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298B1 -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298B1
KR101846298B1 KR1020160014015A KR20160014015A KR101846298B1 KR 101846298 B1 KR101846298 B1 KR 101846298B1 KR 1020160014015 A KR1020160014015 A KR 1020160014015A KR 20160014015 A KR20160014015 A KR 20160014015A KR 101846298 B1 KR101846298 B1 KR 101846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temporary parking
tempora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838A (ko
Inventor
나영혜
Original Assignee
나영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영혜 filed Critical 나영혜
Priority to KR102016001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2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임시 주차면 표시장치는 임시 주차 구역을 표시하는 주차지역 표시부와, 상기 임시 주차 구역내의 차량 유무를 감지하는 차량감지부, 차량 주차의 가능 유무를 조명, 또는 문자로 표시하는 점등부,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 및 상기 주차지역 표시부를 제어하여 임시 주차구역의 표시를 온오프제어하고, 임시 주차구역을 오프한 경우, 상기 차량감지부에서 차량이 검출되면 상기 점등부가 차량 주차 불가를 조명, 또는 문자로 표시하고, 상기 경고음 발생부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집합건물에서 주차장이 번잡하거나 교통량이 많을 경우 임시로 주차 구역을 설정하여 주차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난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DISPLAY UNIT FOR TEMPORARY PARKING AREA}
본원 발명은 주차가능면 실시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시적으로 주차 가능한 임시 주차면을 특정 시간 대에 표시하여 주차장 이용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차량의 증가추세에 따라 주차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특히 대형 할인점과 백화점이나 공연장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특히 그 문제성이 심각하다. 이에 주차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주차 관리는 주차 영역의 실시간 확인, 차량 정보의 기록, 주차 시간 계산, 차량 소유자의 확인, 요금정산, 불법 주차 단속, 조명 시설 관리 등 관리 항목이 상당히 많으며, 이를 인적 자원만으로 관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또한, 차량 보유수의 증가는 주차공간의 문제를 야기 시켰고, 주차공간의 문제는 도로소통, 주거환경, 보행공간의 침해 등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였다. 또한 차량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강수로부터의 차량 보호 및 기타이유로 지상보다는 지하주차장을 선호하는 것이 보편화 되었고, 시대에 따라서 지하 주차장의 설치규모가 다층화 되고 커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시민들의 환경친화적인 주거환경을 선호함에 따라 지상주차장의 면적을 축소하고 지상에 많은 녹지공간과 휴게공간, 보행자광장, 어린이 놀이터 등 다양한 옥외공간을 설치하고 있으며, 주차장의 지하화는 주민들의 호응과 아울러 필수불가결한 조건이 되고 있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집합 건물의 경우, 지하 주차장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거동 사이와 주거동 지하까지 연결하여 주차 공간을 확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하 주차장의 확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하 주자창에는 별도의 주차관리인이 없기 때문에, 관리가 소홀한 틈을 타 이면주차나 불법 주차를 하여 타 이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거나 이웃간에 민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970278호(2010.07.07)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에서 임시로 주차 구역을 설정하여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 금지 구역에 임의로 주차를 한 경우에 조명 및 경고 방송으로 무단 주차된 차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차 금지 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여 무단 주차시 차주의 단말기나 댁내 안내 방송으로 주차된 차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는 임시 주차 구역을 표시하는 주차지역 표시부와, 상기 임시 주차 구역내의 차량 유무를 감지하는 차량감지부, 차량 주차의 가능 유무를 조명, 또는 문자로 표시하는 점등부,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 및 상기 주차지역 표시부를 제어하여 임시 주차구역의 표시를 온오프제어하고, 임시 주차구역을 오프한 경우, 상기 차량감지부에서 차량이 검출되면 상기 점등부가 차량 주차 불가를 조명, 또는 문자로 표시하고, 상기 경고음 발생부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소유주와 통신가능한 통신인터페이스를 포함하게 구성하면, 제어부는 임시 주차구역의 표시가 오프되고, 차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점등부에 차량 주차 불가를 조명, 또는 문자로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차량의 소유주에게 차량을 이동하라는 안내 방송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인터페이스와 통신가능한 관제센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시 주차 구역이 오프인 경우에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소유주에게 경고 및 안내방송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에 식별코드를 부여하면, 상기 관제센터는 IP별로 임시 주차 구역의 표시 유무를 제어하게 할 수 있고, IP별로 주차 가능 시간과 주차 불가능시간을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제센터의 주차 가능시간과 주차 불가능시간에 따라 상기 임시 주차 구역의 표시 유무를 제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에 의하면, 집합건물에서 주차장이 번잡하거나 교통량이 많을 경우 임시로 주차 구역을 설정하여 주차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난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 