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444B1 -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444B1
KR101845444B1 KR1020160073803A KR20160073803A KR101845444B1 KR 101845444 B1 KR101845444 B1 KR 101845444B1 KR 1020160073803 A KR1020160073803 A KR 1020160073803A KR 20160073803 A KR20160073803 A KR 20160073803A KR 101845444 B1 KR101845444 B1 KR 10184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s
wiper blade
fine powder
polymer fi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975A (ko
Inventor
이준우
김헌재
권병천
최기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444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바인더, 고제윤할제, 첨가제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가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와이퍼 구동시 소음과 떨림 현상을 감소시키며, 와이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용제, 바인더, 고체윤활제 및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함유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The Coating Composition Used at Wiper Blade}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바인더, 고제윤할제, 첨가제 및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가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와이퍼 구동시 소음과 떨림 현상을 감소시키며, 와이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와이퍼는 앞 유리의 빗방울이나 눈 따위를 닦으며, 주행 중에 전방 시계를 유지하기 위한 창닦기기이다. 보통 앞유리창에만 장착하지만, 일부 차량에는 뒷유리창과 헤드램프에도 장착하는 경우가 있다. 크게 와이퍼암과 와이퍼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데, 와이퍼암 끝에 달린 와이퍼블레이드를 유리창에 대고 좌우로 움직이면, 고무로 형성된 와이퍼 블레이드날이 유리면을 닦아 빗물 등을 제거한다. 한편, 윈도워셔는 차량의 앞유리창에 워셔액을 분사하여 와이퍼가 유리에 붙은 먼지나 벌레 따위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면 유리에 형성된 물기를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에 의해 얇은 수막으로 고르게 분포시키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고무상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연고무와 염화고무 등의 소재로 구성된 와이퍼 블레이드에 마찰계수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표면처리를 하거나 윤활 코팅을 사용하였다. 종래기술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무 표면을 할로겐화하는 것을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표면을 개질시켜 상기 고무표면의 마찰계수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마찰계수의 감소로 인하여 와이퍼의 떨림 현상과 소음을 감소시켰지만, 와이퍼 블레이드의 표면이 경화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시간경과에 따라 물을 제거하는 능력이 급격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떨림 현상 및 소음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최근 자동 세차 또는 셀프 세차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왁스가 도포된 유리에서는 와이퍼의 작동에 도움이 되는 수막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와 더불어 불균일하게 형성된 왁스층으로 인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작동하는 경우 유리 표면의 마찰계수 차이에 의해 스틱 앤 슬립(Stick & slip)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이로 인한 소음과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의 불균일한 마찰계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떨림현상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유리에서 균일한 마찰계수를 구현하고자 종래기술의 개선책으로 불소계수지 및 실리콘 고무 파우더와 실리콘 레진으로 구성된 첨가제를 사용 중에 있었다. 상기의 개선책은 사용 초기에 소음과 떨림 현상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지만 장기간 동안의 사용시 내구성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왁스에 의하여 불균일한 왁스층이 형성된 유리에서 유리 표면과 와이퍼 블레이드의 코팅 표면간에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으로 전환시켜 와이퍼를 작동하는 경우 소음과 떨림현상을 감소시키고, 내구성까지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퍼가 구동하는 경우 소음과 떨림 현상을 감소시키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가제에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포함함으로서, 와이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용제, 바인더, 고체윤활제 및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함유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는 70 내지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는 톨루엔 또는 메틸에틸케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10 내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불소계 CAB 변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CAB 변성 수지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을 메틸에틸케톤에 용해시켜 불소계 수지를 만들고, 개질제인 셀룰로우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체윤활제는 3 내지 1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체윤활제는 그라파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이황화몰리브데늄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함유하는 첨가제는 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함유하는 첨가제는 실리콘 고무분말 또는 실리콘 수지 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은 하기 화학식 1인 폴리메타자일렌 아디프아미드 또는 하기 화학식 2인 폴리노나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1>
Figure 112016056988568-pat00001
<화학식2>
Figure 112016056988568-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의 직경은 2 내지 5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에 의하면, 와이퍼가 구동하는 경우 소음과 떨림 현상을 감소시키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에 의하면, 첨가제에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포함함으로서, 와이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차량의 전면 유리에 형성된 불균일한 왁스 코팅막의 사진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균일한 수막형성시 와이퍼가 작동되는 경우의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불균일한 수막형성시 와이퍼가 작동되는 경우의 단면도.
