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155B1 - 압연기 - Google Patents

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155B1
KR101847155B1 KR1020170083153A KR20170083153A KR101847155B1 KR 101847155 B1 KR101847155 B1 KR 101847155B1 KR 1020170083153 A KR1020170083153 A KR 1020170083153A KR 20170083153 A KR20170083153 A KR 20170083153A KR 101847155 B1 KR101847155 B1 KR 101847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lling
power transmission
rolled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열
박용균
양해남
Original Assignee
(주)피티더블유스틸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티더블유스틸솔루션 filed Critical (주)피티더블유스틸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08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5/00Drives for metal-rolling mills, e.g. hydraulic drives
    • B21B35/14Couplings, driving spindles, or spindle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or specially arranged in, metal-rolling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기에 관한 것으로서, 압연물을 압연하는 압연롤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여 압연물을 원하는 두께로 압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는,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며, 그 사이에는 압연물을 압연할 수 있는 압연공간이 형성된 압연롤, 상기 압연롤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되고,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압연롤을 제자리 회전시켜 상기 압연공간에서 압연물이 압연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롤, 상기 동력전달롤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롤을 지지하여 상기 압연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밀림방지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연기{ROLLING MILL}
본 발명은 압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연물을 압연하는 과정에서 압연롤이 밀리지 않도록 하여 압연물을 원하는 두께로 압연할 수 있는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은 연속주조에서 생산된 반제품을 열연, 후판, 강재, 형강 및, 봉강 공장 등으로 이송시켜 가열로에서 재가열한 후, 각각의 열연 압연기에서 소정의 형상 및 치수를 갖는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압연기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압연롤 및 하부 압연롤의 사이에 압연물을 입측 방향에서 출측 방향으로 압연시키면서 이동시킨다.
그리고, 압연하고자 하는 압연물의 두께에 따라 유압실린더를 통해 상부 압연롤과 하부 압연롤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압연기를 통해 압연물을 압연할 경우 압연롤에 밀림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최초 계획한 두께로 압연물을 압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유압실린더의 경우 상부 압연롤을 균형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2개 이상으로 상부 압연롤에 설치되는데, 각각의 유압실린더에서 작용하는 가압하중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압연물에 편방향 압연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72658호(2010.07.2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압연물을 압연하는 압연롤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여 압연물을 원하는 두께로 압연할 수 있는 압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압연롤 간의 간격을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압연물을 다양한 두께로 압연할 수 있으며, 편방향 압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압연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는,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며, 그 사이에는 압연물을 압연할 수 있는 압연공간이 형성된 압연롤, 상기 압연롤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되고,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압연롤을 제자리 회전시켜 상기 압연공간에서 압연물이 압연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롤, 상기 동력전달롤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롤을 지지하여 상기 압연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밀림방지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롤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모터, 상기 모터와 동력전달롤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안내부, 상기 회전안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되, 어느 하나가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동력전달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피동축, 상기 구동축과 피동축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롤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압연롤, 동력전달롤 및 밀림방지롤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각각 장착되며, 압연하고자 하는 압연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상기 압연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일률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지지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승강되는 감지판, 상기 감지판의 하측 또는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되는 감지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작동이 온(ON) 또는 오프(OFF) 되도록 하는 거리측정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 간에서 발생되는 압력 편차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부는 하측에 위치된 밀림방지롤의 양측에 각각 가해지는 하중 값의 동일 여부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승강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로드를 상기 지지부재 측으로 가압하여 상측에 위치된 상기 압연롤, 동력전달롤 및 밀림방지롤이 상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는, 밀림방지롤이 동력전달롤의 상,하측에서 동력전달롤을 각각 지지하고, 압연롤은 동력전달롤에 지지됨에 따라 압연공간에 공급된 압연물을 압연하는 과정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게 되어, 작업자는 자신이 처음 설계한 두께 대로 압연물을 용이하게 압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밀림방지롤을 통해 압연롤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압연이 완료된 압연물들에 두께 편차가 발생되지 않는 등 정밀한 압연 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압연롤 간의 간격을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절 가능하므로, 압연물을 다양한 두께로 압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에 적용된 각 구성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에 적용된 각 구성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에 적용된 간격조절부 및 밀림방지부 간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에 적용된 각 구성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에 적용된 각 구성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에 적용된 간격조절부 및 밀림방지부 간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1)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며 압연물을 압연하는 압연롤(20), 압연롤(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압연롤(20)을 제자리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롤(30), 상기 동력전달롤(3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되는 밀림방지롤(4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판(11), 상기 상판(11)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대칭 설치되며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12), 일정한 길이, 폭 및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에 후술되는 구동부(50)가 설치되는 지지판(15), 일정한 길이, 폭 및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에 상기 측판(12)과 지지판(15)이 고정되는 바닥판(16)을 포함한다.
