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287B1 - 고압가스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고압가스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287B1
KR101846287B1 KR1020160100222A KR20160100222A KR101846287B1 KR 101846287 B1 KR101846287 B1 KR 101846287B1 KR 1020160100222 A KR1020160100222 A KR 1020160100222A KR 20160100222 A KR20160100222 A KR 20160100222A KR 101846287 B1 KR101846287 B1 KR 101846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astening
groove
bracket
hand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155A (ko
Inventor
임경자
Original Assignee
임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자 filed Critical 임경자
Priority to KR102016010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2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2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vessels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29Valves manu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82Constructional details of valves,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는, 압력용기에 설정된 가스를 충전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로서, 상기 압력용기에 고정되며,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연통 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 조절구;를 가지는 충전유닛; 및 상기 충전유닛에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도 조절구의 개도 조절 동작을 구동하는 핸들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압가스 충전장치{Device for charging high pressure gas}
본 발명(Disclosure)은, 고압가스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력용기(소위 '봄베(Bombe)')의 내부와 연통 되는 주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 조절구를 구동시키는 핸들이 선택적으로 분리 또는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압력용기(또는 고압가스용기)라 함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액체 또는 기체의 충전을 위해 만들어진 용기를 말하는 것으로,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용기를 말한다.
압력용기는 가정에서의 LPG 가스용기, 자동차의 LPG 가스용기, 컴프레셔, 소화기, 대형기관의 에어탱크 등 연료절약 및 환경청정화를 위한 가스 및 에어탱크 용기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고, 그 활용도는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압력용기는 그 내부에 충전되는 고압가스의 내압을 견디는 안전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철강재나 주물로 제조되며, 대체로 내압을 견딜 수 있는 적절한 구조인 원통형의 구조로 제조된다.
한편, 압력용기에는 고압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고압가스 충전밸브가 압력용기의 고압가스 주입구 상에 설치된다.
고압가스 충전밸브는 고압호스가 연결되어 고압가스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고압가스 충전구, 고압가스의 충전유로를 조절하기 위한 충전유로 조절밸브가 구비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7398호는, 압력용기(1)에 부착되는 밸브 본체(3) 내에 형성된 가스 유로(4)의 개방도를 밸브체(5)에 의해 변경하고, 밸브체(5)와 밸브 시트(6) 중 한쪽 이상은 합성수지제 밀봉 부재(5b)를 가지며, 밸브체(5)가 밸브 시트(6)에 밀봉 부재(5b)를 통해 압박됨으로써 가스 유로(4)가 폐쇄되는 압력용기용 밸브를 개시한 바 있다(도 1 참조).
그러나 이 경우, 밸브체(5)가 밸브 본체(3)에 결합 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어느 누구라도 임의로 밸브체(5)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압력용기의 운반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밸브체(5)가 조작될 수 있어, 의도하지 않은 가스 누출의 가능성이 상존한다. 더하여 압력용기마다 밸브체(5)가 구비되므로 압력용기의 부피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0979호에 개시되는 고압가스 충전밸브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7398호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0979호
본 발명(Disclosure)은, 압력용기의 내부와 연통 되는 주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 조절구가 구비되며, 개도 조절부를 구동시키는 핸들이 선택적으로 분리 또는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는, 압력용기에 설정된 가스를 충전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로서, 상기 압력용기에 고정되며,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연통 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 조절구;를 가지는 충전유닛; 및 상기 충전유닛에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도 조절구의 개도 조절 동작을 구동하는 핸들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유닛은, 일 측에 상기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 측은 개방되어 구비되며, 상기 개도 조절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충전 몸체;를 가지며, 상기 개도 조절구는, 그 외면이 상기 수용홈의 내면과 나사결합 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주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개도 조절구의 직선 왕복운동을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도 조절구는, 상기 주입구에 대응되는 원추형 돌기로 구비되는 개도 조절돌기; 상기 개도 조절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주입구의 반대쪽으로 개방된 홈으로 구비되고, 단면이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의 내부가 상기 개도 조절돌기의 외부를 경유하여 상기 주입구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유닛과 상기 충전유닛이 분리된 상태로서, 상기 주입구가 상기 개도 조절구에 의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과 상기 