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865A -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 Google Patents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865A
KR20200126865A KR1020190064416A KR20190064416A KR20200126865A KR 20200126865 A KR20200126865 A KR 20200126865A KR 1020190064416 A KR1020190064416 A KR 1020190064416A KR 20190064416 A KR20190064416 A KR 20190064416A KR 20200126865 A KR20200126865 A KR 20200126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mpressed air
water storage
storage space
su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795B1 (ko
Inventor
박겨레
Original Assignee
박겨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겨레 filed Critical 박겨레
Priority to JP202154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JP7075542B2/ja
Priority to PCT/KR2020/005597 priority patent/WO2020222502A1/ko
Priority to EP20797983.2A priority patent/EP3879038A4/en
Publication of KR2020012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795B1/ko
Priority to US17/326,338 priority patent/US1116225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4Operated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힘 제거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중앙이 함몰되어 용수를 수용하는 용수 저장공간이 형성된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에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저장부, 상기 변기 본체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변기 좌대, 상기 변기 본체와 상기 용수 저장부 사이에 마련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거나 저장하는 압축공기 카트리지,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상기 변기 본체의 상기 용수 저장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노즐,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변기 좌대 및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변기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변기커버는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옆벽 및 상기 옆벽의 밑면에 부착된 빨판을 포함하며, 상기 빨판은 상기 변기커버가 닫힐 때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용수 저장공간이 밀폐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TOILET BOWL WITH CLOG REMOVAL FUNCTION}
본 발명은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는 오물을 처리하기 위한 좌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좌변기는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중앙이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본체와, 본체의 후방에 설치되며 변기내의 이물질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는 용수가 저장된 수조와, 상기 본체에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변기좌대 및 변기커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의 개방구를 덮고 있는 변기커버를 뒤로 젖힌 후, 변기 좌대에 앉아 좌변기를 사용하는데, 사용후에 수조의 일측에 장착된 물내림 레버를 작동시키면 수조에 저장된 용수가 본체의 내부로 공급되며 이물질을 정화조로 배출하게 된다.
사용자가 용변 후에 레버 또는 버튼 조작을 하게 되면, 저장된 용수가 본체 내부에 유입되면서 오물이나 변이 변기 본체의 용수 저장공간과 연결된 하수구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하지만, 변 또는 이물질이 하수구를 막는 경우, 용수가 배출되더라도 하수구를 통해 오물이나 변이 배출되지 못하게 되며 이 경우 사용자에게 심각한 불쾌감을 일으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변기 본체의 개구부 밖으로 용수나 오물이 넘쳐 위생상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통상의 경우, 가정에서는 하수구를 막는 이물질을 용해할 수 있는 용해제나 고무 재질의 수동식 압축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용해제에 의해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용해되지 않아 하수구의 막힘 현상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자가 수동식 압축기의 사용에 미숙한 경우 마찬가지로 하수구의 막힘 현상이 해소되지 않을 수 있다.