상기 각 측판(12)에는 서로 동일한 형상의 설치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홀(121)은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후술되는 지지부재(60)가 상기 설치홀(121)에 상,하 대칭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압연롤(20), 동력전달롤(30), 밀림방지롤(40)을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60)는 상측에 위치된 압연롤(20), 동력전달롤(30), 밀림방지롤(40)을 각각 지지하는 3개의 상부지지부재(61)와, 하측에 위치된 압연롤(20), 동력전달롤(30), 밀림방지롤(40)을 각각 지지하는 3개의 하부지지부재(62)로 분할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부재(61)와 하부지지부재(62)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연롤(20), 동력전달롤(30), 밀림방지롤(40)의 일부분이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는 3개의 지지홈(612,62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홈(612,622)의 내부에는 상기 압연롤(20), 동력전달롤(30), 밀림방지롤(40)의 외주연에 각각 장착되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압연롤(20), 동력전달롤(30), 밀림방지롤(40)은 압연물의 압연과정에서 원활하게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각각의 상부지지부재(61)와 하부지지부재(62)의 외측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결합편(611,621)이 각각 형성되되, 상측에 위치된 결합편(611)과 그 하측에 위치된 결합편(621)은 볼트와 너트를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설치홀(121)의 양측에는 상기 상부지지부재(61)의 전,후 측 및 하부지지부재(62)의 전,후 측에 각각 위치되는 고정레일(13)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레일(13)은 일부분이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볼트 등을 통해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상부지지부재(61)와 하부지지부재(62)의 외면을 각각 지지한다.
그리고, 상부지지부재(61)들은 결합편(611)이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되므로 인해 상기 고정레일(13)의 사이에서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상판(11)과 측판(12)에는 상기 설치홀(121)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이로 인해 후술되는 승강부(71)가 상부지지부재(6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12)의 사이에는 상기 압연롤(20)에 압연물을 공급하기 위한 판 형상의 공급레일(14)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공급레일(14)의 끝단은 상기 압연롤(20)의 사이 압연공간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레일(14) 통해 상기 압연공간에 압연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연롤(20)은 압연물을 압연하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총 2개가 상기 측판(12)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압연물은 전기강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압연물은 전기강판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대상물을 압연할 수 있다.
