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404B1 -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 Google Patents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404B1
KR101847404B1 KR1020160010363A KR20160010363A KR101847404B1 KR 101847404 B1 KR101847404 B1 KR 101847404B1 KR 1020160010363 A KR1020160010363 A KR 1020160010363A KR 20160010363 A KR20160010363 A KR 20160010363A KR 101847404 B1 KR101847404 B1 KR 10184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electric wire
worm wheel
wire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733A (ko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주) 진흥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진흥이엔지 filed Critical (주) 진흥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10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4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and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 H02G1/123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and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using a swivelling cutting element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릴부;와, 상기 드릴부와 연결되어 상기 드릴부의 회전력을 박피수단으로 전달하는 전달수단;과, 상기 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전달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전선의 피복을 박피시키는 박피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드릴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박피수단을 통해 전선의 피박을 자동으로 절개하고 뜯어내어 전선의 피복을 박피할 수 있어 종래에 작업자의 인위적인 실수로 인한 심선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광범위한 정전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정밀하고 정확한 박피를 통해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 박피를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시공 능률은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는 절감하여 우수한 작업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착수단을 통해 실질적으로 전선의 피복을 박피하는 칼날수단을 바디로부터 간편히 탈착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크기의 결속공을 갖는 칼날수단 다수를 준비하여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의 두께에 따라 적합한 크기의 결속공을 갖는 칼날수단을 바디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간편히 다양한 두께의 전선을 용이하게 박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Automatic striper for insulating wire}
본 발명은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박피수단을 통해 전선의 피박을 자동으로 절개하고 뜯어내어 전선의 피복을 박피할 수 있어 종래에 작업자의 인위적인 실수로 인한 심선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광범위한 정전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정밀하고 정확한 박피를 통해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 박피를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시공 능률은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는 절감하여 우수한 작업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전선에는 가정이나 산업시설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고압의 전원이 흐르게 되는데,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일상생활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각종 산업시설의 기계장치들이 정지되어 많은 재산상의 손실이 발생되기 때문에 부득한 사정이 아닌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선인류개소 상호간을 연결해주기 위한 점퍼선이나 분기선을 고압전선과 연결하는 작업 등과 같은 상황으로 인해 전선의 피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전원이 흐르는 상태, 즉 활선성태에서 전선의 피박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전공칼 등을 통해 작업자가 수동으로 피복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작업자의 인위적인 실수로 심선표면의 긁힘 현상으로 전선단선이 유도되어 광범위한 정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공칼을 들고 전선 피박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동선 반경이 커서 고압전선과 인접한 충전선로나 완철 등과 충돌되어 전기적인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업하는 경우에는 전선 피박을 수행하는데 장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는데, 특히 겨울철에는 전선 피복부위가 굳어서(표면이 딱딱해서) 전선의 피박 작업이 곤란하여 더욱 많은 작업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드릴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박피수단을 통해 전선의 피박을 자동으로 절개하고 뜯어내어 전선의 피복을 박피할 수 있어 종래에 작업자의 인위적인 실수로 인한 심선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광범위한 정전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정밀하고 정확한 박피를 통해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 박피를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시공 능률은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는 