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107A -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 Google Patents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107A
KR20200052107A KR1020180135292A KR20180135292A KR20200052107A KR 20200052107 A KR20200052107 A KR 20200052107A KR 1020180135292 A KR1020180135292 A KR 1020180135292A KR 20180135292 A KR20180135292 A KR 20180135292A KR 20200052107 A KR20200052107 A KR 20200052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ball shape
filling
fiber aggregat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호
박효숙
Original Assignee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2107A/ko
Publication of KR2020005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2Cotton wool; Wadd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를 포함하여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로 형성되되,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고유점도가 0.83~1.40 dl/g의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0.46~0.80 dl/g인 저점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Ball type fibrous Assemblies with high fill power}
본 발명은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를 함유하여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충전도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아웃도어 의류가 대중화되면서, 찬바람이 불면 체온 유지를 위하여 누구나 하나쯤 구스다운 혹은 덕다운 점퍼를 꺼내 입을 정도로 아웃도어 제품은 이미 우리 생활의 깊숙한 곳까지 들어와 있으며, 많은 언론 매체의 아웃도어 제품 바로 알기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소비자들은 극한의 환경을 대비한 고기능성 및 보온성의 고가 제품보다 일상생활에 적합한 기능의 아웃도어 제품들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런 소비 추세에 발맞춰 최근 개발되고 있는 겨울용 아웃도어 제품의 경우, 얇고 가벼우면서도 보온경량방풍투습의 고기능성을 가지는 아웃도어 제품들이 선보여지고 있으며 그 인기는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보온력을 높인 아웃도어 제품들은 인체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손실되지 않게 하는 소극적 방법과 외부에서 부여되는 열을 활용하는 적극적 방법으로 제작되어 지고 있다. 전자의 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은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직물의 공기층에 의해 단열 보온하는 방식과 인체에서 발산한 복사열을 의복 외로 발산시키지 않는 적외선 반사소재를 사용하는 방법, 인체 방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소재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고, 후자의 방법으로는 전기 발열소재, 화학반응 발열보온소재, 태양광 축열 보온소재를 피복에 도입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방한용 제품은 전자의 방식 중 공기층에 의한 단열보온방식으로, 피복을 구성하는 직물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이유가 되어 활동성이 낮아지는 원인이 되며, 내피용 충전재로 사용하는 우모(羽毛, feather)는 세탁시 뭉침현상과 삼출현상으로 보온력이 저하되고 미관상으로 좋지 않다.
또한, 상기 우모로써 주로 구스다운(goose-down) 또는 덕다운(duck down)을 사용하는데, 주로 솜털과 깃털 부분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솜털은 주로 수조의 흉부, 하복부, 목의 하부, 날개 밑에서 얻어지는 털로 방한용 제품의 보온성 증대와 촉감성을 향상하는 역할이며, 깃털은 부피감과 충전도를 향상하여 복원력이 우수하도록 한다. 그러나 약간의 부주의에도 바이러스가 확산되어 조류독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조류로부터 한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소재라는 점에서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하기가 어려워 저렴한 가격대의 제품 공급 또한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소재보다 우수한 기능성을 가지면서 가격 경쟁력을 지닌 범용적인 아웃도어 제품과 이를 위한 국내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83949호에는 합성섬유와 포유류의 털을 함께 사용하여 적층시킨 보온용 패딩에 대해 개시하였다. 상기 패딩은 합성섬유층과 포유류의 털 및 합성섬유를 섞은 층을 적층하여 만든 다층구조의 보온재를 만들어 뭉침현상이나 섬유삼출 없이 적정한 두께를 지닌 형태적으로 안정한 보온재를 만들었으나, 종래의 패딩 제작 설비에 포유류의 털 공급을 위한 별도의 설비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공정이 번거로우며, 상기 포유류의 털과 같은 우모를 합성섬유와 혼합하여 우모의 장점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합성보온재보다 가격 경쟁력이 매우 낮아진다.