상기 압연롤(20) 중 실질적으로 압연물을 압연하는 중앙부분은 상기 측판(12)의 사이에 위치되고, 양측 끝부분은 상기 지지홈(612,622)의 내부에 설치된 베어링에 장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압연롤(20)은 원활하게 제자리 회전 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압연롤(20)이 상,하 방향으로 대칭됨에 따라 그 사이에는 압연물이 압연될 수 있는 압연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압연롤(20)은 후술되는 간격조절부(70)에 의해 서로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간격조절부(70)를 통해 원하는 두께의 압연물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롤(30)는 상기 압연롤(20)과 동일하게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총 2개로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동력전달롤(30)는 상측에 위치된 압연롤(20)의 상측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동력전달롤(30)는 하측에 위치된 압연롤(20)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동력전달롤(30)은 중앙부분이 압연롤(20)의 중앙부분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동력전달롤(30)의 양측 끝부분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이 장착된 부분이 상기 지지홈(612,622)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롤(30) 또한 원활하게 제자리 회전 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동력전달롤(30)는 구동부(5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압연롤(20)을 제자리 회전 시킴에 따라 상기 압연공간에서 압연물이 압연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50)는 모터(51), 회전안내부(52), 구동축(53), 피동축(54), 회전력전달부(55)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51)는 일반적인 AC 모터 또는 DC 모터이고,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모터(51)는 상기 동력전달롤(3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력전달부(55)를 통해 상기 동력전달롤(30)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안내부(52)는 구동축(53)의 제자리 회전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51)와 동력전달롤(30)의 사이에 배치되며,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안내부(5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설치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121)에는 구동축(53)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구동축(53)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상기 설치홀(121)에 각각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대칭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53)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설치홀(121)의 외부로 돌출되어 동력전달롤(30)과 수평을 이룬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설치홀(121)에는 상기 구동축(53)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베어링을 설치하여, 상기 구동축(53)의 원활한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53) 중 상기 설치홀(121)의 외부로 돌출된 일면에는 대략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력전달부(55)와 연결되는 연결부(531)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축(53)은 어느 하나가 상기 모터(51)의 모터축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53)의 외주연에는 스프로켓(미도시)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스프로켓은 서로 치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모터(51)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을 회전시키면 한 쌍의 구동축(53)이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 피동축(54)은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상기 동력전달롤(30)이 설치되는 상부지지부재(61)의 지지홈(612)과 하부지지부재(62)의 지지홈(621)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피동축(54) 중 지지홈(612,622)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상기 피동축(54)의 끝단과 동력전달롤(30)의 끝단은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피동축(54)과 동력전달롤(3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동축(54) 중 상기 지지홈(612,622)의 외부로 돌출된 일면에는 대략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력전달부(55)와 연결되는 연결부(541)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55)는 상기 모터(51)의 회전력을 동력전달롤(3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과 하측에 위치된 구동축(53)과 피동축(54)의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55)의 양측에는 대략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부(55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55)의 일측에 형성된 홀더부(551)는 상기 구동축(53)에 형성된 연결부(531)의 외면 일부분을 감싸며, 볼트 등의 결합장치를 통해 홀더부(551)와 연결부(531)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력전달부(55)의 타측에 형성된 홀더부(551)는 상기 피동축(54)에 형성된 연결부(541)의 외면 일부분을 감싸며, 볼트 등의 결합장치를 통해 홀더부(551)와 연결부(541)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축(53)과 피동축(54)이 회전력전달부(55)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모터(51)에 전원을 인가하면 한 쌍의 구동축(53)이 동시에 제자리 회전되고, 상기 구동축(53)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력전달부(55)와 피동축(54) 및 동력전달롤(30)도 제자리 회전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53)은 스프로켓을 통해 연결됨으로, 모터(51)와 연결된 구동축(5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측에 위치된 구동축(53)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압연롤(20)은 동력전달롤(30)가 제자리 회전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급레일(14)을 통해 압연공간에 사이에 압연물을 투입하면, 상기 압연물은 압연공간을 통과하면서 압연된다.
