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146B1 -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146B1
KR101847146B1 KR1020160122764A KR20160122764A KR101847146B1 KR 101847146 B1 KR101847146 B1 KR 101847146B1 KR 1020160122764 A KR1020160122764 A KR 1020160122764A KR 20160122764 A KR20160122764 A KR 20160122764A KR 101847146 B1 KR101847146 B1 KR 101847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molding
circular
r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719A (ko
Inventor
이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골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골드
Priority to KR102016012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1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4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fancy goods, e.g. jewell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단면의 장신구용 링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따르면, 성형공(41,42)이 형성된 성형금형(40)을 이용하여 스트립(1)을 원형관체 형태로 1차 성형하고, 사각관체(3) 형태로 2차 성형한 후, 이와 같이 제작된 사각관체(3)를 권취봉(20)에 코일형태로 감고, 이와 같이 코일형태로 감긴 사각관체(3)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내어 금속재질의 링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재의 링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작이 간편할 뿐 아니라, 링의 제조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방법으로 제작된 링은 금속판을 접어서 제작됨으로, 제작된 링의 내부공간이 비어서 매우 가벼울 뿐 아니라, 매우 적은 양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어서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ccessory ring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ccessory ring}
본 발명은 사각단면의 장신구용 링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찌 등과 같은 링형태의 장신구,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각형의 단면형태를 갖는 링형태의 장신구를 제작할 때는 주조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주조방법으로 제작된 장신구는 내부에 재료가 꽉 찬 형태로 구성됨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고 탄성이 거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할 경우, 장신구를 하나씩 제작하여야 함으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제조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금과 같은 귀금속을 이용하여 장신구를 제작할 경우, 재료가 많이 소요되어 가격이 매우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5779호, 등록특허 10-045754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단면의 장신구용 링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대(10)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둘레면 일측에는 클램프(21)가 구비된 권취봉(20)과, 상기 권취봉(20)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된 이송대(30)와, 상기 이송대(30)에 구비되며 상기 권취봉(20)의 둘레면을 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성형공(41,42)이 형성된 성형금형(40)을 포함하며, 상기 성형공(41,42)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원형단면의 원형성형공(41)과, 상기 원형성형공(41)의 후방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사각단면의 사각성형공(42)이 형성되어, 상기 성형공(41,42)의 전단부로 금속재의 스트립(1)을 삽입하여, 상기 성형공(41,42)을 통과하여 성형공(41,42)의 후방으로 연장된 스트립(1)의 단부를 상기 권취봉(20)의 클램프(21)에 고정한 후, 상기 권취봉(20)을 회전시키면, 상기 스트립(1)이 상기 원형성형공(41)을 통과하면서 원형관체 형태로 1차 성형되고, 상기 사각성형공(42)을 통과하면서 사각관체(3) 형태로 2차 성형된 후, 상기 권취봉(20)에 코일형태로 감기게 되며, 상기 권취봉(20)에 코일형태로 감긴 사각관체(3)를 링형태로 잘라내어 장신구용 링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성형공(41,42)을 관통하여 성형공(41,42)의 후방으로 연장된 코어(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어(60)는 상기 사각성형공(42)의 단면형상에 비해 작은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사각성형공(42)을 통과하는 스트립(1)이 상기 사각성형공(42)과 코어(6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사각관체(3)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성형금형(4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성형공(41,42)으로 공급되는 금속재 스트립(1)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조절기(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텐션조절기(50)는 상기 이송대(30)에 고정된 하부블록(51)과, 상기 하부블록(51)의 상면에 적층되며 볼트(53)로 고정된 상부블록(52)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블록(51)과 상부블록(52)의 인접면에는 상기 스트립(1)이 통과하는 관통공(52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2a)의 높이는 상기 스트립(1)의 두께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53)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상부블록(52)이 스트립(1)의 상면을 가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형성형공(41)의 내주면 하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1a)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41a)는 후방으로 갈수록 양측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원형성형공(41)을 통과하면서 원형으로 성형되는 스트립(1)의 양측단부가 상기 돌출부(41a)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스트립(1)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금속재의 스트립(1)을 원형관체로 1차 성형하는 단계와, 1차 성형된 원형관체를 사각관체(3) 형태로 2차 성형하는 단계와, 2차 성형된 사각관체(3)를 권취봉(20)에 코일형태로 감는 단계와, 상기 권취봉(20)에 감긴 사각관체(3)를 