전방에 형성된 전방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고정되며, 타측은 후방 삽입공을 관통하여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체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부위에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후방 삽입공을 관통하여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연장된 체인이 걸리는 기어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기어부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기어부의 기어치의 위치에 형성되는 핀구멍;
    상기 핀구멍에 삽입되어 기어치 사이에 위치하여 기어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일측은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탄성체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횡축의 상단에 놓이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전방 삽입공이 형성된 전방 경사부;
    상기 평탄부의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후방 삽입공이 형성된 후방 경사부;로 구성된 것을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 사이에 기어부가 위치하여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6.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연장바가 형성되며, 트랙터의 후방에 장착된 횡축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래킷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후방 작업기를 구동하는 실린더가 장착되는 거치 브래킷;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판재로 되어 횡축에 놓여지며,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전방 및 후방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연장바가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횡축의 일부를 감싸고, 그 일측이 상기 전방에 형성된 전방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탄성체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횡축의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부;
    횡축의 일부를 감싸는 만곡된 바 형태로서,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방 삽입공을 관통하여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회전하며, 타측부위에는 복수의 기어치가 형성된 회전부;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부위에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전방부위가 상기 회전부의 기어치에 물리는 지렛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에 형성되며, 기어치가 위치하는 부근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핀구멍;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고정공과 상기 핀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회전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KR1020160078997A 2016-06-24 2016-06-24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KR101848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97A KR101848357B1 (ko) 2016-06-24 2016-06-24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97A KR101848357B1 (ko) 2016-06-24 2016-06-24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27A KR20180000827A (ko) 2018-01-04
KR101848357B1 true KR101848357B1 (ko) 2018-04-12

Family

ID=6099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997A KR101848357B1 (ko) 2016-06-24 2016-06-24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3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5607B2 (ja) 2005-05-20 2007-08-08 安久津 義人 トラクタと作業機の間に装着されるガイドライン溝切りマーカー装置
JP2007312728A (ja) 2006-05-29 2007-12-0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車両の作業機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5607B2 (ja) 2005-05-20 2007-08-08 安久津 義人 トラクタと作業機の間に装着されるガイドライン溝切りマーカー装置
JP2007312728A (ja) 2006-05-29 2007-12-0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作業車両の作業機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27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249534A (ja) ロータリ耕耘装置
KR101848357B1 (ko)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고정장치
KR101450099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JP2012065618A (ja) ロータリ耕耘装置
KR200456245Y1 (ko) 써레 장착용 구조물
KR101668674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JP2011188836A (ja) 管理機
JP5355237B2 (ja) 農作業機
KR101638015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101482546B1 (ko) 농업용 작업기 장착용 장치
KR20170116658A (ko) 트랙터용 써레의 고정장치
JP2009232796A (ja) 作業機のカプラ支持装置及び作業機
SE1051264A1 (sv) Jordbearbetande verktyg för löstagbar fixering på ett lantbruksredskap samt lantbruksredskap omfattande sådant jordbearbetande verktyg
JP6151048B2 (ja) 整地体固定装置および農作業方法
JP2006325526A (ja) ロータリ耕耘装置の草巻付防止装置
JP3978150B2 (ja) 巻付防止装置
KR20190138349A (ko) 트랙터용 후방 작업기의 연결 브래킷
JP5478305B2 (ja) 刈払機の防護カバー取付構造体
EP3800972B1 (en) Fastening device and method for releasable fixing of soil working tools to an agricultural implement
JP4138273B2 (ja) トラクタのロータリ耕耘装置
JP6909490B2 (ja) 農作業機
KR101398609B1 (ko) 트랙터용 후방작업기의 연결 브래킷
JP2514223B2 (ja) 耕耘爪の取付装置
JP2016111998A (ja) 圃場作業機の掘削具
JPH076726Y2 (ja) 耕耘爪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