수동식 압축기를 통해 하수구의 막힘을 해소한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펌프작업을 하여야 되기 때문에 작업 과정에서 상당한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좌변기의 막힘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해결 과정에서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중앙이 함몰되어 용수를 수용하는 용수 저장공간이 형성된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에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저장부; 상기 변기 본체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변기 좌대; 상기 변기 본체와 상기 용수 저장부 사이에 마련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거나 저장하는 압축공기 카트리지;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상기 변기 본체의 상기 용수 저장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노즐; 및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변기 좌대 및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변기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커버는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옆벽 및 상기 옆벽의 밑면에 부착된 빨판을 포함하며, 상기 빨판은 상기 변기커버가 닫힐 때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용수 저장공간이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변기커버의 옆벽의 둘레길이는 상기 변기 좌대의 둘레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좌변기는, 상기 압축공기 노즐 말단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공기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양에 따라 부피가 달라지는 연성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변기는, 상기 빨판 내부와 연통하는 흡입관을 통해 상기 빨판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빨판과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압착력을 증가시키는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은 상기 공기 흡입부 및 상기 빨판 내부와 연통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는 내부에 아지트화나트륨을 저장하고, 점화기를 점화하여 상기 아지트화나트륨이 분해되면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로부터 압축공기가 발생하여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좌변기에 설치되는 변기 막힘 해소 장치가 개시된다. 변기 막힘 해소 장치는, 상기 변기의 본체 상부에 안착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거나 저장하는 압축공기 카트리지;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압축공기로 하여금 상기 변기의 본체의 용수 저장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배출구; 및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변기 좌대 및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변기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커버는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옆벽 및 상기 옆벽의 밑면에 부착된 빨판을 포함하며, 상기 빨판은 상기 변기커버가 닫혀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압착되는 때 상기 용수 저장공간으로 하여금 밀폐되게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기 본체의 용수 저장부 내부에 압축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변기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옆벽 및 빨판이 마련된 변기커버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동안, 용수 저장부 내부를 밀폐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지트화나트륨을 이용하여 강한 압력으로 용수 저장부 내부에 압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공기 노즐에 연성튜브를 연결함으로써, 용수 저장부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용수 및 오물의 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나타낸 배출부(242)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비데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변기 막힘 해소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나타낸 변기 막힘 해소 장치가 좌변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나타낸 변기 막힘 해소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수'는 보통 세척 용도로 이용되는 물, 예컨대, 세척수를 지칭하는 용어로 이용되었으나, 통상의 기술자는 그 외에도 상기 용수가 다양한 액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좌변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중앙이 함몰되어 용수를 수용하는 용수 저장공간(114)이 형성된 변기 본체(110)와, 변기 본체(110)에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저장부(120), 변기 본체(1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회동가능한 좌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좌변기는 변기 본체(110) 상부에 마련되며, 좌대(130)와 용수 저장부(120) 사이에 마련된 압축공기 카트리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공기 카트리지(140)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후술하는 압축공기 노즐을 통해 변기 본체(110)의 용수 저장공간(114)으로 배출될 수 있다. 압축공기 노즐(144)은 용수 저장공간(114)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압축공기 노즐(144)을 용수 저장공간(114)의 상부에 마련함으로써, 변기의 막힘 현상에 의해 용수의 수위가 높아졌을 때도 압축공기 노즐(144)이 곧바로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축공기 카트리지(140)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거나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압축공기 카트리지(140)는 내부에 미리 생성된 압축된 기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압축공기 카트리지(140)에는 아지트화나트륨(sodium azide, NaN3)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는 등의 제어조작을 수행하면, 압축공기 카트리지(140)는 점화기를 작동시켜 내부에 저장된 아지트화나트륨에 활성화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아지트화나트륨은 나트륨과 질소 기체로 분해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질소 기체가 발생될 수 있으며 발생된 질소 기체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변기 본체(110)의 용수 저장부(120)에 유입될 수 있다. 아지트화 나트륨으로부터 질소 기체가 발생되는 과정은 화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압축공기 카트리지(140)는 내부에 산화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에서 발생되는 나트륨은 상기 산화철과 반응하여 산화나트륨으로 변할 수 있다. 산화나트륨은 금속 나트륨보다 안정한 화합물이므로 압축공기 카트리지(140)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산화나트륨이 생성되는 과정은 화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좌변기는 압축공기 카트리지(140)에 힌지 결합되며, 회동가능한 변기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변기커버(150)는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옆벽(152) 및 옆벽(152)의 밑면에 부착된 빨판(154)을 포함할 수 있다. 빨판(154)은 고무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변기커버(150)의 회동에 의해 변기 좌대(130) 및 변기 본체(110)의 상부가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기커버(150)를 아래로 내리면, 변기 좌대(130)가 변기커버(150)의 옆벽(152) 안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변기커버(150)의 빨판(154)이 변기 본체(110) 상부의 가장자리(112)에 압착될 수 있다. 빨판(154)이 변기 본체(110) 상부의 가장자리(112)에 압착됨으로써, 용수 저장공간(114)이 밀폐될 수 있다. 용수 저장공간(114)이 밀폐된 상태에서 용수 저장공간(114)으로 압축공기가 배출되면, 용수 저장공간(114)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구성 외에 변기에 포함될 수 있는 일반적인 다른 구성의 표시는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좌변기의 배수로(116)에 이물질(10)이 걸려 배수로(116)가 막힌 경우, 용수 저장부(114)에 저장된 용수와 오물이 배수로(116)를 통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변기커버(150)가 위로 젖혀져 있을 때 변기 본체(1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변기커버(150)의 윗면은 옆면(1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변기 좌대(130) 및 변기 본체(110)의 상부가 함께 변기커버(15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변기커버(150)가 회동에 의해 아래로 젖혀지면,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커버(150)의 옆면(152) 아래에 마련된 빨판(154)이 변기 본체(110)의 상부 가장자리(112)에 압착될 수 있다.
