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417B1 -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417B1
KR101845417B1 KR1020180002168A KR20180002168A KR101845417B1 KR 101845417 B1 KR101845417 B1 KR 101845417B1 KR 1020180002168 A KR1020180002168 A KR 1020180002168A KR 20180002168 A KR20180002168 A KR 20180002168A KR 101845417 B1 KR101845417 B1 KR 10184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task
candidate
customer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찬우
Original Assignee
남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찬우 filed Critical 남찬우
Priority to KR1020180002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적재산권의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한 업무를 고객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하되 결정한 각 업무의 담당자를 최적으로 자동 선정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실현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TA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
본 발명은, 지적재산권과 관련된 업무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적재산권의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한 업무를 고객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하되 결정한 각 업무의 담당자를 최적으로 자동 선정함으로써, 기일 준수 및 품질 유지가 각별히 중요한 지적재산권 업무의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또는 기업 등의 고객이 지적재산권(예: 특허권)을 획득하고 그 지적재산권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고객이 직접 관련 절차(예: 출원, OA 대응, 심판 등)를 진행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고객이 대리인에게 의뢰하여 대리인을 통해 관련 절차(예: 출원, OA 대응, 심판 등)를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신규로 출원을 진행하는 경우, 고객은 지적재산권을 획득하고자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형태의 자료로 대리인에게 제공하여 출원을 의뢰하면, 대리인은 출원 의뢰가 접수됨에 따라 출원을 위한 내부적인 업무 절차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완성된 명세서를 특허청에 제출하여 출원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 출원된 건에 대하여 의견제출통지서가 접수되는 경우, 대리인은 의견제출통지서가 접수됨에 따라 고객에게 의견제출통지서 접수 사실을 보고하고 의견서를 작성하는 등 OA 대응을 위한 내부적인 업무 절차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의견서 등을 특허청에 제출하여 대응하게 된다.
대리인(회사) 측에서는, 전술과 같은 출원, OA대응 등의 처리사건을 진행함에 있어서, 해당 처리사건의 매니저(예: 부서장)가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업무 절차들과 각 업무 별로 내부적으로 지켜야 할 처리 기일을 숙지한 상태에서, 각 업무 별로 담당자들의 업무량을 일일이 파악하거나 논의하여 적당한 담당자를 직접 선정해서 배정해야 한다.
이처럼 기존에는 처리사건을 진행함에 있어서, 각 업무의 담당자 선정이 매니저(예: 부서장)의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각 업무의 담당자를 최적으로 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아울러, 기존에는 처리사건을 진행함에 있어서, 매니저(예: 부서장)가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업무 절차들을 숙지한 상태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고객이 다양해지고 그 고객 마다 원하는 요구사항이 다를 수 있음을 감안한다면, 모든 고객 마다 원하는 요구사항에 맞도록 필요한 업무 절차들을 변경하여 진행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지적재산권의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한 업무를 고객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하되 결정한 각 업무의 담당자를 최적으로 자동 선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지적재산권의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한 업무를 고객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하되 결정한 각 업무의 담당자를 최적으로 자동 선정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실현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은, 신규 처리사건의 접수를 인지하는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 상기 처리사건의 사건종류 및 고객에 따라, 상이한 다수의 업무 절차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를 결정하는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 상기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중 수동 처리가 요구되는 각 업무에 대하여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고객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속성을 반영하여 계산된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 및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계산된 상기 후보 담당자의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업무 별 담당자를 선정하는 담당자 선정 모듈; 및 상기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중 자동 처리가 요구되는 업무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 별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고객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자동 처리가 요구되는 업무를 처리하는 자동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당자 선정 모듈은,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사건인 경우, 상기 각 업무에 대하여 업무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담당 팀의 구성원인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에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하여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처리능력 지수가 상기 고객속성에 따른 선정범위 내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토대로 계산된 업무능력 지수, 기 배정된 업무의 개수, 사건종류, 처리 기일, 고객의 고객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보유 업무량을 계산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당자 선정 모듈은,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는 긴급 사건인 경우, 상기 각 업무 중에서 병렬 진행이 가능한 업무를 병렬 진행하고 나머지 업무는 순차 진행하기 위한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담당 팀의 구성원인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에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하여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처리능력 지수가 상기 고객속성에 따른 선정범위 내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토대로 계산된 업무능력 지수, 기 배정된 업무의 개수, 사건종류, 처리 기일, 고객의 고객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보유 업무량을 계산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당자 선정 모듈은, 상기 각 업무 중 특정 업무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업무 재배정 미진행 시,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하고, 상기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당자 선정 모듈은, 상기 업무 재 배정 진행 시,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에 기 배정된 업무를 배정 취소하고, 상기 배정 취소한 업무 및 상기 특정 업무 각각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및 상기 2차 필터링을 거쳐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담당자 선정 모듈은, 상기 각 업무 중 특정 업무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이면,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하고, 상기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담당자 선정 모듈은, 상기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가 아니면,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업무 재배정 미진행 시,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하고, 상기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하고, 상기 업무 재 배정 진행 시,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에 기 배정된 업무를 배정 취소하고, 상기 배정 취소한 업무 및 상기 특정 업무 각각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및 상기 2차 필터링을 거쳐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은, 고객 별로, 처리사건의 종류에 따라 기 결정한 업무프로세스를 맵핑시켜 관리하며, 상기 고객 별로 진행되는 업무프로세스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결정한 업무프로세스에 구성되지 않은 업무가 진행되거나 구성된 업무가 생략되는 동일한 변경 이벤트가 기 설정된 N회 이상 발생하는 특정 고객의 특정 처리사건이 확인되면, 상기 특정 고객의 특정 처리사건에 맵핑된 업무프로세스를 상기 변경 이벤트를 반영하여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N회는, 상기 특정 고객의 고객속성 중 업무예민도값 및 상기 특정 처리사건의 사건종류에 따라, 