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895B1 -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895B1
KR102191895B1 KR1020200047304A KR20200047304A KR102191895B1 KR 102191895 B1 KR102191895 B1 KR 102191895B1 KR 1020200047304 A KR1020200047304 A KR 1020200047304A KR 20200047304 A KR20200047304 A KR 20200047304A KR 102191895 B1 KR102191895 B1 KR 102191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boration
terminal
sound source
user termina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협
Original Assignee
김도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협 filed Critical 김도협
Priority to KR102020004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음원의 발매를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프로필을 업로드하고 협업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협업 요청에 대응하여 작사, 작곡, 편곡, 녹음, 믹싱 및 마스터링의 협업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경우 프로젝트 플랫폼 내에서 협업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 및 프로젝트 플랫폼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의 협업 콘텐츠가 업로드되도록 하는 프로젝트 관리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프로필이 등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프로필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업로드하는 프로필 제공부,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로부터 협업 제공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협업중개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을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로 프로젝트 플랫폼으로의 엑세스권을 제공하는 엑세스 관리부,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에서 음원 생산이 완료되는 경우, 음원 유통을 진행하는 유통부를 포함하는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OOPERATIVE BROKERAGE SERVICE BASED ON UNIFICATION OF MUSIC PRODUCTION AND DIGITAL DISTRIBUTION}
본 발명은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음원 유통 플랫폼 내에서 음원을 제작할 수 있도록 협업을 중개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문화예술시대의 한국 음악산업이 글로벌 진출의 매개체로 떠오른 디지털 음원에 대한 관심도는, 전 세계적 디지털 음악시장 규모의 확대에 따라 매우 높게 나타난다. 하지만 디지털 음원시장은, 다른 음악산업의 분야들에 비해 빠른 변화와 모형 창출로 수익모델이 안정화 되지 않은 상태이고, 유통 플랫폼, 저작권 문제, 수익구조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세계의 음악시장은 크게 라이브 음악시장과 기록 음악시장으로 나뉘는데, 기록 음악시장은 다시 물리적 유통과 디지털 유통, 그리고 공연권 시장, 배경음악 시장으로 분류된다. 그 중 디지털 음원은, 인터넷이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파일 포맷으로 전환된 음원 파일을 컴퓨터 혹은 이동기기에 다운로드 하거나 스트리밍을 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변환한 음원이며, 전송 네트워크에 따른 인터넷 음원과 모바일 음원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음원의 음악시장은 디지털 유통에 해당되며, 디지털 유통은 서비스 방식에 의해 다운로드, 스트리밍, 모바일로 구분된다.
이때, 온라인에서 디지털 음원을 제작 및 유통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9-0054282호(2019년05월22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9-0037839호(2019년04월08일 공개)에는, 음원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 음원제작 협업 서버 상 음원 제작 소프트웨어에 플러그 인을 설치하고, 협업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음원의 프리뷰 음원파일을 음원제작 협업 서버에 업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고, 프리뷰 음원파일이 업로드되면 음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음원제작을 협업할 뮤지션을 선택한 후 협원 음원 파일이 업로드되는 구성과, 저작유통사에서 디지털 음원을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한국 음악산업의 주축으로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음악시장은, 대기업이 지배하는 다른 산업 분야와 달리 음악 산업은 중소업체의 비중이 큰 분야로 중소기업 고유 업종으로 지정되어 있었던 점과 국내 대기업의 성장 속에 제작 분야에서는 중소업체가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으며, 특히 온라인에서만 유통되는 디지털 음원은 이전에는 음반 발매에 대한 투자비용과 방법적 접근에 대한 난해함으로 개인이 진행하기에 큰 부담감이 있다는 점은 여전하다. 또, 제작 분야가 아닌 유통 구조에서는 대기업의 거대한 인프라, 즉 규모의 경제 및 범위의 경제를 이룬 자본이 유리하기 때문에 대기업에 의존하는 형편이지만, 유통사의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에 대한 수수료가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실제 제작자 및 아티스트에게는 수익이 거의 돌아가지 않는 구조가 만연하다. 이에, 제작 및 유통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진행하고 아티스트가 협업을 통하여 기획사 없이도 제작이 가능한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통사에서 제작 및 유통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진행하고, 각 분야의 아티스트 및 엔지니어의 협업을 중개함으로써 생산자에게 이익이 돌아갈 수 있는 수익 구조를 만들어내며, 제작이 완료된 음원에 대한 유통도 동일한 플랫폼에서 진행함으로써 디지털 유통에 대한 수수료를 최소화함으로써 중간 유통으로 원작자에게 수익이 돌아가지 않았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플랫폼 및 소셜미디어를 이용함으로써 젊은 뮤지션들의 창작성과 다양한 시도의 폭을 넓히고, 한국 음악산업 성장의 새로운 원동력 발굴과 앞으로 한국의 문화예술을 이끌어 갈 젊은 뮤지션들에게 또 다른 탐색적 계기가 될 수 있는,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원의 발매를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프로필을 업로드하고 협업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협업 요청에 대응하여 작사, 작곡, 편곡, 녹음, 믹싱 및 마스터링의 협업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경우 프로젝트 플랫폼 내에서 협업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 및 프로젝트 플랫폼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의 협업 콘텐츠가 업로드되도록 하는 프로젝트 관리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프로필이 등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프로필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업로드하는 프로필 제공부,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로부터 협업 제공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협업중개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을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로 프로젝트 플랫폼으로의 엑세스권을 제공하는 엑세스 관리부,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에서 음원 생산이 완료되는 경우, 음원 유통을 진행하는 유통부를 포함하는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유통사에서 제작 및 유통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진행하고, 각 분야의 아티스트 및 엔지니어의 협업을 중개함으로써 생산자에게 이익이 돌아갈 수 있는 수익 구조를 만들어내며, 제작이 완료된 음원에 대한 유통도 동일한 플랫폼에서 진행함으로써 디지털 유통에 대한 수수료를 최소화함으로써 중간 유통으로 원작자에게 수익이 돌아가지 않았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플랫폼 및 소셜미디어를 이용함으로써 젊은 뮤지션들의 창작성과 다양한 시도의 폭을 넓히고, 한국 음악산업 성장의 새로운 원동력 발굴과 앞으로 한국의 문화예술을 이끌어 갈 젊은 뮤지션들에게 또 다른 탐색적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협업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다양한 아티스트가 존재할 수 있겠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수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사용자는 하나의 음원을 제작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직종의 사람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원하는 장르나 비트 등 원하는 종류의 음원을 만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의 협업을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로부터 프로필 및 경력이나 이력을 수신하여 업로드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음원을 제작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협업을 요청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을 중개해주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의 프로필을 이용하여 인재풀(Pool)을 생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음원 제작이 완료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500)으로 음원을 제공할 수 있고, 저작권 등록 및 심의까지 사용자를 대행하여 진행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물론,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체적인 인프라를 이용하여 음원을 일반 소비자에게 자체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음원이 발매 및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되는 경우 정산을 실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은,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협업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협업자는 음원을 생산 및 유통하는 전문 인력이나 해당 스킬을 가진 일반인일 수 있다. 