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021Y1 -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 Google Patents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021Y1
KR200451021Y1 KR2020100006199U KR20100006199U KR200451021Y1 KR 200451021 Y1 KR200451021 Y1 KR 200451021Y1 KR 2020100006199 U KR2020100006199 U KR 2020100006199U KR 20100006199 U KR20100006199 U KR 20100006199U KR 200451021 Y1 KR200451021 Y1 KR 200451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compressed air
ru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웅
Original Assignee
한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웅 filed Critical 한영웅
Priority to KR2020100006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0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배출관이 막혔을 때, 이를 뚫어줄 수 있는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함몰되어 있는 좌변기 본체(10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배출 용수를 공급하는 배출 용수 저수조(111)와; 상기 배출 용수 저수조(11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를 연결하여 배출 용수가 상기 좌변기 본체(101)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용수 공급로(307)와; 상기 용수 공급로(307)를 통해 유입되는 용수를 개폐하는 용수 공급로 밸브(305)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의 상부에 접촉되고, 용변을 볼 때 깔고 앉도록 상기 좌변기 본체(101)의 상부 크기와 맞고, 중앙부가 통공되고, 뒷쪽 부위가 좌변기 본체(101)에 고정되어 회동하도록 결합된 좌변기 깔개(105)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같은 크기로 상기 좌변기 깔개(105) 위에 맞닿아 접촉되고 상기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타원형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변기 본체(101)와 회동하도록 결합된 좌변기 덮개(115)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의 일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압축 공기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공기 압축기(12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가 상기 좌변기 본체(101) 및 상기 좌변기 덮개(115)가 밀착되어 밀폐된 공간을 이루도록 상기 좌변기 깔개(105)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기(12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와 상기 공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압축 공기 파이프(117)와; 상기 압축 공기 파이프(117)를 개폐하는 압축 공기 밸브(30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상기 공기 흡입기를 연결하는 공기 흡입 호스(119)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 상단 가장 자리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밀착을 유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밀착부(10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밀착부(103)와 밀착을 유지하게 하는 좌변기 깔개 하부 밀착판(108)과; 상기 좌변기 덮개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밀착을 유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밀착부(11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밀착부(103)와 밀착을 유지하게 하는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좌변기 깔개 상부 밀착판(107)과;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물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찼을 때 감지되는 물높이 감지 센서(31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압축기(123)과 상기 압축 공기 밸브(303) 사이에 구비되는 압축 공기 탱크(309)와; 막힘 제거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막힘 제거 스위치(503)와; 일 측은 상기 좌변기 깔개(105)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은 상기 공기 흡입기(121)에 연결되는 공기 흡입 호스(119)와; 유입된 배출 용수가 변과 함께 배출되는 배출관(301)과; 상기 공기 흡입기(121)를 동작시키는 제 1 릴레이와; 상기 공기 압축기(123)를 동작시키는 제 2 릴레이와; 상기 제 1 릴레이와 상기 제 2 릴레이와 상기 용수 공급로 밸브(305)와 상기 압축 공기 밸브(303)를 제어하는 제어부(505)와; 상기 제어부(505)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507)와;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타이머(509)와; 상기 제 1 릴레이 및 상기 제 1 릴레이와 상기 용수 공급로 밸브(305)와 상기 압축 공기 밸브(303)를 구동하는 릴레이 및 밸브 구동기(5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는 내부의 오물이 좌변기 밖으로 넘쳐 흘러나오지 않아 위생적이며, 압축 공기를 사용하므로, 막힘이 용이하게 제거된다는 사용의 편리함이 있다.

