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183B1 -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183B1
KR101846183B1 KR1020160117816A KR20160117816A KR101846183B1 KR 101846183 B1 KR101846183 B1 KR 101846183B1 KR 1020160117816 A KR1020160117816 A KR 1020160117816A KR 20160117816 A KR20160117816 A KR 20160117816A KR 101846183 B1 KR101846183 B1 KR 101846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ore
acetate
leg
eyeglass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580A (ko
Inventor
김동학
Original Assignee
김동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학 filed Critical 김동학
Priority to KR1020160117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1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56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involving interference fits, e.g. force-fits or press-f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제조시 발생될 수 있는 열변형 및 기계적인 변형을 최소화하여 가공공정을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은 판재준비 단계(S10), 열처리 단계(S20), 안경다리용 바 준비 단계(S30), 천공 단계(S40), 심재삽입 단계(S50) 및 가공단계(S60)로 구성되고, 아세테이트 안경다리는 아세테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안경다리용 바(10)와 상기 안경다리용 바(10)에 내삽되어 경도를 보강해주기 위한 심재(20)와 상기 심재(20)의 일측면에 접하며, 안경다리용 바(10)의 일측에 일부분이 내삽되어 결합되는 팁(TIP)심(30) 및 안경다리용 바(10)의 타측에 결합되어 안경렌즈가 구비되는 안경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장석(40)으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AN ACETATE-TEMP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제조시 발생될 수 있는 열변형 및 기계적인 변형을 최소화하여 가공공정을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안경테의 경우 렌즈를 결합하고 안면부에 부착되는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안경다리의 경우 강도보강을 위해 내측에 금속재질의 심재가 구비되는 형태의 안경다리가 제공된다.
이러한 안경다리의 경우 심재를 내포한 후 액상의 합성수지를 틀에 인입시켜 사출하는 방법이 적용되거나, 선사출된 합성수지 다리에 열을 가한 금속심재를 삽입시키는 방법이 적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의 경우 열변형 및 기계적인 변형에 의해 공정상 후작업이 요구되게 된다.
또한,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수요자의 개성이 강조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적용하는 합성수지 안경테의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소재중 색상발현이 우수한 아세테이트 소재의 안경테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세테이트의 물성적 특성상 사출이 곤란하고, 가공에 따른 열변형 온도가 비교적 낮은 문제가 있어서, 판재형태의 원재료를 제조한 후 이를 후가공하여 안경테 또는 안경다리와 같은 부재를 생산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대표적인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7832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안경다리의 생상을 다양하게 하고 디자인을 쉽게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소재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다리의 각부분을 다수로 분할하고 각 분할 부분을 다양한 색상을 가진 다수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소재를 이용하여 각각 가공하고 각각 다른 원판소재로 부터 가공된 색상 및 디자인이 다른 조각부품을 이어서 연결함으로서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갖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소재의 안경다리를 얻게 되는 것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원판소재(P1)(P2) (P3)로 부터 다수로 분할된 안경다리의 조각부품을 재단하여 따내는 조각부품재단공정(S1)과 재단된 안경다리 조각부품의 이음홈(201a)(202a)에 아세톤용액을 도포하고 각각의 안경다리 조각부품의 이음홈(201a)(202a)을 맞대여 가압하여 이음하는 이음공정(S2)과 이음된 안경다리의 중심부에 쇠심(3)을 투입하는 쇠심투입공정(S3)과 이음부(2) 및 각 조각부품의 모서리등을 연마하는 연마공정(S4) 및 완성된 안경다리의 표면을 연마하는 표면연마공정(S5)을 통하여 안경다리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쇠심을 투입할 때, 가열가압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안경다리의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세테이트 수지와 금속심재 사이에 열변형으로 인한 공차가 발생하거나, 수지의 중심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인입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열가공에 따른 아세테이트의 열변형이 발생하여 재가공 등을 시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아세테이트 수지의 특성상 개별 사출이 난해하여 판형재로 원재료를 준비한 후 펀칭 등의 방법으로 안경다리의 형상을 구현한 후 내측에 가열가압 방식으로 심재를 삽입하고, 후에 절삭 등의 후가공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두께 및 크기 등이 규격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제품 불량률이 높을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1532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의 결합 안경테, 2013년 03월 06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6431호(메탈심을 가진 플라스틱 안경다리의 제조시스템, 2015년 03월 11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71676호(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안경다리, 2016년 06월 22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열가공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하며, 정밀가공 및 불량률이 극히 