또한, 일반적인 합성섬유를 이용한 충전재용 섬유집합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05319호에서와 같이 단섬유를 일정 두께로 적층한 부직포 웹형태로 제조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부직포 웹형태로 제조될 경우 그 크기와 형태가 고정되어 사용편의성이 떨어지고, 뭉침형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는 회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정한 형태가 아닌 다운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가 개발되어 점차 사용량이 많아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단섬유를 볼 형태로 뭉쳐서 제조되는 것으로 부직포 웹형태와 같이 고정된 형상이 아니고 조류의 다운과 같이 개별로 분리되는 섬유집합체로 웹형태의 섬유집합체보다는 함기율이나 회복성이 우수하지만, 천연소재인 구스다운(goose-down) 또는 덕다운(duck down) 보다 충전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형성하는 섬유에 탄성이 우수한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를 함유시켜 높은 함기율 및 충전도를 가지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광발열 물질을 단섬유에 함유시켜 광발열 기능을 갖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를 포함하여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로 형성되되,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고유점도가 0.83~1.40 dl/g의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0.46~0.80 dl/g인 저점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폴리올리핀계 섬유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가 50중량%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크림프 수가 5~10/inch이고, 크림프율이 2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섬도가 3~8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충전도가 10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평균직경이 3~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광발열 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온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를 함유시켜 높은 함기율로 보온성이 우수하고 높은 충전도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에 광발열 물질이 함유되어 광발열을 통해 보온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고유점도가 0.83~1.40 dl/g의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0.46~0.80 dl/g인 저점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와 저점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2 종의 폴리머로 제조되는 것으로 중량비 30:70~70:30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점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중공형의 복합섬유로 섬유 축방향에 연속하는 중공부를 가지고, 중공부의 비율인 중공율이 5~20%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일반적인 방법 같이 다수의 만곡된 슬릿(slit)이 원형으로 배열된 방사구금을 이용하여 단면이 중공이 형성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저점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공율은 섬유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섬유의 단면적에 차지하는 중공부의 단면적을 뜻하는 것으로 중공율이 5%미만인 경우에는 중공섬유의 이점(利點)인 겉보기 부피에 비해 가볍고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며, 중공율이 20%를 넘는다면, 방사시에 중공 균열이 발생하고, 방사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섬도가 조절될 수 있으나, 볼 형태로 제조가 용이하도록 3~8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저점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점도 차이로 인해 크림프가 형성되어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충전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에 형성되는 크림프는 크림프 수가 5~10/inch이고, 크림프율이 25~35%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의 크림프가 상기의 범위보다 작으면 충전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보다 크면 섬유 제조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상기의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 이외에 다른 섬유가 더 포함될 수 있으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물성을 위해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가 50중량%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가 80중량%이상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보온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열전달률이 낮은 폴리올리핀계 섬유가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보온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에 광발열 물질을 더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광발열 물질은 복합섬유 제조과정에서 폴리머에 함유시킨 후 방사하여 광발열 물질을 함유시킬 수 있으며, 복합섬유 제조 후 광발열 물질을 바인더와 함께 복합섬유에 스프레이 분사로 도포하여 광발열 물질을 함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광발열 물질을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 제조과정에 함유시킬 경우 광발열 물질로 인해 복합섬유의 물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복합섬유 제조후 도포시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광발열 물질은 태양광을 증폭하여 발열 기능을 갖는 물질로 ATO(안티몬주석산화물)와, ITO(인듐주석산화물)와, 티탄, 지르코늄, 하프늄 등의 4족 금속 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발열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은 단섬유로 제조되는 것으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형성하는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 등의 섬유는 섬유장이 10~1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제조예로 섬유준비단계, 개섬단계, 혼섬단계, 볼 형태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섬유준비단계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로 형성될 단섬유를 준비하는 단계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등을 준비할 수 있는 것으로 섬유준비단계는 물성 및 기능성을 위해 2종류 이상의 단섬유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개섬단계는 뭉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단섬유를 한올한올 분리하는 단계로 추후 진행되는 혼섬단계가 원활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이다.