링형태로 잘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링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따르면, 성형공(41,42)이 형성된 성형금형(40)을 이용하여 사각관체(3)를 제작한 후, 이와 같이 제작된 사각관체(3)를 권취봉(20)에 코일형태로 감고, 이와 같이 코일형태로 감긴 사각관체(3)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내어 금속재질의 링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재의 링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작이 간편할 뿐 아니라, 링의 제조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방법으로 제작된 링은 금속판을 접어서 제작됨으로, 제작된 링의 내부공간이 비어서 매우 가벼울 뿐 아니라, 매우 적은 양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어서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용 링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징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신구용 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의 성형금형과 코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의 성형금형을 도시한 후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의 텐션조절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금속판재로 구성된 스트립을 사각관체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성형된 사각관체를 권취봉에 코일형태로 감긴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코일형태로 감긴 사각관체를 잘라내는 단계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금속판재질의 스트립(1)을 이용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장신구용 링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는 지지대(10)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둘레면 일측에는 클램프(21)가 구비된 권취봉(20)과, 상기 권취봉(20)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된 이송대(30)와, 상기 이송대(30)에 구비되며 상기 권취봉(20)의 둘레면을 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성형공(41,42)이 형성된 성형금형(40)과, 상기 성형금형(4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성형공(41,42)으로 공급되는 금속재 스트립(1)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조절기(50)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성형공(41,42)을 관통하여 성형공(41,42)의 전방으로 연장된 코어(6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베드(11)와, 상기 베드(11)의 상면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측판(12)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측단부가 상기 측판(12)에 고정되도록 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구비되도록 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가이드(13)와, 상기 측판(12)의 내측면 일측에서 타측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척(14)이 구비된 일반적인 선반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권취봉(20)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척(14)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구동모터로 척(14)을 구동시키면, 상기 권취봉(20)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권취봉(20)의 단면형태는 제작하고자 하는 링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즉, 상기 권취봉(20)이 정원형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면, 완성된 링의 형태는 정원형태를 이루게 되고, 상기 권취봉(20)이 타원형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면, 완성된 링은 타원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클램프(21)는 상기 권취봉(20)의 둘레면에 나사결합된 볼트(53)를 이용한다.
상기 이송대(30)는 상기 지지대(10)의 슬라이드가이드(13)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가이드(13)를 따라 측방향으로 위치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에는 상기 이송대(30)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리드스크류(15)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리드스크류(15)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이송대(30)를 측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성형금형(4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금속블록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대(3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성형공(41,42)은 상기 성형금형(40)의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공(41,42)은 스트립(1)을 원형관체형태로 1차 성형하는 원형성형공(41)과, 원형성형공(41)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립(1)이 원형성형공(41)을 통과하여 성형된 원형관체를 사각관체(3) 형태로 2차 성형하는 사각성형공(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형성형공(41)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원형단면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내주면 하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1a)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1a)는 후방으로 갈수록 양측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성형공(41)을 통과하면서 원형관체 형상으로 성형되는 스트립(1)의 양측단부가 상기 돌출부(41a)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스트립(1)의 둘레면이 상기 원형성형공(4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사각성형공(42)은 만들고자 하는 장신구의 단면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사각성형공(42)은 둘레부의 총길이가 상기 스트립(1)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도 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1)이 사각성형공(42)을 통과하면서 성형된 사각관체(3)의 하측면과, 이러한 사각관체(3)를 이용하여 제작된 링의 내주면에 상기 스트립(1)의 길이방향 양측단이 만나는 