Description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A Toilet Bowl Which has a Clearing Facility for Clogged Outlet Pipe}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배출관이 막혔을 때, 이를 뚫어줄 수 있는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이 윤택해지고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주거 형태 또한 서양식의 공동주택으로 바뀌었으며, 거의 대부분의 주택이나 사무용 빌딩에 적용되는 좌변기의 형태 또한 종래의 재래식에서 앉아서 용변 후 물을 이용하여 배출하는 수세식 좌변기 형태로 바뀌고 있다. 그러나,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좌변기가 막혀 곤란을 겪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세식 좌변기는 통상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부에서 상하 회동되게 설치되어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변기 깔개가 구비되어 있고, 좌변기 본체의 뒷부분 상부에 설치되어 배출 용수가 저장되는 배출 용수 저장 탱크가 구비되어 있고, 용변 후 레버 또는 버튼 조작으로 배출 용수 저장 탱크로부터 유입되는 배출 용수에 의해 변은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의 하수관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세식 좌변기에서 배출관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한번에 많은 양의 휴지 뭉치가 투입되거나 변이 딱딱한 경우에는 배출 용수의 수압만으로는 배출관을 통하여 하수관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오히려 배출관이 막혀 버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세식 좌변기의 배출관이 막히는 경우, 배출 용수가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고, 좌변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화장실 바닥으로 넘쳐 흘러 위생적으로 매우 불결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통상, 가정이나 사무용 건물에서는 고무 재질의 수동식 압축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좌변기 본체의 내측 바닥의 배출관 입구 부위와 수동식 압축기의 압축면이 잘 맞지 않아 배출관을 막고 있는 이물이 용이하게 잘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렇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좌변기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뚫어주기 위해서는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새로운 좌변기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는 좌변기의 일측에 압축 공기를 생산하고 저장을 하는 공기 압축기가 구비되어 있어 압축 공기로 막힘을 제거하게 하는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함몰되어 있는 좌변기 본체(10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배출 용수를 공급하는 배출 용수 저수조(111)와; 상기 배출 용수 저수조(11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를 연결하여 배출 용수가 상기 좌변기 본체(101)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용수 공급로(307)와; 상기 용수 공급로(307)를 통해 유입되는 용수를 개폐하는 용수 공급로 밸브(305)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의 상부에 접촉되고, 용변을 볼 때 깔고 않도록 상기 좌변기 본체(101)의 상부 크기와 맞고, 중앙부가 통공되고, 뒷쪽 부위가 좌변기 본체(101)에 고정되어 회동하도록 결합된 좌변기 깔개(105)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같은 크기로 의 상기 좌변기 깔개(105) 위에 맞닿아 접촉되고 상기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타원형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변기 본체(101)와 회동하도록 결합된 좌변기 덮개(115)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의 일 측면에는 부착되어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압축 공기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공기 압축기(12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가 상기 좌변기 본체(101) 및 상기 좌변기 덮개(115)가 밀착되어 밀폐된 공간을 이루도록 상기 좌변기 깔개(105)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기(12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와 상기 공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압축 공기 파이프(117)와; 상기 압축 공기 파이프(117)를 개폐하는 압축 공기 밸브(30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상기 공기 흡입기를 연결하는 공기 흡입 호스(119)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 상단 가장 자리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밀착을 유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밀착부(10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밀착부(103)와 밀착을 유지하게 하는 좌변기 깔개 하부 밀착판(108)과; 상기 좌변기 덮개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밀착을 유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밀착부(11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밀착부(103)와 밀착을 유지하게 하는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좌변기 깔개 상부 밀착판(107)과;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물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찼을 때 감지되는 물높이 감지 센서(31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압축기(123)과 상기 압축 공기 밸브(303) 사이에 구비되는 압축 공기 탱크(309)와; 막힘 제거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막힘 제거 스위치(503)와; 일 측은 상기 좌변기 깔개(105)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은 상기 공기 흡입기(121)에 연결되는 공기 흡입 호스(119)와; 유입된 배출 용수가 변과 함께 배출되는 배출관(301)과; 상기 공기 흡입기(121)를 동작시키는 제 1 릴레이와; 상기 공기 압축기(123)를 동작시키는 제 2 릴레이와; 상기 제 1 릴레이와 상기 제 2 릴레이와 상기 용수 공급로 밸브(305)와 상기 압축 공기 밸브(303)를 제어하는 제어부(505)와; 상기 제어부(505)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507)와;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타이머(509)와; 상기 제 1 릴레이 및 상기 제 1 릴레이와 상기 용수 공급로 밸브(305)와 상기 압축 공기 밸브(303)를 구동하는 릴레이 및 밸브 구동기(5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는 내부의 오물이 좌변기 밖으로 넘쳐 흘러나오지 않아 위생적이며, 압축 공기를 사용하므로, 막힘이 용이하게 제거된다는 사용의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좌변기 덮개가 열려 있는 상태의 좌변기 사시도이며,
