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076B1 -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 Google Patents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076B1
KR101848076B1 KR1020160055699A KR20160055699A KR101848076B1 KR 101848076 B1 KR101848076 B1 KR 101848076B1 KR 1020160055699 A KR1020160055699 A KR 1020160055699A KR 20160055699 A KR20160055699 A KR 20160055699A KR 101848076 B1 KR101848076 B1 KR 101848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aggregate
ball
ball shape
low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628A (ko
Inventor
고경찬
노용환
박효숙
김현성
Original Assignee
고경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경찬 filed Critical 고경찬
Priority to KR1020160055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076B1/ko
Priority to PCT/KR2017/004577 priority patent/WO2017191951A1/ko
Priority to US16/098,363 priority patent/US11214900B2/en
Priority to CN201710309588.2A priority patent/CN107354582A/zh
Publication of KR20170125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2Cotton wool; Wad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1/00Finished upholstery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68G11/02Finished upholstery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mainly composed of fibrous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계 단섬유,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 폴리프로필렌계 단섬유 중 하나 또는 선택되는 2이상의 단섬유를 개섬 및 혼섬으로 분리시킨 후 볼 형태로 뭉쳐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로 형성하되,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3.5~6g/ℓ의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A ball type fibrous Assemblies having low density}
본 발명은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이 밀도를 낮추어 보온성이 향상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아웃도어 의류가 대중화되면서, 찬바람이 불면 체온 유지를 위하여 누구나 하나쯤 구스다운 혹은 덕다운 점퍼를 꺼내 입을 정도로 아웃도어 제품은 이미 우리 생활의 깊숙한 곳까지 들어와 있으며, 많은 언론 매체의 아웃도어 제품 바로 알기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소비자들은 극한의 환경을 대비한 고기능성 및 보온성의 고가 제품보다 일상생활에 적합한 기능의 아웃도어 제품들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런 소비 추세에 발맞춰 최근 개발되고 있는 겨울용 아웃도어 제품의 경우, 얇고 가벼우면서도 보온경량방풍투습의 고기능성을 가지는 아웃도어 제품들이 선보여지고 있으며 그 인기는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보온력을 높인 아웃도어 제품들은 인체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손실되지 않게 하는 소극적 방법과 외부에서 부여되는 열을 활용하는 적극적 방법으로 제작되어 지고 있다. 전자의 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은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직물의 공기층에 의해 단열 보온하는 방식과 인체에서 발산한 복사열을 의복 외로 발산시키지 않는 적외선 반사소재를 사용하는 방법, 인체 방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소재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고, 후자의 방법으로는 전기 발열소재, 화학반응 발열보온소재, 태양광 축열 보온소재를 피복에 도입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방한용 제품은 전자의 방식 중 공기층에 의한 단열보온방식으로, 피복을 구성하는 직물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이유가 되어 활동성이 낮아지는 원인이 되며, 내피용 충전재로 사용하는 우모(羽毛, feather)는 세탁시 뭉침현상과 삼출현상으로 보온력이 저하되고 미관상으로 좋지 않다.
또한, 상기 우모로써 주로 구스다운(goose-down) 또는 덕다운(duck down)을 사용하는데, 주로 솜털과 깃털 부분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솜털은 주로 수조의 흉부, 하복부, 목의 하부, 날개 밑에서 얻어지는 털로 방한용 제품의 보온성 증대와 촉감성을 향상하는 역할이며, 깃털은 부피감과 필파워를 향상하여 복원력이 우수하도록 한다. 그러나 약간의 부주의에도 바이러스가 확산되어 조류독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조류로부터 한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소재라는 점에서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하기가 어려워 저렴한 가격대의 제품 공급 또한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소재보다 우수한 기능성을 가지면서 가격 경쟁력을 지닌 범용적인 아웃도어 제품과 이를 위한 국내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3949에는 합성섬유와 포유류의 털을 함께 사용하여 적층시킨 보온용 패딩에 대해 개시하였다. 상기 패딩은 합성섬유층과 포유류의 털 및 합성섬유를 섞은 층을 적층하여 만든 다층구조의 보온재를 만들어 뭉침현상이나 섬유삼출 없이 적정한 두께를 지닌 형태적으로 안정한 보온재를 만들었으나, 종래의 패딩 제작 설비에 포유류의 털 공급을 위한 별도의 설비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공정이 번거로우며, 상기 포유류의 털과 같은 우모를 합성섬유와 혼합하여 우모의 장점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합성보온재보다 가격 경쟁력이 매우 낮아진다.