한편, 상기 밀림방지롤(40)은 상기 압연롤(20)이 압연물을 압연하는 과정에서 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롤(30) 및 압연롤(20)과 동일하게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총 2개로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밀림방지롤(40)은 상측에 위치된 동력전달롤(30)의 상측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밀림방지롤(40)은 하측에 위치된 동력전달롤(3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밀림방지롤(40)의 양측 끝부분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이 장착된 부분이 상기 지지홈(612,622)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밀림방지롤(40)은 중앙부분이 동력전달롤(30)의 중앙부분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밀림방지롤(40)은 상기 동력전달롤(30)의 상,하측에서 동력전달롤(30)를 각각 지지하고, 이로 인해 상기 압연롤(20)이 동력전달롤(30)에 지지됨에 따라 압연공간에 공급된 압연물을 압연하는 과정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이 처음 설계한 두께 대로 압연물을 용이하게 압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밀림방지롤(40)을 통해 압연롤(20)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압연이 완료된 압연물들에 두께 편차가 발생되지 않는 등 정밀한 압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밀림방지롤(40)은 동력전달롤(30)이 제자리 회전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동력전달롤(30)을 지지함에 따라, 동력전달롤(30)의 제자리 회전 작동에 방해를 주지 않아 원활한 압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압연롤(20)은 간격조절부(70)를 통해 서로 간의 간격이 조절되어, 작업자는 압연물을 다양한 두께로 압연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70)는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압연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상기 압연롤(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두개의 상부지지부재(61)를 일률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으로, 승강부(71), 감지판(72), 거리측정센서(73)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71)는 공지의 스크류잭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두개로 적용되어 상기 상부지지부재(61)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승강부(71)를 구성하는 본체(711)는 상기 상판(11)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승강부(71)를 구성하는 승강로드(712)는 상측이 상기 본체(711)의 설치되고, 하측이 상기 상판(11)의 연결홀을 통과하여 최상측에 위치된 상부지지부재(61)의 상면에 브라켓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승강부(71)를 구성하는 모터(713)는 일반적인 AC 모터 또는 DC 모터이고,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모터(713)는 상기 상판(11)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로드(712)에 동력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상기 모터(713)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로드(712)가 상부지지부재(6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따라서, 상측에 위치된 압연롤(20)과 동력전달롤(30) 및 밀림방지롤(40)도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되어 압연롤(20) 간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압연물을 원하는 두께로 압연할 수 있다.
상기 감지판(72)은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리측정센서(73)에 용이하게 센싱될 수 있는 금속 재질 등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감지판(72)은 상기 상부지지부재(61)의 상측에 각각 장착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감지판(72)은 상기 상부지지부재(61)와 함께 승강된다.
상기 거리측정센서(73)는 상기 측판(12)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판(72)의 하측 또는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상기 거리측정센서(73)가 감지판(72)의 하측에 위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거리측정센서(73)는 상기 승강되는 감지판(72)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승강부(71)의 작동이 온(ON) 또는 오프(OFF)되도록 하여 압연롤(20)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제어판넬(90)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판넬(9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50)의 모터(51), 간격조절부(70)의 모터(7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내장되며, 상기 제어판넬(90)의 외부에는 상기 제어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스위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 상기 제어부는 거리측정센서(7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거리측정센서(73)와 감지판(72)의 간격이 0.1mm일 경우 압연롤(20) 간의 간격도 0.1mm이 되도록 셋팅 될 수 있다.
압연롤(20) 간의 간격이 1mm인 상태에서 압연물을 0.1mm의 두께로 압연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제어판넬(90)의 제어 스위치를 통해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거리측정센서(73)가 감지판(72)과의 간격이 0.1mm일 때 감지하도록 셋팅한다.
이와 같이 입력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71)의 모터(713)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로드(712)가 상기 상부지지부재(61)를 하강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압연롤(20)과 동력전달롤(30)와 밀림방지롤(40) 및 감지판(72)은 상부지지부재(61)와 함께 하강되며, 이로 인해 상기 압연롤(20) 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상기 거리측정센서(73)는 감지판(72)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거리측정센서(73)는 감지판(72)과의 거리가 0.1mm 인 것을 측정할 경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간격조절부(70)의 모터(713)가 정지되도록 한다.