도 3은 측면 단면도이며,
도 4는 좌변기 깔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블럭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함몰되어 있는 좌변기 본체(10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배출 용수를 공급하는 배출 용수 저수조(111)와; 상기 배출 용수 저수조(11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를 연결하여 배출 용수가 상기 좌변기 본체(101)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용수 공급로(307)와; 상기 용수 공급로(307)를 통해 유입되는 용수를 개폐하는 용수 공급로 밸브(305)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의 상부에 접촉되고, 용변을 볼 때 깔고 앉도록 상기 좌변기 본체(101)의 상부 크기와 맞고, 중앙부가 통공되고, 뒷쪽 부위가 좌변기 본체(101)에 고정되어 회동하도록 결합된 좌변기 깔개(105)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같은 크기로 의 상기 좌변기 깔개(105) 위에 맞닿아 접촉되고 상기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타원형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변기 본체(101)와 회동하도록 결합된 좌변기 덮개(115)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의 일 측면에는 부착되어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압축 공기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공기 압축기(12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가 상기 좌변기 본체(101) 및 상기 좌변기 덮개(115)가 밀착되어 밀폐된 공간을 이루도록 상기 좌변기 깔개(105)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기(12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와 상기 공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압축 공기 파이프(117)와; 상기 압축 공기 파이프(117)를 개폐하는 압축 공기 밸브(30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상기 공기 흡입기를 연결하는 공기 흡입 호스(119)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 상단 가장 자리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밀착을 유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밀착부(10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밀착부(103)와 밀착을 유지하게 하는 좌변기 깔개 하부 밀착판(108)과; 상기 좌변기 덮개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밀착을 유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밀착부(11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밀착부(103)와 밀착을 유지하게 하는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좌변기 깔개 상부 밀착판(107)과;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물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찼을 때 감지되는 물높이 감지 센서(31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압축기(123)과 상기 압축 공기 밸브(303) 사이에 구비되는 압축 공기 탱크(309)와; 막힘 제거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막힘 제거 스위치(503)와; 일 측은 상기 좌변기 깔개(105)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은 상기 공기 흡입기(121)에 연결되는 공기 흡입 호스(119)와; 유입된 배출 용수가 변과 함께 배출되는 배출관(301)과; 상기 공기 흡입기(121)를 동작시키는 제 1 릴레이와; 상기 공기 압축기(123)를 동작시키는 제 2 릴레이와; 상기 제 1 릴레이와 상기 제 2 릴레이와 상기 용수 공급로 밸브(305)와 상기 압축 공기 밸브(303)을 제어하는 제어부(505)와; 상기 제어부(505)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507)와;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타이머(509)와; 상기 제 1 릴레이 및 상기 제 1 릴레이와 상기 용수 공급로 밸브(305)와 상기 압축 공기 밸브(303)를 구동하는 릴레이 및 밸브 구동기(5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좌변기 본체(101)는 통상의 좌변기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함몰된 중앙부의 저면에는 배출관(301)이 연결되어 있고 뒷쪽 상부에는 용수 공급로(307)가 연결되어 있으며, 좌변기 본체(101)의 상부에는 용변을 볼 때, 깔고 않도록 좌변기 본체(101)의 상부 크기와 맞고, 중앙부가 통공되고 뒷쪽 부위가 좌변기 본체(101)에 고정되어 회동하도록 결합된 좌변기 깔개(105)가 부착되어 있다. 좌변기 깔개(105)의 위에는 좌변기 깔개(105)와 같은 크기로 좌변기 깔개(105)와 맞닿으면서, 좌변기 깔개(105)의 개방 부위를 덮을 수 있도록 타원형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좌변기 덮개(115)가 좌변기 본체(101)와 회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좌변기 본체(101)의 일 측면에는 좌변기 본체(101)에 압축 공기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공기 압축기(123)와 좌변기 깔개(105)가 좌변기 본체(101) 및 좌변기 덮개(115)와 밀착되어 밀폐된 공간을 이루도록 좌변기 깔개(105)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기(121)가 구비되어 있고, 공기 압축기(123)는 압축 공기 탱크(309)를 경유하여 압축 공기 파이프(117)로 좌변기 본체(101)와 연결되며, 좌변기 본체(101)와의 연결 부위에는 압축 공기 밸브(303)가 구비되어 있어 제어부(505)의 지시에 의해 압축 공기 파이프(117)를 개폐한다.