또한, 일반적인 합성섬유를 이용한 충전재용 섬유집합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05319호에서와 같이 단섬유를 일정 두께로 적층한 부직포 웹형태로 제조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부직포 웹형태로 제조될 경우 그 크기와 형태가 고정되어 사용편의성이 떨어지고, 뭉침형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는 회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정한 형태가 아닌 다운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가 개발되어 점차 사용량이 많아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단섬유를 볼 형태로 뭉쳐서 제조되는 것으로 부직포 웹형태와 같이 고정된 형상이 아니고 조류의 다운과 같이 개별로 분리되는 섬유집합체로 함기율이나 회복성에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각각의 섬유집합체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고 높은 밀도로 함기율, 회복성 등에서 볼 형태를 갖는 장점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밀도가 낮으면서도 크기가 균일하도록 형성하여 함기율 및 회복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광발열 물질을 단섬유에 함유시켜 광발열 기능을 갖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계 단섬유,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 폴리프로필렌계 단섬유 중 하나 또는 선택되는 2이상의 단섬유를 개섬 및 혼섬으로 분리시킨 후 볼 형태로 뭉쳐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로 형성하되,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3.5~6g/ℓ의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1g에 600~12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평균직경이 3~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계 단섬유,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 폴리프로필렌계 단섬유 중 하나 또는 선택되는 2이상의 단섬유에 광발열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섬유집합체의 단섬유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섬유가 50중량%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합섬유는 중공형 복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섬은 다수의 핀이 형성된 2~4개의 롤러가 핀이 서로 맞물리도록 교차하는 개섬기로 실시하되,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식 2≤L/G≤6
L: 단섬유 섬유장
G: 핀과 핀사이의 간격
또한, 상기 혼섬은 풍압 100~200 mmAq, 풍량 20~80㎥/min의 풍력으로 혼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사용되는 단섬유를 개섬 및 혼섬을 통해 세밀하게 분리하여 볼 형태로 제조되는 것으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직경이 균일하고 밀도 낮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낮은 밀도와 직경의 균일하여 함기율 및 회복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되는 단섬유에 광발열 물질을 도포하여 광발열 기능을 부여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실시예 1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실시예 1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 내지 도5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섬유집합체 직경 분포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폴리아미드계 단섬유,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 폴리프로필렌계 단섬유 중 하나 또는 선택되는 2이상의 단섬유를 개섬 및 혼섬으로 세밀하게 분리시킨 후 볼 형태로 형성하여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섬유준비단계, 개섬단계, 혼섬단계, 볼 형태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섬유준비단계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로 형성될 단섬유를 준비하는 단계로 본 발명에서는 1.5~7데니어(D)인 폴리아미드계 단섬유,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 폴리프로필렌계 단섬유 중 하나 또는 선택되는 2이상의 단섬유를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탄성, 함기율 등의 물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단섬유 중 50중량%이상이 두가지의 열이력이 다른 폴리머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섬유인 단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함기율을 높여 보온성을 높이기 위해 중공형 단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섬유도 중공형 복합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섬유준비단계는 물성 및 기능성을 위해 2종류 이상의 단섬유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폴리아미드계 단섬유,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 폴리프로필렌계 단섬유 중 하나 또는 선택되는 2이상의 단섬유에 광발열 물질을 바인더와 함께 스프레이 분사를 통해 도포하여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광발열 