수용홈을 차폐하여 상기 압력용기로부터 상기 설정된 가스의 누출을 보호하는 누설 보호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누설 보호유닛은, 상기 수용홈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체결홈에 끼워져 결합 되는 누설 보호 돌기;와, 상기 누설 보호 돌기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정의하는 상기 수용홈의 일 측단 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대향 면;을 가지는 차폐 브라켓; 및 상기 차폐 브라켓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충전 몸체의 외면 일부와 상기 차폐 브라켓의 일부를 동시에 커버 할 수 있는 고리형상으로 구비되며, 그 내면 일측은 상기 충전 몸체의 외면에 나사 결합 되며, 타 측은 상기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차폐 브라켓의 일 측에 걸려 고정되는 이탈방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상기 대향 면과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정의하는 상기 수용홈의 일 측단 면 사이에 누설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대향 면과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정의하는 상기 수용홈의 일 측단 면 중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간극형성돌기;와 타방에 구비되어 상기 간극형성돌기가 삽입되는 간극형성홈;을 가지며, 상기 누설 간극을 통하여 배출되는 설정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에 구비되는 배기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 되어 상기 개도 조절구의 직선 왕복운동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결돌기;가 일단에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 되어 회전력을 인가하는 핸들; 상기 회전축이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되고 관통하여 수용되는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충전 몸체에 체결되는 제1 단과 상기 핸들이 배치되는 제2 단을 가지는 핸들유닛 하우징; 상기 핸들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유닛 하우징의 외부와 상기 관통공의 내부 사이에 상기 설정된 가스의 유입 또는 배출을 안내하는 가스 유동구;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가스 유동구와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과 상기 회전축 사이의 간격을 차폐하여 상기 설정된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그 외면이 상기 관통공의 내면과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유닛 하우징의 상기 제1 단과 상기 충전 몸체의 체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핸들유닛 하우징의 외면 일부와 상기 충전 몸체의 외면 일부를 동시에 커버 할 수 있는 길이의 고리형상으로 구비되는 체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핸들유닛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충전 몸체의 외면 중 어느 일 방과 나사 결합 되며, 타 방은 상기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 브라켓의 내면 일 측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걸려 고정되는 상기 체결 브라켓의 내면 일 측에는 고정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도 조절구는, 일 측에 상기 개도 조절돌기가 구비되고, 타 측에 삽입홈을 가지는 제1 개도 조절부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일 측에 구비되고, 타 측에 상기 체결홈이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통홀이 구비되는 제2 개도 조절부재; 및 상기 삽입홈의 내면과 상기 삽입돌기의 외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개도 조절부재와 상기 제2 개도 조절부재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결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용기에 그 내부와 연통 되는 주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 조절구가 설치되며, 개도 조절구를 구동시키는 핸들이 선택적으로 분리 또는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주입구가 폐쇄된 상태로 이동 및 보관 시 의도하지 않게 가스가 누설되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핸들이 분리되어 구비되므로, 이동 및 보관시 압력용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고압가스 충전장치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충전유닛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의 충전유닛에 누설 보호유닛이 결합 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의 각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도 4에서 B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7은, 도 2의 핸들유닛을 자세히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충전유닛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100)는, 압력용기(미도시)에 설정된 가스를 충전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100)로서, 충전유닛(110)과, 핸들유닛(120)을 포함한다.
충전유닛(110)은, 압력용기에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주입구(111)와 개도 조절구(114)를 가진다.
주입구(111)는, 압력용기의 내부에 연통 되도록 구비되어, 설정된 가스(예: 수소, 헬륨, 암모니아, 산소)가 압력용기의 내부로 주입되거나, 배출되는 유로로 제공된다.
개도 조절구(114)는, 주입구(111)의 개도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핸들유닛(120)은, 충전유닛(110)에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핸들유닛(120)은, 충전유닛(110)에 체결된 상태에서 개도 조절구(114)의 개도 조절 동작을 구동한다.
이에 의해, 설정된 가스의 주입이나 배출 동작 시에만, 핸들유닛(120)을 충전유닛(110)에 체결하여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예: 이동 및 보관)에는 압력용기에 충전유닛(110)만 고정되어 있게 된다.
그 결과로, 주입구가 폐쇄된 상태로 이동 및 보관 시 의도하지 않게 가스가 누설되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핸들유닛이 분리되어 구비되므로 이동 및 보관시 압력용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충전유닛(110)은, 개도 조절구(114)가 수용되는 충전 몸체(115)를 가진다.
충전 몸체(115)는, 일 측에 주입구(111)가 형성되고, 타 측은 개방되어 구비되며, 개도 조절구(114)가 수용되는 수용홈(116)이 형성된다.