도 4는 차량용 와이퍼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트 코팅층의 확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트 코팅층의 확대 구성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트 코팅층의 확대사진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트 코팅층의 확대사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래기술의 와이퍼 블레이드(11)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에 형성된 물기를 와이퍼 블레이드(11)의 작동에 의해 얇은 수막(13)으로 고르게 분포시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동 세차 또는 셀프 세차 등으로 물왁스가 도포된 유리에서는 와이퍼(10) 작동에 도움이 되는 수막을 형성할 수 없으며, 불균일하게 형성된 왁스층으로 인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작동하는 경우 소음과 떨림현상이 발생하였다. 도 1은 차량의 전면 유리(15)에 형성된 불균일한 왁스 코팅막의 사진도이다. 상기 도1과 같이 자동 세차 등을 하는 경우 물왁스의 사용으로 인하여 전면 유리에 불균일한 왁스 코팅막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균일한 수막(13)형성시 와이퍼가 작동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2와 같이 균일한 수막(13)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유리(15)표면과 와이퍼 블레이드(11) 간에 균일한 마찰이 발생하여 소음과 떨림 현상이 적은 정상적인 와이퍼의 움직임이 나타난다. 그러나, 자동 세차나 셀프 세차를 하는 경우 차량의 전면 유리에 왁스 코팅액이 도포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불균일한 수막(19)형성시 와이퍼(10)가 작동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상기 왁스 코팅액이 전면 유리에 도포되면 상기 도3과 같이 불균일한 수막(19)이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유리(15) 표면과 와이퍼 블레이드(11) 간에 불균일한 마찰이 발생하여 소음과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11)에 적용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자동 세차 또는 셀프 세차 등으로 인한 물왁스가 도포된 유리에 적용되는 경우 소음과 떨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더불어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4는 차량용 와이퍼(10)의 확대 단면도이며, 상기 도4의 와이퍼 블레이드(11)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불소계 수지 바인더와 고체 윤활제, 첨가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단단한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을 첨가된다. 나아가,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은 하기의 화학식 1의 폴리메타자일렌 아디프아미드 또는 하기의 화학식 2의 폴리노나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6056988568-pat00003
Figure 112016056988568-pat00004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트 코팅층(17)의 확대 구성도이다. 상기 도5와 같이 와이퍼 고무(21) 위에 그라파이트 코팅층(23)이 코팅 되어있는 종래기술은 와이퍼 블레이드(11)는 유리(15) 표면과 면접촉을 이루고 있어,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마모 진행되고 떨림 현상과 소음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트 코팅층(17)의 확대사진도이며, 와이퍼 블레이트의 그라파이트 코팅층(21)이 평탄하여 유리 표면과 면접촉을 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첨가제가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을 포함하여 유리 표면과 점 접촉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트 코팅층의 확대 구성도이다. 상기 도6과 같이 그라파이트 코팅층(23)에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이 포함되어 점 점촉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트 코팅층의 확대사진도이다. 상기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코팅된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고무(21) 위 크라파이트 코팅층(23)에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이 돌출되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8과 같이 돌출된 구형 폴리머 미분말(25)로 인하여 유리(15) 표면과 면 접촉되던 것과 다르게 점 접촉으로 전환되고 이로 인하여 왁스로 도포된 유리 표면에서 떨림 현상 및 소음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동 세차 또는 셀프 세차 등으로 물왁스가 도포된 유리는 와이퍼(10)의 작동에 도움이 되는 수막을 형성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차량의 전면 유리에 불균일하게 형성된 왁스층으로 인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1)가 작동되는 경우 소음과 떨림 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유리 표면과 와이퍼 블레이드(11) 간에 불균일한 마찰계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떨림 현상 및 소음에 대응하기 위해 균일한 마찰계수를 구현하고자 종래기술은 불소계 수지 및 실리콘 고무 파우더와 실리콘 레진으로 구성된 첨가제를 적용하고 있지만 상기 종래기술의 와이퍼 블레이드(11)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내구성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단단한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을 첨가하여, 물왁스에 의하여 불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된 유리에서 유리(15) 표면과 와이퍼 블레이드(11) 코팅 표면 간의 접촉을 면접촉에서 점접촉으로 전환시켜 와이퍼를 작동시키는 경우 소음과 떨림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의 피막 지지 능력으로 내구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적용한 와이퍼(10)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채터링과 소음이 발생되지 않은 효과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첨가제로 폴리메타자일렌 아디프아미드, 폴리노나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등의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용제, 바인더, 고체윤활제 및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함유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는 70 내지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유기용제가 70중량% 미만인 