절감하여 우수한 작업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탈착수단을 통해 실질적으로 전선의 피복을 박피하는 칼날수단을 바디로부터 간편히 탈착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크기의 결속공을 갖는 칼날수단 다수를 준비하여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의 두께에 따라 적합한 크기의 결속공을 갖는 칼날수단을 바디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간편히 다양한 두께의 전선을 용이하게 박피할 수 있는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릴부;와, 상기 드릴부와 연결되어 상기 드릴부의 회전력을 박피수단으로 전달하는 전달수단;과, 상기 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전달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전선의 피복을 박피시키는 박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달수단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웜과, 모터가 내장되는 상기 드릴부의 축과 상기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드릴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커플링과, 상기 웜과 치합되어 상기 웜과 함께 회전하되, 상기 박피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박피수단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웜 휠과, 상기 회전축과 웜 휠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드릴부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회전축과 함께 상기 웜이 회전하면 상기 웜과 치합되는 상기 웜 휠이 회전하면서 상기 웜 휠과 연결되는 상기 박피수단이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박피수단은 상기 웜 휠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웜 휠과 결합되어 상기 웜 휠과 함께 회전하되, 내부 중심은 상기 관통구멍과 연통되게 안치구멍이 형성되어 내부에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이 용이하게 관통 안치되도록 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및 웜 휠 내부에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을 안치하기 위해 상기 바디 및 웜 휠 내부를 개방시키는 개폐수단과, 상기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바디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바디의 안치구멍에 안치된 전선의 피복을 절개하여 뜯어내 박피하는 칼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웜 휠을 상부 휠과 하부 휠로 구분하고, 상기 바디를 상부바디와 하부바디로 구분하되, 상기 상부 휠은 상기 상부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하부 휠은 상기 하부바디와 결합되게 구성하며,
상기 상부바디의 일단과 상기 하부바디의 일단 또는 상기 하부바디와 결합되는 상기 하부 휠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휠과 결합되는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 휠과 결합되는 상기 하부바디를 서로 연결하되,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과, 상기 하부바디의 타단에 위치되는 결속봉과, 상기 상부바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되, 일 끝단은 상기 결속봉에 결속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되는 잠금쇠와, 상기 잠금쇠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잠금쇠의 고리가 상기 결속봉에 견고히 결속 고정되도록 하는 결속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바디 내부에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을 배치하기 위해 상기 바디 내부의 개방이 요구되면, 상기 잠금쇠를 강제 회동시켜 상기 잠금쇠를 통한 상기 결속봉의 결속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를 벌리면 상기 연결핀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가 회동되어 상기 바디 내부가 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웜 휠의 양 측면 가장자리 부근에는 환형의 회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양면에는 상기 회전홈에 내입되는 반원 형상의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웜 휠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웜 휠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칼날수단은 상기 상부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바디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바디와 함께 회전하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는 전선이 안치되도록 소정의 직경을 갖는 결속공이 형성되어 내부에 전선을 결속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되, 일단에는 상기 몸체의 결속공에 결속되는 전선의 피복을 절개하는 날이 형성되는 칼날부와, 상기 칼날부가 몸체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의 결속공에 결속된 전선의 피복이 상기 칼날부의 날에 절개되는 과정에서 상기 날과 전선 피복의 마찰로 인해 상기 날이 밀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칼날부에 의해 절개되는 피복 부분을 걸어 당겨 절개된 피복 부분이 뜯어져 박피되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칼날부의 타단과 상기 지지돌기 끝단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가 핀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구성하고,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의 타단을 상기 결속공 안쪽으로 탄력적으로 밀어내는 밀착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몸체 내부에 전선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칼날부의 타단이 전선에 밀려 결속공 바깥쪽으로 이송되어 상기 몸체의 결속공에 전선이 용이하게 결속 안착되게 하고, 상기 몸체가 회전되면 상기 밀착스프링이 밀어내는 힘(탄력)에 의해 상기 칼날부의 타단이 상기 결속공의 안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전선의 피복 