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038B1 -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038B1
KR101848038B1 KR1020170064327A KR20170064327A KR101848038B1 KR 101848038 B1 KR101848038 B1 KR 101848038B1 KR 1020170064327 A KR1020170064327 A KR 1020170064327A KR 20170064327 A KR20170064327 A KR 20170064327A KR 101848038 B1 KR101848038 B1 KR 101848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photoinitiator
methacrylate
film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용
박윤준
오제현
Original Assignee
(주)티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엠에스 filed Critical (주)티엠에스
Priority to KR102017006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52Amides or imides
    • C08F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97Phosphine ox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광 후경화형 필름은, 사용자가 피착물에 부착한 후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기 전까지는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또한 광을 조사한 이후에는 경화가 진행됨과 동시에 피착물과의 접합이 완료되어 곡면의 피착물의 접합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ation of photo post-cure type film}
본 발명은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광 후경화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빛이 발생하는 패널과 프레임 또는 전면 글래스와의 접합을 위하여 OCA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이 사용되고 있다. OCA 필름이 사용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패널과 프레임(또는 전면 글래스) 사이에 OCA 필름을 적층한 후 압착하고, 필요에 따라 OCA 필름을 경화하여 패널과 프레임을 접합하는 방식이다.
최근 OCA 필름은 점착성 및 투명성 외에도, 내구성이 요구되는 전자 제품 등의 보호를 위하여 물리적 충격을 견딜 수 있는 기계적 특성이 추가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OCA 필름의 성분은 열경화 또는 광경화가 가능한 소재를 경화시킨 소재를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경화에 의하여 소재의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나, 딱딱한 성질로 인하여 곡면의 피착물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OCA 필름은 평면형으로 제조되고 딱딱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곡면부 접합에는 OCA 필름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기계적 특성과 유연성이 서로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에 있어, 이를 동시에 충족하는 OCA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필름을 사용하기 전까지 완벽한 경화를 진행시키지 않아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곡면부의 피착물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피착물에 부착 이후에 경화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계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필름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피착물에 부착 이후에 열경화가 아닌 광경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피착물에 가해질 수 있는 불필요한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광 후경화형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제1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시럽에 제2 광개시제, 및 제3 광개시제를 혼합하고, 이형 라이너에 도포하는 단계; 및
4) 상기 이형 라이너에 도포된 시럽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 후경화형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광 후경화형 필름'이란, 사용자가 피착물에 부착한 후,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킴과 동시에 피착물과의 접합을 완료할 수 있는 필름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빛이 발생하는 패널과 프레임 또는 전면 글래스와의 점착을 위하여 OCA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OCA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위하여 열경화 또는 광경화가 가능한 소재를 경화시킨 소재를 사용한다. 그러나, OCA 필름은 평면형으로 제조되고 딱딱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곡면부 접합에는 OCA 필름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피착물에 부착한 후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기 전까지는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또한 광을 조사한 이후에는 경화가 진행되어 접합을 완료함과 동시에 딱딱한 성질을 가지는 광 후경화형 필름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곡면의 피착물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 별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제1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후경화형 필름을 구성하는 소재 및 후술할 단계 2의 자외선 반응을 위한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모두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어, 광개시제의 존재 하에 자외선 조사로 경화가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화학 구조에 의하여 경화의 진행 정도가 상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화의 진행 정도가 상이한 것에 기인하여, 후술할 단계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시에는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경화를 최대한 억제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광 후경화형 필름을 경화할 때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경화가 진행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4971208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O-R2, 또는 -N(R3)(R4)이고,
R2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이드록시로 치환된 C1-20 알킬, 또는 이소보닐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20 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또는 N-디메틸 아크릴아미드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아미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4종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49712083-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는 C1-20 알킬, 또는 벤질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벤질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또한,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론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화학식 1과 화학식 2의 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이중 결합은 메틸 치환기가 없는 반면에,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이중 결합은 메틸 치환기가 있어, 입체 장애(steric hindrance)로 인하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경화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시에는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경화를 최대한 억제하여, 사용자가 광 후경화형 필름을 경화할 때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경화가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량비는 80~90 : 1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광개시제는, 후술할 단계 2의 자외선 반응을 위하여 혼합된다. 