상이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업무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상기 선정한 담당자에 의해 처리된 업무 별로 비용 항목을 생성하여 업무 별 비용 항목을 근거로 청구비용을 결정하고, 상기 고객에 맵핑/관리되는 비용청구 양식에 따라 상기 청구비용의 비용 항목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비용청구서를 생성하는 비용 청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은, 신규 처리사건의 접수를 인지하는 처리사건 자동 접수 단계; 상기 처리사건의 사건종류 및 고객에 따라, 상이한 다수의 업무 절차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를 결정하는 업무프로세스 결정 단계; 상기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중 수동 처리가 요구되는 각 업무에 대하여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고객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속성을 반영하여 계산된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 및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계산된 상기 후보 담당자의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업무 별 담당자를 선정하는 담당자 선정 단계; 및 상기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중 자동 처리가 요구되는 업무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 별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고객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자동 처리가 요구되는 업무를 처리하는 자동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당자 선정 단계는,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사건인 경우, 상기 각 업무에 대하여 업무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담당 팀의 구성원인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에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하여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처리능력 지수가 상기 고객속성에 따른 선정범위 내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토대로 계산된 업무능력 지수, 기 배정된 업무의 개수, 사건종류, 처리 기일, 고객의 고객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보유 업무량을 계산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당자 선정 단계는,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는 긴급 사건인 경우, 상기 각 업무 중에서 병렬 진행이 가능한 업무를 병렬 진행하고 나머지 업무는 순차 진행하기 위한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담당 팀의 구성원인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에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하여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처리능력 지수가 상기 고객속성에 따른 선정범위 내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토대로 계산된 업무능력 지수, 기 배정된 업무의 개수, 사건종류, 처리 기일, 고객의 고객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보유 업무량을 계산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당자 선정 단계는, 상기 각 업무 중 특정 업무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업무 재배정 미진행 시,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하고, 상기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당자 선정 단계는, 상기 업무 재 배정 진행 시,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에 기 배정된 업무를 배정 취소하고, 상기 배정 취소한 업무 및 상기 특정 업무 각각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및 상기 2차 필터링을 거쳐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당자 선정 단계는, 상기 각 업무 중 특정 업무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이면,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하고, 상기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당자 선정 단계는, 상기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가 아니면,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업무 재배정 미진행 시,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하고, 상기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하고, 상기 업무 재 배정 진행 시,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에 기 배정된 업무를 배정 취소하고, 상기 배정 취소한 업무 및 상기 특정 업무 각각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및 상기 2차 필터링을 거쳐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지적재산권의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한 업무를 고객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하되 결정한 각 업무의 담당자를 최적으로 자동 선정함으로써, 기일 준수 및 품질 유지가 각별히 중요한 지적재산권 업무의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지적재산권 업무가 진행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각 업무가 담당자에게 배정된 결과를 보여주는 UI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적재산권과 관련된 업무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개인 또는 기업 등의 고객이 지적재산권(예: 특허권)을 획득하고 그 지적재산권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고객이 직접 관련 절차(예: 출원, OA 대응, 심판 등)를 진행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고객이 대리인에게 의뢰하여 대리인을 통해 관련 절차(예: 출원, OA 대응, 심판 등)를 진행하게 된다.
이에, 고객, 대리인, 청(예: 특허청) 간에 지적재산권 업무가 진행되는 구조는 도 1과 같이 간략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면, 신규로 출원을 진행하는 경우, 고객은 지적재산권으로 획득하고자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형태의 자료로 대리인에게 제공하여 출원을 의뢰하면, 대리인은 출원 의뢰가 접수됨에 따라 출원을 위한 내부적인 업무 절차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완성된 명세서를 특허청에 제출하여 출원하게 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기 출원된 건에 대하여 의견제출통지서가 접수되는 경우, 대리인은 의견제출통지서가 접수됨에 따라 고객에게 의견제출통지서 접수 사실을 보고하고 의견서를 작성하는 등 OA 대응을 위한 내부적인 업무 절차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의견서 등을 특허청에 제출하여 대응하게 된다.
대리인(회사) 측에서는, 전술과 같은 출원, OA대응 등의 처리사건을 진행함에 있어서, 해당 처리사건의 매니저(예: 부서장)가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업무 절차들과 각 업무 별로 내부적으로 지켜야 할 처리 기일을 숙지한 상태에서, 각 업무 별로 담당자들의 업무량을 일일이 파악하거나 논의하여 적당한 담당자를 직접 선정해서 배정해야 한다.
이처럼 기존에는 처리사건을 진행함에 있어서, 각 업무의 담당자 선정이 매니저(예: 부서장)의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각 업무의 담당자를 최적으로 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아울러, 기존에는 처리사건을 진행함에 있어서, 매니저(예: 부서장)가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업무 절차들을 숙지한 상태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고객이 다양해지고 그 고객 마다 원하는 요구사항이 다를 수 있음을 감안한다면, 모든 고객 마다 원하는 요구사항에 맞도록 필요한 업무 절차들을 변경하여 진행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지적재산권의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한 업무를 고객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하되 결정한 각 업무의 담당자를 최적으로 자동 선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은, 대리인(회사) 측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신규 처리사건의 접수를 인지하는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과, 상기 처리사건의 사건종류 및 고객에 따라, 상이한 다수의 업무 절차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를 결정하는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120)과, 상기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중 수동 처리가 요구되는 각 업무에 대하여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고객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속성을 반영하여 계산된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 및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계산된 상기 후보 담당자의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업무 별 담당자를 선정하는 담당자 선정 모듈(130)과, 상기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중 자동 처리가 요구되는 업무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 별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고객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자동 처리가 요구되는 업무를 처리하는 자동 처리 모듈(140)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비용 청구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기일 관리 모듈(160), 전자 포대 모듈(170), 데이터 동기화 모듈(180), 고객 관리 모듈(190) 및 직원 관리 모듈(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은, 신규 처리사건의 접수를 인지한다.