경우,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 코팅액 분사시 상기 코팅액이 막혀 코팅이 불균일해지며, 80중량% 초과인 경우, 상기 코팅액의 분사시 상기 코팅액 흘러내림으로 인해 코팅이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제는 톨루엔 또는 메틸에틸케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10 내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바인더가 10중량% 미만인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1)에 적용되는 고무와 코팅간의 접착력이 저하되며, 15중량% 초과인 경우, 코팅이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바인더는 불소계 CAB 변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CAB 변성 수지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을 메틸에틸케톤에 용해시켜 불소계 수지를 만들고, 개질제인 셀룰로우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체윤활제는 3 내지 1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고체윤활제가 3중량%를 미만인 경우, slip 성능이 부족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와이퍼의 초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고체윤활제는 그라파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이황화몰리브데늄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함유하는 첨가제는 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함유하는 첨가제가 1중량% 미만인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11)에 적용되는 고무와 코팅간의 접착력이 저하되며, 10중량% 초과인 경우, 장기간 사용시 코팅이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을 함유하는 첨가제는 실리콘 고무분말 또는 실리콘 수지 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은 상기 화학식 1인 폴리메타자일렌 아디프아미드 또는 상기 화학식 2인 폴리노나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의 직경은 2 내지 5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불소계 CAB 변성 수지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을 메틸에틸케톤에 용해시켜 불소계 수지를 제조한 후, 상기 볼소계 수지에 개질제인 셀룰로우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나아가, 첨가제에 포함되는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은 폴리메타 자일렌 아디프아미드 수지 분말을 볼밀에 일정시간 미세하게 분쇄하여 제조한다. 다음으로, 바인더인 불소계 CAB 변성 수지와 고체 윤활제 및 경화제를 투입하여 코팅 후 130℃ 10분간 열경화시킨다. 상기 바인더(Polyol)와 경화제(diisocyanate)를 혼합시 urethane 결합이 형성되어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이 표면에 떨어지지 않고 붙어있게 된다.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1
(중량%)
실시예2
(중량%)
실시예3
(중량%)
실시예4
(중량%)
실시예5
(중량%)
실시예6
(중량%)
실시예7
(중량%)
실시예8
(중량%)
실시예9
(중량%)
비교예1
(중량%)
비교예2
(중량%)
비교예3
(중량%)
비교예4
(중량%)
바인더 불소계 CAB 변성 수지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고체윤활제 그라파이트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이황화몰리브데늄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첨가제 폴리메타자일렌 아디프아미드 0.5 1 1.5 2 2.5 3 3.5 4 4.5 0 0 0 0
실리콘 고무 분말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4.5 0.5 0
실리콘 수지 분말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4.5 0
유기용제 톨루엔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메틸에틸케톤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상기 표1과 같은 조성물 중 실시예1 내지 실시예9는 첨가제에서 포함하고 있는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을 폴리메타자일렌 아디프아미드를 0.5 중량% 에서 4.5중량%까지 단계별로 증가시켜 첨가하였으며 비교예1내지 비교예4는 상기 폴리메타자일렌 아디프아미드를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후, 상기의 실시에 1내지 실시예9 및 비교예1 내지 비교예4의 내구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험은 와이퍼 블레이드(11) 성능 평가에 이용하는 시험 장치를 시험장치를 사용였으며 차량의 전면 유리(15)에 균일하게 0.8~2L/min로 물을 분무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 속도는 42cycle/min로 진행하였다. 상기 내구성 실험은 초기, 50,000회, 100,000회 및 200,000회 작동 후 떨림 현상 및 소음을 쥬리 평가 점수로 평가하였으며, 초기실험에서는 8점 이상 그리고 200,000회 작동 후 실험은 6점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초기 9점 9점 9점 9점 9점 9점 9점 8점 9점 9점 7점 7점 9점
50,000회 작동후 8점 8점 8점 8점 8점 8점 8점 8점 7점 8점 5점 5점 7점
100,000회 작동 후 7점 7점 7점 7점 7점 7점 7점 7점 6점 6점 4점 4점 6점
200,000회 작동 후 6점 6점 6점 6점 7점 7점 7점 7점 7점 5점 5점 7점 4점
상기 표2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9 및 비교예 1내지 비교예4의 내구성 실험의 결과이다.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9는 상기의 평가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1은 200,000만회 작동 후 실험이 5점으로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비교예2는 초기 실험이 7점, 200,000만회 작동 후 실험이 5점으로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3은 초기 실험이 7점으로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교예4는 200,000만회 작동 후 실험이 4점으로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의 실시에 1내지 실시예9 및 비교예1 내지 비교예4의 왁스가 도포된 유리의 떨림 현상 및 소음을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평가는 와이퍼(10)를 600,000회 작동시키고 왁스를 차량의 유리면에 도포한 후 30분간 작동하면서 떨림 현상 및 소음을 쥬리 평가 점수로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 기준은 6점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의 표3과 같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600,000회 작동 후 6점 6점 6점 6점 7점 7점 7점 7점 7점 5점 5점 7점 4점
