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276B1 -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276B1
KR101847276B1 KR1020160090804A KR20160090804A KR101847276B1 KR 101847276 B1 KR101847276 B1 KR 101847276B1 KR 1020160090804 A KR1020160090804 A KR 1020160090804A KR 20160090804 A KR20160090804 A KR 20160090804A KR 101847276 B1 KR101847276 B1 KR 101847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hift
manual transmission
receiving hole
sh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198A (ko
Inventor
권오중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6009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2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에 관한 것으로, 양단이 변속기 케이스에 형성된 제1레일결합홈 및 제2레일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레일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주면에 쉬프트 포크가 장착되어 변속시 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형성되며 타측 단부의 내측에 축방향을 따라 수용홀이 형성된 제1레일, 일측 단부는 상기 제2레일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수용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 및 상기 제2레일을 탄성지지하도록 형성된 댐핑스프링을 포함하여 변속 시의 충격과 급정차 또는 급출발 시의 충격을 레일의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통하여 충격을 흡수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 {SHIFT RAIL OF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쉬프트 포크의 위치를 이동시켜 슬리브를 이동시킴으로써 변속을 일으키는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는 변속기 케이스(110) 내에 쉬프트 포크(120, shift fork)와 쉬프트 레일(130, shift rail)을 포함한다.
상기 쉬프트 레일(130)은 변속을 위해 1/2단, 3/4단, 5/후진단을 위해서 보통 3개가 구비되고(도 1에서는 2개만 표시), 각 쉬프트 레일(130) 각각에는 쉬프트 포크(120)가 고정되어 있다. 변속시 상기 쉬프트 레일(130)이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쉬프트 포크(120)의 위치를 이동시키며, 이렇게 함으로써 미도시된 슬리브가 이동되어 변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따른 변속조작기구는 상기 쉬프트 레일(130)의 과도한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구조 변속기 케이스(11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속기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쉬프트 레일(130)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쉬프트 레일(130)의 단부를 수용하는 스토퍼(100, stopper)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쉬프트 레일(130)의 단부는 변속시 상기 스토퍼(100)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며 변속기 케이스(100) 외측으로 과도하게 이동할 경우, 스토퍼(100)에 부딪치게 된다. 이때 충격으로 인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소음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변속 시에 쉬프트 포크(120)의 이동에 따라 반복된 충격을 받거나, 차량의 급정차 및 급출발 시에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비틀림 충격을 받아 쉬프트 레일이 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변속 시 가해지는 충격 및 급정차나 급출발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은 양단이 변속기 케이스에 형성된 제1레일결합홈 및 제2레일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레일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주면에 쉬프트 포크가 장착되어 변속시 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형성되며 타측 단부의 내측에 축방향을 따라 수용홀이 형성된 제1레일, 일측 단부는 상기 제2레일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수용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 및 상기 제2레일을 탄성지지하도록 형성된 댐핑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레일의 직경(R1)이 상기 제2레일의 직경(R2)보다 큰 것(R1>R2)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레일은 상기 제1결합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되고, 상기 제2레일은 상기 제2결합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레일은 상기 쉬프트 포크의 이동 시 상기 수용홀을 따라 축 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급정차 또는 급출발 시에 상기 수용홀의 내부에서 회전운동하여 비틀림 충격을 흡수하도록 직경(R2)의 크기가 상기 수용홀의 직경(Rh)의 크기와 같거나 작도록(R2≤Rh)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에 의하면, 변속 시의 충격과 급정차 또는 급출발 시의 충격을 레일의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통하여 충격을 흡수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은, 변속기 케이스(10), 제1레일(20), 제2레일(30) 및 댐핑스프링(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변속기 케이스(10)에 상기 제1레일(20) 및 상기 제2레일(30)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1레일(20) 및 상기 제2레일(30)은 상기 댐핑스프링(40)에 의하여 서로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변속기 케이스(10)는 제1레일결합홈(11) 및 제2레일결합홈(1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레일결합홈(11) 및 상기 제2레일결합홈(12)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레일결합홈(11) 및 상기 제2레일결합홈(12)의 사이에는 상기 제1레일(20), 상기 제2레일(30) 및 상기 댐핑스프링(4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레일결합홈(11)에는 상기 제1레일(20)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되고, 상기 제2레일결합홈(12)에는 상기 제2레일(30)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된다.
상기 제1레일(20)은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레일결합홈(11)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주면에 쉬프트 포크(도면 미기재)가 장착되며, 타측 단부의 내측에 축방향을 따라 수용홀(21)이 형성된다.
상기 제2레일(30)은 일측 단부는 상기 제2레일결합홈(12)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수용홀(21)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레일의 직경(R2)은 상기 제1레일(20)의 직경(R1)보다 작도록(R1>R2)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21)의 직경(Rh)의 크기와 같거나 작도록(R2≤Rh) 형성된다.
상기 댐핑스프링(40)은 상기 수용홀(21)에 안착되고, 상기 제2레일(30)과 접촉되어 상기 제1레일(20) 및 상기 제2레일(30)을 탄성지지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의 기능 및 효과를 설명하면, 상기 제1레일(20)은 상기 제1레일결합홈(11)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레일(30)은 상기 제2레일결합홈(12)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레일(20)의 내부에 상기 수용홀(21)을 형성하고, 상기 제2레일의 직경(R2)은 상기 제1레일(20)의 직경(R1)보다 작도록(R1>R2) 형성하며, 상기 제2레일(30)의 직경(R2)을 상기 수용홀(21)의 직경(Rh)의 크기와 같거나 작도록(R2≤Rh) 형성하여 상기 제1레일(20)에 상기 제2레일(30)이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제2레일(30)이 상기 수용홀(21) 내에서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수용홀(21)에 상기 댐핑스프링(40)을 구비하여 상기 제2레일(30)이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하더라도 이를 탄성지지하여 외부의 충격이 소멸한 후에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변속 시 변속 레버(도면 미기재)의 조작에 의한 충격 및 쉬프트 포크(도면 미기재)의 이동에 따른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2레일(30)이 상기 수용홀(21)의 가이드에 의하여 직선운동하고, 상기 댐핑스프링(40)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차량의 급정차 또는 급출발 시에 상기 제2레일(30)이 상기 수용홀(21)의 내부에서 회전운동하고, 상기 댐핑스프링(40)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비틀림에 의한 충격을 흡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에 의하면 변속에 의한 충격, 급정차 시 충격 및 급출발 시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에 의한 상기 제1레일(20) 및 상기 제2레일(30)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변속기 케이스
11 : 제1레일결합홈
12 : 제2레일결합홈
20 : 제1레일
21 : 수용홀
30 : 제2레일
40 : 댐핑스프링