또한, 좌변기 깔개(105)의 뒤쪽 회동부(313, 도 3 참조) 측면에는 공기 흡입 호스(119)가 연결되고, 공기 흡입 호스(119)는 공기 흡입기(121)에 연결되어 있어, 좌변기 깔개(105)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면, 좌변기 깔개(105)는 아래로는 좌변기 본체(101)와 밀착하게 되고, 위로는 좌변기 덮개(115)와 밀착을 유지하여 좌변기 본체(101)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좌변기 본체(101) 상단 가장 자리 중앙에는 좌변기 깔개(105)와 밀착을 유지하도록 고무 재질의 제 1 밀착부(도 1 103, 도 2 103, 도 3 103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좌변기 깔개(105)의 하부에도 좌변기 깔개 하부 밀착판(108)이 구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와 좌변기 덮개(115)의 하부가 밀착을 유지하도록 좌변기 덮개(115)의 하부에는 고무 재질의 제 2 밀착부(도 2 113)가 형성되어 있고,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에도 좌변기 덮개(115)와 밀착을 유지하도록 좌변기 덮개 상부 밀착판(107)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좌변기 본체(101)에 물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찼을 때, 압축 공기를 불어 넣도록 좌변기 본체(101)의 내측에는 물높이 감지 센서(311)가 구비되어 있다. 좌변기 본체(101)와 배출 용수 저수조(111)는 용수 공급로(307)로 연결되어 있으며, 용수 공급로(307)의 중간에는 용수 공급로 밸브(305)가 구비되어 제어부(505)의 제어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며, 좌변기 본체(101)에 압축 공기를 불어 넣을 때에는 압력이 세어 나가지 않도록 용수 공급로 밸브(305)를 닫는다. 좌변기 본체(101)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는 압축 공기 탱크(309)에 저장되어 있다가, 제어부(505)의 제어에 의해 압축 공기 밸브(303)를 열면 좌변기 본체(101) 내부로 압축 공기가 유입되어 순식간에 높은 압력이 배출관(301)에 인가되고, 배출 용수가 배출관(301)을 통과하면서 막힘이 제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좌변기 깔개 상부 흡착판(107)과 좌변기 깔개 하부 흡착판108)이 부착되어 있고, 좌변기 깔개(105)의 내부는 통공되어 있으며, 상하로 관통된 다수 개의 공기 흡입구(109)가 형성되어 있다. 좌변기 깔개(105)의 뒷쪽은 좌변기 본체(101)와 회동되도록 좌변기 깔개 연결부(3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변기 깔개 연결부(313)의 측면에는 공기 흡입 호스(119)가 연결되어 있어, 좌변기 깔개(105)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면, 흡입력에 의해 좌변기 본체(101) 및 좌변기 덮개(115) 속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호 밀착되게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스위치(501)을 On 시킨 후, 막힘 제거 스위치(503)를 눌렀다 놓으면, 제어부(505)에서는 막힘 제거 스위치(503)가 푸시되었음을 감지하여 좌변기 본체(101) 내의 수위가 물높이 감지 센서(311)에 의해 감지되는 물높이가 일정 높이가 될 때까지 용수 공급로 밸브(305)를 개방하여 물을 채운다. 좌변기 본체(101) 내에 물이 일정 높이 이상 채워진 후, 좌변기 깔개 연결부(313)에 연결된 공기 흡입 호스(119)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좌변기 본체(101)와 좌변기 깔개(105) 및 좌변기 덮개(115)가 상호 밀착되도록 하고, 공기 흡입기(121)는 계속 작동케 하여 밀착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한 상태에서, 용수 공급로 밸브(305)를 닫아 압축 공기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한 후, 압축 공기 밸브(303)를 열면, 좌변기 본체(101) 내로 압축 탱크(309)에 저장된 압축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압축 공기가 물을 배출관(301)으로 밀어낸다. 이때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배출관(301)을 막고 있던 이물질이 빠져나가 막힘이 뚫리게 된다. 릴레이 및 밸브 구동기(511)는 제어부(505)의 명령에 의해 제 1 릴레이(513)를 작동시켜 공기 흡입기(121)를 동작시키거나, 제 2 릴레이(515)를 작동시켜 공기 압축기(123)를 동작시키거나, 압축 공기 밸브(303)를 작동시키거나, 용수 공급로 밸브(305)를 여닫게 한다. 메모리(507)에는 제어부(505)의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타이머(509)에는 용수 공급로 밸브(305) 및 제 1 릴레이(513) 및 제 2 릴레이(515)를 일정 시간 작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101 : 좌변기 본체, 103 : 제 1 밀착부,
105 : 좌변기 깔개, 107 : 좌변기 깔개 상부 흡착판,
108 : 좌변기 깔개 하부 흡착판,