방송이나 경고음을 통하여 불법 주차를 경고할 수 있기 때문에 불법 주차로 인한 민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임시 주차 구역을 표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의 주요 구성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임시 주차 구역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의 주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임시 주차면 표시 장치(100)는 집합건물과 같은 주차장에서 임시 주차 구역을 표시하고, 이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차량이 임시 주차 구역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임시 주차 구역(170)을 표시하는 주차지역 표시부(120)와, 임시 주차 구역(170)내의 차량 유무를 감지하는 차량감지부(130), 차량 주차의 가능 유무를 조명, 문자, 또는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점등부(140)와, 주차지역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임시 주차구역(170)의 표시를 온오프제어하고, 임시 주차구역(170)을 오프한 경우, 차량감지부(130)에서 차량이 검출되면 점등부(140)가 차량 주차 불가를 조명, 또는 문자로 표시하고, 경고음 발생부(150)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임시 주차면 표시 장치(100)가 주차 공간(171)이 마련되는 공간의 천정(200)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장소는 적의 선택하여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차량감지부(130)에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할 경우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기 위해서 차량 번호판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주차지역 표시부(120)는 임시주차구역을 표시할 장소보다 높은 곳 예를 들면 천정에 설치되어, 차량 1대 이상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 가능 공간을 임시 주차 구역(170)으로 주차장 바닥에 표시하도록 동작된다.
이러한 표시는 저출력 레이저나 통상의 이미지 표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어부(110)로부터 임시 주차 구역(170)을 표시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주차장 바닥에 차량 1대 이상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을 주차공간(171)으로 하여 임시 주차 구역(170)을 표시하는 것이다.
주차지역 표시부(120)는 임시 주차 구역(170)을 표시할 경우에는 파란색의 조명으로 주차 구역을 표시하고, 임시 주차 구역을 폐쇄(오프)할 경우에는 적색의 조명으로 주차 구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차량이 주차공간(171)에 주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차량감지부(130)는 임시 주차 구역(170)내의 차량 유무를 감지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차량감지부(130)는 교통량, 점유율, 지점속도, 차종 및 정지영상 등의 기본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하고, 크게 매설형검지기 또는 비매설형검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매설형검지기에는 루프검지기, 자기검지기, WIM검지기가 있고, 비매설형검지기에는 초단파검지기, 적외선검지기, 초음파검지기, 영상검지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과 차량의 소유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번호판 인식도 가능하게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차량감지부(130)는 주차지역 표시부(120)와 함께 임시주차구역이 표시된 장소의 천정에 설치되어 차량의 유무와 차량의 번호판을 감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검지 방법으로 매설형과 비매설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검지 장치로부터 차량 검지 유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차량감지부(130)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 번호판 인식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차량 번호판의 인식은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인식방법이나 기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차량감지부(130)는 임시 주차 구역내의 차량의 유무와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여 제어부(110)로 차량 유무 신호와 인식된 차량 번호를 전송한다.
점등부(140)는 차량 주차 가능, 주차 가능시간과 불가를 조명, 또는 문자로 표시하여 주차 가능 또는 불가능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주차 가능", "주차 가능 시간", "주차금지", "X"표시 등을 포함하여 운전자가 주차 유무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은 모두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불법 주차인 경우(임시 주차시간이 도과되었을 경우 포함)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주차 불가를 조명, 또는 문자로 표시하여 신속히 주차 문제가 해소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차량의 소유주와 통신가능한 통신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임시 주차구역의 표시가 오프되고, 차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점등부(140)에 차량 주차 불가를 조명, 또는 문자로 표시함과 동시에, 통신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차량의 소유주에게 차량을 이동하라는 안내 방송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에서 직접 차량의 소유주에게 안내방송을 할 경우에는 내부 메모리에 차량의 번호와 소유주 그리고 연락처 등을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고 있다가 안내방송이 필요한 경우 차량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차량번호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차량의 소유주와 연락하면 된다.
통신인터페이스(160)는 차량의 소유주와 통신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제센터(200)와 통신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통신은 유무선을 포함하여 인터넷 통신 네트워크 통신 모두 가능하다.