상기 혼섬단계는 상기 개섬단계에서 개섬된 단섬유를 풍력으로 혼섬하는 단계로 2 종류 이상의 단섬유가 사용될 경우 균일하게 혼섬하는 작용 및 상기 개섬에서 분리된 단섬유가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개섬단계 및 혼섬단계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균일도, 밀도 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로 일반적인 개섬 및 혼섬단계 보다 섬유가 더 균일하게 분리되도록 실시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단섬유를 한올씩 분리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의 상기 개섬단계는 다수의 핀이 형성된 2~4개의 롤러가 핀이 서로 맞물리도록 교차하는 개섬기로 실시하되,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식 2≤L/G≤6
L: 단섬유 섬유장
G: 핀과 핀사이의 간격
상기 개섬기의 핀과 핀사이의 간격이 사용되는 단섬유의 섬유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섬유장이 길면 핀과 핀사이의 간격이 커져도 단섬유의 분리가 가능하며, 섬유장이 짧으면 핀과 핀사이의 간격 역시 좁아져야 한다.
상기 핀과 핀사이의 간격이 좁으면 좁을수록 단섬유의 세밀한 분리가 가능하나 공정시간이 오래걸리는 수 있으므로 L/G값이 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핀과 핀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으면 공정시간은 짧아지나 단섬유의 분리가 원활하지 못하여 볼형태의 섬유집합체의 균일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L/G값이 6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핀과 핀사이의 간격은 사용되는 단섬유의 섬유장에 적합하도록 조절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상기 혼섬단계는 상기 개섬단계에서 개섬된 단섬유가 한올씩 분리되어 풍력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풍압 100~200 mmAq, 풍량 20~80㎥/min의 풍력으로 혼섬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혼섬단계에서 높은 풍력을 통해 단섬유가 뭉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에 스프레이 분사로 광발열 물질을 도포하여 함유시킬 경우에는 광발열 물질을 도포 후에 충분히 건조시킨 후에 개섬 및 혼섬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볼 형태 제조단계는 혼섬단계에서 완전히 분리된 단섬유를 뭉쳐서 볼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볼 형태 제조단계는 풍력으로 단섬유를 이동시키고, 끝단이 굽은 핀이 풍력과 직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풍력으로 이동되는 단섬유는 풍력과 직각방향으로 이동되는 끝단이 굽은 핀에 걸리게 되면 회전토크가 발생되어 끝단이 굽은 핀에서 말리게 되어 볼 형태로 뭉치게 된다.
상기 볼 형태 제조단계는 끝단이 굽은 핀이 다수 형성된 회전가능한 롤러와 단섬유를 이동시킬 수 있는 풍력장치가 형성된 제조장치를 통해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끝단이 굽은 핀이 다수 형성된 회전가능한 롤러의 회전속도 단섬유의 투입량, 풍속 등의 풍력으로 크기가 조절될 수 있으나, 사용상 편의성을 위해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평균직경은 3~20㎜의 크기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패딩 류 등의 의류에 적용시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가 충전될 수 있는 구획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합성섬유의 단점을 보완하기위해 거위털 또는 오리털과 같은 천연 소재의 충전재와 같이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와 거위털 또는 오리털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10~90중량부에 거위털 또는 오리털을 10~9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유점도가 1.02 dl/g의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0.64dl/g인 저점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형성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 95중량%와 폴리프로필렌 섬유 5중량%를 사용하였다.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섬도 6.0데니어, 섬유장이 약 28~40㎜이고,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섬도 2.5데니어, 섬유장이 약 22~32㎜이다.
상기 단섬유를 핀간격이 8.3㎜이고 4개의 롤러로 형성된 개섬기를 이용하여 개섬하였으며, 풍압 140 mmAq, 풍량 50㎥/min의 풍력으로 혼섬 하여 단섬유를 분리시켰다.
상기 혼섬에서 나온 단섬유를 끝단이 굽은 핀이 다수 형성된 회전가능한 롤러와 단섬유를 이동시킬 수 있는 풍력장치가 형성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평균 직경이 4㎜인 본 발명에 따른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나 고유점도가 1.02 dl/g의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0.64dl/g인 저점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형성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 80중량%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20중량%를 사용하여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95중량%와 폴리프로필렌 섬유 5중량%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섬도 6.0데니어, 섬유장이 약 28~40㎜이고,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섬도 2.5데니어, 섬유장이 약 22~32㎜이다.