109 : 공기 흡입구, 111 : 매출 용수 저수조,
113 : 제 2 밀착부, 115 : 좌변기 덮개,
117 : 압축 공기 파이프, 119 : 공기 흡입 호스,
121 : 공기 흡입기, 123 : 공기 압축기,
301 : 배출관, 303 : 압축 공기 밸브,
305 : 용수 공급로 밸브, 307 : 용수 공급로,
309 : 압측 공기 탱크, 311 : 물높이 감지 센서,
313 : 좌변기 깔개 연결부,
401 : 좌변기 깔개속 내부 공기 덕트,
501 : 전원 스위치,
503 : 막힘 제거 스위치, 505 : 제어부,
507 : 메모리, 509 : 타이머,
511 : 릴레이 및 밸브 구동기,
513 : 제 1 릴레이,
515 : 제 2 릴레이

Claims (1)

  1. 수세식 좌변기에 있어서,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함몰되어 있는 좌변기 본체(10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배출 용수를 공급하는 배출 용수 저수조(111)와;
    상기 배출 용수 저수조(11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를 연결하여 배출 용수가 상기 좌변기 본체(101)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용수 공급로(307)와;
    상기 용수 공급로(307)를 통해 유입되는 용수를 개폐하는 용수 공급로 밸브(305)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의 상부에 접촉되고, 용변을 볼 때 깔고 앉도록 상기 좌변기 본체(101)의 상부 크기와 맞고, 중앙부가 통공되고, 뒷쪽 부위가 좌변기 본체(101)에 고정되어 회동하도록 결합된 좌변기 깔개(105)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같은 크기로 상기 좌변기 깔개(105) 위에 맞닿아 접촉되고 상기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타원형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변기 본체(101)와 회동하도록 결합된 좌변기 덮개(115)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의 일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압축 공기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공기 압축기(12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가 상기 좌변기 본체(101) 및 상기 좌변기 덮개(115)가 밀착되어 밀폐된 공간을 이루도록 상기 좌변기 깔개(105)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기(12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와 상기 공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압축 공기 파이프(117)와;
    상기 압축 공기 파이프(117)를 개폐하는 압축 공기 밸브(30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상기 공기 흡입기를 연결하는 공기 흡입 호스(119)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 상단 가장 자리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밀착을 유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밀착부(10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밀착부(103)와 밀착을 유지하게 하는 좌변기 깔개 하부 밀착판(108)과;
    상기 좌변기 덮개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변기 깔개(105)와 밀착을 유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밀착부(113)와;
    상기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밀착부(103)와 밀착을 유지하게 하는 좌변기 깔개(105)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좌변기 깔개 상부 밀착판(107)과;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물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찼을 때 감지되는 물높이 감지 센서(311)와;
    상기 좌변기 본체(101)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압축기(123)과 상기 압축 공기 밸브(303) 사이에 구비되는 압축 공기 탱크(309)와;
    막힘 제거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막힘 제거 스위치(503)와;
    일 측은 상기 좌변기 깔개(105)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은 상기 공기 흡입기(121)에 연결되는 공기 흡입 호스(119)와;
    유입된 배출 용수가 변과 함께 배출되는 배출관(301)과;
    상기 공기 흡입기(121)를 동작시키는 제 1 릴레이와;
    상기 공기 압축기(123)를 동작시키는 제 2 릴레이와;
    상기 제 1 릴레이와 상기 제 2 릴레이와 상기 용수 공급로 밸브(305)와 상기 압축 공기 밸브(303)를 제어하는 제어부(505)와;