절개선(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텐션조절기(50)는 상기 이송대(30)에 고정된 하부블록(51)과, 상기 하부블록(51)의 상면에 적층되며 볼트(53)로 고정된 상부블록(5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블록(51)과 상부블록(52)의 인접면, 특히, 상기 상부블록(52)의 하측면에는 상기 스트립(1)이 통과하는 관통공(52a)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2a)은 폭이 상기 스트립(1)의 폭에 비해 조금 넓게 구성되고, 높이는 상기 스트립(1)의 두께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53)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상부블록(52)이 상기 관통공(52a)을 통과하는 스트립(1)의 상면을 가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블록(51)에는 상기 코어(60)가 관통하는 개구부(51a)가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코어(60)는 상기 사각성형공(42)의 단면형상에 비해 작은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전단부가 상기 성형공(41,42)의 후단부에로 삽입되어 상기 성형공(41,42)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후단부에는 상기 텐션조절기(50)의 전면에 걸리는 손잡이부재(6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코어(60)는, 코어(60)를 상기 사각성형공(42)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사각성형공(42)과 코어(60)의 사이에 상기 스트립(1)의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의 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트립(1)이 상기 사각성형공(42)과 코어(60) 사이의 틈을 통과하면서 사각형의 관체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어(60)의 길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재(61)가 상기 텐션조절기(50)의 전면에 걸렸을 때, 코어(60)의 단부가 상기 권취봉(20)의 상면 중앙부에서 조금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장신구용 링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텐션조절기(50)의 관통공(52a)에 상기 스트립(1)이 관통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스트립(1)의 선단부를 폭이 좁아지도록 말아서 스트립(1)의 선단부를 상기 성형공(41,42)의 후단부에 삽입하여, 스트립(1)의 선단부가 성형공(41,42)을 관통하여 성형금형(4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이어 등을 이용하여 성형금형(40)의 전방으로 돌출된 스트립(1)의 단부를 전방으로 당긴 후, 스트립(1)의 선단부를 상기 권취봉(20)의 클램프(21)에 고정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척(14)과 권취봉(20)을 천천히 구동시키면, 상기 스트립(1)의 단부가 상기 권취봉(20)에 권취되며, 이때, 작업자가 상기 코어(60)를 상기 개구부(51a)를 통해 상기 성형공(41,42)에 삽입하면, 코어(60)의 선단부가 상기 스트립(1)과 함께 전방으로 당겨져, 코어(60)의 선단부가 상기 성형공(41,42)을 관통하여 성형금형(4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최종적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어(60)의 손잡이부재(61)가 상기 텐션조절기(50)의 전면에 걸려 고정됨으로서, 코어(60)가 더 이상 전방으로 당겨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코어(60)가 성형공(41,4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봉(20)이 회전되어 스트립(1)의 단부를 감으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1)이 상기 원형성형공(41)을 통과하면서 원형관체 형태로 1차 성형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각성형공(42)과 코어(60) 사이의 틈을 통과하면서 사각관체(3) 형태로 2차 성형된 후, 상기 권취봉(20)에 코일형태로 감기게 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봉(20)이 회전되는 속도에 맞추어, 상기 이송대(30)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2차 성형단계를 통해 성형된 사각관체(3)가 상기 권취봉(20)의 형태에 코일형태로 감기게 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봉(20)의 둘레부에 코일형태로 감겨진 사각관체(3)를 권취봉(20)으로부터 분리한 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낸 후 소정의 후가공을 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금속재질의 링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따르면, 성형공(41,42)이 형성된 성형금형(40)을 이용하여 스트립(1)을 원형관체 형태로 1차 성형하고, 사각관체(3) 형태로 2차 성형한 후, 이와 같이 제작된 사각관체(3)를 권취봉(20)에 코일형태로 감고, 이와 같이 코일형태로 감긴 사각관체(3)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내어 금속재질의 링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재의 링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작이 간편할 뿐 아니라, 링의 제조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방법으로 제작된 링은 금속판을 접어서 제작됨으로, 제작된 링의 내부공간이 비어서 매우 가벼울 뿐 아니라, 매우 적은 양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어서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금형(40)을 통과하여 제작된 사각관체(3)는 상기 권취봉(20)의 둘레부에 코일형태로 감기게 됨으로, 상기 권취봉(20)의 형태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성형금형(40)의 전방에는 상기 성형공(41,42)으로 공급되는 금속재 스트립(1)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조절기(50)가 구비되며, 상기 텐션조절기(50)는 상기 이송대(30)에 고정된 하부블록(51)과, 상기 하부블록(51)의 상면에 적층되며 볼트(53)로 고정된 상부블록(5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블록(51)과 상부블록(52)의 인접면에는 상기 스트립(1)이 통과하는 관통공(52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2a)의 높이는 상기 스트립(1)의 두께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53)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상부블록(52)이 스트립(1)의 상면을 가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립(1)이 상기 텐션조절기(50)의 관통공(52a)을 통과하여 성형금형(40)의 성형공(41,42)으로 삽입됨으로, 성형공(41,42)으로 공급되는 스트립(1)이 직선형태로 펼쳐지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성형공(41)의 내주면 하측에는 돌출부(41a)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41a)는 후방으로 갈수록 양측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원형성형공(41)을 