Claims (4)

  1. 양단이 변속기 케이스에 형성된 제1레일결합홈 및 제2레일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레일결합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결합되고, 외주면에 쉬프트 포크가 장착되어 변속 시 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형성되며, 타측 단부의 내측에 축방향을 따라 수용홀이 형성된 제1레일;
    일측 단부는 상기 제2레일결합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수용홀에 끼워져 결합되며, 차량의 급정차 또는 급출발 시에 상기 수용홀의 내부에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2레일; 및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레일 및 상기 제2레일을 탄성지지하고, 변속 시 상기 제2레일의 직선운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며, 차량의 급정차 또는 급출발 시에 상기 제2레일의 비틀림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성된 댐핑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90804A 2016-07-18 2016-07-18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 KR101847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804A KR101847276B1 (ko) 2016-07-18 2016-07-18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804A KR101847276B1 (ko) 2016-07-18 2016-07-18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98A KR20180009198A (ko) 2018-01-26
KR101847276B1 true KR101847276B1 (ko) 2018-04-09

Family

ID=6102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804A KR101847276B1 (ko) 2016-07-18 2016-07-18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2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98A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8042B2 (en) Shift selector mechanism for motor vehicle transmissions
KR101400592B1 (ko) 듀얼 매스 플라이휠
US10415702B2 (en) Parking lock system
KR101558699B1 (ko) 차량의 변속조작기구
KR101648503B1 (ko)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KR101847276B1 (ko)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레일
KR102207576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US11287029B2 (en) Damping mechanism for a shift selector assembly and a shift sel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damping mechanism
KR101091218B1 (ko) 감쇠부를 구비한 서포트 요크가 설치된 조향장치
JP2009168098A (ja) ボールねじ装置
JP2009168097A (ja) ボールねじ装置
KR101519257B1 (ko) 클러치케이블
KR100764231B1 (ko) 스티어링 장치의 서포트 요크 소음 방지구조
KR100783907B1 (ko) 클러치 토셔널댐퍼
JP2006213074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794940B1 (ko) 래틀 노이즈가 감소되는 조향장치
KR20090043285A (ko) 듀얼매스플라이휠의 파손방지장치
KR100794938B1 (ko) 요크 스프링용 완충 부재를 구비한 조향장치
KR20070055140A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파킹로드 완충구조
KR101724936B1 (ko) 차량의 진동흡수 댐퍼
KR20150100311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0836923B1 (ko) 웜 기어 장치
KR200160712Y1 (ko) 후진 변속 기어 울림 방지 구조
KR101560251B1 (ko) 고무 댐퍼를 이용한 유격 보상장치
KR100726220B1 (ko) 수동 변속기 차량용 시프트 레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