상기 제1 광개시제로는 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아세토페논, 또는 하이드록시 디메틸 아세토페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개시제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총 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후술할 단계 3과 같이 이형 라이너에 도포할 수 있는 시럽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일부가 반응하여 올리고머가 제조되어 어느 정도 점성이 있는 시럽이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조사는 300 내지 450 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는, 상기 자외선 조사로 인하여 혼합물의 온도가 50 내지 70℃ 상승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범위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일부가 반응하여 올리고머가 제조되고, 또한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반응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는 질소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질소 분위기에서 반응계에 산소를 모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럽에 제2 광개시제 , 및 제3 광개시제를 혼합하고, 이형 라이너에 도포하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시럽에, 제2 광개시제, 및 제3 광개시제를 혼합하고, 이형 라이너에 도포하여, 후술할 단계 4의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광개시제는,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시럽에 포함된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올리고머의 가교 반응을 위한 것이다. 후술할 단계 4의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상기 제2 광개시제가 반응하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올리고머의 가교 반응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가교 반응을 위하여, 제1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3 광개시제는, 후술할 단계 4의 자외선 조사에서는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광 후경화형 필름을 사용자가 피착물에 부착한 이후, 광 조사할 때 상기 제3 광개시제가 반응하여 상기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반응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반응을 위하여, 제2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 광개시제와 제3 광개시제는, 자외선 조사 조건에 따라 반응 정도가 상이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2 광개시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벤조인 메틸 에테르, 또는 벤조인 에틸 에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광개시제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3 광개시제는 4-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5-디메틸벤조페논, 3,4-디메틸벤조페논, 2-메틸벤조페논, 또는 3-메틸벤조페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광개시제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교제와 제2 가교제 또한, 자외선 조사 조건에 따라 반응 정도가 상이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1 가교제는 1,4-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교제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교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교제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개시제는, 상기 시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0.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광개시제는, 상기 시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가교제와 상기 제2 가교제는, 이를 포함할 경우, 상기 시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포량을 조절함으로써, 광 후경화형 필름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형 라이너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광 후경화형 필름이 점착성을 가지고 있어, 제조, 유통 및 보관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광 후경화형 필름의 사용시 이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름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이형 라이너에 도포된 시럽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 후경화형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4)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이형 라이너에 도포된 시럽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 후경화형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형 라이너에 도포된 시럽에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올리고머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2 광개시제가 자외선에 의하여 반응하여, 상기 올리고머의 가교 반응이 진행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광개시제는 자외선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며, 또한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도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조사는 300 내지 450 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량은 1000 내지 3000 mJ/cm2로 조사한다. 상기의 조건에서, 제2 광개시제가 자외선에 의하여 반응하여, 상기 올리고머의 가교 반응이 진행되고, 또한 제3 광개시제는 자외선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며, 또한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도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단계 4에 의하여 제조된 광 후경화형 필름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제3 광개시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광 후경화형 필름을 피착물에 부착한 후에,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상기 물질의 반응을 유도하여 후 경화가 가능하다.
후경화형 필름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광 후경화형 필름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주성분이므로, 전체적으로 투명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광 투과가 필요한 부품, 예컨대 휴대 전화의 액정 등의 접합용 필름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 후경화형 필름은 점착성과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면 형태는 물론 곡면과 같은 피착물에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특히, 피착물에 부착한 이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반응을 이용한 경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피착물에 부착 이후에 열경화가 아닌 광경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피착물에 가해질 수 있는 불필요한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조사는 300 내지 450 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량은 1000 내지 3000 mJ/cm2로 조사한다.