내부로 파고들어 피복을 용이하게 절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칼날수단을 상기 바디에 용이하게 탈착하도록 하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상부 및 하부바디 각각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탈착공과, 상기 탈착공을 관통하여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바디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의 안쪽에 위치되되, 타단에는 고정턱이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탈착공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바깥쪽으로 밀리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탈착스프링과, 상기 상부 및 하부몸체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기가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끝단은 개방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용이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바디에 상기 몸체를 설치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돌기의 일단을 눌러 가압하여 상기 고정돌기의 타단을 상기 결속공 안쪽으로 밀어내어 노출시킨 후, 상기 몸체를 상기 바디 내부로 밀어 넣되 상기 몸체의 탈착홈에 상기 고정돌기가 내입되도록 밀어 넣은 후에 상기 고정돌기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탈착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상기 고정돌기의 타단이 상기 결속공 바깥쪽으로 복귀되면서 상기 고정돌기의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턱에 상기 몸체가 가압되어 상기 바디에 몸체가 견고히 결속 고정되며,
반대로,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몸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시 상기 고정돌기의 일단을 눌러 가압하여 상기 고정돌기의 타단을 안쪽으로 이송시켜 상기 고정돌기의 타단에 가압된 상기 몸체의 결속을 해제한 후에, 상기 몸체를 들어올려 간편히 상기 몸체를 상기 바디로부터 분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에 의하면, 드릴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박피수단을 통해 전선의 피박을 자동으로 절개하고 뜯어내어 전선의 피복을 박피할 수 있어 종래에 작업자의 인위적인 실수로 인한 심선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광범위한 정전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정밀하고 정확한 박피를 통해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 박피를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시공 능률은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는 절감하여 우수한 작업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착수단을 통해 실질적으로 전선의 피복을 박피하는 칼날수단을 바디로부터 간편히 탈착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크기의 결속공을 갖는 칼날수단 다수를 준비하여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의 두께에 따라 적합한 크기의 결속공을 갖는 칼날수단을 바디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간편히 다양한 두께의 전선을 용이하게 박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의 B-B 단면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1000)는 드릴부(100)와, 전달수단(200)과, 박피수단(30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릴부(100)는 내부에 전기가 공급되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터(110)가 내장되어 전체적으로 건 형태로 제작되어 회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나, 유압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조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수단(200)은 상기 드릴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드릴부(100)의 회전력을 후설될 상기 박피수단(30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는 웜(220)과, 모터(110)가 내장되는 상기 드릴부(100)의 축(111)과 상기 회전축(210)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드릴부(10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210)으로 전달하는 커플링(230)과, 상기 웜(220)과 치합되어 상기 웜(220)과 함께 회전하되, 상기 박피수단(300)과 연결되어 상기 박피수단(300)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웜 휠(240)과, 상기 회전축(210)과 웜 휠(240)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스(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릴부(10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상기 웜(220)이 회전하면 상기 웜(220)과 치합되는 상기 웜 휠(240)이 회전하면서 상기 웜 휠(240)과 연결되는 상기 박피수단(300)이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230)이나 케이스(250)는 절연체로 제작하거나, 표면에 절연체를 코팅하여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예방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피수단(300)은 상기 전달수단(200)과 연결되어 상기 전달수단(200)으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전선(1)의 피복을 박피시키는 것으로,