기능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개섬단계는 뭉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단섬유를 한올한올 분리하는 단계로 추후 진행되는 혼섬단계가 원활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혼섬단계는 상기 개섬단계에서 개섬된 단섬유를 풍력으로 혼섬하는 단계로 2 종류 이상의 단섬유가 사용될 경우 균일하게 혼섬하는 작용 및 상기 개섬에서 분리된 단섬유가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개섬단계 및 혼섬단계는 추후에 실시되는 볼 형태 제조단계에서 단섬유가 균일하게 볼 형태로 잘 뭉칠 수 있도록 단섬유를 분리하는 단계로 단섬유가 한올씩 분리될 수 있도록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섬단계 및 혼섬단계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균일도, 밀도 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로 일반적인 개섬 및 혼섬단계 보다 섬유가 더 균일하게 분리되도록 실시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단섬유를 한올씩 분리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의 상기 개섬단계는 다수의 핀이 형성된 2~4개의 롤러가 핀이 서로 맞물리도록 교차하는 개섬기로 실시하되,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식 2≤L/G≤6
L: 단섬유 섬유장
G: 핀과 핀사이의 간격
상기 개섬기의 핀과 핀사이의 간격이 사용되는 단섬유의 섬유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섬유장이 길면 핀과 핀사이의 간격이 커져도 단섬유의 분리가 가능하며, 섬유장이 짧으면 핀과 핀사이의 간격 역시 좁아져야 한다.
상기 핀과 핀사이의 간격이 좁으면 좁을수록 단섬유의 세밀한 분리가 가능하나 공정시간이 오래걸리는 수 있으므로 L/G값이 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핀과 핀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으면 공정시간은 짧아지나 단섬유의 분리가 원활하지 못하여 볼형태의 섬유집합체의 균일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L/G값이 6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단섬유의 섬유장은 15~60㎜로 핀과 핀사이의 간격은 사용되는 단섬유의 섬유장에 적합하도록 조절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상기 혼섬단계는 상기 개섬단계에서 개섬된 단섬유가 한올씩 분리되어 풍력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풍압 100~200 mmAq, 풍량 20~80㎥/min의 풍력으로 혼섬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혼섬단계에서 높은 풍력을 통해 단섬유가 뭉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볼 형태 제조단계는 혼섬단계에서 완전히 분리된 단섬유를 뭉쳐서 볼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볼 형태 제조단계는 풍력으로 단섬유를 이동시키고, 끝단이 굽은 핀이 풍력과 직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풍력으로 이동되는 단섬유는 풍력과 직각방향으로 이동되는 끝단이 굽은 핀에 걸리게 되면 회전토크가 발생되어 끝단이 굽은 핀에서 말리게 되어 볼 형태로 뭉치게 된다.
상기 볼 형태 제조단계는 끝단이 굽은 핀이 다수 형성된 회전가능한 롤러와 단섬유를 이동시킬 수 있는 풍력장치가 형성된 제조장치를 통해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끝단이 굽은 핀이 다수 형성된 회전가능한 롤러의 회전속도 단섬유의 투입량, 풍속 등의 풍력으로 크기가 조절될 수 있으나, 사용상 편의성을 위해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평균직경은 3~20㎜의 크기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광발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단섬유에 광발열 물질을 도포할 경우에는 상기 개섬 및 혼섬단계는 단섬유에 광발열 물질을 도포한 후에 실시되어야 단섬유의 세밀한 분리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개섬 및 혼섬으로 세밀한 단섬유의 분리하여 균일한 직경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3.5~6g/ℓ의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밀도가 3.5g/ℓ미만이면 회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밀도가 6g/ℓ을 초과하면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평균직경의 표준편차는 1~1.5이며, 첨도가 3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평균직경의 표준편차는 섬유집합체의 분포도이며, 첨도는 섬유집합체의 균일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기 평균직경의 표준편차가 1.5를 초과하고 첨도가 3미만인 경우에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직경이 균일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밀도가 낮을 수록 함기율이 높고 보온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밀도가 낮은 편이 사용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1g에 다수의 섬유집합체가 포함되는 것으로 섬유집합체의 직경에 따라 1g당의 갯수가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1g에 600~1200개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단섬유는 섬도가 2.5데니어이고 섬유장이 약 22~32㎜인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10중량%와 섬도가 3데니어이고 섬유장이 약 28~40㎜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중공형 복합섬유 90중량%를 사용하였다.