통과하면서 원형으로 성형되는 스트립(1)의 양측단부가 상기 돌출부(41a)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스트립(1)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트립(1)이 원형성형공(41)과 사각성형공(42)을 통과하여 성형된 사각관체(3) 또는 완성된 링 형성되는 절개선(1)이 정확한 직선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돌출부(41a)가 없을 경우, 상기 원형성형공(41)의 내부에서 상기 스트립(1)이 유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스트립(1)이 사각성형공(42)을 통과하면서 사각관체(3) 형태로 2차 성형되는 단계에서, 스트립(1)의 양측단부가 만나서 형성되는 절개선(1)이 직선을 이루지 못하게 되며, 심할 경우, 절개된 스트립(1)이 완성된 링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원형성형공(41)에 내주면 하측에 돌출부(41a)가 형성되어, 스트립(1)의 양측단부가 일정하게 위치조절된 상태로 상기 사각성형공(42)으로 공급되어, 상기 절개선(1)이 정확한 일직선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어(60)의 후단부에는 상기 텐션조절기(50)의 전면에 걸리는 손잡이부재(61)가 구비되어, 상기 코어(60)를 상기 개구부(51a)를 통해 상기 성형공(41,42)에 삽입하여, 코어(60)가 상기 성형공(41,42)을 관통하는 스트립(1)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코어(60)의 손잡이부재(61)가 상기 텐션조절기(50)의 전면에 걸려 고정됨으로서, 코어(60)가 더 이상 전방으로 당겨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상기 코어(60)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게 됨으로, 작업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10. 지지대 20. 권취봉
30. 이송대 40. 성형금형
50. 텐션조절기 60. 코어

Claims (6)

  1. 측방향으로 연장된 베드(11)와, 상기 베드(11)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판(12)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측단부가 양측의 상기 측판(12)에 고정되도록 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구비되도록 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가이드(13)와, 상기 측판(12)의 내측면 일측에서 타측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척(14)이 구비되는 지지대(10);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부가 상기 척(14)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둘레면 일측에는 클램프(21)가 구비되는 권취봉(20);
    상기 권취봉(20)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가이드(13)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15)에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는 이송대(30);
    상기 이송대(3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권취봉(20)의 둘레면을 향하도록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성형공(41,42)이 형성되도록 하는 성형금형(40);
    상기 성형금형(40)의 전방에서 상기 이송대(30)에 고정되는 하부블록(51)과 상기 하부블록(51)의 상면에 적층되면서 상기 하부블록(51)과의 인접면에는 스트립(1)이 통과하는 관통공(52a)이 스트립(1)의 두께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볼트(53)를 조이거나 풀어 스트립(1)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상부블록(52)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성형공(41,42)으로 공급되는 금속재 스트립(1)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조절기(50);
    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상기 성형공(41,42)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원형단면의 원형성형공(41)과
    상기 원형성형공(41)의 후방에 연결되는 사각단면의 사각성형공(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형공(41,42)의 전단부로 금속재의 스트립(1)을 삽입하여, 상기 성형공(41,42)을 통과하여 성형공(41,42)의 후방으로 연장된 스트립(1)의 단부를 상기 권취봉(20)의 클램프(21)에 고정한 후, 상기 권취봉(20)이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스트립(1)이 상기 원형성형공(41)을 통과하면서 원형관체 형태로 1차 성형되고, 상기 사각성형공(42)을 통과하면서 사각관체(3) 형태로 2차 성형된 후, 상기 권취봉(20)에 코일형태로 감긴 사각관체(3)를 링형태로 잘라내어 장신구용 링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2. 측방향으로 연장된 베드(11)와, 상기 베드(11)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판(12)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측단부가 양측의 상기 측판(12)에 고정되도록 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구비되도록 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가이드(13)와, 상기 측판(12)의 내측면 일측에서 타측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척(14)이 구비되는 지지대(10);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부가 상기 척(14)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둘레면 일측에는 클램프(21)가 구비되는 권취봉(20);
    상기 권취봉(20)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가이드(13)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15)에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는 이송대(30);
    상기 이송대(3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권취봉(20)의 둘레면을 향하도록 중앙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성형공(41,42)이 형성되도록 하는 성형금형(40);
    상기 성형금형(40)의 전방에서 상기 이송대(30)에 고정되는 하부블록(51)과 상기 하부블록(51)의 상면에 적층되면서 상기 하부블록(51)과의 인접면에는 스트립(1)이 통과하는 관통공(52a)이 스트립(1)의 두께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볼트(53)를 조이거나 풀어 스트립(1)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상부블록(52)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성형공(41,42)으로 공급되는 금속재 스트립(1)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조절기(50);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성형공(41,42)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면서 상기 텐션조절기(50)의 전면에 걸려지도록 손잡이부재(61)가 형성되도록 하는 코어(60);