한편, 상기 광 후경화형 필름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가능하며, 일례로 25 ㎛ 내지 5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형 라이너를 추가로 포함하여, 광 후경화형 필름의 양면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광 후경화형 필름은, 사용자가 피착물에 부착한 후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기 전까지는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또한 광을 조사한 이후에는 경화가 진행되어 곡면의 피착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럽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중량부)으로 시럽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 나타난 성분 중 제1 광개시제를 제외한 나머지를 먼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제1 광개시제를 첨가한 후 질소 가스를 주입하면서 중합계 내의 산소를 모두 제거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였다(BL lamp, 300 내지 450 nm wavelength). 자외선 조사에 따라 혼합물의 온도가 상승하였으며, 하기 표 1에 기재된 온도만큼 상승하였을 때 자외선 조사를 종료하여, 시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2-Ethylhexyl acrylate 45 45 50 60
2-hydroxyethyl acrylate 15 - - 15
4-hydroxybutyl acrylate - 15 10 5
Isobornyl acrylate 15 20 25 10
Acrylamide 5 5 5 -
Methyl methacrylate 10 - - 5
Lauryl methacrylate 10 15 10 5
Hydroxy cyclohexyl phenyl ketone
(제 1광개시제)
0.1 0.05 0.1 0.05
반응 온도(ΔT, ℃) 60 50 70 55
2)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한 시럽에, 하기 표 2의 성분과 함량(중량부)을 첨가 및 교반하고, 이형라이너에 도포한 후 자외선(BL lamp, 365 nm wavelength)을 하기 표 2의 조사량으로 조사하여 광중합 및 가교 반응 진행하여, 광 후경화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시럽 100 100 100 100
2,4,6-Trimethylbenzoyl-diphenyl phosphine oxide 0.05 0.05 0.1 -
4-hydroxybenzophenone - 0.5 - 1.5
2-methylbenzophenone 1 - 1 -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 0.2 - 0.15
1,4-hexanediol diacrylate 0.1 - 0.1 -
UV 조사량(mJ/cm2) 2500 2000 1500 2000
실험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광 후경화형 필름, 및 이를 후경화한 필름에 대하여 아래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분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광 후경화형 필름을 '경화 전 필름'으로, 이를 후경화한 필름을 '경화 후 필름'으로 명명하였다.
경화 후 필름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광 후경화형 필름을 피착물에 라미네이션한 후 Autoclave 과정을 통하여 압착하였다. 이어, 1000 mJ/cm2의 자외선(Metal halide UV lamp, 365 nm wavelength)을 조사하여 2차 가교반응을 진행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경화 전 필름과 경화 후 필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1) Storage modulus 측정: 각 필름을 8 mm의 원형 샘플로 잘라내고, 레오미터(Rheometer, TA instrument사의 Discovery HR-2)의 geometry에 샘플을 부착한 후, 1N의 힘으로 샘플을 압착시켰다. 이를 -25℃까지 냉각시킨 후, 5℃/min의 승온 속도로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100℃까지의 storage modulus를 측정하였다.
2) 180° 박리강도(peel strength) 측정: 각 필름을 25 mm의 폭으로 잘라내고, 측정 반대면에 25 ㎛ 두께의 PET 필름을 부착하였다. Glass 피착제에 Auto-clave를 사용하여 일정한 온도, 압력을 일정한 시간(50℃, 7 kgf, 15분) 동안 가하여 압착시킨 후 30분이 경과하면, 이를 만능재료 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AMETEK company의 LR5K plus)를 이용하여 300 mm/min의 속도로 180° 박리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3) Creep test: 각 필름을 8 mm의 원형 샘플로 잘라내고, 레오미터(Rheometer, TA instrument사의 Discovery HR-2)의 geometry에 샘플을 부착한 후, 1N의 힘으로 샘플을 압착시켰다. 이를 50℃로 가열시킨 후, 100 μN·m의 힘을 일정하게 가하면서 샘플의 변형률(strain %)를 측정하였다.