상기 웜 휠(240)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멍(310)과, 상기 웜 휠(240)과 결합되어 상기 웜 휠(240)과 함께 회전하되, 내부 중심은 상기 관통구멍(310)과 연통되게 안치구멍(323)이 형성되어 내부에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1)이 용이하게 관통 안치되도록 하는 바디(320)와, 상기 바디(320) 및 웜 휠(240) 내부에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1)을 안치하기 위해 상기 바디(320) 및 웜 휠(240) 내부를 개방시키는 개폐수단(330)과, 상기 바디(320)와 결합되어 상기 바디(320)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바디(320)의 안치구멍(323)에 안치된 전선(1)의 피복을 절개하여 뜯어내 박피하는 칼날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박피수단(300)을 통해 전선(1)을 박피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330)을 통해 상기 바디(320)와 웜 휠(240)의 내부를 개방한 후에 전선(1)을 상기 바디(320)와 웜 휠(240) 내부에 안치한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기 바디(320)와 웜 휠(240)을 상기 개폐수단(330)을 통해 다시 폐쇄한 상태에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320)와 함께 상기 칼날수단(340)을 회전시켜 상기 바디(320)와 웜 휠(240) 내부에 안치된 전선(1)의 피복이 자동으로 간편히 박피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330)은 상기 웜 휠(240)을 상부 휠(241)과 하부 휠(242)로 구분하고, 상기 바디(320)를 상부바디(321)와 하부바디(322)로 구분하되, 상기 상부 휠(241)은 상기 상부바디(321)와 결합되고, 상기 하부 휠(242)은 상기 하부바디(322)와 결합되게 구성하며,
상기 상부바디(321)의 일단과 상기 하부바디(322)의 일단 또는 상기 하부바디(322)와 결합되는 상기 하부 휠(242)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휠(241)과 결합되는 상부바디(321)와 상기 하부 휠(242)과 결합되는 상기 하부바디(322)를 서로 연결하되,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331)과, 상기 하부바디(322)의 타단에 위치되는 결속봉(332)과, 상기 상부바디(32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핀(2) 결합되되, 일 끝단은 상기 결속봉(332)에 결속될 수 있도록 고리(333a)가 형성되는 잠금쇠(333)와, 상기 잠금쇠(333)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잠금쇠(333)의 고리(333a)가 상기 결속봉(332)에 견고히 결속 고정되도록 하는 결속스프링(3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320) 내부에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1)을 배치하기 위해 상기 바디(320) 내부의 개방이 요구되면, 상기 잠금쇠(333)를 강제 회동시켜 상기 잠금쇠(333)를 통한 상기 결속봉(332)의 결속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320)를 벌리면 상기 연결핀(331)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바디(321)와 하부바디(322)가 회동되어 상기 바디(320) 내부가 개방되도록 하고,
반대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320) 내부의 폐쇄가 요구되면, 벌어진 상기 상부바디(321)와 하부바디(322)를 오므려 닫은 상태에서 상기 잠금쇠(333)의 고리(333a)가 상기 결속봉(332)에 결속되게 하여 간편히 상기 바디(320) 내부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때, 상가 잠금쇠(333)의 고리(333a)는 상기 결속스프링(334)의 탄력에 지지되어 상기 결속봉(332)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므로, 상기 잠금쇠(333)에 의해 상기 바디(320)의 내부가 견고히 결속 폐쇄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330)을 통해 상기 바디(320)가 개방되면 상기 바디(320)와 결합되는 상기 웜 휠(240)의 내부 역시 함께 개방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웜 휠(240)의 양 측면 가장자리 부근에는 환형의 회전홈(243)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250)의 내측 양면에는 상기 회전홈(243)에 내입되는 반원 형상의 회전돌기(251)를 형성하여, 상기 웜 휠(24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웜 휠(24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수단(340)은 상기 상부바디(321)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바디(321)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몸체(341a)와, 상기 하부바디(322)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바디(322)와 함께 회전하는 하부몸체(341b)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상기 바디(320)를 관통하는 전선(1)이 안치 결속되도록 소정의 직경(D)을 갖는 결속공(341c)이 형성되어 내부에 전선(1)을 결속하는 몸체(341)와, 상기 몸체(341)에 회동 가능하게 핀(2) 결합되되, 일단에는 상기 몸체(341)의 결속공(341c)에 결속되는 전선(1)의 피복을 절개하는 날(342a)이 형성되는 칼날부(342)와, 상기 칼날부(342)가 몸체(341)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341)의 결속공(341c)에 결속된 전선(1)의 피복이 상기 칼날부(342)의 날(342a)에 절개되는 과정에서 상기 날(342a)과 전선(1) 피복의 마찰로 인해 상기 날(342a)이 밀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341)에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342)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343)와, 상기 몸체(341)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341)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칼날부(342)에 의해 절개되는 피복 부분을 걸어 당겨 절개된 피복 부분이 뜯어져 박피되도록 하는 걸림턱(344)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즉, 도 5b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수단(340)의 몸체(341)는 상기 바디(320)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수단(330)을 통해 상기 바디(320)와 함께 벌어져 개방되고 오므려져 폐쇄되면서 상기 몸체(341) 내부의 결속공(341c)에 전선(1)이 결속 고정되는데,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상기 몸체(341)는 상기 바디(320)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341)에 형성되는 상기 칼날부(342)의 날(342a)이 전선(1)의 피복을 파고들어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의 피복은 상기 걸림턱(344)에 유입되어 걸리면서 상기 몸체(341)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걸림턱(344)에 뜯겨지면서 전선(1)의 피복이 박피된다.