여기서, 신규 처리사건이란, 고객으로부터 의뢰되거나 또는 기 관리 중인 사건에 대하여 청(예: 특허청)으로부터 업무 절차가 동반되는 서류(이하, 청서류)가 접수됨에 따라, 발생되는 처리사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신규 처리사건은, 고객 의뢰에 따라 진행하는 신규 출원, 자진 보정, 분할 출원 등과, 청(예: 특허청)으로부터 접수되는 통지서에 따라 OA 대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고객 의뢰에 따른 처리사건은, 오프라인 상담이나 전화 상으로 진행되더라도 최종적으로 자료를 남기기 위해 이메일 형식으로 접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고객 의뢰에 따른 처리사건 외에 OA 대응 등의 처리사건은, 청(예: 특허청)으로부터 통지서(예: 의견제출통지서, 특허거절결정서, 등록결정서 등)가 발행되는 형식으로 접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은, 고객 의뢰에 따른 처리사건이 신규 접수되는 경우 및 청(예: 특허청)으로부터 발행되는 통지서에 따른 처리사건이 신규 접수되는 경우를 인지할 수 있는 모듈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은, 고객 의뢰에 따른 처리사건이 신규 접수되는 경우를 인지하기 위해, 서신 자동 접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은, 송수신 서신 자동 접수 기능을 토대로,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을 사용하는 대리인(회사)의 이메일 계정으로 이메일(서신)이 접수되면, 이메일 서신을 제목, 내용 상의 특정 패턴을 자동으로 파싱하여, 해당 사건번호 및/또는 처리사건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키워드를 추출한 후, 해당 사건번호가 있는 기 관리 중인 건이면 추출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해당 사건번호에 대하여 신규 처리사건(예: 자진 보정)이 접수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은, 송수신 서신 자동 접수 기능을 토대로, 이메일 서신을 제목, 내용 상의 특정 패턴을 자동으로 파싱하여, 해당 사건번호 및/또는 처리사건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키워드를 추출한 후, 금번 접수된 이메일(서신)에 의해 진행하는 건이 사건번호가 없는 새로운 건(예: 출원, 선행기술조사 등)이면, 사건번호(관리번호)를 생성한 후 해당 사건번호에 대하여 신규 처리사건(예: 출원)이 접수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은, 송수신 서신 자동 접수 기능을 토대로, 이메일(서신)이 접수되면 후술의 고객 관리 모듈(190)과 연동하여 해당 고객에 대하여 기 등록된 메일 양식에 따라 금번 이메일 서신의 발신자에게 수신 확인 메일을 자동으로 발송할 수도 있으며, 또한 접수된 이메일(서신) 및 발송한 수신 확인 메일 등을 해당 사건번호(관리번호)의 서신이력정보로서 후술의 전자 포대 모듈(170)과 연동하여 구축하되 첨부파일 형태로 이메일 서신 원본을 자동 업로드할 수 있다.
한편,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은, 청(예: 특허청)으로부터 발행되는 통지서에 따른 처리사건이 신규 접수되는 경우를 인지하기 위해서, 통지서 자동 접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청(예: 특허청)으로부터 다운로드 한 통지서(예: 의견제출통지서, 특허거절결정서, 등록결정서 등) 파일은, 통지서의 간략 정보를 담은 헤더파일, 수신 정보를 담은 파일, 통지서에 대한 상세정보를 담은 압축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파일 안에는, 통지서에 대한 상세정보(예: 사건번호, 법정 기일, 통지서 명 등)를 담은 헤더파일과 PDF형식의 통지서 파일, 인용참증 등의 첨부파일이 포함되어 있다.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은, 통지서 자동 접수 기능을 토대로, 청(예: 특허청)으로부터 다운로드 한 다량의 통지서 압축파일을 선택하여 일괄 업로드 하면, 통지서 분석모듈(미도시)에서 각 통지서 별로 압축파일을 해제하고 헤더파일에서 사건번호, 법정 기일, 통지서 명 등을 파싱한 후 해당 사건번호(관리번호)의 통지서 이력정보로서 후술의 전자 포대 모듈(170)과 연동하여 구축하되 첨부파일 형태로 통지서 파일, 인용참증 파일을 자동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은, 통지서 자동 접수 기능을 토대로, 통지서 분석모듈(미도시)에서 통지서의 압축파일을 해제하고 헤더파일에서 사건번호, 법정 기일, 통지서 명 등을 파싱하여 통지서 명에 따라 처리사건의 종류를 식별한 후, 해당 사건번호에 대하여 신규 처리사건(예: OA 대응)이 접수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120)은,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에서 접수 인지한 처리사건의 사건종류 및 고객에 따라, 상이한 다수의 업무 절차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에서 접수 인지한 처리사건(예: 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에 대하여 접수 담당자가 접수 확인을 입력하면, 해당 처리사건의 담당 결재자(예: 부서장)에게 신규 처리사건 접수가 알람과 함께 상신될 수 있다.
이에, 담당 결재자(예: 부서장)가 해당 처리사건에 대하여 진행을 입력하면,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120)은,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에서 접수 인지한 해당 처리사건(예: 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의 사건종류 및 고객에 따라 상이한 다수의 업무 절차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120)은, 고객 별로, 처리사건의 종류에 따라 기 결정한 업무프로세스를 맵핑시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120)은, 고객A에 대하여, 처리사건의 종류(예: 선행기술조서, 출원, 자진 보정, OA 대응 등) 별로 기 결정한 업무프로세스를 맵핑시켜 관리하며, 그 밖에 다른 고객 각각에 대해서도 처리사건의 종류(예: 선행기술조서, 출원, 자진 보정, OA 대응 등) 별로 기 결정한 업무프로세스를 맵핑시켜 관리한다.
이때,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120)은,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에서 진행되는 모든 업무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여, 각 고객 별로 업무프로세스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결정한 업무프로세스에 구성되지 않은 업무가 진행되거나 구성된 업무가 생략되는 동일한 변경 이벤트가 기 설정된 N회 이상 발생하는 특정 고객의 특정 처리사건이 확인되면, 특정 고객의 특정 처리사건에 맵핑된 업무프로세스를 변경 이벤트를 반영하여 변경/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번 접수 인지한 처리사건(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이 고객A의 건이고, 고객A에 대하여 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의 업무프로세스로서 업무1,업무2,업무3으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가 기 결정/맵핑된 상태로 가정한다.
이 경우,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에서 접수 인지한 처리사건이 고객A에 대한 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이며, 이에 업무1,업무2,업무3으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를 결정 및 각 업무 별로 담당자를 선정하여 업무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업무프로세스에 구성되지 않은 업무4가 업무3 이후에 진행되거나 변경 이벤트가 기 설정된 N(예: 3)회 이상 발생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120)은, 각 고객 별로 업무프로세스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동일한 변경 이벤트(업무3 이후 업무4 진행)가 기 설정된 N(예: 3)회 이상 발생하는 특정 고객으로서 고객A 및 특정 처리사건으로서 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고객A의 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에 맵핑된 업무프로세스(업무1,업무2,업무3)를 변경 이벤트를 반영하여 업무1,업무2,업무3,업무4로 변경/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N회는, 전술의 특정 고객(예: 고객A)의 고객속성 중 업무예민도값 및 전술의 특정 처리사건의 사건종류(예: 선행기술조서, 출원, 자진 보정, OA 대응 등)에 따라, 상이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A에 대해서도, 사건종류에 따라 법정 기일이 있는 처리사건(예: OA 대응 등)에 대하여 설정되는 N회가 법정 기일이 없는 처리사건(예: 선행기술조서, 출원 등)에 대하여 설정되는 N회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업무프로세스가 빠른 시점에 변경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사건종류 예컨대 법정 기일이 있는 처리사건(예: OA 대응 등)에 대해서도, 업무예민도값이 높게 관리되는 예민한 고객A에 대하여 설정되는 N회가 상대적으로 고객A 대비 업무예민도값이 낮게 관리되는 고객B에 대하여 설정되는 N회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업무프로세스가 빠른 시점에 변경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120)에서 결정한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중 수동 처리가 요구되는 각 업무에 대하여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각 업무 별로 고객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속성을 반영하여 계산된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 및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계산된 후보 담당자의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업무 별 담당자를 선정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금번 접수 인지한 처리사건(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이 고객A의 건이고, 고객A에 대하여 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의 업무프로세스로서 업무1,업무2,업무3,업무4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를 결정한 경우로 가정하겠다.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즉 업무1,업무2,업무3,업무4 중 수동 처리가 요구되는 각 업무(이하, 업무2,업무3,업무4)에 대하여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금번 처리사건(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사건인지 또는 긴급 처리가 요구되는 긴급 사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고객으로부터 긴급 처리가 요청된 경우, 또는 법정 기일까지의 잔여일이 사건종류 별로 설정된 최소잔여일 이하인 경우 등 기 정의된 확인 요건에 따라 긴급 사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긴급 사건이 아닌 경우를 일반 사건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금번 처리사건(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이 일반 사건인 경우, 각 업무2,업무3,업무4에 대하여 업무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한다.