적은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아세테이트 재질의 판형상의 판재를 준비하는 판재 준비 단계(S10); 상기 판재의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열을 가하는 열처리 단계(S20); 상기 열처리가 끝난 판재를 절단하여 안경다리에 적용할 바형태로 가공하는 안경다리용 바 준비 단계(S30);상기 안경다리용 바의 측면 중심을 천공하는 천공 단계(S40); 상기 안경다리용 바의 천공홀에 금속재질의 심재를 삽입하는 심재삽입 단계(S50); 및 상기 심재가 삽입된 안경다리용 바를 안경다리의 형상으로 적용하기 위해 모양을 유지하기 위한 깍기 및 다듬기 작업을 하는 가공단계(S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판재의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열을 가하는 열처리 단계(S20)는 아세테이트 재질의 판재에 자연수축을 줄이기 위해 60℃~70℃의 온도로 36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처리 하게 되며, 상기 안경다리에 적용할 바형태로 가공하는 안경다리용 바 준비 단계(S30)는 아세테이트 재질의 판재를 생산하고자 하는 안경다리의 규격에 맞게 두께 또는 폭에 맞도록 길이방항으로 연속해서 절단하여 바 형상으로 준비하여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화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용 바의 측면 중심을 천공하는 천공 단계(S40)는 금속재질의 심재를 내삽하기 위한 것으로 드릴과 같은 천공장치를 통하여 바의 중심부를 기계적으로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며, 상기 천공홀은 안경다리용 바의 측면 일측으로 천공하여 내측으로 홀을 형성하거나, 측면 양측을 관통시키는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용 바의 천공홀에 금속재질의 심재를 삽입하는 심재삽입 단계(S50)는 심재의 크기가 천공홀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압입을 통하여 강제로 삽입시키게 되며, 상기 안경다리용 바의 천공홀에 금속재질의 심재를 삽입하는 심재삽입 단계(S50)시 천공홀과 심재사이의 공간을 충진시켜줌과 동시에 결합력을 더욱더 높여줄 수 있도록 심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심재삽입 단계(S50)에는 안경다리용 바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내삽되는 심재(20)와 상기 심재(20)의 일측에 결합되어 귀걸이와 같은 장신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팁심(30) 및 안경테와 결합하기 위한 장석(40)을 결합하기 위한 장신구 결합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는 아세테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안경다리용 바(10)와 상기 안경다리용 바(10)에 내삽되어 강도를 보강해주기 위한 심재(20)와 상기 심재의 일측면에 접하며, 안경다리용 바(10)의 타측에 결합되어 안경렌즈가 구비되는 안경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장석(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경다리용 바(10)의 내측에는 심재(20)를 내삽하기 위한 천공홀(11)이 형성되되, 상기 천공홀(11)은 안경다리용 바(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거나, 안경다리용 바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관통되는 천공홀(11a)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천공홀(11)의 일측에는 심재(20)에 접하며 안경의 귀걸이와 같은 장식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팁심(30)의 일부분이 내삽될 수 있도록 하는 팁심결합구(12)가 더 형성되되, 팀심결합구(12)는 천공홀(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색상발현이 우수한 아세테이트 재질의 안경다리를 생산할 때, 열가공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 되며, 정밀가공 및 불량률이 극히 적어 생산률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심재삽입 단계(S40)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재삽입 단계(S40)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재삽입 단계(S40)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제조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안경다리의 비교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합성수지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대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개요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심재삽입 단계(S40)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은 판재준비 단계(S10), 열처리 단계(S20), 안경다리용 바 준비 단계(S30), 천공 단계(S40), 심재삽입 단계(S50) 및 가공단계(S60)로 구성된다.
상기 판재준비 단계(S10)는 아세테이트 재질의 판형상의 판재를 준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판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열처리를 하는 열처리 단계(S2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열처리 단계(S20)에서는 판재의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열을 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60℃~70℃의 온도로 36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처리를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판재에 60℃보다 낮은 열을 가할 경우 후속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열변형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며, 70℃보다 높을 경우 가열중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세테이트 수지의 특성상 자연수축량을 줄이기 위해 70℃ 이하의 온도에서 장시간 열처리를 해야 하나 36시간을 초과하여 열처리를 진행할 경우 작업 생산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최대한 자연수축량을 줄이기 위해 36시간 이하로 가열시간을 정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판재의 두께 및 크기에 따라 가열시간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36시간 이하로 가열하는 것을 최적의 실시예로 적용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열처리를 하는 것은 아세테이트 판재의 제조시 사용된 가소제를 제거함과 동시에 가공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장시간의 열처리로 합성수지의 특성상 경화 및 용융에 따른 변형을 작업전에 열처리를 통하여 해소하는 것이다.