개도 조절구(114)는, 그 외면이 수용홈(116)의 내면과 나사결합 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주입구(111)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개도 조절구(114)는, 개도 조절돌기(112a), 체결홈(113a) 및 연통홀(113b)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도 조절돌기(112a)는, 주입구(111)에 대응되는 원추형 돌기로 구비되어, 주입구(11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주입구(111)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체결홈(113a)은, 개도 조절돌기(112a)를 중심으로 주입구(111)의 반대쪽으로 개방된 홈으로 구비되고, 단면이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연통홀(113b)은, 체결홈(113a)의 내부가 개도 조절돌기(112a)의 외부를 경유하여 주입구(111)와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연통홀(113b)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연통홀(113b)은, 개도 조절돌기(112a)를 중심으로 그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개도 조절구(114)는, 개도 조절돌기(112a)를 체결홈(113a)이 형성되는 부재와 서로 분리시켜 서로 체결 가능하게 변형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개도 조절돌기(112a)의 재질을 체결홈(113a)이 형성되는 부재와 달리하여, 개도 조절돌기(112a)에 의한 주입구(111)의 차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개도 조절돌기(112a)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개도 조절구(114)는, 서로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 개도 조절부재(112,113)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개도 조절부재(112)는, 일 측에 개도 조절돌기(112a)가 구비되고, 타 측에 제2 개도 조절부재(113)가 삽입되는 삽입홈(112b)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제2 개도 조절부재(113)는, 삽입홈(112b)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13c)가 일 측에 구비되고, 타 측에 체결홈(113a)이 구비되며, 또한, 앞서 설명한 연통홀(113b)이 구비된다.
한편, 제1,2 개도 조절부재(112,113)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삽입홈(112b)의 내면과 삽입돌기(113c)의 외면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링(112c)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결합링(112c)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결합링(112c)의 자리로 마련되는 홈이 삽입홈(112b)과 삽입돌기(113c)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핸들유닛(120)은, 개도 조절구(114)의 직선 왕복운동을 구동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100)는, 핸들유닛(120)과 충전유닛(110)이 분리된 상태로서, 주입구(111)가 개도 조절구(114)에 의해 차폐된 상태에서, 체결홈(113a)과 수용홈(116)을 차폐하여 압력용기로부터 설정된 가스의 누출을 보호하는 누설 보호유닛(13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충전유닛에 누설 보호유닛이 결합 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의 각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누설 보호유닛(130)은, 주입구(111)를 통해 의도하지 않게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고압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어 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누설 보호유닛(130)은, 차폐 브라켓(131)과, 이탈방지 브라켓(133)을 포함한다.
차폐 브라켓(131)은, 수용홈(116)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누설 보호 돌기(131a)와 대향 면(131b)을 가진다.
누설 보호 돌기(131a)는, 체결홈(113a)에 끼워져 결합 된다.
대향 면(131b)은, 누설 보호 돌기(131a)와 일체로 구비되며 수용홈(116)의 개구를 정의하는 수용홈(116)의 일 측단 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차폐 브라켓(131)은, 설정된 가스가 주입구(111)를 경유하여 체결홈(113a)을 통해 누설되는 경우, 누설되는 가스의 압력을 완충하게 된다.
이탈방지 브라켓(133)은, 차폐 브라켓(131)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이탈방지 브라켓(133)은, 충전 몸체(115)의 외면 일부와 차폐 브라켓(131)의 일부를 동시에 커버 할 수 있는 고리형상으로 구비되며, 그 내면 일 측은 충전 몸체(115)의 외면에 나사 결합 되며, 타 측은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차폐 브라켓(131)의 일 측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차폐 브라켓(131)에 의해 압력이 완충된 누설된 가스가 외부로 서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차폐 브라켓(131)의 대향 면(131b)과 수용홈(116)의 일 측단 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서 B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압가스 충전장치(100)는,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대향 면(131b)과 수용홈(116)의 개구를 정의하는 수용홈(116)의 일 측단 면(115a) 사이에 누설 간극이 형성되도록, 대향 면(131b)과 수용홈(116)의 개구를 정의하는 수용홈(116)의 일 측단 면(115a) 중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간극형성돌기(115b)와 타방에 구비되어 간극형성돌기(115b)가 삽입되는 간극형성홈(131c)을 가진다.