여기서, 상기 칼날부(342)의 날(342a)은 전선(1)의 피복에 쉽게 파고들어갈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상기 칼날부(342)의 날(342a)은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날(342a)에 의해 피복이 나선형을 절개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부(342)의 타단과 상기 지지돌기(343) 끝단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342)가 핀(2)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구성하고,
상기 몸체(341)에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342)의 타단을 상기 결속공(341c) 안쪽으로 탄력적으로 밀어내는 밀착스프링(345);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41) 내부에 전선(1)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칼날부(342)의 타단이 전선(1)에 밀려 결속공(341c) 바깥쪽으로 이송되어 상기 몸체(341)의 결속공(341c)에 전선(1)이 용이하게 안착 결속되도록 하고,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41)가 회전되면 상기 밀착스프링(345)이 밀어내는 힘(탄력)에 의해 상기 칼날부(342) 타단의 날(342a)이 상기 결속공(341c)의 안쪽으로 이동되면서 전선(1)의 피복 내부로 파고들어 피복을 용이하게 절개하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수단(340)을 상기 바디(320)에 용이하게 탈착하도록 하는 탈착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탈착수단(400)은 상기 상부 및 하부바디(321,322) 각각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탈착공(410)과, 상기 탈착공(410)을 관통하여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바디(320)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320)의 안쪽에 위치되되, 타단에는 고정턱(421)이 형성되는 고정돌기(420)와, 상기 탈착공(410)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돌기(420)가 바깥쪽으로 밀리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탈착스프링(430)과, 상기 상부 및 하부몸체(341a,341b)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420)가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끝단은 개방되어 상기 고정돌기(420)가 용이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착홈(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320)에 상기 몸체(341)를 설치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바디(320)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돌기(420)의 일단을 눌러 가압하여 상기 고정돌기(420)의 타단을 상기 결속공(341c) 안쪽으로 밀어내어 노출시킨 후, 상기 몸체(341)를 상기 바디(320) 내부로 밀어 넣되 상기 몸체(341)의 탈착홈(440)에 상기 고정돌기(420)가 내입되도록 밀어 넣은 후에 상기 고정돌기(420)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탈착스프링(430)의 복원력으로 상기 고정돌기(420)의 타단이 상기 결속공(341c) 바깥쪽으로 복귀되면서 상기 고정돌기(420)의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턱(421)에 상기 몸체(341)가 가압되어 상기 바디(320)에 몸체(341)가 견고히 결속 고정되며,
반대로,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320)로부터 상기 몸체(341)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시 상기 고정돌기(420)의 일단을 눌러 가압하여 상기 고정돌기(420)의 타단을 안쪽으로 이송시켜 상기 고정돌기(420)의 타단에 가압된 상기 몸체(341)의 결속을 해제한 후에, 상기 몸체(341)를 들어올려 간편히 상기 몸체(341)를 상기 바디(320)로부터 분리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1000)는 상기 탈착수단(400)을 통해 실질적으로 전선(1)의 피복을 박피하는 상기 칼날수단(340)을 상기 바디(320)로부터 간편히 탈착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크기의 결속공(341c)을 갖는 상기 칼날수단(340) 다수를 준비하여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1)의 두께에 따라 적합한 크기의 결속공(341c)을 갖는 상기 칼날수단(340)을 상기 바디(32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간편히 다양한 두께의 전선(1)을 용이하게 박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1000)는 상기 드릴부(100)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상기 박피수단(300)을 통해 전선(1)의 피박을 자동으로 절개하고 뜯어내어 전선(1)의 피복을 박피할 수 있어 종래에 작업자의 인위적인 실수로 인한 심선손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광범위한 정전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정밀하고 정확한 박피를 통해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1) 박피를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시공 능률은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는 절감하여 우수한 작업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10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박피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1)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합한 크기의 결속공(341c)을 갖는 칼날수단(340)의 몸체(341)를 선별한 후, 탈착수단(400)을 통해 박피수단(300)의 바디(320)에 몸체(341)를 간편히 결속 고정한다.
그런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330)을 통해 바디(320) 및 상기 바디(320)와 연결되는 웜 휠(240) 및 몸체(341)의 내부를 개방한 후, 개방된 내부에 전선을 배치한다.
그런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330)을 통해 바디(320)와 웜 휠(240) 및 몸체(341)의 내부를 폐쇄하여 전선(1)을 안치 고정시켜 전선(1)의 박피를 준비한다.
그런 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부(100)를 작동시켜 상기 드릴부(100)의 회전력이 전달수단(200)을 통해 상기 박피수단(300)으로 전달되게 한다.
그러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피수단(300)의 바디(320)와 함께 상기 칼날수단(340)의 몸체(341)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341)에 형성되는 칼날부(342)를 통해 전선(1)의 피복이 절개되고, 그 절개된 부분의 피복은 걸림턱(344)에 의해 뜯겨져 간편히 박피되도록 한다.