이때, 이하에서 언급하는 업무의 처리 기일은, 업무프로세스 상의 내부적 기일을 의미하지만, 강제성이 부여되는 고객 기일 또는 법정 기일일과 일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각 업무2,업무3,업무4 별로, 담당 팀의 구성원인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에 고객A의 고객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하여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처리능력 지수가 고객A의 고객속성에 따른 선정범위 내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한다.
업무2를 언급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업무2의 담당 팀에서 구성원인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에 고객A의 고객속성 특히 기일중요도값 및 품질속성값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를 반영하여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한다.
Figure 112018002007316-pat00001
여기서, 처리능력 지수는 0~1의 값으로 계산되며 1에 가까울수록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며, a는 고객의 고객속성 중 기일중요도값(예: 상/중/하)에 따라 그 값이 높을수록 처리능력 지수에 기일준수도 인자가 크게 반영되도록 가변되는 가중치이며, b는 고객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예: 상/중/하)에 따라 그 값이 높을수록 처리능력 지수에 업무처리품질 인자가 크게 반영되도록 가변되는 가중치이다.
이에,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업무2의 담당 팀에서 구성원인 각 후보 담당자 별로, 수학식1에 따른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하여 처리능력 지수가 고객A의 고객속성 특히 품질속성값(예: 상/중/하)에 따른 선정범위 내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한다.
예컨대, 가장 우수한 처리능력 지수(1)을 기준으로 1~X를 선정범위로 가정하면, 고객A의 고객속성 특히 품질속성값(예: 상/중/하)에 따라, 품질속성값(예: 상/중/하)이 높을수록 1에 가까운 X에 따른 선정범위가 적용되고, 품질속성값(예: 상/중/하)이 낮을수록 1에서 먼 X에 따른 선정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직원 관리 모듈(200)은,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을 사용하는 대리인(회사)의 모든 직원에 대하여, 근태 상황을 비롯하여, 처리한 업무에 대한 정보(사건번호, 업무 명, 업무 처리일, 난이도, 리뷰자에 의한 평가점수 등)와 그 정보를 근거로 기 정의된 평가룰에 따라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평가하여, 직원의 데이터로서 구축/관리할 수 있다.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이러한 직원 관리 모듈(200)과 연동하여, 후보 담당자(직원)의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알 수 있다.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전술과 같은 방식으로, 업무2를 비롯 업무3,업무4 각각에 대해서도,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한다.
그리고,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각 업무2,업무3,업무4 별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토대로 계산된 업무능력 지수, 기 배정된 업무의 개수, 사건종류, 처리 기일, 고객의 고객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보유 업무량을 계산한다.
업무2를 언급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업무2에 대하여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별로,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토대로 업무능력 지수를 계산한다.
Figure 112018002007316-pat00002
여기서, 업무능력 지수는 0~1의 값으로 계산되며 1에 가까울수록 우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업무2에 대하여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별로, 수학식2에 따라 계산된 업무능력 지수, 기 배정된 각 업무의 개수/사건종류/처리 기일, 고객A의 고객속성 특히 기일중요도값 및 품질속성값을 이용하여, 업무2에 대해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보유 업무량을 계산한다.
이에,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업무2에 대하여,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업무2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전술과 같은 방식으로, 업무2를 비롯 업무3,업무4 각각에 대해서도,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한편,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금번 처리사건(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이 긴급 사건인 경우, 각 업무2,업무3,업무4 중에서 병렬 진행이 가능한 업무를 병렬 진행하고 나머지 업무는 순차 진행하기 위한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한다.
예컨대 업무2,업무3이 병렬 진행 가능한 업무인 경우라면,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업무2,업무3에 대해서는 병렬 진행을 위해 같은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업무4에 대해서는 순차 진행을 위해 업무2,업무3의 처리 기일 이후의 처리 기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각 업무2,업무3,업무4 별로, 담당 팀의 구성원인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에 고객A의 고객속성 특히 기일중요도값 및 품질속성값에 따른 가중치a,b를 반영하여 수학식1에 따라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처리능력 지수가 고객A의 고객속성 특히 품질속성값에 따른 선정범위 내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한다.
그리고,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각 업무2,업무3,업무4 별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토대로 수학식2에 따라 업무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업무능력 지수, 기 배정된 각 업무의 개수/사건종류/처리 기일, 고객A의 고객속성 특히 기일중요도값 및 품질속성값을 이용하여, 업무2에 대해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보유 업무량을 계산한다.
이에,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각 업무2,업무3,업무4 별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금번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지적재산권의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한 업무를, 고객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하되 결정한 각 업무의 담당자를 최적으로 자동 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이 다양해지고 그 고객 마다 원하는 요구사항이 다를 수 있음을 감안한다면, 모든 고객 마다 원하는 요구사항에 맞도록 필요한 업무 절차들을 유동적이면서 최적으로 변경하여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지적재산권 서비스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각 업무2,업무3,업무4 별로 담당자가 선정된다면 담당자 선정에 성공한 것으로서, 해당 담당자에게 각기 업무를 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1차 필터링 시 처리능력 지수가 선정범위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가 없거나 2차 필터링 시 금번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는 후보 담당자가 없는 경우 담당자 선정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다.
앞서 설명한 일반 사건의 실시예에서는,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각 업무2,업무3,업무4 중 특정 업무(예: 업무3)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고객A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고객A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이 상인 경우 업무 재배정 진행으로 판단하고, 품질속성값이 중 또는 하인 경우 업무 재배정 미진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업무 재배정 미진행 시, 특정 업무(이하, 업무3으로 가정)에 대하여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한다.
