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206B1 -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 Google Patents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206B1
KR101847206B1 KR1020160042263A KR20160042263A KR101847206B1 KR 101847206 B1 KR101847206 B1 KR 101847206B1 KR 1020160042263 A KR1020160042263 A KR 1020160042263A KR 20160042263 A KR20160042263 A KR 20160042263A KR 101847206 B1 KR101847206 B1 KR 101847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water tank
unit
tan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761A (ko
Inventor
정희찬
Original Assignee
정희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찬 filed Critical 정희찬
Priority to KR102016004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20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가 개시된다. 상기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는, 양변기의 물탱크 상단을 덮는 물탱크 커버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의 일 영역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제1 영역에 형성되고, 외부의 습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 상기 하우징부의 제2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부, 상기 제습부에 의해 제거된 수분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TOILET TANK LID COMBINED WITH 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변기의 물탱크 커버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기존의 양변기 물탱크 커버 대신 간편하게 장착 가능하며, 화장실의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면서도 양변기의 물 사용량도 절약할 수 있는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제습기는 실내 공기 중에서 습기를 흡입하여 실내를 적정 습도로 유지해주는 가전기기로서,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필수 가전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일반적인 제습기는 필요한 습도를 지정하면 자동으로 공기 중의 습도를 인식하여 적정습도로 유지시켜주며, 제습기를 통해 제습된 습기는 물통에 고이게 된다. 물통에 저장된 물은 사용자에 의해 버려지게 되며 특별히 재활용되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화장실은 샤워나 세면, 양변기의 동작 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습도가 높은 장소이다. 화장실 내부의 습도를 관리하지 않으면 화장실에 곰팡이가 생길 수 있고 좋지 않은 냄새가 날 수 있으므로, 화장실 문을 열어 놓거나 화장실에 설치된 환풍기를 작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환풍기만으로는 화장실의 눅눅함과 냄새, 곰팡이를 완전히 방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화장실을 적정 습도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5-0058634 A KR 10-1486509 B1 KR 10-2015-0062750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변기의 물탱크 커버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기존의 양변기 물탱크 커버 대신 간편하게 장착 가능하며, 화장실의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면서도 양변기의 물 사용량도 절약할 수 있는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는, 양변기의 물탱크 상단을 덮는 물탱크 커버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의 일 영역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제1 영역에 형성되고, 외부의 습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 상기 하우징부의 제2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부, 상기 제습부에 의해 제거된 수분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는, 상기 양변기의 물내림 동작을 감지하는 양변기 상태 감지부, 및 상기 양변기의 물내림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변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양변기의 물내림 동작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소리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소리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소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변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양변기에 구비되는 물내림 작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는,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양변기 상태 감지부, 및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소정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변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위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센서 및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과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는,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상단을 덮는 물탱크 커버 대신에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상단에 장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의 하단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가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상단에 장착되면 상기 물 저장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채워지는 물에 잠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는, 양변기의 물탱크 커버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기존의 양변기 물탱크 커버 대신 간편하게 장착 가능하며, 화장실의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면서도 양변기의 물 사용량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는, 화장실을 적정 습도로 유지하여 화장실의 곰팡이 발생률을 낮출 수 있고, 칫솔이나 수건 등에 세균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장실을 보다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는, 기존 제습기와 달리 물통의 물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제습기가 가동되면서 화장실 내의 습기가 모이면 양변기를 내리는 물로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양변기 물탱크를 제습기의 물통으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는, 물 저장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양변기 물탱크 내부에 채워지는 물에 잠기게 되어 물 저장부의 부피만큼 양변기 물탱크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양변기 물탱크 내부에 벽돌을 넣어둔 것과 유사하게 양변기의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a는 종래의 양변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종래의 양변기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양변기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는,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110), 하우징부(120), 흡입부(130), 제습부(140), 송풍부(150), 물 저장부(160) 및 