그리고, 협업자는 예를 들어, 작곡가, 작사가, 편곡가, 엔지니어, 감독, 사진작가, 지재권 종사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은, 음원 제작 뿐만 아니라 유통 과정에 걸쳐 최종 소비자에게 음원이 전달되기까지의 전 과정에 요구되는 인력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500)은,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지털 음원을 소비자에게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500)은 그 형태나 종류를 가리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협약을 맺은 플랫폼이라면 그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프로젝트 관리부(310), 프로필 제공부(320), 협업 중개부(330), 엑세스 관리부(340), 유통부(350), 수익 분배부(360), 이력 관리부(370), 저작권 보호부(380), 상호 평가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500)으로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500)은,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젝트 관리부(310)는, 프로젝트 플랫폼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의 협업 콘텐츠가 업로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프로젝트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에서 기 설정된 음원 생산 단계 및 기한(Due Date)에 대응하여 진행률을 퍼센테이지로 출력하고, 기한 전 음원 생산 단계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담당자인 협업 단말(400)로 기한 리마인더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인 가수 A가 발라드 장르의 음원을 발매하고 싶다고 가정하면, A는 작곡가, 작사가, 편곡가, 녹음 및 믹싱 엔지니어, 마스터링 엔지니어, 뮤직비디오 감독 및 자켓사진 사진작가 등을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부탁을 해야하고 거절하는 경우 다른 사람을 찾아 진행을 하는 등 인적 및 물적 네트워크가 없는 개인이 하기는 어려운 상황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부(310)는, 하나의 인터넷 또는 클라우드 공간 내에 음원 발매를 위한 작업 결과물(콘텐츠)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각 협업자가 엑세스 및 변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장소에서 모든 협업자가 모이지 않아도 음원 제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프로젝트 관리부(310)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엑세스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SaaS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이때, BaaS(Backend as a Service)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물론, 인프라나 플랫폼 자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또,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스케일 아웃(Scale Out)을 하기 용이하다. Ba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서비스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힘든 사용자 및 총기 관리 및 푸시, 파일 처리 등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PaaS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공되는 백앤드 모듈을 REST API나 라이브러리 CALL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지능형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NiCloud(Next Intelligent Cloud)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오픈소스 플랫폼인 PaaS-TA를 적용하여 개방형 플랫폼 확산할 수 있고,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적용으로 SaaS 서비스 간의 통합계정 연결을 통해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을 적용할 수 있다. 지능형 클라우드 업무환경 NiCloud는 ESN(Enterprise Social Network), 저장소, 웹오피스, 영상회의 등 업무의 협업·소통·공유 환경을 위한 통합모델 서비스이다. 웹표준(HTML5) 기반으로 클라우드 업무환경으로 서비스로써, PC 또는 단말기의 제약이 없이 업무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업무환경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협업 및 공유 기반의 개인 PC에 분산된 정보자원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파스-타(PaaS-TA)를 더 적용할 수 있다. PaaS는 IaaS와 SaaS의 중간인 미들웨어 성격의 클라우드 서비스로써 컨테이너 기반으로 SW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PaaS는 표준화된 HW 및 SW의 설치 및 구성을 자동화하여 신속한 개발환경·테스트가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이다. 종래의 PaaS 서비스에서 컨테이너 중심으로 서비스되는 클라우드-네이티브(Cloud-Native) 지향적인 마이크로서비스(MircroServices Architecture, 이하 MSA) 구조이다. MSA 구조는 독립적으로 작은 기능들을 결합하여 구성된다. MSA 구조로 변환하면, 개발 기간 단축 및 확장성 개선을 통해 서비스 개발의 자동화가 향상될 수 있다. MSA 구조의 서비스들은 대부분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 보다 가볍고 신속한 컨테이너(Container) 기반의 기능 구현이 적합하다. 따라서, 컨테이너 중심의 MSA 구조에 대응하는 PaaS 차원의 컨테이너 지향 SaaS 서비스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막대한 양의 음원을 수용하고 수집 및 분석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데이터들을 효율적인 방안으로 저장·관리하는 방법의 하나인 분산 파일 시스템을 더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lusterFS(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데, GlusterFS는 분산 파일 시스템의 하나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기 위해서 메타 데이터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DHT(Distributed Hash Table)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는 경우, GlusterFS에 PaaS-TA의 API Gateway에 적용하여 계정 DB에 접근·관리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NiCloud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우드 저장소 서비스, 웹 오피스 서비스, 영상회의 서비스들이 개별의 계정 DB에 접근하여 관리하는 Monolithic 구조였기 때문에, 서비스들이 개별로 접근하여 잦은 병목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하지만, MSA를 분리하여 API Gateway를 통해 다른 MSA에 제공하도록 정리하는 경우, 즉 각각을 개별 서비스로 API Gateway를 통해 통합구조로 인증·접근제어 API(NiAuth)로 변경하는 경우 이러한 현상은 사라진다. GlusterFS를 활용하여 세부 MSA가 활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MSA 간 API는 PaaS-TA에서 제공하는 API Gateway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별 서비스들을 보다 계정 DB에 접근하는 구조 등 MSA 방식에 따른 컨테이너에서 구동 최적화하여, 클라우드 친화적인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PaaS-TA에서 요구하는 클라우드 친화적인 참조모델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음원 제작 과정의 일반적인 순서로 창작곡 음원 제작이라면 작사·작곡부터 첫 단계가 시작될 것이며, 기성곡 음원제작은 편곡부터 첫 단계가 시작될 것이다. 또한 제작 과정의 상황에 따라 순서가 조정 될 수 도 있으며 믹싱과 마스터링의 순서는 획일적으로 지켜져야 하는데, 이를 나타내면 이하 표 1과 같다.
작사, 작곡->편곡->녹음->믹싱->마스터링
이때, 믹싱은 녹음한 음악, 대사, 음향 효과 등을 하나의 음대에 혼합 녹음하는 작업이고, 마스터링은, 음향에서 녹음, 믹스를 거친 다음 상용화(또는 대량 제작) 즉, CD나 카세트 테이프의 상태로 만들기 직전에 곡의 순서를 결정하거나 페이드 인(Fade-in) 아웃, 이퀄라이징이나 리버브를 사용한 마지막 손질 작업이다.작사, 작곡은 흔히 가사를 쓴다, 곡을 쓴다는 말을 한다. 이것을 작사 작업을 한다, 작곡 및 편곡 작업을 한다는 말로 작사는 노랫말을 쓰는 것을 말하며 작곡은 노래의 멜로디나 구성 등 말 그대로 곡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편곡은 작곡가가 만든 곡을 여러 악기를 이용하여 청자가 듣는 실제의 소리로 표현하는 것으로, 이미 지어 놓은 곡을 다른 형식으로 바꾸거나 화음을 재해석하여 리하모니이션(Reharmonization)을 하기도 한다. 또한, 다른 악기를 이용하여 연주 효과를 색다르게 하는 등 다양한 음악 작업들을 포함한다.