이때, 원활한 박피를 위해 본 발명의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1000)를 일 방향으로 밀어 전선(1)의 피복이 용이하게 나선형으로 절개되면서 박피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선(1)의 박피가 완료되면,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릴부(100)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개폐수단(330)을 통해 상기 바디(320)와 웜 휠(240) 및 몸체(341)의 내부를 개방하여 박피된 전선(1)을 회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1000)를 재사용시 전선(1)의 두께로 인해 상기 칼날수단(340)의 교체가 요구되면,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수단(400)을 통해 상기 바디(320)로부터 상기 칼날수단(340)을 간편히 분리 회수하여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1) 두께에 적합한 다른 칼날수단(400)을 상기 바디(320)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전선 2. 핀
D. 직경
100. 드릴부 110. 모터
111. 축 200. 전달수단
210. 회전축 220. 웜
230. 커플링 240. 웜 휠
241. 상부 휠 242. 하부 휠
243. 회전홈 250. 케이스
251. 회전돌기 300. 박피수단
310. 관통구멍 320. 바디
321. 상부바디 322. 하부바디
323. 안치구멍 330. 개폐수단
331. 연결핀 332. 결속봉
333. 잠금쇠 333a. 고리
334. 결속스프링 340. 칼날수단
341. 몸체 341a. 상부몸체
341b. 하부몸체 341c. 결속공
342. 칼날부 342a. 날
343. 지지돌기 344. 걸림턱
345. 밀착스프링 400. 탈착수단
410. 탈착공 420. 고정돌기
421. 고정턱 430. 탈착스프링
440. 탈착홈
1000.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Claims (7)

  1.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릴부(100);
    상기 드릴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드릴부(100)의 회전력을 박피수단(300)으로 전달하는 전달수단(200); 및
    상기 전달수단(200)과 연결되어 상기 전달수단(200)으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전선(1)의 피복을 박피시키는 박피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달수단(200)은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는 웜(220)과, 모터(110)가 내장되는 상기 드릴부(100)의 축(111)과 상기 회전축(210)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드릴부(10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210)으로 전달하는 커플링(230)과, 상기 웜(220)과 치합되어 상기 웜(220)과 함께 회전하되, 상기 박피수단(300)과 연결되어 상기 박피수단(300)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웜 휠(240)과, 상기 회전축(210)과 웜 휠(240)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스(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드릴부(10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상기 웜(220)이 회전하면 상기 웜(220)과 치합되는 상기 웜 휠(240)이 회전하면서 상기 웜 휠(240)과 연결되는 상기 박피수단(300)이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박피수단(300)은 상기 웜 휠(240)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구멍(310)과, 상기 웜 휠(240)과 결합되어 상기 웜 휠(240)과 함께 회전하되, 내부 중심은 상기 관통구멍(310)과 연통되게 안치구멍(323)이 형성되어 내부에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1)이 용이하게 관통 안치되도록 하는 바디(320)와, 상기 바디(320) 및 웜 휠(240) 내부에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1)을 안치하기 위해 상기 바디(320) 및 웜 휠(240) 내부를 개방시키는 개폐수단(330)과, 상기 바디(320)와 결합되어 상기 바디(320)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바디(320)의 안치구멍(323)에 안치된 전선(1)의 피복을 절개하여 뜯어내 박피하는 칼날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수단(330)은 상기 웜 휠(240)을 상부 휠(241)과 하부 휠(242)로 구분하고, 상기 바디(320)를 상부바디(321)와 하부바디(322)로 구분하되, 상기 상부 휠(241)은 상기 상부바디(321)와 결합되고, 상기 하부 휠(242)은 상기 하부바디(322)와 결합되게 구성하며,
    상기 상부바디(321)의 일단과 상기 하부바디(322)의 일단 또는 상기 하부바디(322)와 결합되는 상기 하부 휠(242)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휠(241)과 결합되는 상부바디(321)와 상기 하부 휠(242)과 결합되는 상기 하부바디(322)를 서로 연결하되,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331)과, 상기 하부바디(322)의 타단에 위치되는 결속봉(332)과, 상기 상부바디(32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핀(2) 결합되되, 일 끝단은 상기 결속봉(332)에 결속될 수 있도록 고리(333a)가 형성되는 잠금쇠(333)와, 상기 잠금쇠(333)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잠금쇠(333)의 고리(333a)가 상기 결속봉(332)에 견고히 결속 고정되도록 하는 결속스프링(33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바디(320) 내부에 박피하고자 하는 전선(1)을 배치하기 위해 상기 바디(320) 내부의 개방이 요구되면, 상기 잠금쇠(333)를 강제 회동시켜 상기 잠금쇠(333)를 통한 상기 결속봉(332)의 결속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320)를 벌리면 상기 연결핀(331)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바디(321)와 하부바디(322)가 회동되어 상기 바디(320) 내부가 개방되도록 하되,