옆벽(152)의 둘레길이는 변기 좌대(130)의 둘레길이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변기커버(150)가 닫혔을 때, 변기 좌대(130)가 변기 커버(150)의 옆벽 (152) 안에 마련된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변기커버(150)에 의해 변기 좌대(130)를 포함한 영역이 모두 밀폐될 수 있다.
빨판(154)이 변기 본체(110)의 상부 가장자리(112)에 압착되면, 변기 본체(110)의 용수 저장부가 밀폐될 수 있다. 사용자의 버튼 조작 등에 의해 제어명령이 전달되면, 압축공기 카트리지(140)는 압축공기 노즐(144)을 통해 압축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압축공기 노즐(144)은 변기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된 관통홀(114)에 삽입될 수 있다. 압축공기 카트리지(140)는 제어명령에 의해 밸브(142)를 개방하여 압축공기 노즐(144)을 통해 미리 저장된 압축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압축공기 카트리지(140)는 제어명령에 의해 점화기를 작동시켜 아지트화나트륨을 분해하고 이때 발생되는 질소가스를 압축공기 노즐(144)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밸브(142)는 생략될 수 있다.
압축공기 노즐(144)을 통해 압축공기가 배출되면, 변기 본체(110)의 용수 저장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증가된 압력에 의해 용수 저장부의 저장된 용수가 배수로(116)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배수로(116)에 있는 이물질(10)이 밀려나면서 배수로(110)의 막힘이 해소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 및 도 3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좌변기는 압축공기 노즐(144)의 말단에 연결된 연성튜브(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성튜브(170)는 연성튜브(170) 내부의 공기 양이나 압력에 따라 부피가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성튜브(170)는 고무 또는 기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축공기 카트리지(140)가 압축공기 노즐(144)을 통해 압축공기를 배출하면, 배출된 압축공기가 연성튜브(170)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변기커버(150)에 의해 용수 저장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연성튜브(170)의 부피가 증가하면, 용수 저장부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증가된 압력에 의해 용수 저장부의 저장된 용수가 배수로(116)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배수로(116)에 있는 이물질(10)이 밀려나면서 배수로(110)의 막힘이 해소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압축공기가 용수 저장부 내부에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와 용수 저장부에 저장된 용수 사이에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강한 압력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용수와 직접적으로 마찰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오물을 포함한 용수가 밀폐된 공간 내부에서 사방으로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성튜브(170)의 부피 증가에 의해 용수 저장부 내부의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막힘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5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6의 경우는 연성튜브(170)가 포함된 경우를 나타내고, 도 7의 경우는 연성튜브(170)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좌변기는 변기 본체(110)의 상부 가장자리(112)와 빨판(154) 사이의 압착력을 증가시키는 공기 흡입부(160) 및 흡입관(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관(162)은 빨판(154) 내부 및 공기 흡입부(160)의 내부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빨판(154)의 내부와 공기 흡입부(160)의 내부는 서로 연통하는 상태일 수 있다.