음악을 만들 때는 앨범의 프로듀서가 작사가, 작곡가, 편곡가를 섭외하거나 지휘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작곡가나 작사가 중 하나가 직접 곡의 프로듀서가 되어 나머지 파트를 섭외하고 지휘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서는 외국과 달리 작곡가가 작사와 편곡을 모두 끝내기도 한다. 작사와 작곡, 편곡의 순서는 작곡가의 성향과 음악의 장르에 따라 작업의 어느 것을 먼저 할 수도 있다. 특히, 힙합 음악에서는 편곡을 먼저 하기도 하며, 비트를 먼저 찍은 후 작사가인 래퍼가 가사를 쓰기도 한다. 녹음은 가수가 반주 위에 목소리를 녹음하는 것을 말하며 반주에 들어가는 현악기, 관악기 등의 세션 녹음도 이에 포함된다. 하드레코딩(Hard-Recording)이 발달하여 예전처럼 자기 테이프에 녹음하지 않을 수 있다. 녹음에 사용되는 많은 종류의 마이크와 마이크 프리앰프가 존재하며, 뮤지션의 선호와 사용하는 악기에 따라 각각의 장비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성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종 마이크(Microphone)와 마이크 프리앰프(Pre-Amplifier), 컴프레서(Compressor) 등을 구비하고 음향환경(Roomacoustic)도 완벽하게 갖춘 녹음실에서 녹음하는 경우에는 각 개인이 이러한 환경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내에서 녹음실 대여 중개를 진행할 수도 있다. 작사, 작곡, 편곡에서부터 녹음까지 끝난 음악은 아직 완전한 음악이 아니다. 작품자의 의도한 최적의 사운드로 완성하려면 믹싱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믹싱이라 함은 스테레오나 5.1채널 서라운드 스피커 사이의 음향 공간에 보컬과 악기의 위치와 음색, 레벨, 공간의 밸런스를 맞추는 것을 말한다. 즉 작품자의 의도를 음향으로 보다 더 확실하게 표현하는 작업으로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분야이며, 각종 음향 기술이 집약된 분야이기도 하다. 믹싱 작업이 끝난 곡은 새로 태어난 음악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작업 전후의 차이가 크며, 이 단계를 통하여 곡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편곡을 수정하기도 한다.
마스터링이라 불리는 프리마스터링(Premastering)은, 믹싱이 끝난 음악을 CD로 프레스 할 마스터(Master)로 만드는 과정으로 앨범에 실리는 곡들의 음질 보정, 곡 사이사이의 시간 조정, 레벨 조정 등의 작업을 포함한다. 여러 곡이 수록되는 정규 앨범 CD뿐 아니라 온라인 전송만을 위한 한 곡 단위의 디지털 싱글도 마스터링의 대상이 된다. 믹싱과 마찬가지로 마스터링만 담당하는 숙련된 엔지니어가 맡아야 하는 전문성이 요구되는 단계이지만 사용자의 선택으로 직접 아이조토프(iZotope)사의 오존(Ozone)과 같은 VST를 이용해 직접 마스터링을 할 수도 있다.
프로필 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프로필이 등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프로필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업로드할 수 있다. 해당 프로필은 블록체인으로 공유될 수 있다. 이때, 프로필에 경력을 더 기재하기 위해서는 합의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만약, A라는 작곡가가 자신이 하지도 않은 작곡에 대하여 자신이 하였다고 거짓문서를 꾸민 다음 이를 다른 노드가 블록을 복사 및 브로드캐스팅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노드의 51%가 이를 보유하게 한다면 블록체인 내에서 이는 진실이 된다. 따라서, DPoS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투표를 통해 증인 혹은 대표자를 선출하여 그들로 하여금 PoS 합의 알고리즘을 진행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이다. 대표자가 되고 싶은 후보자는 자신의 공개키를 네트워크에 공약과 함께 등록하고, 투표자는 지갑에 포함된 투표 권한을 통해 자신의 지분만큼 표를 받아 대표자에게 투표한다. 만약 임명받은 대표자들이 Nothing at Stake 와 같은 행위를 통해 부당 이익을 챙기고자 한다면 그 즉시 투표자들은 투표를 진행하여 새로운 대표자를 선출할 수 있다. 일반적인 PoS 합의 알고리즘을 지분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직접 민주주의라고 본다면 DPoS 는 지분 가진 사람들 중 일부 대표자를 선출하여 이루어지는 간접 민주주의라 할 수 있다. 이때, 동률을 막기 위해 홀수인 21명을 선출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빠르며, Nothing at Stake 문제를 해결했다는 장점이 있지만, 거래소와 같이 많은 지분을 보유한 곳이 투표권을 남용하여 자신들에게 유리한 대표자를 선출할 수도 있다.
또는, PBFT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선출된 하나의 리더 노드가 검증 노드를 이용하여 타당하다고 검증된 거래를 수신하여, 합의 요청을 모두에게 전파하고 2/3 표를 획득하여 블록을 생성한다. PBFT 합의 알고리즘은 일부 비정상 노드가 존재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하는 분산 시스템의 BFT 알고리즘을 발전시켜서, 비동기식 네트워크에서도 사용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PBFT에서는 전체 네트워크로 전파하여 투표하는 두 번의 브로드캐스팅 과정을 통해 더 높은 확률로 리더나 검증 노드가 이상한 노드를 보다 정확하게 제거하였다. 이미 검증된 거래를 수신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보다행하기 때문에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는, Ripple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검증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비동기 라운드 기반 프로토콜로 수집 단계, 합의 단계, 마감 단계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수집 단계에서는 검증서버가 네트워크로부터 트랜잭션을 수신하여 서명의 유효성과 관련 정보의 정확성을 검사하고 제안서를 다시 네트워크에 후보 집합으로 브로드 캐스팅한다. 합의 단계에서는 서버들이 전달받은 제안서에 대해 투표를 진행하여 합의한다. 마감 단계에서는 제안서가 80%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제안서를 후보 집합에서 제거하여 원장에 정식으로 등록되며 한 라운드가 마감된다. Ripple 합의 알고리즘은 실시간 결제 시스템을 목표로 대량의 결제를 빠르게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주로 은행간 이체 서비스를 중점으로 서비스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속도의 중심을 두어 개발하여 빠른 속도가 장점이다. 이를 통하여 각 프로필의 무결성을 지킬 수 있으며, 신뢰를 바탕으로 협업자를 찾을 수 있게 된다.