또한, 누설 간극(G)을 통하여 배출되는 설정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탈방지 브라켓(133)에 구비되는 배기홀(133h)을 가진다.
다음으로, 핸들유닛(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핸들유닛을 자세히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핸들유닛(120)은, 회전축(121), 핸들(123), 핸들유닛 하우징(125), 가스 유동구(126), 차폐링(127)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회전축(121)은, 체결홈(113a)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 되어 개도 조절구(114)의 직선 왕복운동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결돌기(121a)가 일단에 배치된다.
핸들(123)은, 회전축(121)의 양단 중 체결돌기(121a)가 구비되는 일단의 반대쪽에 결합 되어 구비되며, 회전축(121)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성이다.
핸들유닛 하우징(125)은, 회전축(121)이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되고 관통하여 수용되는 관통공(125h)을 가지며, 충전 몸체(115)에 체결되는 제1 단(125a)과 핸들(123)을 향하는 제2 단(125b)을 가진다.
여기서, 회전축(121)은, 그 외면이 관통공(125h)의 내면과 나사결합 되어, 회전축(121)이 축 회전 가능하게 핸들유닛 하우징(125)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회전축(121)은 관통공(125h)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가스 유동구(126)는, 핸들유닛 하우징(125)의 둘레 일 측에 구비되며, 핸들유닛 하우징(125)의 외부와 관통공(125h)의 내부 사이에 설정된 가스의 유입 또는 배출을 안내하는 가스 유로를 가지는 구성이다.
가스 유동구(126)를 통해, 외부로부터 설정된 가스가 공급되거나, 외부로 설정된 가스가 배출된다.
차폐링(127)은, 회전축(121)의 길이 방향으로 가스 유동구(126)와 핸들(123)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축(121)의 외면에 끼워져 배치되며, 관통공(125h)과 회전축(121) 사이의 간격을 차폐하여 설정된 가스의 이동을 차단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핸들유닛 하우징(125)의 외면 일부와 충전 몸체(115)의 외면 일부를 동시에 커버 할 수 있는 길이의 고리형상을 가지는 체결 브라켓(14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체결 브라켓(140)은, 설정된 가스의 주입 또는 배출 작업 시, 핸들유닛 하우징(125)의 제1 단(125a)과 충전 몸체(115)의 체결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가스 주입 또는 배출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체결 브라켓(140)은, 핸들유닛 하우징(125)의 외면과 충전 몸체(115)의 외면 중 어느 일 방과 나사 결합 되며, 타 방은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체결 브라켓(140)의 내면 일 측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더하여,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걸려 고정되는 체결 브라켓(140)의 내면 일 측에는 고정링(14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0)

  1. 압력용기에 설정된 가스를 충전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에 고정되며,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연통 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 조절구;를 가지는 충전유닛; 및
    상기 충전유닛에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도 조절구의 개도 조절 동작을 구동하는 핸들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충전유닛은, 일 측에 상기 주입구가 형성되고, 타 측은 개방되어 구비되며, 상기 개도 조절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충전 몸체;를 가지며,
    상기 개도 조절구는, 그 외면이 상기 수용홈의 내면과 나사결합 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주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개도 조절구의 직선 왕복운동을 구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도 조절구는,
    상기 주입구에 대응되는 원추형 돌기로 구비되는 개도 조절돌기;
    상기 개도 조절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주입구의 반대쪽으로 개방된 홈으로 구비되고, 단면이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의 내부가 상기 개도 조절돌기의 외부를 경유하여 상기 주입구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유닛과 상기 충전유닛이 분리된 상태로서, 상기 주입구가 상기 개도 조절구에 의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과 상기 수용홈을 차폐하여 상기 압력용기로부터 상기 설정된 가스의 누출을 보호하는 누설 보호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누설 보호유닛은,
    상기 수용홈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체결홈에 끼워져 결합 되는 누설 보호 돌기;와, 상기 누설 보호 돌기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정의하는 상기 수용홈의 일 측단 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대향 면;을 가지는 차폐 브라켓; 및
    상기 차폐 브라켓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충전 몸체의 외면 일부와 상기 차폐 브라켓의 일부를 동시에 커버 할 수 있는 고리형상으로 구비되며, 그 내면 일측은 상기 충전 몸체의 외면에 나사 결합 되며, 타 측은 상기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차폐 브라켓의 일 측에 걸려 고정되는 이탈방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상기 대향 면과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정의하는 상기 수용홈의 일 측단 면 사이에 누설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대향 면과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정의하는 상기 수용홈의 일 측단 면 중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간극형성돌기;와 타방에 구비되어 상기 간극형성돌기가 삽입되는 간극형성홈;을 가지며,