    상기 웜 휠(240)의 양 측면 가장자리 부근에는 환형의 회전홈(243)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50)의 내측 양면에는 상기 회전홈(243)에 내입되는 반원 형상의 회전돌기(251)가 형성되어, 상기 웜 휠(24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웜 휠(24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수단(340)은,
    상기 상부바디(321)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바디(321)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몸체(341a)와, 상기 하부바디(322)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바디(322)와 함께 회전하는 하부몸체(341b)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상기 바디(320)를 관통하는 전선(1)이 안치 결속되도록 소정의 직경을 갖는 결속공(341c)이 형성되어 내부에 전선(1)을 결속하는 몸체(341)와,
    상기 몸체(341)에 회동 가능하게 핀(2) 결합되되, 일단에는 상기 몸체(341)의 결속공(341c)에 결속되는 전선(1)의 피복을 절개하는 날(342a)이 형성되는 칼날부(342)와,
    상기 칼날부(342)가 몸체(341)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341)의 결속공(341c)에 결속된 전선(1)의 피복이 상기 칼날부(342)의 날(342a)에 절개되는 과정에서 상기 날(342a)과 전선(1) 피복의 마찰로 인해 상기 날(342a)이 밀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341)에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342)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343)와,
    상기 몸체(341)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341)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칼날부(342)에 의해 절개되는 피복 부분을 걸어 당겨 절개된 피복 부분이 뜯어져 박피되도록 하는 걸림턱(3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342)의 타단과 상기 지지돌기(343) 끝단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342)가 핀(2)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구성하고,
    상기 몸체(341)에 형성되어 상기 칼날부(342)의 타단을 상기 결속공(341c) 안쪽으로 탄력적으로 밀어내는 밀착스프링(345);을 더 포함하여,
    상기 몸체(341) 내부에 전선(1)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칼날부(342)의 타단이 전선(1)에 밀려 결속공(341c) 바깥쪽으로 이송되어 상기 몸체(341)의 결속공(341c)에 전선(1)이 용이하게 안착 결속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341)가 회전되면 상기 밀착스프링(345)이 밀어내는 힘(탄력)에 의해 상기 칼날부(342) 타단의 날(342a)이 상기 결속공(341c)의 안쪽으로 이동되면서 전선(1)의 피복 내부로 파고들어 피복을 용이하게 절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수단(340)을 상기 바디(320)에 용이하게 탈착하도록 하는 탈착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탈착수단(400)은,
    상기 상부 및 하부바디(321,322) 각각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탈착공(410)과,
    상기 탈착공(410)을 관통하여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바디(320)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320)의 안쪽에 위치되되, 타단에는 고정턱(421)이 형성되는 고정돌기(420)와,
    상기 탈착공(410)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돌기(420)가 바깥쪽으로 밀리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탈착스프링(430)과,
    상기 상부 및 하부몸체(341a,341b)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420)가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끝단은 개방되어 상기 고정돌기(420)가 용이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착홈(4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바디(320)에 상기 몸체(341)를 설치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바디(320)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돌기(420)의 일단을 눌러 가압하여 상기 고정돌기(420)의 타단을 상기 결속공(341c) 안쪽으로 밀어내어 노출시킨 후, 상기 몸체(341)를 상기 바디(320) 내부로 밀어 넣되 상기 몸체(341)의 탈착홈(440)에 상기 고정돌기(420)가 내입되도록 밀어 넣은 후에 상기 고정돌기(420)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탈착스프링(430)의 복원력으로 상기 고정돌기(420)의 타단이 상기 결속공(341c) 바깥쪽으로 복귀되면서 상기 고정돌기(420)의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턱(421)에 상기 몸체(341)가 가압되어 상기 바디(320)에 몸체(341)가 견고히 결속 고정되며,