상기 단섬유를 핀간격이 8.3㎜이고 4개의 롤러로 형성된 개섬기를 이용하여 개섬하였으며, 풍압 140 mmAq, 풍량 50㎥/min의 풍력으로 혼섬 하여 단섬유를 분리시켰다.
상기 혼섬에서 나온 단섬유를 끝단이 굽은 핀이 다수 형성된 회전가능한 롤러와 단섬유를 이동시킬 수 있는 풍력장치가 형성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평균 직경이 각각 4㎜(실시예 1), 5㎜(실시예 2), 6㎜(실시예 3)로 되도록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사진으로 도 1에 나타내었다.
◎ 섬유집합체의 밀도 측정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과 T사에서 판매되는 일반 볼파이어를 비교예로 사용하여 밀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밀도 측정은 1ℓ용기에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20㎝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용기 안을 가득 채운 후 무게를 측정하여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g/ℓ) 실시예 2(g/ℓ) 실시예 3(g/ℓ) 비교예(g/ℓ)
1회 4.6 5.2 5.8 8.9
2회 4.5 5.7 5.4 8.9
3회 4.6 5.5 5.7 8.2
4회 4.8 5.1 5.3 8.3
5회 4.5 5.5 5.5 8.3
6회 4.9 5.3 5.4 8.9
7회 4.2 5.3 5.3 8.8
8회 4.6 5.6 5.8 8.7
9회 4.8 5.4 5.6 9.2
10회 4.5 5.1 5.9 9.0
평균 4.6 5.37 5.57 8.72
표 1에서와 같이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평균 직경이 4㎜로 제조될 때 4.6g/ℓ, 5㎜로 제조될때 5.37g/ℓ, 6㎜로 제조될때 5.57g/ℓ의 밀도를 가지고 비교예의 섬유집합체는 8.72g/ℓ로 실시예 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본 발명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가 낮은 밀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 평균직경 및 표준편차 측정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과 T사에서 판매되는 일반 볼파이어를 비교예의 평균직경, 표준편차, 첨도를 측정하였으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측정 및 계산방법
가.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서 1g 채취한 후,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하나씩 분리하여 1㎜범위로 크기를 측정 및 분류하였다.
나. 분류된 수치를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리한 후에 평균직경, 표준편차, 첨도를 계산하였다.
상기 평균직경, 표준편차, 첨도는 직경 범위 중 큰 수치를 기준으로 계산한 것으로 일예로 직경이 1~2㎜에 포함되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직경이 2㎜인 것으로 계산하였다.