배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110)는, 양변기의 물탱크 상단을 덮는 물탱크 커버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종래의 양변기에 구비된 물탱크 커버를 제거한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를 양변기의 물탱크 상단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110)는 일반적인 양변기와 유사하게 세라믹 재질, 도기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합성수지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하우징부(120)는,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110)의 일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1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부(120)가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110)의 하단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가 양변기의 물탱크 상단에 거치되는 경우 하우징부(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습을 위해 흡입부(130)와 송풍부(150)는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우징부(12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20)의 재질 및 형태, 배치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흡입부(130)는, 상기 하우징부(120)의 제1 영역에 형성되고 외부의 습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흡입부(130)는 습한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해 별도의 팬(Fan)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130)가 하우징부(120)의 전면에 배치된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흡입부(130)의 위치, 형태 및 크기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습부(140)는,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습부(140)는, 흡입부(130)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할 수 있고, 제거된 수분을 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140)는 일반적인 제습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냉각식 제습장치 또는 건조식 제습장치 등 다양한 제습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냉각식 제습장치는,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이슬점 이하로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증기를 물로 응축시킴으로써 습기를 조절할 수 있다. 냉각식 제습장치는 에어컨과 같이 냉매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R-22 프레온 냉매가 사용된다. 흡입부(13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냉각장치를 통과하면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공기가 이슬점에 도달해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로 응축되어 물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다시 가열된 후 송풍부(15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건조식 제습장치는, 외부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하거나 흡착시킬 수 있는 흡습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흡습제가 공기 중의 수분을 더이상 흡수하지 못하게 되면 가열장치가 흡습제를 가열하여 흡습제로부터 분리되는 습기를 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고, 흡습제를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습제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흡착할 수 있는 물질인 실리카겔, 염화칼슘, 알루미나겔 등일 수 있고, 이외에도 제습 기능이 있고 가열 건조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송풍부(150)는, 상기 하우징부(120)의 제2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140)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송풍부(150)는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별도의 팬(Fan)을 구비할 수 있다. 송풍부(150)가 하우징부(120)의 상단에 배치된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송풍부(150)의 위치, 형태 및 크기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물 저장부(160)는, 상기 제습부(140)에 의해 제거된 수분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저장부(160)는 제습부(14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습부(140)에서 채집된 수분이 자연스럽게 물 저장부(160)로 낙하하여 수집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물 저장부(16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70)는, 상기 물 저장부(16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170)는 물 저장부(160)의 일 영역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저장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 저장부(160)와 호스 사이에 형성되고 물의 흐름을 개폐하거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170)는 호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호스는 사용자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하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는 제어부(180) 및 양변기 상태 감지부(19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110) 및 하우징부(120)는 편의상 생략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는 제어부(180) 및 양변기 상태 감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변기 상태 감지부(190)는 양변기의 물내림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양변기 상태 감지부(190)는, 상기 양변기의 물내림 동작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소리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소리 감지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는 소리 감지 센서(19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리 감지 센서(191)는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양변기 상태 감지부(190)는, 상기 양변기에 구비되는 물내림 작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19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양변기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레버를 내려서 물을 내릴 수 있는데, 이때 물탱크 내부에 막대 형태 등으로 형성되는 물내림 작동부가 움직이게 되므로, 움직임 감지 센서(193)는 이러한 물내림 작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193)는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193)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양변기 상태 감지부(190)를 통해 양변기의 물내림 동작이 감지되면, 배출부(170)를 제어하여 물 저장부(160)에 저장된 물을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양변기에서 물내림 동작이 수행되어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물 저장부(160)에 저장된 물이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양변기 상태 감지부(190)는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양변기 상태 감지부(190)는,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위 