    상기 제어부(505)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507)와;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타이머(509)와;
    상기 제 1 릴레이 및 상기 제 1 릴레이와 상기 용수 공급로 밸브(305)와 상기 압축 공기 밸브(303)를 구동하는 릴레이 및 밸브 구동기(5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KR2020100006199U 2010-06-14 2010-06-14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KR200451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199U KR200451021Y1 (ko) 2010-06-14 2010-06-14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199U KR200451021Y1 (ko) 2010-06-14 2010-06-14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021Y1 true KR200451021Y1 (ko) 2010-11-23

Family

ID=4447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199U KR200451021Y1 (ko) 2010-06-14 2010-06-14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0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735B1 (ko) * 2013-02-01 2014-08-14 주식회사 맥스포 자동 배수기능을 구비하는 양변기
WO2020222502A1 (ko) * 2019-04-30 2020-11-05 박겨레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KR20200126865A (ko) * 2019-04-30 2020-11-09 박겨레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399B1 (ko) 2006-11-21 2008-04-29 홍정기 막힘 제거를 위한 펌프가 내장된 변기
KR100838406B1 (ko) 2006-12-01 2008-06-13 (주)현대정밀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399B1 (ko) 2006-11-21 2008-04-29 홍정기 막힘 제거를 위한 펌프가 내장된 변기
KR100838406B1 (ko) 2006-12-01 2008-06-13 (주)현대정밀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735B1 (ko) * 2013-02-01 2014-08-14 주식회사 맥스포 자동 배수기능을 구비하는 양변기
WO2020222502A1 (ko) * 2019-04-30 2020-11-05 박겨레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KR20200126865A (ko) * 2019-04-30 2020-11-09 박겨레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KR102213795B1 (ko) * 2019-04-30 2021-02-08 박겨레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US11162252B2 (en) 2019-04-30 2021-11-02 Kyeo Reh PARK Toilet bowl with clog removal function
EP3879038A4 (en) * 2019-04-30 2022-01-19 Park, Kyeo Reh CLOG-FREETING TOILE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586B1 (ko) 중간 저장 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TWI316579B (ko)
JP2012528959A5 (ko)
KR200451021Y1 (ko)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JP3129164U (ja) 便器の脱臭装置
JP4925889B2 (ja) 洋風水洗式便器
KR100767287B1 (ko)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
US11624178B2 (en) Flush toilet
JP2007255069A (ja) 便器設備及び便器洗浄方法
JP5094873B2 (ja) 節水型洋式便器
JP2010236201A (ja) 水洗大便器
KR101478111B1 (ko) 전자식 양변기
KR102107691B1 (ko) 포세식 변기용 거품생성 제어 시스템
KR101098291B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JP6358820B2 (ja) 吸排水装置
KR200466597Y1 (ko) 가정용 배뇨장치
WO2007072779A1 (ja)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KR200438551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US11486122B2 (en) Flush toilet
KR200482587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GB2589304A (en) Toilet system
KR101789263B1 (ko) 양변기의 절수 및 자동배수장치
JP4857693B2 (ja) トイレ装置
KR101020101B1 (ko) 수압 및 인체 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