흡입관(162)은 변기 커버(150)의 옆벽(152)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빨판(154)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162)은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변기커버(150)가 힌지에 고정되어 회동함에 따라 흡입관(162)은 구부러지거나 펴질 수 있다. 공기 흡입부(160)는 전기에너지를 소모하여 공기 흡입부(160)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공기 흡입부(160)는 가정용 비데의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16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압력차에 의해 빨판(154) 내부의 공기가 흡입관(162)을 통해 공기 흡입부(16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빨판(154) 내부의 공기가 공기 흡입부(160)에 의해 흡입됨에 따라 빨판(154)과 변기 본체(110)의 상부 가장자리(112) 사이의 압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변기 본체(110)의 용수 저장부 내부에 압축공기가 배출되거나, 연성튜브(170)의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용수 저장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변기커버(150)가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압축공기 카트리지는 비데(240)에 내장되어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배출부(242)에는 두 개의 구멍(241, 243)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구멍(241)을 통해서는 세정수가 배출되고, 제2 구멍(243)을 통해서는 압축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비데(240)의 내부에는 압축공기 카트리지와 세정수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는 도 8에서 나타낸 배출부(242)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배출부(242)의 제1 구멍(241)은 제1 유로(241a)와 연통하고, 제2 구멍(242)은 제2 유로(242a)와 연통할 수 있다. 제1 유로(241a)는 비데(240) 내부에 마련된 세정수 저장부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유로(242a)는 비데(240) 내부에 마련된 압축공기 카트리지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압축공기 카트리지는 압축된 공기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압축공기 카트리지는 아지트화 나트륨을 저장하고 있다가 압축공기를 배출할 때, 점화기를 작동시켜 아지트화 나트륨으로부터 질소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비데(240)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제1 유로(241a)를 통해 제1 구멍(241) 밖으로 세정수를 배출할 수 있다. 비데(240)는 제2 동작 모드에서 제2 유로(242a)를 통해 제2 구멍(242) 밖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제2 유로(242a)는 상술한 압축공기 노즐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배출부(242)에 두 개의 구멍(241, 243)이 마련된 경우를 나타냈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출부(242)에는 한 개의 구멍만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비데(24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배출부(242)는 세정수를 배출하거나 압축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0은 비데(240)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데(240)의 내부에는 세정수 저장부(244) 및 압축공기 카트리지(245)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배출부(242) 내부에 마련된 유로는 세정수 저장부(244) 및 압축공기 카트리지(245)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유로 안에서 유체의 흐름은 제1 밸브(248) 및 제2 밸브(247)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비데(240)는 제1 동작모드에서 제1 밸브(248)를 개방할 수 있다. 제1 동작모드에서 세정수 저장부(244)에 저장된 세정수가 유로를 통해 배출부(242)의 구멍(241)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비데(240)는 제2 동작모드에서 제2 밸브(247)를 개방할 수 있다. 제2 동작모드에서 압축공기 카트리지(245)에 저장된 세정수가 유로를 통해 배출부(242)의 구멍(241)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좌변기는 비데(240) 및 압축공기 카트리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달리 비데(240)와 압축공기 카트리지(140)는 일체형으로 구현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비데(240)는 배출부(242)를 통해 세정수를 배출할 수 있다. 압축공기 카트리지(140)는 압축공기 노즐(142)을 통해 압축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압축공기 노즐(142)은 변기 본체(1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변기 막힘을 해소하기 위한 장치가 변기에 고정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변기 막힘을 해소하기 위한 장치는 변기와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변기에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도 1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변기 막힘 해소 장치(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변기 막힘 해소 장치(300)는 압축공기 카트리지가 내장된 본체(320), 본체(320)의 앞면에 힌지 결합된 좌대(330) 및 본체(320)에 힌지 결합된 변기 커버(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20)에는 비데 구성이 더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변기 막힘 해소 장치(300)는 좌변기(400)의 변기 본체(410)의 상부(412)에 안착될 수 있다. 변기 막힘 해소 장치(300)의 본체(320)는 좌변기(400)의 용수 저장부(420) 앞쪽에 안착될 수 있다.