    상기 누설 간극을 통하여 배출되는 설정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에 구비되는 배기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유닛은,
    상기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 되어 상기 개도 조절구의 직선 왕복운동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결돌기;가 일단에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 되어 회전력을 인가하는 핸들;
    상기 회전축이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되고 관통하여 수용되는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충전 몸체에 체결되는 제1 단과 상기 핸들이 배치되는 제2 단을 가지는 핸들유닛 하우징;
    상기 핸들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유닛 하우징의 외부와 상기 관통공의 내부 사이에 상기 설정된 가스의 유입 또는 배출을 안내하는 가스 유동구;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가스 유동구와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끼워져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과 상기 회전축 사이의 간격을 차폐하여 상기 설정된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그 외면이 상기 관통공의 내면과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핸들유닛 하우징의 상기 제1 단과 상기 충전 몸체의 체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핸들유닛 하우징의 외면 일부와 상기 충전 몸체의 외면 일부를 동시에 커버 할 수 있는 길이의 고리형상으로 구비되는 체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핸들유닛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충전 몸체의 외면 중 어느 일 방과 나사 결합 되며, 타 방은 상기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 브라켓의 내면 일 측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걸려 고정되는 상기 체결 브라켓의 내면 일 측에는 고정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도 조절구는,
    일 측에 상기 개도 조절돌기가 구비되고, 타 측에 삽입홈을 가지는 제1 개도 조절부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일 측에 구비되고, 타 측에 상기 체결홈이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통홀이 구비되는 제2 개도 조절부재; 및
    상기 삽입홈의 내면과 상기 삽입돌기의 외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개도 조절부재와 상기 제2 개도 조절부재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결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가스 충전장치.
KR1020160100222A 2016-08-05 2016-08-05 고압가스 충전장치 KR101846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222A KR101846287B1 (ko) 2016-08-05 2016-08-05 고압가스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222A KR101846287B1 (ko) 2016-08-05 2016-08-05 고압가스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55A KR20180016155A (ko) 2018-02-14
KR101846287B1 true KR101846287B1 (ko) 2018-04-06

Family

ID=6122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222A KR101846287B1 (ko) 2016-08-05 2016-08-05 고압가스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2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61Y1 (ko) 2002-11-07 2003-01-29 이종만 가스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61Y1 (ko) 2002-11-07 2003-01-29 이종만 가스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55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43157C (en) Electromagnetic valve
US7182111B2 (en)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US20070151628A1 (en) Fuel tank cap
US6739319B2 (en) Fuel supply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fuel filter
KR101695074B1 (ko) 가스 차단 밸브를 테스트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WO2013173684A1 (en) Fuel nozzle-receiving assembly
KR101846287B1 (ko) 고압가스 충전장치
KR101891793B1 (ko) Lng선박 화물창 본딩용 에폭시, 폴리우레탄 수지를 기어펌프로 정량 압송하여 믹싱하는 lng선박용 이액 자동 혼합 토출장치
CN105197388A (zh) 罐填充系统
JP6399278B2 (ja) 車両の燃料タンク装置
US20050109974A1 (en) Valve for a non-refillable pressurized container
KR101724687B1 (ko) 반도체 제조용 특수가스통 마개장치
KR20110000979A (ko) 고압가스 충전밸브용 에어벤트 누기 자동잠금장치
KR20090102425A (ko) 가스용기 탭의 체크밸브
KR102254075B1 (ko) 독성 가연성 반도체 특수가스 이송용 배기장치
KR101597319B1 (ko) 압력 조절밸브 및 이를 갖는 필러튜브 조립체
KR20200134468A (ko) 차량용 요소수주입구 오픈 장치
KR101804503B1 (ko) 반도체 특수가스용기 배기방지 마개장치
KR101622129B1 (ko) 충진밸브 어셈블리
WO2020241376A1 (ja) リザーブタンク
US11885285B2 (en) Fuel vapor switch and ventilation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0318466A (ja) 給油口密封装置
KR20180001337A (ko) 차량용 엔진 공기 흡입라인의 이물질 제거용 약액 투입장치
KR200142105Y1 (ko) 연료 주입구의 플로팅장치
KR101609698B1 (ko) 탱크로리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