감지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는 수위 감지 센서(1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 센서(195)는,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센서 및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과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는 적외선 센서나 다른 형태의 센서로 구현되어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면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접촉센서는 물이 닿게 되면 전기적인 성질이 변화되는 물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 센서(195)는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소정 높이 이하인 경우, 배출부(170)를 제어하여 물 저장부(160)에 저장된 물을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배출부(170)를 제어하여 물 저장부(160)에 저장된 물이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되는 기준점이 되는 수위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수위 감지 센서(195)가 접촉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접촉센서는 배출부(170)의 호스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배출부(170)에 구비되는 길이 조절부를 통해 호스의 길이를 조절하여 접촉센서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제습부(140) 및 물 저장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흡입부(130) 및 송풍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양변기 상태 감지부(190)는, 소리 감지 센서(191), 움직임 감지 센서(193) 및 수위 감지 센서(19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화장실 안의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흡입부(130)를 통해 습한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고, 제습부(140)는 프레온 냉매를 이용하여 이슬점 이하로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다. 흡입부(13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이슬점에 도달하게 되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로 변해서 물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습된 건조한 공기는 송풍부(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양변기를 사용하여 물을 쓰게 되면 양변기 상태 감지부(19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배출부(170)를 제어하여 물 저장부(160)에 저장된 물을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어부(180)는 물 저장부(160)에 물이 가득 찬 경우에는 제습부(140)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된 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가 상기 물 저장부(160)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물이 소정 높이 이하이거나 사용자가 양변기의 물내림 동작을 수행한 경우, 물 저장부(160)에 저장된 물을 배출부(170)를 통해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물 저장부(160)에 저장된 물이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되면 제어부(180)는 다시 제습부(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물 공급 명령에 따라 배출부(170)를 제어하여 물 저장부(160)에 저장된 물을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외부에 더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에 구비되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물 공급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물 저장부(160)에 저장된 물을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제습부(140) 및 배출부(170)를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는, 흡입부(130), 제습부(140), 송풍부(150), 배출부(170), 제어부(180) 및 양변기 상태 감지부(19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종래의 양변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종래의 양변기(200)는 양변기 물탱크 커버(210), 양변기 물탱크(230) 및 물내림 작동 레버(25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기재를 생략하였다.
도 3b는 종래의 양변기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종래의 양변기(200)에서 양변기 물탱크 커버(210)를 제거한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를 양변기 물탱크(230) 상단에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110)는, 종래의 양변기(200)의 물탱크(230) 상단을 덮는 물탱크 커버(210) 대신에 상기 양변기(200)의 물탱크(230) 상단에 장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110)는 일반적인 양변기 물탱크 커버(210)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되므로, 기존 양변기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양변기 물탱크 커버(210)만을 제거한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로 교체할 수 있어 기존의 다양한 종류의 양변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의 제습부(140)가 동작하여 화장실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고, 제거된 습기를 물 저장부(160)에 저장하여 양변기의 물탱크(230) 내부로 배출할 수 있어 양변기의 물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종래의 양변기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300)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와 달리, 물 저장부(360)가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310)의 하단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 저장부(360)와 제습부(340)는 제습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연결관(365)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물 저장부(360)는 고정부(368)를 통해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310) 또는 하우징부(32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300)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의 구성요소들과 각각 유사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부(360)가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310)의 하단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310)가 상기 양변기(200)의 물탱크(230) 상단에 장착되면 상기 물 저장부(36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양변기(200)의 물탱크(230) 내부에 채워지는 물에 잠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300)는 물 저장부(360)가 물에 잠기는 부피만큼 양변기 물탱크(230)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양변기 물탱크(230) 내부에 벽돌을 넣어둔 것과 유사하게 양변기(200)의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물 저장부(360)에 형성되는 배출부(370)는 양변기 물탱크(230)의 바닥에 형성되는 물 배출부(미도시)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물내림 작동 레버(250)를 내리는 경우, 상기 물 배출부가 열리면서 양변기 물탱크(230) 내부의 물이 양변기로 배출될 수 있고, 양변기 물탱크(230) 내부의 물이 모두 배출되면 상기 물 배출부가 닫히면서 양변기 물탱크(230) 내부에 다시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이때, 