변기 커버(310)는 윗면 및 윗면을 지지하는 옆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옆면(312)의 아래에는 빨판(314)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빨판(314)은 변기 본체(410)의 상부 가장자리(412)에 압착될 수 있다. 변기 커버(310)에 의해 변기 본체(410)의 용수 저장공간이 개폐될 수 있다. 빨판(314)이 변기 본체(410)의 상부 가장자리(412)에 압착되면, 변기 본체(410)의 용수 저장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서 나타낸 변기 막힘 해소 장치(300)가 좌변기(400)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변기 막힘 해소 장치(300)의 본체(320) 일단에는 배출구(32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체(320)에 내장된 압축공기 카트리지에서 생성되거나 저장되어 있던 압축공기는 배출구(322)를 통해 용수 저장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압축공기 카트리지는 순간적으로 다량의 질소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압축공기가 배출구(322)를 통해 배출되면, 용수 저장공간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압축공기가 배출구(322)를 통해 배출되는 동안, 용수 저장공간은 변기 커버(310)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서 나타낸 변기 막힘 해소 장치(300)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변기 막힘 해소 장치(300)는 배출구(322)에 연결된 연성튜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공기 카트리지가 배출구(322)를 통해 압축공기를 배출하면, 배출된 압축공기가 연성튜브(340)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용수 저장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연성튜브(340)의 부피가 증가하면, 용수 저장부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증가된 압력에 의해 용수 저장부의 저장된 용수가 배수로(416)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배수로(416)에 있는 이물질(10)이 밀려나면서 배수로(416)의 막힘이 해소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좌변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기 본체의 용수 저장부 내부에 압축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변기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옆벽 및 빨판이 마련된 변기커버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동안, 용수 저장부 내부를 밀폐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지트화나트륨을 이용하여 강한 압력으로 용수 저장부 내부에 압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공기 노즐에 연성튜브를 연결함으로써, 용수 저장부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용수 및 오물의 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좌변기에 있어서,
    용수 저장공간이 형성된 변기 본체로서, 상기 용수 저장공간은 상기 용수 저장공간의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용수 저장공간의 중앙이 함몰되어 용수의 수용이 가능한, 변기 본체;
    상기 변기 본체에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저장부;
    상기 변기 본체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변기 좌대;
    상기 변기 본체와 상기 용수 저장부 사이에 마련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거나 저장하는 압축공기 카트리지;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압축공기로 하여금 상기 변기 본체의 상기 용수 저장공간으로 배출되게 하는 압축공기 노즐; 및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변기 좌대 및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변기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커버는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옆벽 및 상기 옆벽의 밑면에 부착된 빨판을 포함하며,
    상기 빨판은 상기 변기커버가 닫혀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압착되는 때 상기 용수 저장공간으로 하여금 밀폐되게 하는 좌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의 옆벽의 둘레길이는 상기 변기 좌대의 둘레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노즐 말단에 연결된 연성튜브로서, 상기 압축공기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양에 따라 상기 연성튜브의 부피가 달라지는 연성튜브
    를 더 포함하는 좌변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빨판 내부와 연통하는 흡입관을 통해 상기 빨판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빨판과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압착력을 증가시키는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좌변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공기 흡입부 및 상기 빨판 내부와 연통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는 내부에 아지트화나트륨을 저장하고, 점화기를 점화하여 상기 아지트화나트륨이 분해되면,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로부터 압축공기가 발생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비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는 상기 비데에 내장되고, 상기 압축공기 노즐은 상기 비데의 배출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8. 좌변기에 설치되는 변기 막힘 해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의 본체 상부에 안착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거나 저장하는 압축공기 카트리지;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압축공기로 하여금 상기 변기의 본체의 용수 저장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배출구; 및
    상기 압축공기 카트리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변기 좌대 및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변기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커버는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옆벽 및 상기 옆벽의 밑면에 부착된 빨판을 포함하며,
    상기 빨판은 상기 변기커버가 닫혀 상기 변기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압착되는 때 상기 용수 저장공간으로 하여금 밀폐되게 하는 변기 막힘 해소 장치.