그리고,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앞선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업무3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해당 고객이 품질에 매우 민감하지는 않으므로, 각 업무2,업무3,업무4 중 업무2,업무4는 최적의 담당자를 선정하고 업무3은 차선의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업무 재배정 진행 시, 특정 업무 즉 업무3에 대하여 2차 필터링된 담당자에 기 배정된 업무를 배정 취소한다.
그리고,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배정 취소한 업무 및 특정 업무 즉 업무3 각각에 대하여, 전술의 1차 필터링 및 2차 필터링을 거쳐 담당자를 선정하는 과정을 각기 수행한다.
이렇게 되면,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해당 고객이 품질에 매우 민감하므로, 각 업무2,업무3,업무4 중 업무2,업무4는 최적의 담당자를 선정하고 업무3은 최적의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대로 높여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긴급 사건의 실시예에서는,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각 업무2,업무3,업무4 중 특정 업무(예: 업무3)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특정 업무 즉 업무3이 병렬 진행의 업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특정 업무 즉 업무3이 병렬 진행의 업무인 경우, 업무3에 대하여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한다.
그리고,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앞선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업무3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고객의 성향 보다는 긴급 사건의 병렬 진행(처리 기일)을 중요 시하여, 각 업무2,업무3,업무4 중 업무2,업무4는 최적의 담당자를 선정하고 다른 업무(예: 업무2)와 병렬 진행되는 업무3은 차선의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담당자 선정에 실패한 특정 업무(예: 업무4)가 병렬 진행의 업무가 아닌 경우, 고객A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한다.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업무 재배정 미진행 시, 특정 업무(이하, 업무4로 가정)에 대하여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한다.
그리고,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앞선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업무4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해당 고객이 품질에 매우 민감하지는 않으므로, 각 업무2,업무3,업무4 중 업무2,업무3은 최적의 담당자를 선정하고 업무4는 차선의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업무 재배정 진행 시, 특정 업무 즉 업무4에 대하여 2차 필터링된 담당자에 기 배정된 업무를 배정 취소한다.
그리고,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배정 취소한 업무 및 특정 업무 즉 업무4 각각에 대하여, 전술의 1차 필터링 및 2차 필터링을 거쳐 담당자를 선정하는 과정을 각기 수행한다.
이렇게 되면, 담당자 선정 모듈(130)은, 해당 고객이 품질에 매우 민감하므로, 각 업무2,업무3,업무4 중 업무2,업무3은 최적의 담당자를 선정하고 업무4는 최적의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대로 높여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각 업무2,업무3,업무4 별로 담당자 선정이 성공하면, 담당자 선정 모듈(130)에 의해, 해당 담당자에게 각기 업무가 배정되어 담당자에게 알람과 함께 상신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각 업무1(자동 처리),업무2,업무3,업무4 별로 담당자 선정에 성공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정된 결과를 보여주는 UI 화면을 금번 처리사건(예: 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에 대하여 진행을 입력한 담당 결재자(예: 부서장)의 컴퓨터에 출력할 수 있다.
물론, 담당 결재자(예: 부서장)가 진행을 입력한 시점과 각 업무1(자동 처리),업무2,업무3,업무4 별로 담당자 선정/배정된 시점(UI 화면 시점) 사이는, 매우 짧은 시간일 것이다.
각 담당자(컴퓨터)는, 필요 시 전자 포대 모듈(170)의 기능을 활용하여 출원서나 통지서 등을 보면서 자신에 배정된 업무를 처리하고, 처리한 업무 결과물(예: 명세서, 의견서, 보고서 등)을 전자 포대 모듈(170)에 업로드할 수 있고, 업무 처리일, 난이도 등 최소한의 수동 입력을 하면 직원 관리 모듈(200)에서 해당 담당자(직원)의 데이터로서 처리한 업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아울러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자동 처리 모듈(140)은, 금번 처리사건(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에 대하여 결정한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즉 업무1,업무2,업무3,업무4 중 자동 처리가 요구되는 업무(이하, 업무1)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 별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고객A의 정보를 근거로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고객 관리 모듈(190)은, 각 고객 별로, 고객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예: 고객 명, 회사 및/또는 주요 담당자의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연락처 정보, 계좌, 유의 사항 등)를 비롯하여, 전화, 이메일 등을 통한 요청, 협의, 컴플레인을 근거로 기 정의된 속성룰에 의해 계산한 고객속성(예:업무예민도값, 품질속성값, 기일중요도값 등)을 관리하며, 이외에도 수신 확인 메일 자동 발송을 위해 등록된 메일 양식, 처리사건의 사건종류 별 약식 통보 양식, 비용 청구를 위해 등록된 비용청구 양식, 비용 청구 방식(예: 선불, 후불, 후불 시 사건 처리일 기준 청구시점 등) 등의 고객 정보를 구축/관리할 수 있다.
이에, 자동 처리가 가능한 업무1로서 약식 선 통보를 가정하면, 자동 처리 모듈(140)은, 고객 관리 모듈(190)과 연동하여, 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에 대한 약식 통보 메일을 고객A의 정보 특히 약식 통보 양식에 따라 작성하고 고객A의 이메일로 자동 발송하여, 업무1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비용 청구 모듈(150)은, 업무프로세스 예컨대 금번 처리사건(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의 업무프로세스(업무1,업무2,업무3,업무4)가 완료되면, 각 담당자에 의해 처리된 업무 별로 비용 항목을 생성하여 업무 별 비용 항목을 근거로 청구비용을 결정한다.
그리고, 비용 청구 모듈(150)은, 고객 관리 모듈(190)과 연동하여, 고객A에 맵핑/관리되는 비용청구 양식에 따라 앞서 결정한 청구비용의 비용 항목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비용청구서를 생성한다.