이는 작업의 정밀성과 불량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계(S20) 후 안경다리용 바를 준비하는 바 준비 단계(S30)는 열처리가 끝난 아세테이트 재질의 판재를 절단하여 안경다리에 적용할 바형태로 가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판재 형태로 준비되는 아세테이트 판넬을 생산하고자 하는 안경다리의 규격에 맞게 두께 또는 폭에 맞게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경우 판재형상의 원재료를 안경다리의 형상에 맞게 깍아내거나, 펀칭 등의 방법으로 판재상에서 가공하는 방법을 적용했으나, 이럴 경우 판재형상의 원재료에서 안경다리 형상을 제외한 부분에서 버려지는 부분이 많아지게 되어 작업회수율이 적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판재 형태로 준비되는 원재료의 길이방향으로 안경다리의 두께 또는 폭에 맞게 연속해서 절단하여 바 형상으로 준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이 시행될 경우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자투리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재료의 낭비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연속으로 절단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때문에 작업에 소요되는 공정시간 또한 단축되며, 불량률이 적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단계(S30)에서 준비된 안경다리용 바의 측면 중심을 천공하는 천공 단계(S40)를 거치게 된다.
이는 금속재질의 심재를 내삽하기 위한 천공홀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천공 단계(S40)는 드릴과 같은 천공 장치를 통하여 바의 중심부를 기계적으로 천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안경다리용 바의 측면 중심을 기계적으로 천공하는 것은, 종래의 합성수지 다리의 심재를 가열압입 방식을 적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인 심재의 위치이탈 및 심재와 합성수지간의 열변형에 의한 이격 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열처리가 끝난 안경다리용 바에 상온에서 기계적인 천공을 통하여 심재가 삽입될 위치를 정밀하게 가공하기 때문에 열 또는 가공상의 위치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천공 단계(S40)에는 안경렌즈를 구비하는 안경프레임과 결합하기 위한 안경다리 힌지부분 즉, 장석(40)을 결합하기 위한 장석결합구(13) 및 안경다리의 귀걸이를 결합하기 위한 또다른 심재인 팁심(30)을 결합하기 위한 팁심결합구(12)를 천공홀(11)의 단부에 더 형성하게 되는 장식결합구 가공단계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천공단계(S40) 후 금속재질의 심재를 바의 천공홀에 삽입하는 심재삽입 단계(S50)를 거치게 된다.
이때에는 심재의 크기가 천공홀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압입을 통하여 강제로 삽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심재삽입 단계(S50)시 심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게 되는데, 이는 접착제를 도포한 심재를 압입시킴으로써, 천공홀과 심재 사이의 공간을 충진시켜줌과 동시에 결합력을 더욱더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대표적으로 에폭시 경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아세테이트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무엇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심재삽입 단계(S50)에는 안경다리용 바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내삽되는 심재(20)와 상기 심재(20)의 일측에 결합되어 귀걸이 등의 장신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팁심(30) 및 안경테와 결합하기 위한 장석(40)을 결합하기 위한 장신구 결합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앞선단계(S40)의 장식결합구 가공단계에 따라 형성되는 장석결합구(13) 및 팁심결합구(12)에 각각 장석(40) 및 팁심(30)을 장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장석(40) 및 팁심(30)을 결합할 때, 앞서 설명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안경다리용 바(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심재 삽입단계(S50) 후 가공 단계(S60)를 거치게 되는데, 안경의 다리 형상으로 적용하기 위해 모양을 유지하기 위한 깍기 및 다듬기 작업을 거치게 되고, 팁심(30)에 필요에 따라 안경 귀걸이 등과 같은 장식구를 결합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다듬기 작업의 경우 통상의 샌딩머신 또는 바렐과 같은 샌딩머신을 이용하여 샌딩작업 및 광택작업을 시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일실시예 및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일실시예는 안경다리용 바(10a)에 천공홀(11a)을 형성할 때, 관통되도록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안경다리용 바(10a)가 얇게 제작되어야 할 경우, 내삽되는 심재(20a)를 안경다리용 바(10a)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하여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투명재질의 안경다리의 경우 심재가 일부분만 내삽될 경우 미관상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는 안경테와 결합되는 힌지부분 즉, 장석에 많은 압력이 가해져 파손될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장석을 구비하는 장석심(40a)을 관통된 천공홀(11a)에 내삽하여 결속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측부분에 장석이 구비되는 장석심(40a)을 안경다리용 바(10a)에 내삽시켜 결속함으로써, 장석에 받는 압력을 장석심(40a)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장석심의 길이를 안경다리용 바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안경다리용 바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팁심을 대체하여 일체형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미도시)