    반대로, 상기 바디(320)로부터 상기 몸체(341)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시 상기 고정돌기(420)의 일단을 눌러 가압하여 상기 고정돌기(420)의 타단을 안쪽으로 이송시켜 상기 고정돌기(420)의 타단에 가압된 상기 몸체(341)의 결속을 해제한 후에, 상기 몸체(341)를 들어올려 간편히 상기 몸체(341)를 상기 바디(320)로부터 분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KR1020160010363A 2016-01-27 2016-01-27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KR10184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363A KR101847404B1 (ko) 2016-01-27 2016-01-27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363A KR101847404B1 (ko) 2016-01-27 2016-01-27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733A KR20170089733A (ko) 2017-08-04
KR101847404B1 true KR101847404B1 (ko) 2018-04-11

Family

ID=5965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363A KR101847404B1 (ko) 2016-01-27 2016-01-27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4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544A (ko) 2019-01-09 2020-07-17 (주) 진흥이엔지 절연전선용 간접 활선 박피기
US11276993B2 (en) 2018-06-20 2022-03-15 Anthony Sedlacek Cable-jacket removal to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4347B (zh) * 2017-10-24 2019-06-04 东莞胜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变压器互感器引线剪切机
CN108963886B (zh) * 2018-07-10 2024-05-03 苏州瑞得恩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套筒及加工工艺
KR20210158249A (ko) 2020-06-23 2021-12-30 김진석 스마트폰에서 은행거래 문자메시지 인식을 통한 결재 서비스 방법
KR102539491B1 (ko) * 2021-01-26 2023-06-02 주식회사 케이씨엠텍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CN113285398A (zh) * 2021-05-10 2021-08-20 信达科创(唐山)石油设备有限公司 一种气动剥皮工具
CN115566598B (zh) * 2022-10-20 2024-02-02 金华送变电工程有限公司三为金东电力分公司 一种线缆绝缘层电动快速剥除装置
CN115970195B (zh) * 2022-12-01 2024-05-14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明光市供电公司 一种多功能电力施工用防火保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803B1 (ko) 2004-12-18 2005-07-20 손해주 전선 탈피기
JP2014230428A (ja) 2013-05-24 2014-12-08 株式会社関電工 電線被覆の皮剥工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線被覆の皮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803B1 (ko) 2004-12-18 2005-07-20 손해주 전선 탈피기
JP2014230428A (ja) 2013-05-24 2014-12-08 株式会社関電工 電線被覆の皮剥工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線被覆の皮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6993B2 (en) 2018-06-20 2022-03-15 Anthony Sedlacek Cable-jacket removal tool
US11705701B2 (en) 2018-06-20 2023-07-18 Anthony Sedlacek Cable-jacket removal tool
KR20200086544A (ko) 2019-01-09 2020-07-17 (주) 진흥이엔지 절연전선용 간접 활선 박피기
KR102237619B1 (ko) 2019-01-09 2021-04-23 (주) 진흥이엔지 절연전선용 간접 활선 박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733A (ko)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404B1 (ko) 절연전선용 활선 자동박피기
KR101912558B1 (ko)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SE444096B (sv) Borsthallaranordning for en elektrisk roterande maskin
KR200487806Y1 (ko) 박리용 공구
KR101963635B1 (ko)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GB2522996A (en) An underwater mechanical tool for a remotely operated vehicle
KR20130002518U (ko) 절연전선 활선 자동피박기
AU2019236735B2 (en) Coating stripping device and coating stripp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2165508A (ja) 電線被覆剥取器
CN213165462U (zh) 便于更换锁定的通用动力接口
CN111864470B (zh) 便于更换锁定的通用动力接口
KR102361048B1 (ko) 절연전선용 간접 자동 테이핑기
JP2018074716A (ja) 間接活線工事用切断工具
CN213064164U (zh) 便于更换锁定的通用接口
KR102290560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JPH03195313A (ja) 電線切断・接続装置
KR102237619B1 (ko) 절연전선용 간접 활선 박피기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CN209389588U (zh) 一种电缆剥皮钳
JP4272914B2 (ja) 電線補修用カバ−、及びその取付け方法
JP2011120722A (ja) 電気工事用多機能工具及びカバー
JP2017163794A (ja) 電線端部の処理方法および引留め端末の防護具。
JP2008136328A (ja) 皮剥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被覆電線の皮剥ぎ工法
JP5019947B2 (ja) 保護器具
CN1285638A (zh) 电线保护皮的剥离工具及其远距离剥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