더 나아가, 비용 청구 모듈(150)은, 고객 관리 모듈(190)과 연동하여, 앞서 생성한 비용청구서를 고객A의 비용 청구 방식(예: 선불, 후불, 후불 시 사건 처리일 기준 청구시점 등)에 따라 고객A의 이메일로 자동 발송할 수 있고, 고객A의 계좌를 기준으로 미수 여부를 확인하여 주기적으로 비용청구 리마인더를 고객A의 이메일로 자동 발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일 관리 모듈(160)은, 모든 업무에 대하여 기준일(예: 처리사건 접수일)을 기반으로 기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처리 기일은, 통상적으로 청(예: 특허청)에 제출되어야 할 법정 기일과 내부적으로 처리해야 할 내부적 처리 기일, 고객에게 발송해야 할 고객 기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기일과 처리할 업무는 유기적으로 작동되어야 하기에, 기일 관리 모듈(160)은, 모든 업무에 대하여 기준일을 기반으로 기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업무 생성 시 해당 업무에 대한 처리 기일이 자동으로 연동/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연동된 기일 정보는, 개인/팀/부서/회사전체 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기일 관리 모듈(160)은, 설정에 따라 처리 기일이 도래하기 전에 메일이나 알람을 통해 담당자나 조직의 장에게 전달하여, 업무가 누락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기일 관리 모듈(160)은, 업무의 담당자가 자신의 업무 뿐만 아니라, 자신의 업무와 관련되는 업무프로세스 내 다른 업무를 진행(협업 진행)하는 협업자의 업무 진행 사항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 기능을 지원한다.
그리고 데이터 동기화 모듈(180)은, 앞서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10)의 송수신 서신 자동 접수 기능을 토대로 접수된 이메일(서신)을 파싱 및 키워드를 추출한 결과 금번 처리사건의 사건번호(예: 출원번호, 공개번호 등)가 있지만 관리 중이지 않은 건이면, 전자 포대 모듈(170)과 연동하여 사건번호를 기준으로 관리번호(사건번호)를 생성한 후, KIPO/KIPRIS/WIPO 웹서비스와 연동하여 사건번호를 기준으로 출원인 정보, 발명의 명칭, 국제출원일, 국제출원번호, 우선권 정보 등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번호(사건번호)로 자동 구축/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포대 모듈(170)은, 전술의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100), 자동 처리 모듈(140), 데이터 동기화 모듈(180) 등과 연동하여, 각 사건번호(관리번호) 별로 서신이력정보 및 첨부파일 형태의 이메일 서신 원본, 통지서 이력정보 및 첨부파일 형태의 통지서 파일/인용참증 파일, 처리사건 및 처리사건의 업무 처리 내역 등을 업로드하여 구축/관리하며, 각 담당자(컴퓨터)가 원하는 파일을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고 여러 담당자(컴퓨터)가 동시에 하나의 파일을 열람할 수도 있는 빠른 열람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은, 지적재산권의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한 업무를 고객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하되 결정한 각 업무의 담당자를 최적으로 자동 선정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모든 고객 마다 원하는 요구사항에 맞도록 필요한 업무 절차들을 유동적이면서 최적으로 변경하여 진행할 수 있고, 나아가 지적재산권 서비스의 품질과 업무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신규 처리사건의 접수를 인지한다(S100).
설명의 편의 상, 청(예: 특허청)으로부터 발행되는 의견제출통지서에 따른 처리사건이 신규 접수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접수 인지한 처리사건의 사건종류 및 고객에 따라, 상이한 다수의 업무 절차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를 결정한다(S11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S100단계에서 접수 인지한 처리사건(예: 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에 대하여 접수 담당자가 접수 확인을 입력하면, 해당 처리사건의 담당 결재자(예: 부서장)에게 신규 처리사건 접수가 알람과 함께 상신될 수 있다.
이에, 담당 결재자(예: 부서장)가 해당 처리사건에 대하여 진행을 입력하면,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S100단계에서 접수 인지한 해당 처리사건(예: 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의 사건종류 및 고객에 따라 상이한 다수의 업무 절차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금번 접수 인지한 처리사건(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이 고객A의 건이고, 고객A에 대하여 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의 업무프로세스로서 업무1,업무2,업무3,업무4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를 결정한 경우로 가정하겠다.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금번 처리사건(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에 대하여 결정한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즉 업무1,업무2,업무3,업무4 중 자동 처리가 요구되는 업무(이하, 업무1)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A의 정보를 근거로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자동 처리가 가능한 업무1로서 약식 선 통보를 가정하면,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에 대한 약식 통보 메일을 고객A의 정보 특히 약식 통보 양식에 따라 작성하고 고객A의 이메일로 자동 발송하여, 업무1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금번 처리사건(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사건인 또는 긴급 처리가 요구되는 긴급 사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30).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금번 처리사건(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이 일반 사건인 경우(S130 No), 수동 처리가 요구되는 각 업무2,업무3,업무4에 대하여 업무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한다(S140).
한편,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금번 처리사건(사건번호_10-2016-00XXXXX, 사건종류_의견제출통지서 OA 대응)이 긴급 사건인 경우(S130 Yes), 각 업무2,업무3,업무4 중에서 병렬 진행이 가능한 업무를 병렬 진행하고 나머지 업무는 순차 진행하기 위한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한다(S150).
예컨대 업무2,업무3이 병렬 진행 가능한 업무인 경우라면,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업무2,업무3에 대해서는 병렬 진행을 위해 같은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업무4에 대해서는 순차 진행을 위해 업무2,업무3의 처리 기일 이후의 처리 기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각 업무2,업무3,업무4 별로, 담당 팀의 구성원인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에 고객A의 고객속성 특히 기일중요도값 및 품질속성값에 따른 가중치a,b를 반영하여 수학식1에 따라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처리능력 지수가 고객A의 고객속성 특히 품질속성값에 따른 선정범위 내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한다(S160).
그리고,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각 업무2,업무3,업무4 별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토대로 수학식2에 따라 업무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업무능력 지수, 기 배정된 각 업무의 개수/사건종류/처리 기일, 고객A의 고객속성 특히 기일중요도값 및 품질속성값을 이용하여, 업무2에 대해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보유 업무량을 계산한다(S170).
이에,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각 업무2,업무3,업무4 별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금번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S180).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각 업무2,업무3,업무4 별로 담당자가 선정된다면 담당자 선정에 성공한 것으로서(S190 Yes), 해당 담당자에게 각기 업무를 배정할 수 있다(S220).
하지만,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1차 필터링 시 처리능력 지수가 선정범위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가 없거나 2차 필터링 시 금번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는 후보 담당자가 없는 경우 담당자 선정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다(S190 No).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담당자 선정에 실패한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인지 판단한다(S200).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가 아닌 경우(S200 No), 고객A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한다(S230).
예컨대,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고객A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이 상인 경우 업무 재배정 진행으로 판단하고, 품질속성값이 중 또는 하인 경우 업무 재배정 미진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업무 재배정 미진행 시(S230 No), 특정 업무(이하, 업무3으로 가정)에 대하여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한다(S210).
그리고,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앞선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업무3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S210).