이는 안경다리에 가해지는 횡측압력에 의해 안경다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을 완성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아세테이트 안경다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아세테이트 안경다리는 앞서 설명된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에 대하여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세테이트 안경다리는 아세테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안경다리용 바(10)와 상기 안경다리용 바(10)에 내삽되어 경도를 보강해주기 위한 심재(20)와 상기 심재(20)의 일측면에 접하며, 안경다리용 바(10)의 일측에 일부분이 내삽되어 결합되는 팁(TIP)심(30) 및 안경다리용 바(10)의 타측에 결합되어 안경렌즈가 구비되는 안경프레임(이하, '안경테'라 함)에 힌지결합되는 장석(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경다리용 바(10)의 내측에는 심재(20)를 내삽하기 위한 천공홀(11)이 형성되는데, 상기 천공홀(11)은 안경다리용 바(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거나, 안경다리용 바(10a)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관통되는 천공홀(11a)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천공홀(11)의 일측에는 심재(20)에 접하며 안경의 귀걸이와 같은 장식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팁심(30)의 일부분이 내삽될 수 있도록 하는 팁심결합구(12)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팁심결합구(12)는 천공홀(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팁심(30)의 일부분이 내삽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천공홀(11)의 타측에는 장석(40)이 결합될 수 있는 장석결합구(13)가 더 형성되는데 안경다리용 바(10)의 일측면을 내측으로 식각되어 하여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장석결합구(13)는 다양한 형상이 제안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첨부된 도면에서는 단부가 원형을 유지하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아세테이트 안경다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안경다리용 바
11 : 천공홀
12 : 팁심결합구
13 : 장석결합구
20 : 심재
30 : 팁심
40 : 장석

Claims (12)

  1.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아세테이트 재질의 판형상의 판재를 준비하는 판재 준비 단계(S10);
    상기 아세테이트 재질의 판재에 자연수축을 줄이기 위해 60℃~70℃의 온도로 36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열처리 단계(S20);
    상기 열처리가 끝난 판재를 절단하여 안경다리에 적용할 바형태로 가공하는 안경다리용 바 준비 단계(S30);
    상기 안경다리용 바의 측면 중심을 천공하는 천공 단계(S40);
    상기 안경다리용 바의 천공홀에 금속재질의 심재를 삽입하는 심재삽입 단계(S50); 및
    상기 심재가 삽입된 안경다리용 바를 안경다리의 형상으로 적용하기 위해 모양을 유지하기 위한 깍기 및 다듬기 작업을 하는 가공단계(S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에 적용할 바형태로 가공하는 안경다리용 바 준비 단계(S30)는 아세테이트 재질의 판재를 생산하고자 하는 안경다리의 규격에 맞게 두께 또는 폭에 맞도록 길이방항으로 연속해서 절단하여 바 형상으로 준비하여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용 바의 측면 중심을 천공하는 천공 단계(S40)는 금속재질의 심재를 내삽하기 위한 것으로 드릴과 같은 천공장치를 통하여 바의 중심부를 기계적으로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은 안경다리용 바의 측면 일측으로 천공하여 내측으로 홀을 형성하거나, 측면 양측을 관통시키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용 바의 천공홀에 금속재질의 심재를 삽입하는 심재삽입 단계(S50)는 심재의 크기가 천공홀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압입을 통하여 강제로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용 바의 천공홀에 금속재질의 심재를 삽입하는 심재삽입 단계(S50)시 천공홀과 심재사이의 공간을 충진시켜줌과 동시에 결합력을 더욱더 높여줄 수 있도록 심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삽입 단계(S50)에는 안경다리용 바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내삽되는 심재(20)와 상기 심재(20)의 일측에 결합되어 귀걸이와 같은 장신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팁심(30) 및 안경테와 결합하기 위한 장석(40)을 결합하기 위한 장신구 결합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9. 