물 저장부(360)에 형성되는 배출부(370)가 양변기 물탱크(230)의 바닥에 형성되는 물 배출부(미도시)와 서로 연결되므로, 물 배출부가 개방되어 양변기 물탱크(230) 내부의 물이 양변기로 배출된 후 물 배출부가 다시 폐쇄되면, 양변기 물탱크(230)는 기존에 연결된 수도관(미도시)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물 저장부(360)의 배출부(370)가 개방되어 물 저장부(360)에 저장된 물도 양변기 물탱크(2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양변기 물탱크(230) 내부의 물이 기준 높이까지 차게 되면 상기 물 저장부(360)의 배출부(370)는 폐쇄될 수 있고, 제습부(340)에 의해 제습된 물이 다시 물 저장부(360)에 채워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출부(370)는 밸브나 커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개폐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100, 300)는 본 발명의 효과를 상실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다양하게 구성요소가 치환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310: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 120, 320: 하우징부
130, 330: 흡입부 140, 340: 제습부
150, 350: 송풍부 160, 360: 물 저장부
170, 370: 배출부 180: 제어부
190: 양변기 상태 감지부 191: 소리 감지 센서
193: 움직임 감지 센서 195: 수위 감지 센서
365: 연결관 368: 고정부

Claims (9)

  1. 양변기의 물탱크 상단을 덮는 물탱크 커버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의 일 영역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제1 영역에 형성되고, 외부의 습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
    상기 하우징부의 제2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부;
    상기 제습부에 의해 제거된 수분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의 하단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가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상단에 장착되면 상기 물 저장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채워지는 물에 잠기고,
    상기 물 저장부와 상기 제습부는 제습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연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물 저장부는 고정부를 통해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는,
    상기 양변기의 물내림 동작을 감지하는 양변기 상태 감지부; 및
    상기 양변기의 물내림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양변기의 물내림 동작에 따른 소리를 감지하여 소리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소리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소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양변기에 구비되는 물내림 작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는,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양변기 상태 감지부; 및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소정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로 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위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 센서는,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센서 및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과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물탱크 커버부는,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상단을 덮는 물탱크 커버 대신에 상기 양변기의 물탱크 상단에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9. 삭제
KR1020160042263A 2016-04-06 2016-04-06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KR10184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263A KR101847206B1 (ko) 2016-04-06 2016-04-06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263A KR101847206B1 (ko) 2016-04-06 2016-04-06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761A KR20170114761A (ko) 2017-10-16
KR101847206B1 true KR101847206B1 (ko) 2018-04-09

Family

ID=6029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263A KR101847206B1 (ko) 2016-04-06 2016-04-06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920B1 (ko) 2019-09-26 2020-08-21 이상승 변기결합형 욕실 제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513B1 (ko) * 1997-11-21 2000-06-15 백원옥 좌변기의 물 공급장치
JP3093315B2 (ja) * 1991-04-30 2000-10-03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685125B1 (ko) * 2005-09-05 2007-02-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비데용 절수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98291B1 (ko) * 2008-12-22 2011-12-26 문성호 악취 제거용 양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315B2 (ja) * 1991-04-30 2000-10-03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259513B1 (ko) * 1997-11-21 2000-06-15 백원옥 좌변기의 물 공급장치
KR100685125B1 (ko) * 2005-09-05 2007-02-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비데용 절수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98291B1 (ko) * 2008-12-22 2011-12-26 문성호 악취 제거용 양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920B1 (ko) 2019-09-26 2020-08-21 이상승 변기결합형 욕실 제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761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2302B2 (en) Dehumidifier
EP2927617A1 (en) Dehumidifier
CN105402822B (zh) 除湿机及其控制方法
KR20150075749A (ko) 제습기
KR101433289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천장 매립 형 기화식가습기
KR101847206B1 (ko) 제습기 일체형 양변기 물탱크 커버
KR20150113789A (ko) 제습기
ITMI982794A1 (it) Apparecchio per deumidificazione dell'aria
JP2007240141A (ja) 湿度制御方法、湿度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生ゴミ処理装置
KR20190069202A (ko)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KR20110023478A (ko) 가습기
JP6193686B2 (ja) ミスト発生装置
JP2006043523A (ja) 電気除湿機
KR101293556B1 (ko) 미세가습기능을 구비한 사이클론 가습기
KR200451021Y1 (ko)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JP2013226484A (ja) 除湿機
JP2006292249A (ja) 加湿ユニットの給排水装置
KR20170083821A (ko) 제습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410801Y1 (ko) 제습기의 자동 배수장치.
KR20170111558A (ko) 다기능 욕실 편의장치
JP2001235191A (ja) 加湿器
JP5021364B2 (ja) 吸引乾燥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425102B1 (ko) 양변기용 제습 시스템
JP2011214803A (ja) 除湿機
KR102551565B1 (ko) 다기능성 신발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