또한 통신인터페이스(160)에 식별코드를 부여하면, 하나 이상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집합 건물의 필요한 장소에 서로 이격하여 설치하고, 관제센터(200)에서는 식별코드별로 임시 주차 구역의 표시 유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인터페이스(160)에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를 여러 곳에 설치하고, 각각의 임시 주차면 표시장치를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주소를 부여하면 각각의 통신인터페이스를 개별 제어함으로써, 여러 대의 임시 주차면 표시장치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인터페이스(160)에 식별코드를 부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통신인터페이스(160)에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의 구성 어느 하나에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관제센터(200)는 통신인터페이스(160)와 통신을 통하여 개별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식별코드로 IP를 각 임시주차면 표시장치에 부여하고, IP별로 임시 주차 구역의 표시 유무를 제어하거나, 불법 주차의 경우(차량 주차 시간이 도과한 경우 포함)에는 차량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차량번호나 또는 제어부(110)로부터 차량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소유주에게 차량 이동에 대한 안내방송을 하거나 또는 댁내 안내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불법주차란 설정된 차량 주차 시간을 도과한 경우를 포함하여 임시 주차 구역이 오프_차량 주차 불가_인 경우에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될 때를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관제센터(200)는 내부 메모리에 차량의 번호, 소유주, 연락처, 동호실 등을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부(11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소유주나 댁내 안내 방송을 하도록 한다.
또한, 관제센터(110)는 IP별로 주차 가능 시간과 주차 불가능시간을 설정하여 통신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하면, 해당 제어부(110)는 관제센터(200)의 주차 가능시간과 주차 불가능시간에 따라 주차지역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임시 주차 구역의 표시 유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고음 발생부(150)는 임시주차 구역에 주차가 불가능할 경우 주차된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차량을 신속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임시 주차 구역에 주차가 가능할 때에는 주차가 가능하다는 메세지를 발생시켜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경고음 발생부(150)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10)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주차가 불가능할 경우에 주차된 경우에도 경고음을 발생시켜 차량을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는 상술한 주차 주차지역 표시부(120), 차량감지부(130), 점등부(140), 제어부(110), 경고음발생부(150), 그리고 통신인터페이스(160)를 모듈화하여 돔형태(300)로 주차장의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주차면을 감안하여 설치장소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관제센터(200)는 본 발명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를 가동할 위치를 선정한다(S110).
이러한 위치의 선정은 관제센터(200)에서 집합건물 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여러 대의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를 개별 제어하여 동작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때, 식별코드인 IP별로 개별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를 선정하고, 온오프 시간을 설정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하거나 또는 직접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를 제어하도록 한다.
단계 S110에서 임시 주차 구역을 표시할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가 설정되면, 단계 S120에서는 주차지역표시부(120)가 임시 주차 구역을 표시하게 하고, 점등부(140)를 통하여 임지 주차 가능함을 알리도록 한다.
제어부(110) 또는 관제센터(200)는 임시 주차 구역을 표시한 경우, 해당 임지 주차 구역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지를 항시 관찰한다(S130).
단계 S130에서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20을 반복하여 임시 주차 구역을 계속 표시하고, 임시 주차 가능함을 알리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경고음발생부(160) 또는 점등부(140)를 통하여 현재 임시 주차 구역의 이용 시간 즉 주차 가능한 시간을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단계 S150에서는 임시 주차 구역에 주차가 되어 있는 경우에, 설정된 주차불가시간이 되었는지 또는 관제센터(200)에서 임시 주차 구역을 폐쇄하고자 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150에서 주차 불가시간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10) 또는 관제센터(200)에서는 임시 주차 구역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차량감지부(130)를 통하여 판단하고(S160),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발생부(150)를 통하여 차량 이동 안내를 방송과 함께 경고음을 발생하고, 점등부(1401)는 차량 주차 불가함을 알리도록 한다(S170).
소정 시간 경과 후에도 임시 주차 구역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180), 제어부(110) 또는 관제센터(200)는 인식된 차량번호에 해당하는 소유주의 연락처를 통하여 차량 이동에 대한 안내를 하고, 필요한 경우, 차량 소유주의 댁내 방송을 통하여 차량 이동 안내를 하게 된다.