직경(㎜)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2 41 9 0 46
2.1~3 191 28 2 99
3.1~4 384 165 27 139
4.1~5 242 357 112 85
5.1~6 51 144 311 161
6.1~7 27 32 98 18
7.1~8 16 25 52 41
8.1~9 7 9 25 5
9.1~10 6 6 1 2
10.1~11 0 3 8 0
11.1~12 0 0 4 0
12.1~13 0 0 2 0
1g당 갯수 965 778 652 597
평균직경(㎜) 4.3 5.15 6.35 4.79
표준편차 1.29 1.26 1.42 1.67
첨도 3.16 3.45 3.43 -0.38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 3은 비교예에 비해 1g당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갯수가 많은 것으로 밀도가 낮을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는 표준편차가 1.67이고 첨도가 -0.38로 분포도가 집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직경의 균일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인 실시예 1 내지 3은 표준편차가 1.2~1.4 정도이고 첨도가 3.0이상으로 분포도가 매우 집약되어 있는 것으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이 직경이 매우 균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폴리아미드계 단섬유,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 폴리프로필렌계 단섬유 중 하나 또는 선택되는 2이상의 단섬유를 개섬 및 혼섬으로 분리시킨 후 볼 형태로 뭉쳐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로 형성하며,
    상기 개섬은 하기의 식을 만족하고, 다수의 핀이 형성된 2~4개의 롤러가 핀이 서로 맞물리도록 교차하는 개섬기로 실시하고,
    상기 혼섬은 풍압 100~200 mmAq, 풍량 20~80㎥/min의 풍력으로 혼섬시켜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1g에 600~1200개로 3.5~6g/ℓ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식 2≤L/G≤6
    L: 단섬유 섬유장
    G: 핀과 핀사이의 간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평균직경이 3~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계 단섬유,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 폴리프로필렌계 단섬유 중 하나 또는 선택되는 2이상의 단섬유에 광발열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집합체의 단섬유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섬유가 50중량%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는 중공형 복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7. 삭제
  8. 삭제
KR1020160055699A 2016-05-04 2016-05-04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KR101848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699A KR101848076B1 (ko) 2016-05-04 2016-05-04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PCT/KR2017/004577 WO2017191951A1 (ko) 2016-05-04 2017-04-28 볼 형태를 갖는 광발열 섬유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16/098,363 US11214900B2 (en) 2016-05-04 2017-04-28 Ball-shaped photoheating fiber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201710309588.2A CN107354582A (zh) 2016-05-04 2017-05-04 球状的光发热纤维集合体及使用其的纤维保温材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699A KR101848076B1 (ko) 2016-05-04 2016-05-04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628A KR20170125628A (ko) 2017-11-15
KR101848076B1 true KR101848076B1 (ko) 2018-04-12

Family

ID=6038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699A KR101848076B1 (ko) 2016-05-04 2016-05-04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0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9367A (ja) * 2012-10-16 2014-05-08 Teijin Ltd 中綿および繊維製品
JP2015190080A (ja) * 2014-03-28 2015-11-02 東レ株式会社 繊維球状体用ポリエステル系複合繊維および繊維球状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9367A (ja) * 2012-10-16 2014-05-08 Teijin Ltd 中綿および繊維製品
JP2015190080A (ja) * 2014-03-28 2015-11-02 東レ株式会社 繊維球状体用ポリエステル系複合繊維および繊維球状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628A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4197B2 (en) Blowable insulation material with enhanced durability and water repellency
TWI694191B (zh) 非織物羽絨毛絮、包含毛絮之物品、製造毛絮之方法
RU2673762C1 (ru) Объем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JP2014079367A (ja) 中綿および繊維製品
JP6645421B2 (ja) ポリエステル中空繊維球状体
KR20160054640A (ko) 볼 형태를 갖는 광발열 충전재
KR101758876B1 (ko) 충전재용 볼화이버의 제조방법 및 그 볼화이버
WO2015170741A1 (ja) 詰め綿
KR101828548B1 (ko) 직경이 균일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KR20170125625A (ko) 볼 형태를 갖는 광발열 섬유집합체 제조방법
KR101848076B1 (ko)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KR101275671B1 (ko) 고보온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576805A (zh) 一种波纹状仿鬃刷丝及其加工方法
JPS5951630B2 (ja) 羽毛様ポリエステル繊維
DE102016224251B4 (de) Wärmedämmende Struktur
KR101871465B1 (ko) 볼 형태의 광발열 섬유집합체를 함유하는 섬유보온재
TW293852B (ko)
KR101889892B1 (ko) 백색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광발열 섬유집합체
CN108914378A (zh) 一种保温絮片及其制备方法、保温制品
JP2017166103A (ja) 海島型中空複合繊維および繊維球状体
US11214900B2 (en) Ball-shaped photoheating fiber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200052107A (ko)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CN107354582A (zh) 球状的光发热纤维集合体及使用其的纤维保温材料
CN105369477A (zh) 一种弹性保温絮片的加工装置及方法
US20190360137A1 (en) Insulation with reactive fl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