KR1020190064416A 2019-04-30 2019-05-31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KR102213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42573A JP7075542B2 (ja) 2019-04-30 2020-04-28 詰まり除去機能が備えられた座便器
PCT/KR2020/005597 WO2020222502A1 (ko) 2019-04-30 2020-04-28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EP20797983.2A EP3879038A4 (en) 2019-04-30 2020-04-28 CLOG-FREETING TOILETS
US17/326,338 US11162252B2 (en) 2019-04-30 2021-05-21 Toilet bowl with clog remova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1066 2019-04-30
KR1020190051066 2019-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865A true KR20200126865A (ko) 2020-11-09
KR102213795B1 KR102213795B1 (ko) 2021-02-08

Family

ID=7342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416A KR102213795B1 (ko) 2019-04-30 2019-05-31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62252B2 (ko)
EP (1) EP3879038A4 (ko)
JP (1) JP7075542B2 (ko)
KR (1) KR1022137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77773A1 (en) * 2020-01-08 2020-09-03 Joel Lorenzo Water Efficient Toile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021Y1 (ko) * 2010-06-14 2010-11-23 한영웅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KR20110001619U (ko) * 2009-08-10 2011-02-17 박상호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9311A (en) * 1992-07-15 1993-10-05 Rau J David Fluid pressure device for opening clogged pipes
US5768719A (en) * 1995-09-05 1998-06-23 Harvey; Neil Apparatus and methods for unclogging a toilet
US5600856A (en) * 1995-10-11 1997-02-11 Kang; Kyung T. Toilet blockage remover
GB9807943D0 (en) * 1998-04-15 1998-06-10 Moore Garry Air displacement toilet
US6804838B2 (en) * 2003-02-10 2004-10-19 Richard G Lacus Flexible diaphragm for clearing obstruction in a plumbing fixture
KR101313371B1 (ko) * 2004-10-22 2013-10-01 피닉스 프로덕트 디벨롭먼트 리미티드 용기
US8104102B2 (en) * 2006-03-09 2012-01-31 O'hanley Alex H Method and apparatus for unclogging a toilet
KR101187586B1 (ko) * 2011-11-03 2012-10-02 박일도 변기 퍼징장치
US8776281B2 (en) * 2011-12-05 2014-07-15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System for unclogging toilets
US8418275B1 (en) * 2011-12-06 2013-04-16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System for unclogging toilets
KR101430735B1 (ko) * 2013-02-01 2014-08-14 주식회사 맥스포 자동 배수기능을 구비하는 양변기
CN103429829B (zh) * 2013-02-01 2016-01-20 佟建伦 高压节水马桶
US20150074889A1 (en) * 2013-09-17 2015-03-19 Sean Donohue Drain clearing device
DE102017110382A1 (de) * 2017-05-12 2018-11-15 Grohe Ag Selbstreinigende Toilet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619U (ko) * 2009-08-10 2011-02-17 박상호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KR200451021Y1 (ko) * 2010-06-14 2010-11-23 한영웅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1998A (ja) 2022-02-01
EP3879038A4 (en) 2022-01-19
US20210277645A1 (en) 2021-09-09
US11162252B2 (en) 2021-11-02
EP3879038A1 (en) 2021-09-15
JP7075542B2 (ja) 2022-05-25
KR102213795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1250B2 (ja) 洋風水洗式便器
KR102213795B1 (ko)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US20060041995A1 (en) Odor eliminating system for a toilet, toilet including the odor eliminating system, and toilet seat assembly
JP2006112056A (ja) 便器装置
KR101748435B1 (ko) 변기 커버
JP2008274566A (ja) 便器本体及び洋風水洗式便器
WO2020222502A1 (ko)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KR200492905Y1 (ko)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KR100491641B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102251978B1 (ko)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EP3196370B1 (en) Toilet flushing system
JP5057191B2 (ja) 排水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
KR101478111B1 (ko) 전자식 양변기
KR200482587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100899460B1 (ko) 좌변기용 배출관의 막힘상태 뚫음장치
CN115427644A (zh) 超节水型坐便器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71548Y1 (ko) 절수형 양변기
WO2010150803A1 (ja) 水洗式便器
CN217679471U (zh) 一种发泡马桶
CN218091139U (zh) 一种具有除臭功能的坐便器
JP7415302B2 (ja) 水洗大便器
KR101438644B1 (ko)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CN112575859B (zh) 冲水大便器
KR200254813Y1 (ko) 자연배출방식의 수세식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