4) 인장강도 및 신율 측정: 각 필름을 20 mm × 60 mm의 크기로 잘라내고, 실제 변형이 일어나는 측정부가 20 mm × 20 mm의 크기가 되도록 필름의 양끝을 만능재료 시험기에 물린 후, 300 mm/min의 속도로 잡아당겨 인장강도 및 신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Storage modulus (MPa, 25℃)
(경화 전 필름)
0.17 0.16 0.16 0.14
Peel strength (gf/25 mm) Over 2,200 Over 2,500 Over 2,400 Over 2,200
Creep test (strain %)
(경화 전 필름 / 경화 후 필름)
16.0 / 10.0 24.0 / 12.0 22.0 / 11.0 27.0 / 13.0
Elongation (%)
(경화 전 필름 / 경화 후 필름)
950 / 800 1100 / 800 1050 / 750 1200 / 900

Claims (12)

1)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제1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시럽에 제2 광개시제, 및 제3 광개시제를 혼합하고, 이형 라이너에 도포하는 단계; 및
4) 상기 이형 라이너에 도포된 시럽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 후경화형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량비는 80~90 : 10~20이고,
상기 제2 광개시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인,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7049712083-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O-R2, 또는 -N(R3)(R4)이고,
R2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이드록시로 치환된 C1-20 알킬, 또는 이소보닐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20 알킬이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및 N-디메틸 아크릴아미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제조 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17049712083-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R'는 C1-20 알킬, 또는 벤질이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벤질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제조 방법.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제1 광개시제는 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아세토페논, 또는 하이드록시 디메틸 아세토페논인,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자외선 조사는, 자외선 조사로 인하여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50 내지 70℃ 상승할 때까지 수행하는,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광개시제는 4-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5-디메틸벤조페논, 3,4-디메틸벤조페논, 2-메틸벤조페논, 또는 3-메틸벤조페논인,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시럽에 제1 가교제, 또는 제2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교제는 1,4-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제2 가교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인,
제조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의 자외선 조사량은 1000 내지 3000 mJ/cm2인,
제조 방법.
KR1020170064327A 2017-05-24 2017-05-24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848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327A KR101848038B1 (ko) 2017-05-24 2017-05-24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327A KR101848038B1 (ko) 2017-05-24 2017-05-24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038B1 true KR101848038B1 (ko) 2018-04-11

Family

ID=6197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327A KR101848038B1 (ko) 2017-05-24 2017-05-24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03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624B1 (ko)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폰의 모듈 조립 방법
KR101660056B1 (ko) 부재의 가고정·박리 방법 및 그에 적합한 가고정용 접착제
KR101443550B1 (ko)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201920558A (zh) 補強膜
TWI829805B (zh) 黏著片材及其製造方法、以及圖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CN102574951B (zh) (甲基)丙烯酸系树脂组合物
WO2007004620A1 (ja) 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部材の仮固定方法
KR101932489B1 (ko) 광경화성 점접착제 조성물, 점접착 필름 및 점접착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596212B1 (ko) 광학투명접착제 제거용 점착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광학투명접착제 제거방법
WO2006100788A1 (ja) 接着性の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部材の仮固定方法
TW201423207A (zh) 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CN111171751B (zh) 一种uv减粘膜及其制备方法
JP5350056B2 (ja) 光硬化型易解体性接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解体方法
KR20230074064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가고정재, 및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CN118185501A (zh) 粘接性树脂层以及粘接性树脂膜
TW201431700A (zh) 附黏著層之透明面材、積層體、顯示裝置、及其等之製造方法
KR20180004241A (ko)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KR101983296B1 (ko)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2014105216A (ja) 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部材の仮固定方法
JP4170861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2015157451A (ja) 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および粘着層付き透明面材
KR102024080B1 (ko) 자외선 경화형 광학용 접착제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의 제조 방법
KR101848038B1 (ko) 광 후경화형 필름의 제조 방법
JP7278967B2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
KR102384923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제조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