제 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테이트 안경다리는 아세테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안경다리용 바(10)와 상기 안경다리용 바(10)에 내삽되어 강도를 보강해주기 위한 심재(20)와 상기 심재의 일측면에 접하며, 안경다리용 바(10)의 타측에 결합되어 안경렌즈가 구비되는 안경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장석(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용 바(10)의 내측에는 심재(20)를 내삽하기 위한 천공홀(11)이 형성되되, 상기 천공홀(11)은 안경다리용 바(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거나, 안경다리용 바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관통되는 천공홀(11a)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11)의 일측에는 심재(20)에 접하며 안경의 귀걸이와 같은 장식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팁심(30)의 일부분이 내삽될 수 있도록 하는 팁심결합구(12)가 더 형성되되, 팀심결합구(12)는 천공홀(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KR1020160117816A 2016-09-13 2016-09-13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846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816A KR101846183B1 (ko) 2016-09-13 2016-09-13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816A KR101846183B1 (ko) 2016-09-13 2016-09-13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80A KR20180029580A (ko) 2018-03-21
KR101846183B1 true KR101846183B1 (ko) 2018-04-09

Family

ID=6190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816A KR101846183B1 (ko) 2016-09-13 2016-09-13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1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105A (ja) * 1998-09-16 2000-03-28 Injex Corp 焼結体の製造方法
KR200190646Y1 (ko) * 2000-03-08 2000-08-01 김형식 안경다리의 귀 걸이부재 구조
KR200232312Y1 (ko) * 2001-03-13 2001-10-08 최병호 나무 안경다리
JP2005316232A (ja) * 2004-04-30 2005-11-10 Yuji Ogawa メガネフレームの樹脂製ツル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105A (ja) * 1998-09-16 2000-03-28 Injex Corp 焼結体の製造方法
KR200190646Y1 (ko) * 2000-03-08 2000-08-01 김형식 안경다리의 귀 걸이부재 구조
KR200232312Y1 (ko) * 2001-03-13 2001-10-08 최병호 나무 안경다리
JP2005316232A (ja) * 2004-04-30 2005-11-10 Yuji Ogawa メガネフレームの樹脂製ツ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80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68261A (zh) 醋酸纤维脂胶板藏压金属无缝眼镜架的制造方法
JP2019507901A (ja) 剛性金属コア及びポリマー材料外部被膜を備える物体の製造方法及び得られる物体
KR101846183B1 (ko) 아세테이트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US20200368982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curved frames "3d acetate" for spectacles
KR101033875B1 (ko) 이종소재 안경테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한 안경테
KR20120137832A (ko)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CN107443777B (zh) 实现一个眼镜框架杆的程序以及通过该程序获得的眼镜框架杆
KR101284123B1 (ko) 안경테의 외측으로 사출성형이 가능한 안경테 제조용 금형 및 그 금형방법
CN111943486B (zh) 用于制造表壳玻璃的方法和用于这样的方法的工具
CN104690188B (zh) 一种镜框面弯的制作工艺
JP2733538B2 (ja) メガネフレーム用モダンの製造方法
KR100353970B1 (ko) 단추 성형용 코아 및 그 제조방법
JP3725839B2 (ja) プラスチック眼鏡テンプルの製造方法
EP4272921A1 (en) Blank for the production of eyeglasses and method for its provision
US1546485A (en) Ophthalmic mounting and method of making
KR100802423B1 (ko) 안경테의 외측면으로 음·양각 무늬가 형성된 안경의제조방법
JP2008087482A (ja) プラスチック材を柔軟な布の上で成型する製造方法
JP3566676B2 (ja) プラスチック装飾レイヤウェーブテンプルの製造方法
JP3098047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モダン
CN105921710A (zh) 一种液态金属眼镜片坑直接压铸成型的工艺方法
JP2001179845A (ja) 眼鏡モダンの製造方法
JP2003035888A (ja) プラスチック製眼鏡部品の製造方法
JP2021146673A (ja) 複合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395364Y1 (ko) 안경용 프레임어셈블리
JPH04174817A (ja) 装飾体付き眼鏡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