이렇게 되면,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고객이 품질에 매우 민감하지는 않으므로, 각 업무2,업무3,업무4 중 업무2,업무4는 최적의 담당자를 선정하고 업무3은 차선의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업무 재배정 진행 시(S230 Yes), 특정 업무 즉 업무3에 대하여 2차 필터링된 담당자에 기 배정된 업무를 배정 취소한다(S240).
그리고,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배정 취소한 업무 및 특정 업무 즉 업무3 각각에 대하여, S160단계 및 그 이후 단계를 거쳐 전술의 1차 필터링 및 2차 필터링을 거쳐 담당자를 선정하는 과정을 각기 수행한다.
이렇게 되면,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고객이 품질에 매우 민감하므로, 각 업무2,업무3,업무4 중 업무2,업무4는 최적의 담당자를 선정하고 업무3은 최적의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대로 높여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인 경우(S200 Yes), 특정 업무 즉 업무3에 대하여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한다(S210).
그리고,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앞선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업무3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다(S210).
이렇게 되면,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100)은, 고객의 성향 보다는 긴급 사건의 병렬 진행(처리 기일)을 중요 시하여, 각 업무2,업무3,업무4 중 업무2,업무4는 최적의 담당자를 선정하고 다른 업무(예: 업무2)와 병렬 진행되는 업무3은 차선의 담당자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지적재산권의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한 업무를 고객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하되 결정한 각 업무의 담당자를 최적으로 자동 선정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모든 고객 마다 원하는 요구사항에 맞도록 필요한 업무 절차들을 유동적이면서 최적으로 변경하여 진행할 수 있고, 나아가 지적재산권 서비스의 품질과 업무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지적재산권의 처리사건을 진행하기 위한 업무를 고객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하되 결정한 각 업무의 담당자를 최적으로 자동 선정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110 :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 120 :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
130 : 담당자 선정 모듈 140 : 자동 처리 모듈
150 : 비용 청구 모듈 160 : 기일 관리 모듈
170 : 전자 포대 모듈 180 : 데이터 동기화 모듈
190 : 고객 관리 모듈 200 : 직원 관리 모듈

Claims (17)

  1. 신규 처리사건의 접수를 인지하는 처리사건 자동 접수 모듈;
    상기 처리사건의 사건종류 및 고객에 따라, 상이한 다수의 업무 절차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를 결정하는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
    상기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중 수동 처리가 요구되는 각 업무에 대하여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고객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속성을 반영하여 계산된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 및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계산된 상기 후보 담당자의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업무 별 담당자를 선정하는 담당자 선정 모듈; 및
    상기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중 자동 처리가 요구되는 업무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 별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고객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자동 처리가 요구되는 업무를 처리하는 자동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담당자 선정 모듈은,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는 긴급 사건인 경우, 상기 각 업무 중에서 병렬 진행이 가능한 업무를 병렬 진행하고 나머지 업무는 순차 진행하기 위한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담당 팀의 구성원인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에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하여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처리능력 지수가 상기 고객속성에 따른 선정범위 내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토대로 계산된 업무능력 지수, 기 배정된 업무의 개수, 사건종류, 처리 기일, 고객의 고객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보유 업무량을 계산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하며,
    상기 각 업무 중 특정 업무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이면,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하고, 상기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 선정 모듈은,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사건인 경우, 상기 각 업무에 대하여 업무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담당 팀의 구성원인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에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하여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처리능력 지수가 상기 고객속성에 따른 선정범위 내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토대로 계산된 업무능력 지수, 기 배정된 업무의 개수, 사건종류, 처리 기일, 고객의 고객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보유 업무량을 계산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 선정 모듈은,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사건인 경우에 상기 각 업무 중 특정 업무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업무 재배정 미진행 시,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하고, 상기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 선정 모듈은,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사건인 경우에 상기 각 업무 중 특정 업무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업무 재 배정 진행 시,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에 기 배정된 업무를 배정 취소하고,
    상기 배정 취소한 업무 및 상기 특정 업무 각각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및 상기 2차 필터링을 거쳐 담당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 선정 모듈은,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는 긴급 사건인 경우에 상기 각 업무 중 특정 업무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가 아니면,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업무 재배정 미진행 시,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하고, 상기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하고,
    상기 업무 재 배정 진행 시,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에 기 배정된 업무를 배정 취소하고, 상기 배정 취소한 업무 및 상기 특정 업무 각각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및 상기 2차 필터링을 거쳐 담당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프로세스 결정 모듈은,
    고객 별로, 처리사건의 종류에 따라 기 결정한 업무프로세스를 맵핑시켜 관리하며,
    상기 고객 별로 진행되는 업무프로세스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결정한 업무프로세스에 구성되지 않은 업무가 진행되거나 구성된 업무가 생략되는 동일한 변경 이벤트가 기 설정된 N회 이상 발생하는 특정 고객의 특정 처리사건이 확인되면, 상기 특정 고객의 특정 처리사건에 맵핑된 업무프로세스를 상기 변경 이벤트를 반영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N회는,
    상기 특정 고객의 고객속성 중 업무예민도값 및 상기 특정 처리사건의 사건종류에 따라, 상이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상기 선정한 담당자에 의해 처리된 업무 별로 비용 항목을 생성하여 업무 별 비용 항목을 근거로 청구비용을 결정하고,
    상기 고객에 맵핑/관리되는 비용청구 양식에 따라 상기 청구비용의 비용 항목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비용청구서를 생성하는 비용 청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11.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신규 처리사건의 접수를 인지하는 처리사건 자동 접수 단계;
    상기 처리사건의 사건종류 및 고객에 따라, 상이한 다수의 업무 절차로 구성된 업무프로세스를 결정하는 업무프로세스 결정 단계;
    상기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중 수동 처리가 요구되는 각 업무에 대하여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고객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속성을 반영하여 계산된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 및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계산된 상기 후보 담당자의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업무 별 담당자를 선정하는 담당자 선정 단계; 및
    상기 업무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업무 절차 중 자동 처리가 요구되는 업무에 대하여, 기 관리되는 고객 별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상기 고객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자동 처리가 요구되는 업무를 처리하는 자동 처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담당자 선정 단계는,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는 긴급 사건인 경우, 상기 각 업무 중에서 병렬 진행이 가능한 업무를 병렬 진행하고 나머지 업무는 순차 진행하기 위한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담당 팀의 구성원인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에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하여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처리능력 지수가 상기 고객속성에 따른 선정범위 내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토대로 계산된 업무능력 지수, 기 배정된 업무의 개수, 사건종류, 처리 기일, 고객의 고객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보유 업무량을 계산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하며,