    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상기 성형공(41,42)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원형단면의 원형성형공(41)과,
    상기 원형성형공(41)의 후방에 연결되는 사각단면의 사각성형공(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형공(41,42)의 전단부로 금속재의 스트립(1)을 삽입하여, 상기 성형공(41,42)을 통과하여 성형공(41,42)의 후방으로 연장된 스트립(1)의 단부를 상기 권취봉(20)의 클램프(21)에 고정한 후, 상기 권취봉(20)이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스트립(1)이 상기 원형성형공(41)을 통과하면서 원형관체 형태로 1차 성형되고, 상기 사각성형공(42)을 통과하면서 사각관체(3) 형태로 2차 성형된 후, 상기 권취봉(20)에 코일형태로 감긴 사각관체(3)를 링형태로 잘라내어 장신구용 링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성형공(41)의 내주면 하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1a)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41a)는 후방으로 갈수록 양측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원형성형공(41)을 통과하면서 원형으로 성형되는 스트립(1)의 양측단부가 상기 돌출부(41a)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스트립(1)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텐션조절기(50)를 통과하면서 텐션을 갖도록 하여 성형금형(4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스트립(1)의 단부를 전방으로 당겨 스트립(1)의 선단부가 권취봉(20)의 클램프(21)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와,
    금속재의 스트립(1)을 상기 성형금형(40)의 원형성형공(41)을 통과되도록 하면서 원형관체로 1차 성형하는 단계와,
    1차 성형된 원형관체를 상기 성형금형(40)의 사각성형공(42)을 통과되도록 하면서 사각관체(3) 형태로 2차 성형하는 단계와,
    2차 성형된 사각관체(3)를 권취봉(20)에 코일형태로 감는 단계와,
    상기 권취봉(20)에 감긴 사각관체(3)를 링형태로 잘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링 제조방법.
KR1020160122764A 2016-09-25 2016-09-25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47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764A KR101847146B1 (ko) 2016-09-25 2016-09-25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764A KR101847146B1 (ko) 2016-09-25 2016-09-25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719A KR20180034719A (ko) 2018-04-05
KR101847146B1 true KR101847146B1 (ko) 2018-04-10

Family

ID=6197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764A KR101847146B1 (ko) 2016-09-25 2016-09-25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1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737B1 (ko) 2019-08-01 2019-09-24 최윤호 단조 방식으로 가공된 귀금속 장신구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단조 가공 장신구
KR102205758B1 (ko) 2019-08-01 2021-01-20 최윤호 사각 단면과 코일 권선형 구조를 갖는 고탄성 장신구 링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9131B2 (ja) 1997-10-30 2006-09-06 日本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ピストンリングの製造方法
KR100746516B1 (ko) * 2007-05-03 2007-08-06 주식회사유신쥬얼리 원적외선 음이온발생 금속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9131B2 (ja) 1997-10-30 2006-09-06 日本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ピストンリングの製造方法
KR100746516B1 (ko) * 2007-05-03 2007-08-06 주식회사유신쥬얼리 원적외선 음이온발생 금속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737B1 (ko) 2019-08-01 2019-09-24 최윤호 단조 방식으로 가공된 귀금속 장신구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단조 가공 장신구
KR102205758B1 (ko) 2019-08-01 2021-01-20 최윤호 사각 단면과 코일 권선형 구조를 갖는 고탄성 장신구 링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719A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146B1 (ko) 장신구용 링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6455765A (zh) 拉片和制造拉片的方法
US20150128368A1 (en) Industrial brush,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id industrial brush
DE19926298C2 (de) Vorrichtung zum Formen von Schraubenfedern
KR101494759B1 (ko) 코일강판 포장용 밴드의 제조장치 및 방법
US2979776A (en) Method of making burr elements of separable fasteners
JP2015206317A (ja) 多翼ファンの製造装置
DE260894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endlosem verstaerktem schlauch
US20110034259A1 (en) Method of making a washer
KR101539080B1 (ko) 파이프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KR101810999B1 (ko) 액자걸이용 액자고리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자고리부재
CN209035252U (zh) 一种行进式型材通孔冲压设备
DE2545058C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gekrümmten Gummischlauchen
DE2947806C2 (ko)
US3451246A (en)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strip material
CN209822561U (zh) 铁芯加工设备
EP001599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schweissmuffe.
KR0122536Y1 (ko) 결속끈의 팁 결착장치
KR101698806B1 (ko) 피어싱 액세서리의 장식 제조 방법
KR20200103281A (ko) 액세서리용 선재의 가공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액세서리용 선재
CN111215574B (zh) 单粒成型装置及全自动元宝链扣链机
CN218015452U (zh) 一种钢棒自动剪线装置
DE699185C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t Ringrillen versehenen, aus zwei oder mehr Baendern, Schalen u. dgl. bestehenden Hohlkoerpern
TW201817508A (zh) 鋁擠複合構件及其製造方法、製造設備
JP2001225110A (ja) 棒状エレメント、特に鉄筋を整形し所定寸法に切断する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