이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50)의 모터(51)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동력전달롤(30)를 통해 압연롤(20)을 제자리 회전 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급레일(14)을 통해 압연공간에 압연물을 투입하면, 상기 압연물은 압연롤(2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압연공간을 통과하면서 0.1mm의 두께로 압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1)는 상기와 같이 간격조절부(70)를 통해 압연롤(20) 간의 간격을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절하여 압연물을 다양한 두께로 압연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스크류잭에 의해 형성되는 승강부(71)가 상기 상부지지부재(61)의 높낮이를 조절한 다음 그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밀림방지롤(40)을 통해 상기 동력전달롤(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압연롤(20)은 상기 동력전달롤(30)에 안정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압연물을 압연하는 과정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압연이 완료된 압연물들에 두께 편차가 발생되지 않는 등 정밀한 압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작업자는 한 번의 압연 공정으로도 처음 설계한 두께 대로 압연물을 압연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압연물을 압연하는 과정에서 상측에 위치된 압연롤(20), 동력전달롤(30) 및 밀림방지롤(40)이 상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부(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림방지부(1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711)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그 하단이 상기 본체(711)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측이 가압판(11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탄성력을 통해 상기 본체(711)를 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승강로드(712)를 상부지지부재(61)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림방지부(100)에 의해 상측에 위치된 상기 압연롤(20), 동력전달롤(30) 및 밀림방지롤(30)이 압연물을 압연하는 과정에서 상측으로 밀려 하부에 위치된 압연롤(20), 동력전달롤(30) 및 밀림방지롤(30)과의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처음 설계한 두께 대로 압연물을 압연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승강부(71)가 동일한 가압력으로 상기 압연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승강부(71)간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편차가 발생될 경우, 그 압력편차를 동일하게 보정하기 위한 보정부(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정부(80)는 공지의 로드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측에 위치된 두개의 하부지지부재(62) 저면에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하측에 위치된 밀림방지롤(4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압연물을 압연하기 위해 승강로드(712)를 하강시켰을 경우 그 가압 하중은 상측에 위치된 밀림방지롤(40)과 동력전달롤(30)과 압연롤(20)과 압연물을 거쳐 하부에 위치된 압연롤(20)과 동력전달롤(30) 및 밀림방지롤(40) 순으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상기 각각의 보정부(80)가 하측에 위치된 밀림방지롤(40)의 좌측과 우측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 보정부(80)는 하측에 위치된 밀림방지롤(40)의 좌측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고, 우측에 위치된 보정부(90)는 하측에 위치된 밀림방지롤(40)의 우측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좌측에 위치된 보정부(80)와 우측에 위치된 보정부(80)에서 전송된 측정 값을 비교한다.
예를 들어, 좌측에 위치된 보정부(80)에서 전송된 하중보다 우측에 위치된 보정부(80)에서 전송된 하중이 커 편차가 발생 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좌측에 위치된 승강부(71)만 편차에 해당되는 만큼 작동시켜 양 승강부(71)가 동일한 압력으로 상기 압연물을 가압하도록 한다.
즉, 상기 보정부(80)는 상기 두개의 승강로드(712)에서 발생되는 가압력을 각각 측정하여 편차가 발생될 경우, 가압력이 약한 쪽의 모터(713)를 작동시켜 승강로드(712)가 하강 되도록 하므로서, 압연롤(20)에 동일한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압연물 전체를 동일한 두께로 압연가능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2개의 승강로드(712)에 동일한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압연물에 편방향 압연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 : 압연기 10,711 : 본체
11 : 상판 12 : 측판
121 : 설치홀 13 : 고정레일
14 : 공급레일 20 : 압연롤
30 : 동력전달롤 40 : 밀림방지롤
50 : 구동부 51,713 : 모터
52 : 회전안내부 53 : 구동축
531,541 : 연결부 54 : 피동축
55 : 회전력전달부 551 : 홀더부
60 : 지지부재 61 : 상부지지부재
611,621 : 결합편 612,622 : 지지홈
62 : 하부지지부재 70 : 간격조절부
71 : 승강부 712 : 승강로드
72 : 감지판 73 : 거리측정센서
80 : 보정부 90 : 제어판넬
100 : 밀림방지부 110 : 가압판

Claims (6)

  1.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대칭 설치되며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 상기 측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며, 그 사이에는 압연물을 압연할 수 있는 압연공간이 형성된 압연롤;
    상기 압연롤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되고,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압연롤을 제자리 회전시켜 상기 압연공간에서 압연물이 압연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롤;