협업중개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로부터 협업 제공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협업할 협업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후에도 일정 부분의 조율이 되지 않거나 타협이 불가한 경우에는 다른 협업자로 대체할 수도 있다. 다만, 이전 협업자가 진행한만큼에 대해서는 기성고에 대한 법리를 적용하여 수수료나 비용정산을 수행한 후 협업자를 교체할 수 있다. 물론, 당사자간 협의나 별도의 계약으로 협업자를 자유롭게 교체하기로 했다면 이에 따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수료나 비용정산을 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엑세스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을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로 프로젝트 플랫폼으로의 엑세스권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음원의 발매를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프로필을 업로드하고 협업을 요청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의 협업 요청에 대응하여 작사, 작곡, 편곡, 녹음, 믹싱 및 마스터링의 협업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선택된 경우 프로젝트 플랫폼 내에서 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유통부(35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에서 음원 생산이 완료되는 경우, 음원 유통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유통부(350)는, 생산이 완료된 음원을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을 선정하고, 자켓사진 및 뮤직비디오 작업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을 선택하며,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에 의해 저작권 등록을 진행하고 방송국 심의 신청을 진행할 수 있다.
디지털 음악산업에 대한 가치사슬은 대기업군, 유통·사이트군, 전문제작사군으로 크게 구분되어지며 기획·제작에서 유통, 사이트의 전달경로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구조이다. 특히 음반 유통 과정은 많은 뮤지션들이 접근하기에 생소한 부분일 수도 있다. 불과 10여년 전만하여도 음원은 제작, 유통, 홍보는 전문 업체에 위탁하여야만 하는 일이었지만 최근 들어 음악 제작 프로그램과 컴퓨터 활용도에 대한 발달로 홈 스튜디오 및 홈 레코딩이 가능지면서 개인이 작곡과 편곡, 믹스와 마스터링까지 작업을 진행하기도 한다. 또한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공중파 방송 홍보 없이도 충분한 홍보 효과를 내는 시대가 되었다. 이때, 음반 유통은 다음 표 2와 같이 진행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그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유통사선정->자켓사진준비->뮤직비디오작업(CD 프레싱 및 발매일 결정)->저작권 등록-> 방송국 심의 신청->발매
음반 유통사(Record Label, 레코드 레이블)는 음반에 실은 노래나 연주 등을 상품으로 물품을 유통시키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를 뜻한다. 음반, 즉 앨범을 유통한다는 것은 제작한 앨범을 온/오프라인 매장에 배포하여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유통된 음악은 음원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바로 나온다. 이는 유통이 된 음원에 한정된 것으로 유통되지 않은 음원은 절대 검색이 될 수 가 없다. 핫트랙스와 같은 오프라인 매장의 음반 역시 유통된 음반이 진열장에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음반 유통을 담당하는 이러한 유통사들이 하는 일은 첫째, 온라인 음원 사이트에 mp3 포맷의 음원 및 뮤직비디오를 배포한다. 둘째, CD를 제작해 판매할 때 오프라인 매장에 유통을 대행한다. 셋째, 온라인 음원 사이트를 통한 홍보 또는 이벤트와 같은 부분을 협의하여 진행 등을 맡는다. 음반 유통사는 음원 제작 과정에서 전부 완성한 후 선정해도 되겠지만 특정 발매 일자를 정하고 있다면 약 3개월 전에 미리 유통사를 선정하여야 다른 대형 기획사나 유명 가수들의 유통 진행에 때문에 지연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한의 여유를 두어야 원하는 일정 발매와 더불어 홍보기획을 병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통까지 일원화하여 담당하고 있어서 해당 유통사에 맡기는 일은 오프라인 음원 판매로 한정될 수 있다. 다만, 유통 경로를 다원화하기 위하여 미리 협약을 맺은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500)으로 음원을 배포할 수도 있다.
이때, 음원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공통적으로 음원, 가사와 보도자료, 뮤직비디오 및 동영상, 자켓 및 아티스트 프로필 사진, 유통문서, 계약서 등이 준비되어야 한다. 특히 음원은 유통사에 음원당 320kbps규격의 MP3 파일과 44.1khz, 16bit 규격의 WAV파일, 두 개를 전달해야 한다. 또한 가사가 있는 음악이라면 가사가 적힌 DOC 또는 HWP 파일을 제출 해야 한다. 유통문서에는 아티스트 이름, 앨범 이름, 타이틀곡, 장르, 음반사 이름, 수록 곡 리스트, 작품자이름(작사, 작곡, 편곡), 음악저작권협회 가입 여부(등록자일 경우 등록번호 기재), 뮤직비디오 유무, 발매일(유통업체와 협의된 날짜) 등 음반에 대한 전반적 사항이 기재된 문서를 준비해야 한다. 이 양식은 업체마다 별도의 양식이 있으므로 해당 유통 업체의 양식에 따라 기재하여 제출할 수 있다. 계약은 유통을 의뢰하는 이와 유통업체의 계약을 말하는 것으로 음원이 유통되는 기간과 국내외 범위, 유통 수수료의 요율, 인세 등의 내용을 서로 약속하여 확인하고 이를 서면으로 남기는 것을 말한다. 아티스트 전속 계약이 아닌 음반 유통에 관한 계약서는 5장 이내로 간단한 편이며, 양식은 유통 업체 마다 다르다. CD 유통까지 병행할 경우에는 유통 업체에 입고시킬 CD의 수량까지 명시한다. 유통 업체 지불방식은 음반 및 음원을 유통시킨 후 유통일 3개월 이후의 정산 수입에서 계약서에 명시한 요율대로 유통사에 수수료를 떼어주는 방식과 유통전에 미리 유통 서비스에 대한 이용료를 지불하고 유통을 진행하는 방식이 있다.
앨범의 이미지를 결정할 자켓 작업은 온라인 음원 사이트에서 이미지가 보여지는 것으로 썸네일 또는 커버이미지라고 한다. 썸네일과 커버이미지에 따라 사이트 이용자들의 클릭 횟수를 높여줄 수 있기 때문에 뮤지션의 인지도를 상승 시킬 수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미지는 뮤지션의 사진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요즘에는 전문적으로 자켓 디자인을 하는 디자인 업체에 의뢰하기도 하며, 인물 사진보다 새로운 자켓 이미지를 제작하여 좋은 반응을 얻기도 한다. 특히 이미지를 유통사에 전달할 때는 JPG 등의 고화질 이미지 파일로 전달해야 하는데 사이즈는 가로 2400pixel, 세로2400pixel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CD 유통을 함께 한다면 CD 제작 포맷에 맞는 자켓 작업을 해야 하며, 음원만 유통한다면 온라인상에 노출할 썸네일만 제작하면 된다.