    상기 각 업무 중 특정 업무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이면,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하고, 상기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 선정 단계는,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사건인 경우, 상기 각 업무에 대하여 업무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업무 별 처리 기일을 결정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담당 팀의 구성원인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에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하여 후보 담당자의 처리능력 지수를 계산하고 계산한 처리능력 지수가 상기 고객속성에 따른 선정범위 내에 속하는 후보 담당자를 1차 필터링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에 대하여 기 평가된 기일준수도 및 업무처리품질을 토대로 계산된 업무능력 지수, 기 배정된 업무의 개수, 사건종류, 처리 기일, 고객의 고객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한 처리 기일을 기준으로 보유 업무량을 계산하고,
    상기 각 업무 별로, 상기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 선정 단계는,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사건인 경우에 상기 각 업무 중 특정 업무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업무 재배정 미진행 시,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하고, 상기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 선정 단계는,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사건인 경우에 상기 각 업무 중 특정 업무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업무 재 배정 진행 시,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에 기 배정된 업무를 배정 취소하고,
    상기 배정 취소한 업무 및 상기 특정 업무 각각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및 상기 2차 필터링을 거쳐 담당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16. 삭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 선정 단계는,
    상기 처리사건이 긴급 처리가 요구되는 긴급 사건인 경우에 상기 각 업무 중 특정 업무에서 담당자 선정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특정 업무가 병렬 진행의 업무가 아니면, 상기 고객의 고객속성 중 품질속성값에 따라 업무 재배정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업무 재배정 미진행 시,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시 이용한 선정범위 하향 조정하여 후보 담당자를 다시 1차 필터링하고, 상기 다시 1차 필터링한 후보 담당자 중 상기 담당자 선정 실패 시의 후보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담당자 중에서 상기 계산한 보유 업무량을 근거로 상기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시간이 있으면서 업무 여유시간이 가장 많은 후보 담당자를 2차 필터링하여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를 선정하고,
    상기 업무 재 배정 진행 시, 상기 2차 필터링된 담당자에 기 배정된 업무를 배정 취소하고, 상기 배정 취소한 업무 및 상기 특정 업무 각각에 대하여, 상기 1차 필터링 및 상기 2차 필터링을 거쳐 담당자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KR1020180002168A 2018-01-08 2018-01-08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KR101845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168A KR101845417B1 (ko) 2018-01-08 2018-01-08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168A KR101845417B1 (ko) 2018-01-08 2018-01-08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417B1 true KR101845417B1 (ko) 2018-04-04

Family

ID=6197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168A KR101845417B1 (ko) 2018-01-08 2018-01-08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4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59B1 (ko) * 2018-06-14 2019-09-27 박성길 자동매칭 기반의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29878A (ko)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업무 추적기에 기반한 담당자 추천 시스템
KR102191895B1 (ko) * 2020-04-20 2020-12-16 김도협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2686625A (zh) * 2020-12-25 2021-04-20 哈尔滨宇龙自动化有限公司 一种mom系统事件处理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838A (ko) * 2001-07-06 2003-01-15 에이원정보기술(주) 기업 업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31202A (ko) * 2003-09-29 2005-04-06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작업 업무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090102142A (ko) * 2008-03-25 2009-09-30 우성알앤디 주식회사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02011B1 (ko) * 2012-12-04 2013-08-30 리더스손해사정 주식회사 사건조사 담당자 지정을 이용한 손해사정 관리시스템
KR20140066655A (ko) * 2012-11-23 2014-06-02 (주) 임픽스 자동 생성되는 업무 처리가이드를 포함하는 지적재산권 관리시스템과 구동방법 및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60051451A (ko) * 2014-11-03 2016-05-11 공준상 산업재산권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838A (ko) * 2001-07-06 2003-01-15 에이원정보기술(주) 기업 업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31202A (ko) * 2003-09-29 2005-04-06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작업 업무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090102142A (ko) * 2008-03-25 2009-09-30 우성알앤디 주식회사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6655A (ko) * 2012-11-23 2014-06-02 (주) 임픽스 자동 생성되는 업무 처리가이드를 포함하는 지적재산권 관리시스템과 구동방법 및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302011B1 (ko) * 2012-12-04 2013-08-30 리더스손해사정 주식회사 사건조사 담당자 지정을 이용한 손해사정 관리시스템
KR20160051451A (ko) * 2014-11-03 2016-05-11 공준상 산업재산권 관리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59B1 (ko) * 2018-06-14 2019-09-27 박성길 자동매칭 기반의 업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29878A (ko)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업무 추적기에 기반한 담당자 추천 시스템
WO2020230999A1 (ko) * 2019-05-10 2020-11-19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업무 추적기에 기반한 담당자 추천 시스템
KR102228414B1 (ko) * 2019-05-10 2021-03-16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업무 추적기에 기반한 담당자 추천 시스템
KR102191895B1 (ko) * 2020-04-20 2020-12-16 김도협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2686625A (zh) * 2020-12-25 2021-04-20 哈尔滨宇龙自动化有限公司 一种mom系统事件处理方法
CN112686625B (zh) * 2020-12-25 2024-02-06 哈尔滨宇龙自动化有限公司 一种mom系统事件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417B1 (ko)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US7155400B1 (en) Universal task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automatically managing remote workers, including automatically recruiting workers
US6859523B1 (en) Universal task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automatically managing remote workers, including assessing the work product and workers
US6938048B1 (en) Universal task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automatically managing remote workers, including automatically training the workers
Dijkman A class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 similar BusinessProcesses
US8285578B2 (en) Managing information technology (IT) infrastructure of an enterprise using a centralized logistics and management (CLAM) tool
US8543438B1 (en) Labor resource uti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452629B2 (en) Work packet enabled active project schedule maintenance
US8141030B2 (en) Dynamic routing and load balancing packet distribution with a software factory
US8527329B2 (en) Configuring design centers, assembly lines and job shops of a global delivery network into “on demand” factories
US750630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business process modeling
US20050216507A1 (en) Content management
US9852382B2 (en) Dynamic human workflow task assignment using business rules
US20070203778A1 (en) Workflow management
US6964044B1 (en) System and process for management of changes and modifications in a process
US20050144062A1 (en) Business continu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0501658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siness process automation, analysis, and optimization
US20090125359A1 (en) Integrating a methodology management system with project tasks in a project management system
US20050027651A1 (en) Transaction workflow and data collection system
WO2006014811A2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nd managing the productivity of employees
US114299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sales opportunities to service tickets, sales orders, and projects
JPH09138823A (ja) 設計・開発の進捗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設計・開発プロジェクトの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14238854A (ja) 統合職員管理システム
AU2018271290A1 (en)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JP2006235872A (ja) プロジェクト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