상기 표3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 및 비교예 3은 평가기준을 만족하였지만, 비교예1, 비교예2 및 비교예4는 상기 평가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내구성 실험과 왁스가 도포된 유리의 떨림 현상 및 소음을 평가하는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비교예1 내지 비교예4에 비하여 실시예1 내지 실시예9가 내구성 및 왁스가 도포된 경우 와이퍼의 떨림 현상과 소음이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을 함유하는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물왁스로 도포된 유리(15)에서 유리 표면과 와이퍼 블레이드 코팅 표면간의 접촉을 면 접촉에서 점 접촉으로 전환시켜 와이퍼(10)가 작동되는 경우 소음과 떨림 현상을 감소시키고, 구형 폴리머 미분말(25)의 피막 지지 능력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 와이퍼
11 : 와이퍼 블레이드
13 : 균일한 수막
15 : 유리
17 : 코팅층
19 : 불균일한 수막
21 : 와이퍼 고무
23 : 그라파이트 코팅층
25 : 구형 폴리머 미분말

Claims (12)

  1. 유기용제, 바인더, 고체윤활제 및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함유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며,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은 하기 화학식 1인 폴리메타자일렌 아디프아미드 또는 하기 화학식 2인 폴리노나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화학식1>
    Figure 112017112915472-pat00015


    <화학식 2>
    Figure 112017112915472-pat00016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는 70 내지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는 톨루엔 또는 메틸에틸케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10 내지 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불소계 CAB 변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CAB 변성 수지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을 메틸에틸케톤에 용해시켜 불소계 수지를 만들고, 개질제인 셀룰로우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윤활제는 3 내지 10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윤활제는 그라파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이황화몰리브데늄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함유하는 첨가제는 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을 함유하는 첨가제는 실리콘 고무분말 또는 실리콘 수지 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폴리머 미분말의 직경은 2 내지 5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KR1020160073803A 2016-06-14 2016-06-14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KR10184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03A KR101845444B1 (ko) 2016-06-14 2016-06-14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03A KR101845444B1 (ko) 2016-06-14 2016-06-14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975A KR20170140975A (ko) 2017-12-22
KR101845444B1 true KR101845444B1 (ko) 2018-05-18

Family

ID=6093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803A KR101845444B1 (ko) 2016-06-14 2016-06-14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395B1 (ko) * 2020-01-07 2021-08-19 그레이스 콘티넨탈 코리아 주식회사 슬립성 및 발수성이 우수한 발수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53B1 (ko) 2010-05-18 2010-10-25 주식회사 캐프 안정성 및 발수율이 우수한 와이퍼용 발수제 코팅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53B1 (ko) 2010-05-18 2010-10-25 주식회사 캐프 안정성 및 발수율이 우수한 와이퍼용 발수제 코팅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975A (ko)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7516B2 (ja) フロントガラス処理剤とワイパーブレードとの組合せ
KR100497791B1 (ko) 와이퍼 블레이드 러버용 코팅제 및 그를 구비한 와이퍼블레이드 러버
EP2067833A1 (en) Composition for coating wiper blade rubbers, coa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wiper blade rubbers made therefrom
JP5496097B2 (ja) ウインドウワイパーのワイパーブレードを被覆するための減摩塗料
EP2912152B1 (en) Hydrophobic coating transferable to contacting surface
JP6482472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ゴム用コーティング剤及びそれを用いたワイパーブレードゴム
US11247639B2 (en) Wiper blade rubber
KR20010007240A (ko) 차량의 유리창용 실리콘 고무 기재 와이퍼 블레이드
KR101845444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코팅 조성물
JP4192099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のワイパブレードに用いられる保水性コーティング、このコーティングを施したワイパブレード、およびこのコーティングをワイパブレードに施すための方法
KR100837370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용 윤활 도료 조성물
KR100543181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코팅 조성물, 이의 코팅방법 및이를 적용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JP5389035B2 (ja) ストランド形状の異形成形材ならびにストランド形状の異形成形材を被覆する方法
KR100989353B1 (ko) 안정성 및 발수율이 우수한 와이퍼용 발수제 코팅 조성물
JP3086888B2 (ja) 車両用ワイパーブレード及び車両ウインドガラスの水滴払拭方法
JP2019064281A (ja) ワイパーブレードゴム
KR20020091721A (ko) 발수 코팅 유리용 와이퍼 브레이드 윤활 코팅 조성물
JPH08319375A (ja) ワイパーブレードゴム
WO2018030084A1 (ja) ワイパーブレードラバー
KR101379291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300679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289783B1 (ko) 기름막 제거 기능의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219304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JPH06179349A (ja) ワイパー
KR101210423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