뮤직비디오 작업은 필수 사항이 아니기에 제작 선택 여부에 따라 이 과정 또한 유무(有無)가 달라진다. 뮤직비디오 제작은 예산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에 비용적 문제에 대한 고려가 따르지만 자체 제작을 하거나 저비용 제작도 가능하다. 또한 뮤직비디오 제작을 한다면 홍보 효과에 큰 차이가 있으며,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와 같은 소셜미디어를 통한 홍보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저작권법은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사, 작곡가 등 저작자 보로 실연자, 음반제작자 등 저작인접권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문제와 비영리목적의 공연방송, 사적 복제 등 자유롭게 음악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는 공정이용에 관한 문제를 규정하고 있다. 음악 역시 저작자의 저작물로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이다. 광의의 저작권은 저작권과 저작인접권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음원 저작권이란 작사, 작곡, 편곡 작업의 전부 혹은 일부를 수행한 작품자로서 행사하는 재산권을 뜻하며, 이 재산권 행사에 관한 업무를 대행해 주는 곳이 (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Korea Music Copyright Association, KOMCA)이다.
저작권 수익의 징수와 분배 구조의 예를 들어 경기장의 응원가와 백화점에서 재생하는 음악들은 재생 횟수와 사용에 관해 (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신고를 해야 한다. 그러면 (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경기장 관련자에게 사용료를 징수한다. (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그렇게 징수한 사용료 중 수수료를 제하고 나머지 금액을 매월 해당 음악 작품자에게 입금된다. 물론 (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앨범을 만들어 내놓는 모든 사람의 저작권을 관리하지는 않는다. 오직 (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가입하여 작품을 신탁한 회원의 작품만 관리한다. 작품자들은 개인이 직접 저작권을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가입하여 자신의 작품을 신탁한다. 지금은 복수의 음악 저작권 단체 설립이 가능해져 자신의 저작권을 (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뿐만 아니라 (사)함께하는 음악저작인협회 등 앞으로 새롭게 설립될 다른 저작권 관리 단체에도 위탁할 수도 있다.
마지막 단계는 방송국 심의 신청 과정이다. 가수들은 앨범을 내면 방송활동을 시작한다. 이에 반해 인디뮤지션이나 연주뮤지션은 방송활동이 활발하지 못한 편으로 대비되기도 한다. 방송국 심의 신청은 방송사별로 심의 규정이 있으며, 그 심의를 통과한 음반만 TV방송과 라디오 방송으로 나올 수 있다. 그러므로 음원 발매 예정일에 앞서 몇 주(약 2주) 전에 각 방송국에 심의 신청을 해야 심의에서 통과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수정을 할 수 있으며, 수정 후에도 다시 재심의를 받아야 하기에 음원 발매일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통 심의의 기준은 노래 가사에 집중되며, 뮤직비디오의 경우에는 뮤직비디오 내용도 심의 기준이 된다. 음원과 뮤직비디오의 심의 기준은 개별적인 것으로 음원은 통과되었으나 뮤직비디오가 너무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영상을 담고 있으며 통과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작 기획부터 심의 규정을 고려하여 제작해야 하며, 심의에 통과하지 못한 경우에는 재편집을 해야 한다. 심의를 요청하는 방송하는 공중파 3사 및 CBS 등이 있으며, 특히 KBS는 해당 방송국에서 신청하지 않고한국음반산업협회에서 신청을 해야 하며 특히 방문 전에 협회 홈페이지 회원가입을 먼저 해야 한다. 심의 신청 방법은 디지털 음원 혹은 CD 발매 앨범, 그리고 뮤직비디오의 유무에 따라 다르다. 디지털 음원의 경우에는 따로 CD를 제작하지 않기 때문에 공CD를 구입하여 직접 구운 후 제출해야 한다. 따라서 심의 신청시 준비사항은 출시한 음악 CD 혹은 디지털 음원이 담긴 CD, 가사 CD, 가사 인쇄물(영어 가사의 경우 번역본 준비) 등을 구비하여 신청할 수 있다.
수익분배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과 협약을 진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과 수익분배가 결정되는 경우 결정된 수익분배에 따라 저작권 분배를 진행할 수 있다. 정산은 보통 음원 유통 개시 3월 후부터 하며, 정산 시점에 유통사는 음원 계약 권리자에게 이메일로 정산자료를 보내준다. 이 정산 자료를 토대로 사업자등록을 한 본 발명의 서버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유통사는 세금계산서를 받고 난 후 입금한다.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개인에게는 일정 유통 수수료와 퍼센트와 원천세 3.3%를 제외하고 입금한다. 별도의 세금계산서 발급 절차는 없으며, 판매대금의 누적 금액이 10만원 이하일 때 다음 달로 이월하고 누적 금액이 10만원 이상이 되면 정산하는 조건의 유통계약도 있다. 과거에는 앨범을 유통하려면 반드시 사업자등록을 해야 했지만 요즘은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개인도 얼마든지 앨범을 유통할 수 있다. 사실 매월 다양한 앨범을 출시해야 하는 음반사가 아닌 이상 자신의 음월을 가끔씩 유통하는 것과 같은 단발성 유통은 개인으로 계약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사업자등록을 한 사업자는 세금계산서 발행을 해야 하고, 개인은 원천징수로 지급받을 판매대금에서 미리 원천세 3.3%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받으므로 추후에 따로 세금을 낼 필요가 없다.