단계 S180에서 차량이 이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 또는 관제센터(200)는 주차지역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임시 주차 구역 표시를 소등(off)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
110 : 제어부 120 : 주차지역표시부
130 : 차량감지부 140 : 점등부
150 : 경고음발생부 160 : 통신인터페이스
170 : 주차구역 171 : 주차 영역

Claims (5)

  1. 삭제
  2. 임시 주차 구역을 표시할 장소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어 차량 1대 이상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 가능 공간을 임시 주차구역으로 저출력 레이저 또는 이미지 표시 장치를 통하여 주차장 바닥에 표시하는 주차지역 표시부;
    상기 임시 주차 구역내의 차량 유무를 감지하되, 루프검지기, 자기검지기, WIM검지기를 포함하는 매설형검지기 또는 초단파검지기, 적외선검지기, 초음파검지기, 영상검지기를 포함하는 비매설형검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차량감지부;
    차량 주차의 가능 유무를 조명, 또는 문자로 표시하는 점등부;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
    상기 주차지역 표시부를 제어하여 임시 주차구역의 표시를 온오프제어하고, 임시 주차구역을 오프한 경우, 상기 차량감지부에서 차량이 검출되면 상기 점등부가 차량 주차 불가를 조명, 또는 문자로 표시하고, 상기 경고음 발생부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차량의 소유주와 통신가능한 통신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임시 주차구역의 주차 불가시간에, 차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점등부에 차량 주차 불가를 조명, 문자, 또는 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차량의 소유주에게 차량 이동에 대한 안내를 하거나 또는 차량 소유주의 댁내 방송을 통하여 차량 이동에 대한 안내하되, 내부 메모리에 차량의 번호와 소유주 그리고 연락처를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고, 안내방송이 필요한 경우, 차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차량번호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통신인터페이스와 통신가능한 관제센터;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지역 표시부가 임시 주차 구역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청색의 조명으로 주차장 바닥에 주차 구역을 표시하고, 임시 주차 구역을 폐쇄할 경우에는 적색의 조명으로 주차장 바닥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임시 주차 구역이 오프인 경우에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소유주에게 경고 및 안내방송을 진행하며,
    식별코드가 부여된 통신인터페이스를 둘 이상 서로 이격하여 설치하고, 상기 관제센터는 IP별로 임시 주차 구역의 표시 유무를 제어하고,
    상기 관제센터는
    내부 메모리에 차량의 번호, 소유주, 연락처, 동호실을 저장하고, 제어부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소유주나 댁내 안내 방송을 진행하고,
    IP별로 주차 가능 시간과 주차 불가능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제센터의 주차 가능시간과 주차 불가능시간에 따라 상기 임시 주차 구역의 표시 유무를 제어하는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14015A 2016-02-04 2016-02-04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 KR101846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015A KR101846298B1 (ko) 2016-02-04 2016-02-04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015A KR101846298B1 (ko) 2016-02-04 2016-02-04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38A KR20170092838A (ko) 2017-08-14
KR101846298B1 true KR101846298B1 (ko) 2018-04-06

Family

ID=6014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015A KR101846298B1 (ko) 2016-02-04 2016-02-04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928A (ko) 2019-03-26 2020-10-21 주식회사 소프트위즈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치 및 센싱 데이터 기반의 실시간 위험 알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467B1 (ko) * 2017-09-29 2018-07-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축 기반 불법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의 불법주차 관리방법
CN110415528B (zh) * 2019-08-01 2020-07-24 中国地质大学(北京) 一种基于电子牌照的车辆违停预警系统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928A (ko) 2019-03-26 2020-10-21 주식회사 소프트위즈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치 및 센싱 데이터 기반의 실시간 위험 알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38A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964B1 (ko) 불법 주차 단속 방법
JP6456387B2 (ja) 照明システムの制御
US9655207B2 (en) Sensor network with adaptive detection settings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from neighboring luminaires and/or connected devices
KR101876557B1 (ko)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46298B1 (ko) 임시주차면 표시 장치
US20090262189A1 (en) Energy savings and improved security through intelligent lighting systems
WO2017047584A1 (ja) 街頭情報処理システム、街頭情報処理システムに適用されるクライアントおよびサーバ、ならびにこれら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57802A (ko)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302649B (zh) 用于建筑物的外部区域的摄像机装置
JP2009252728A (ja) パーソナル照明システム
US20150177722A1 (en) Utility control system
KR102058708B1 (ko) 음향 감지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시스템
KR102457783B1 (ko) 스마트홈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1514927B1 (ko) 차량 번호 인식이 가능한 주차 블록을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KR102200180B1 (ko) 비상 유도 안내 시스템
US201303426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n area of interest of an imaging occupancy sensor
JP2013033423A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KR20210074424A (ko) 주차공간 이용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차공유시스템
CN109479359B (zh) 用于为设备提供对传感器数据的访问的系统和方法
KR20140077651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7492A (ko)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2454864B1 (ko)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20120019571A (ko) 조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바닥 센서
KR100761315B1 (ko) 멀티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무인 주차안내시스템
KR101833721B1 (ko) 장애인 주차구역 단속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