상기 단섬유를 핀간격이 8.3㎜이고 4개의 롤러로 형성된 개섬기를 이용하여 개섬하였으며, 풍압 140 mmAq, 풍량 50㎥/min의 풍력으로 혼섬하여 단섬유를 분리시킨 후에 끝단이 굽은 핀이 다수 형성된 회전가능한 롤러와 단섬유를 이동시킬 수 있는 풍력장치가 형성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평균 직경이 4㎜인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제조하였다.
◎ 충전도 평가실험
1. 실험방법
충전도 평가 실험은 KS K 0820의 우모의 시험방법을 통해 충전도를 측정한 것으로 시료 당 5회의 평가실험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충전도(㎜) 115 103 52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 1,2는 충전도가 100㎜이상으로 비교예 52㎜ 매우 높은 수치를 갖고 있는 것으로 비교예보다 매우 우수한 충전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1의 충전도가 실시예2보다 높은 것으로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의 함량이 높을수록 충전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를 포함하여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로 형성되되,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고유점도가 0.83~1.40 dl/g의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0.46~0.80 dl/g인 저점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에 폴리올리핀계 섬유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가 50중량%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크림프 수가 5~10/inch이고, 크림프율이 2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섬도가 3~8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는 충전도가 10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의 평균직경이 3~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잠재권축형 복합섬유는 광발열 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온재.
KR1020180135292A 2018-11-06 2018-11-06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KR20200052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292A KR20200052107A (ko) 2018-11-06 2018-11-06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292A KR20200052107A (ko) 2018-11-06 2018-11-06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107A true KR20200052107A (ko) 2020-05-14

Family

ID=7073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292A KR20200052107A (ko) 2018-11-06 2018-11-06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21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147A (ko) *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휴비스 두 종류의 중공복합사를 포함한 벌키성을 가지는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147A (ko) *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휴비스 두 종류의 중공복합사를 포함한 벌키성을 가지는 복원력 및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6212B (zh) 一种保暖絮片的制造方法
CN106367836B (zh) 一种中空生物质石墨烯聚酯纤维的制造方法
EP3247826B1 (en) Migration resistant batting with stretch and methods of making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CN103132177B (zh) 一种纳米碳化锆感应蓄热保温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
CN101718024A (zh) 保暖絮片及其制造方法
EP3346035B1 (en) Blended padding
CN101481851A (zh) 保暖絮片及其制造方法
CN101671858A (zh) 椰碳纤维的制造方法
CN111155201B (zh) 一种聚丙烯腈/碳纳米管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926062A (zh) 一种自卷曲复合长丝及其加工工艺
KR101758876B1 (ko) 충전재용 볼화이버의 제조방법 및 그 볼화이버
KR20200052107A (ko) 충전도가 우수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CN107354590A (zh) 球状的光发热纤维集合体的制备方法
CN1160494C (zh) 保暖棉的制造方法及由其制成的保暖棉
CN105034467A (zh) 一种涂胶植绒式高弹阻燃保暖片状材料及其制造方法
KR101828548B1 (ko) 직경이 균일한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CN114481437A (zh) 一种聚乳酸纤维和蚕丝直立绵絮片及其制备方法
CN109228570B (zh) 一种保暖喷胶棉及其制备方法和服饰
US20190360137A1 (en) Insulation with reactive flaps
CN112127048A (zh) 一种吸湿发热科技棉及其制备工艺
US11214900B2 (en) Ball-shaped photoheating fiber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586539B1 (ko) 천연섬유 질감을 갖는 중공형 잠재권축성 폴리에스터 섬유
CN104842596B (zh) 一种涂胶植绒式高弹保暖片状材料及其制造方法
KR101848076B1 (ko) 낮은 밀도를 갖는 볼 형태를 갖는 섬유집합체
KR102156366B1 (ko) 2개의 중공을 갖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중공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집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