개인으로 유통사와 계약할 때 기본적으로 기획사 이름이 계약자의 본명으로 표기해야 하며, 자신의 본명이 기획사 이름으로 노출되는 것을 꺼린다면 적당한 기획사 이름을 정하여 유통사에 전달해야 한다. 수기(手記) 세금계산서는 원본 수령을 원칙으로 하며, 세금계산서 미발행으로 별다른 조치가 취하지 않은 경우 정산금액이 다음 달로 이월되기도 한다. 또 음원과 음반을 따로 정산해 세금계산서를 각각 발행해야 하는 유통사도 있다. 아이튠즈 등 국외까지 유통을 한 경우라면 환율적용이 매월 달라지므로 면밀히 확인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여기서, 수익분배부(360)는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코드로서 미리 부여한 조건의 성취에 따라 블록체인에 담긴 자산에 대하여 계약이 자동으로 이행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스로 이행이 되는 자동화된 약정(Automated self-enforced agreements)으로 계약의 성립과 이행이라는 두 과정을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하나로 합친 개념이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기술적 개념은 거래기록이 분산되어 저장되고 탈중앙화하여 공유되며, 복제된 원장이 작동 및 보관됨과 동시에 다시 그 원장에 자산의 이전을 지시하는 사건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일종(event-driven program)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법적으로 ① 2 명 이상의 당사자가 있어야 하고, ② 일방 당사자로부터 다른 당사자로의 자산이전과 관련되고, ③ 그 이행(implementation)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일단 계약이 개시(initiated)된 이후에는 인간의 개입이 요구되지 않는 계약개념이다. 이러한 면에서 살펴보면 계약법적 요소로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알고리즘 계약의 일종인데, 알고리즘 계약에서는 일방 당사자 또는 쌍방 모두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약의 체결 여부 및 조건을 결정하기로 약속한다. 그러나 스마트계약은 탈중앙화된 자율조직의 일종인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알고리즘 계약과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 스마트 컨트랙트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당사자의 신뢰를 중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약의 가장 큰 약점이라 할 수 있는 계약의 불이행 문제가 상대방의 신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래밍된 조건의 성취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소위 조건부 계약(conditional nature)의 일종이다. 따라서 스마트 컨트랙트에서는 조건 성취 여부를 해석, 판단, 평가하는 것이 법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고, 조건의 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당사자)가 설정 또는 합의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①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② 코드 서명, ③ 블록체인 저장, ④ 거래실행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그 결과는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체인으로 연결된 블록(Block)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모든 참여자가 거래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거래내역과 계약내용은 추가나 변경 없이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에 상호 독립적으로 보관된다. 여기서 참여자들은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갑 주소(Wallet address)를 블록체인과 연동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서명을 하게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은 계약의 수행을 네트워크상에서 실행하거나 입증이 쉽고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 프로토콜(Protocol)이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추적이 가능하지만, 거래기록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변경할 수 없는 불가역성을 가진다. 이때, 튜링-완전(Turing-completeness), 가치 인지능력(value-awareness), 블록체인 인지능력(blockchain-awareness), 상태(state) 개념 등이 포함된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력관리부(37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에서 음원의 생산을 완료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의 이력 로그에 생산이 완료된 음원의 히스토리를 추가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이력관리부(370)는, 생산이 완료된 음원의 판매수 및 인기도를 모니터링하여 이력 로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직접 유통을 담당하게 되므로, 스트리밍되거나 다운로드되는 음원들의 조회율, 스트리밍률, 다운로드율, 또는 공유율을 카운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시스템에 등록된 음원과, 이용되는 음원을 비교하여, 조회 또는 공유되지 않았거나 조회율 또는 공유율이 낮은 음원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음원을 적어도 하나의 매체나 채널을 통하여 업로드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조회율은, 조회수, 조회주기 및 조회빈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고, 공유율은, 공유횟수, 공유주기, 및 공유빈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기가요 차트 100을 보면, 차트에 안착한 곡들만 계속하여 순환하여 재생된다. 고객들은 바빠서 신곡을 일일이 들어보고 플레이리스트를 구성하지 않는다. 고객은 탑 100 플레이리스트에 있는 곡이면 좋은 곡이라고 생각하고 이를 순환시켜 플레이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재생수가 증가되고, 증가된 재생수는 다시 인기도에 영향을 미쳐서 탑 100 내에서 빠져나가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되어, 신곡이 진입할 수 있는 환경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키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기있는 음원들만 계속하여 공유시키지 않고, 노출수가 적거나, 공유수가 적거나 구매율이 낮은 작품을 선별하고, 이를 노출수를 증가시키거나, 매체를 변경하거나, 변형하는 포맷을 달리하여 지속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우연에 의해 음원의 노출수가 높아지는 경우를 고려하더라도, 인기 음원만 계속하여 공유되고, 나머지는 시장에 진입하기도 전에 도태되기 때문에 하나의 종류의 음원만이 공유되고 작품 생태계가 획일화되는 상황을 방지하도록 상술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생태학적 다양성의 내용은 크게 종의 종류(variety), 균형(balance), 차이(disparity)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데, 생태계 내 종들의 구성과 분포의 차이가 만들어 내는 자기조직화된 진화와 재생산의 구조를 탐색하는 것이 생태학 내의 다양성 개념과 연결된다. 미디어 다양성으로 시선을 돌려 종의 다양성과 연관된 논의를 살펴보면, 대개 지배적인 시장 행위자들이 만들어 내는 콘텐츠의 편향성을 다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다양성은 종종 지배(dominance)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데, 집중된 매체 소유 구조 및 시장 지배적 매체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의미로서의 다양성을 의미한다. 그러나 미디어 다양성이 행위자 다양성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미디어 다양성은, 미디어의 소유권으로 인한 프로그램이나 채널의 다양성을 의미하는 원천 다양성(source diversity), 그리고 프로그램 장르나 타입, 프로그램 내용과 관련되어 프로그램에 출연한 사람의 인구 사회학적인 구성, 이념이나 생각 등과 관련된 콘텐츠 다양성(content diversity), 그리고 수용자에게 콘텐츠가 전달되는 과정과 관련된 노출 다양성(exposure diversity)으로 미디어 다양성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내에서 알고리즘에 의한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생각해 보면, 원천 다양성은 알고리즘이 분류해야 할 콘텐츠 자체 원천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용자들이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에 따라 알고리즘은 소비자들의 프로파일링을 만들어 내는데, 콘텐츠가 다양할수록 이용자들이 어떠한 정보 콘텐츠에 관심 있어 하는지에 대한 세부적인 맞춤화 분류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동일한 콘텐츠라도 그 안에서 이데올로기적인 방향이라든가 구체적인 선호도에 대한 선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이용자에게 콘텐츠가 맞춤형으로 노출될 때에는 세 가지 층위 모두가 서로 얽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노출수가 적은 작품을 더 많이 노출시키는 것 이외에도, 작품 자체를 층위의 분류 체계로 분류함으로써, 어떠한 매체에 어느 정도 노출을 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저작권보호부(380)는, 생산이 완료된 음원 내에 기 저장된 시그니처 사운드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브랜드 네임이 A라고 하면, 전주 앞부분이나 중간 또는 끝부분에 A를 음성으로 발화하거나, 주파수를 다르게 한 사운드를 넣거나 하는 등으로 넣는 방식이다. 만약, 무단 복제를 하는 경우에 시그니처 사운드가 없어지도록 DRM을 구성한다면 무단 복제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시그니처 사운드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블록체인의 블록은 헤더와 트랜잭션(Transaction)데이터로 구분된다. 트랜잭션에는 현재 블록의 생성을 위한 모든 변경 내역을 저장하며, 블록 헤더에는 이전 블록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그 결과를 포함시킨다. 이전 블록의 데이터 암호화 과정에서 수행하는 해쉬연산은 단방향 연산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암호화 결과의 역산을 통해 이전 블록의 데이터를 복호화 하는 것이 어렵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블록체인의 모든 참여자(노드)들은 모두 같은 블록 데이터를 공유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무결성에 대한 보장이 가능하며, 일부 특정 노드나 블록체인 관리자에 의해 무단으로 데이터의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블록체인의 특징을 활용하여, 음원의 특징을 추출한 오디오 시그니쳐가 블록체인 블록의 트랜잭션 데이터로 포함되어 있다면, 추후 생성될 블록들과의 비교를 통해 특정 음원의 저작권에 대하여 검증이 가능하다.