    상기 동력전달롤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롤을 지지하여 상기 압연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밀림방지롤;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압연롤, 동력전달롤 및 밀림방지롤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각각 장착되며, 압연하고자 하는 압연물의 두께에 대응되게 상기 압연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일률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며 본체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승강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지지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승강되는 감지판, 및 상기 감지판의 하측 또는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되는 감지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작동이 온 또는 오프 되도록 하는 거리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의 본체 내부공간에 상기 승강로드를 상기 지지부재 측으로 가압하여 상측에 위치된 상기 압연롤, 동력전달롤 및 밀림방지롤이 상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롤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모터,
    상기 모터와 동력전달롤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안내부,
    상기 회전안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되, 어느 하나가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동력전달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피동축,
    상기 구동축과 피동축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롤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 간에서 발생되는 압력 편차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부는 하측에 위치된 밀림방지롤의 양측에 각각 가해지는 하중 값의 동일 여부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로드셀이고,
    상기 측판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설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측에 위치된 압연롤, 동력전달롤, 밀림방지롤을 각각 지지하는 3개의 상부지지부재, 하측에 위치된 압연롤, 동력전달롤, 밀림방지롤을 각각 지지하는 3개의 하부지지부재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압연롤, 동력전달롤, 밀림방지롤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안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구동축이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설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은 일부분이 상기 설치홀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축의 돌출된 부분에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전달부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피동축은 상기 동력전달롤이 설치되는 상부지지부재의 지지홈과 하부지지부재의 지지홈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피동축은 일부분이 상기 지지홈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피동축의 돌출된 부분에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에 형성된 연결부의 외면과, 상기 피동축에 형성된 연결부의 외면을 감싸며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홀더부가 각각 형성되는 압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83153A 2017-06-30 2017-06-30 압연기 KR101847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53A KR101847155B1 (ko) 2017-06-30 2017-06-30 압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53A KR101847155B1 (ko) 2017-06-30 2017-06-30 압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155B1 true KR101847155B1 (ko) 2018-04-09

Family

ID=6197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53A KR101847155B1 (ko) 2017-06-30 2017-06-30 압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15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376B1 (ko) 백래쉬 대처형 압연기
CN209953501U (zh) 一种钢铁轧辊升降装置
KR101298010B1 (ko) 프레스라인의 소재 적재용 디스태커
CN111468561A (zh) 一种带伺服液压系统的矫平机
KR101847155B1 (ko) 압연기
KR101847156B1 (ko) 압연기
KR100958001B1 (ko) 선재 압연롤의 편경차 측정장치
CN108706350A (zh) 一种可行走带板料定位功能的升降拆垛台车
US8365566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distance of a stripper chisel
US2437792A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H10249599A (ja) プレス加工機
KR101634005B1 (ko) 소재 형상 교정장치
KR20100002421A (ko) 냉연강판의 장력 조절장치 및 방법
CN114654157B (zh) 一种低成本压力钢管加劲环焊接装置
KR20130029971A (ko) 시임 용접기의 하부 전극 높이보상장치
KR20130110515A (ko) 이송롤러의 수평도 조정장치와 이송롤러의 수평도 조정방법
US9695019B1 (en) Suspension type lifting device
EP0493775B1 (en) Guide device for shape rolling
KR100423429B1 (ko) 소둔로 롤 교체장치
CN107511532A (zh) 数控卧式圆锯床上料装置
CN107262568B (zh) 一种卷板机工作辊挠度变形补偿装置
KR101713093B1 (ko) 코어의 적층 높이 제어장치
KR20040015514A (ko) 강판의 중앙 정렬 장치
KR101435055B1 (ko) 바 상향 조정장치 및 방법
KR100951262B1 (ko) 압연롤의 위치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