이때, P2SH(Pay to Script Hash)와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가 이용된다. 비트코인 상의 거래는 트랜잭션에 작성된 스크립트(Script)의 실행을 통해 이루어진다. 스크립트는 잠금 스크립트(Locking script)와 해제 스크립트(Unlocking script)로 구분할 수 있다. 잠금 스크립트는 거래를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요건들이 작성된 스크립트로써, 거래 대상자의 정보, 실제 진행되어야 하는 거래의 내용 등이 작성되어 있다. 잠금 스크립트에 작성된 거래 조건을 확인하여 실제 거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잠금 스크립트에서 요구하는 알맞은 값을 해제 스크립트에서 제시하여 해당 거래의 소유자인지를 검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잠금 스크립트에는 거래 대상자의 공개키(Public Key)를 활용하기 때문에, 거래를 위해서는 개인키(Private Key)를 활용한 해제 스크립트를 제시하여 상호 검증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거래에참여한 대상자가 여럿인 경우, 각 참여자의 공개키를 모두 포함하는 잠금 스크립트를 작성해야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2SH에서는 먼저 각 참여자의 공개키들을 모아 하나의 교환 스크립트(Redeem Script)로 생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교환 스크립트에 해시 과정을 거쳐20bytes 고정크기의 잠금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잠금 스크립트는 거래 참여자의 공개키를 모두 나열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훨씬 효율적인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P2SH에서의 방법을 활용하여 20bytes의 축소된 오디오 시그니쳐 값을 얻을 수 있다. 축소된 오디오 시그니쳐는 블록 트랜잭션 데이터로 포함시키기에 충분한 크기를 만족한다. 이를 활용하면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만의 비교를 통해 단순한 형태의 음원 저작권 검증은 가능하다. 다만, 원본 음원 파일이나 오디오 시그니쳐에 대한 요청 등을 통한 비교 검증이 어렵기 때문에 음원 저작권의 검증에 필요한 저장 방법이라 할 수 없다. 음원 및 음원의 오디오 시그니쳐와 같은 원본 파일들에 대한 저장을 위해 분산파일시스템(IPFS)을 이용한다.
IPFS는 Torrent로 대표되는 P2P기반의 분산파일저장 방법으로써, 하나의 파일을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관리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IPFS는 먼저 원본데이터 파일의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일련의 암호화 과정을 거친다. 이후 암호화된 파일은 보다 작은 크기의 여러 개의 샤드(Shard)로 분할하고, IPFS에 연결된 여러 노드들에 분산되어 저장된다. 여러 노드에 분산 저장된 데이터들은 DHT(Distributed Hash Table)라는 구조를 통해 관리된다. 분할된 노드들은 각각 키(Key)와 대응값(Value) 쌍의 구조를 지니며, 각 노드를 구별할 수 있는 고유의 해시 값을 키로 나타낸다. 대응값에는 해당 노드가 저장된 위치나 자신과 관련이 있는 노드의 정보가 담겨있다. 예를 들어, 70MB크기의 파일을 IPFS를 사용하여 3개의 노드로 분할하는 경우, 분할된 노드들은 DHT를 통해 관리되기 때문에 각각 키와 대응값을 갖는다. 각 노드들은 원본 파일의 해시 값(9627)에 특정 문자나 숫자를 추가하여(A9627, B9627, C9627) 키로 사용한다. 이는 분할된 각 노드들이 9627의 해시 값을 갖는 원본파일로부터 분할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할된 각 노드들은 대응값으로 자신이 저장된 저장소의 위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원본 파일로의 통합이나 관리가 가능하다
이 두 가지의 방법을 이용하면, 블록체인과 분산저장시스템을 활용한 음원 및 오디오 시그니쳐(사운드 시그니처) 저장 방법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P2SH에서 교환 스크립트의 크기를 20bytes의 고정 크기로 축소시킨 해시 함수를 추출한 오디오 시그니쳐와 원본 음원 파일에 적용한다. 생성된 오디오 시그니쳐와 음원 파일의 20bytes 해시 값을 블록 트랜잭션 데이터에 추가하여 블록체인에 포함시킨다. 이때, 해시되기 이전의 오디오 시그니쳐와 음원 파일은 IPFS를 활용하여 별도의 노드로 분할하여 관리한다. IPFS의 노드들은 DHT구조를 통해 관리되기 때문에, 블록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시그니쳐의 해시 값과 음원 파일의 해시 값을 참조하여 IPFS에 분산 저장된 원본 데이터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추출한 오디오 시그니쳐와 원본 음원 파일에 해시함수를 적용하여 각각 20bytes 크기의 해시 값(2FB9C7AA,C74DFA2B)을 추출한다. 이렇게 얻은 해시 값은 블록 트랙잭션 데이터에 추가되어 블록체인에 포함시킨다. 오디오 시그니쳐 파일과 원본 음원 파일은 IPFS를 통해 여러 노드로 분할하여 관리한다. 이때, 블록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시킨 각각의 해시 값(2FB9C7AA, C74DFA2B)에 특정 문자나 숫자를 포함시켜 분할된 각 노드의 키값으로 구성한다.
오디오 시그니쳐 노드의 경우 예를 들어, 각각 a2FB9C7AA, b2FB9C7AA, c2FB9C7AA의 해시 값을 키로 갖고, 음원 파일의 노드의 경우 aC74DFA2B, bC74DFA2B, cC74DFA2B의 해시 값을 키로 갖는다. 이를 통해 추후 오디오 시그니쳐 파일이나 원본 음원 파일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블록체인 데이터에는 오디오 시그니쳐를 비롯한 음원의 해쉬 값이 직접적으로 포함된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탐색을 통해 트랜잭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음원에 대한 저작권 검증이 가능하다. 나아가 P2SH에서 교환 스크립트 작성에 활용한 해시 방법을 적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축소시켜 블록 내 포함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호평가부(39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에서 음원의 생산이 완료된 후, 상호간 평점 및 리뷰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의 평점 및 리뷰로 업데이트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가수가, B 작곡가, C 작사가, D 엔지니어, E 뮤직비디오 감독과 음원 제작을 했다면, A,B,C,D,E가 서로를 상호 간에 평가하는 것이다. 이렇게 평가되는 리뷰나 평점은 초기에는 소수의 의견으로 편중될 수 있겠지만, 충분히 많은 데이터가 쌓인 경우에는 큰 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에 의해 평균적인 의견에 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평판을 중시하는 각 개인의 최선의 협조를 이루어낼 수 있으며, 상호간 서로를 모르는 상태에서 시작하더라도, 대기업이 아닐지라도, 개인이라서, 유명 가수가 아니라서 또는 보수가 적어서 엉망으로 일을 진행할지도 모른다는 리스크를 감수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 및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경력, 이력, 참여 음원 등의 프로필을 등록받아 인재풀(Pool)을 구성한다. 그리고, (b) MR 시장에서 각 소비자와 사용자 및 협업자가 자유롭게 MR을 구매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장르별, BPM별, 무드별, 트랙타입별 등의 필터를 둘 수 있다. 그리고, 차트도 판매순, 인기순, 최신순 등으로 정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각 음원이나 인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c)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와 적어도 하나의 협업자를 중개할 수 있다. 이때, 각 협업자가 선택이 되어 멤버 셋업이 완료된 후에는 진행 단계별로 기한을 두고 진행함으로써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특히, 예술가 직군의 경우 기한을 두지 않고 진행할 경우 마감에 맞추지 못하고 심지어는 각 협업자들이 잠적해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에 따라, 각 진행률을 표시하고 현재 단계에서 어떠한 협업자가 작업을 하고 있는지, 마감은 언제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총 감독이나 관리자가 없을지라도 일정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d)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모두 완성이 된 후에는 유통 과정을 거치면서 음원의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수를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다운로드나 스트리밍이 되지 않는 음원에 대한 홍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4는 사용자 단말(100)이나 협업 단말(400)에서 본 발명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한 페이지에 접속한 후, 프로젝트 플랫폼을 클릭하면 볼 수 있는 사이트 메뉴 구조이다. 프로필에서는 자신의 이력이나 경력 등을 업로드할 수 있고, 업로드 메뉴에서는 각 협업자들의 진행 상태나 입력 방법 등이 메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수익도 투명하게 어떻게 정산이 되어가고 있는지 등을 알 수 있도록 하며, 메신저를 통하여 협업자와 사용자 간의 소통채널을 마련할 수도 있고, 작업물의 경우 새 프로젝트와 현재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 또 표시는 되지 않았지만 이미 완성된 프로젝트로 나누어 사용자에게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피드(Feed)나 검색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인적 네트워크로 묶인 타인의 피드를 보거나 검색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프로젝트 플랫폼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의 협업 콘텐츠가 업로드한다(S5100). 그리고,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프로필이 등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프로필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업로드하고(S5200),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로부터 협업 제공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S5300).
또한,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을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로 프로젝트 플랫폼으로의 엑세스권을 제공하고(S5400),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에서 음원 생산이 완료되는 경우, 음원 유통을 진행한다(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음원의 발매를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프로필을 업로드하고 협업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100);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협업 요청에 대응하여 작사, 작곡, 편곡, 녹음, 믹싱 및 마스터링의 협업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선택된 경우 프로젝트 플랫폼 내에서 협업을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 및
    상기 프로젝트 플랫폼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의 협업 콘텐츠가 업로드되도록 하는 프로젝트 관리부(310),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프로필이 등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프로필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업로드하는 프로필 제공부(3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로부터 협업 제공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하는 협업중개부(330),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로 상기 프로젝트 플랫폼으로의 엑세스권을 제공하는 엑세스 관리부(340),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에서 음원 생산이 완료되는 경우, 음원 유통을 진행하는 유통부(350)를 포함하는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310)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엑세스하며,
    상기 프로필 제공부(320)는, 상기 프로필을 블록체인으로 공유하고,
    상기 유통부(350)는, 상기 생산이 완료된 음원을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을 선정하고, 자켓사진 및 뮤직비디오 작업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을 선택하며,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에 의해 저작권 등록을 진행하고 방송국 심의 신청을 진행하며,
    상기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과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협약을 진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과 수익분배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결정된 수익분배에 따라 저작권 분배를 진행하는 수익분배부(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에서 상기 음원의 생산을 완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의 이력 로그에 상기 생산이 완료된 음원의 히스토리를 추가하여 업데이트하는 이력관리부(3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력관리부(370)는, 상기 생산이 완료된 음원의 판매수 및 인기도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력 로그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생산이 완료된 음원 내에 기 저장된 시그니처 사운드 콘텐츠를 추가하는 저작권보호부(3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에서 상기 음원의 생산이 완료된 후, 상호간 평점 및 리뷰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의 평점 및 리뷰로 업데이트하여 출력하는 상호평가부(39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3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업 단말(400)에서 기 설정된 음원 생산 단계 및 기한(Due Date)에 대응하여 진행률을 퍼센테이지로 출력하고, 상기 기한 전 상기 음원 생산 단계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담당자인 협업 단말(400)로 기한 리마인더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47304A 2020-04-20 2020-04-20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91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304A KR102191895B1 (ko) 2020-04-20 2020-04-20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304A KR102191895B1 (ko) 2020-04-20 2020-04-20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895B1 true KR102191895B1 (ko) 2020-12-16

Family

ID=7404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304A KR102191895B1 (ko) 2020-04-20 2020-04-20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89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7282B2 (en) * 2018-08-20 2022-01-18 Probloch LLC Time-bounded activity chains with multiple authenticated agent participation bound by distributed single-source-of-truth networks that can enforce automated value transfer
KR20220040401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에스엠알씨 딥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음원 자동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131127A (ko) 2021-03-19 2022-09-27 주식회사 젤리펀치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KR102457917B1 (ko) * 2022-04-01 2022-10-24 주식회사 사운드정글 프로듀서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24660B1 (ko) 2022-07-08 2023-04-25 이진기 Nft 기반의 작품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17678A (ko) 2022-08-01 2024-02-08 최지영 아티스트 프로젝트 매칭시스템
KR102661557B1 (ko) 2024-01-23 2024-04-25 이상훈 인공지능 모델 기반 아티스트 매칭 방법 및 장치
KR20240113321A (ko) 2023-01-13 2024-07-22 권혁찬 해외 업체와의 협업을 위한 아웃소싱 협업 중개 서비스 및 유통 단일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700884B1 (ko) 2024-05-20 2024-08-30 주식회사 라인엠컴퍼니 인공지능 모델 기반 음원 채널 별 유통 및 마케팅 자동화를 통한 음원 콘텐츠 엑셀러레이팅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121A (ko) * 2012-07-17 2014-01-28 문봉진 음원 편곡 서비스 방법 및 음원 편곡 서비스 시스템
KR20180025084A (ko) * 2016-08-31 2018-03-08 송기백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KR101845417B1 (ko) * 2018-01-08 2018-04-04 남찬우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121A (ko) * 2012-07-17 2014-01-28 문봉진 음원 편곡 서비스 방법 및 음원 편곡 서비스 시스템
KR20180025084A (ko) * 2016-08-31 2018-03-08 송기백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KR101845417B1 (ko) * 2018-01-08 2018-04-04 남찬우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권 업무 관리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7282B2 (en) * 2018-08-20 2022-01-18 Probloch LLC Time-bounded activity chains with multiple authenticated agent participation bound by distributed single-source-of-truth networks that can enforce automated value transfer
KR20220040401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에스엠알씨 딥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음원 자동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131127A (ko) 2021-03-19 2022-09-27 주식회사 젤리펀치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KR102457917B1 (ko) * 2022-04-01 2022-10-24 주식회사 사운드정글 프로듀서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191444A1 (ko) * 2022-04-01 2023-10-05 주식회사 사운드정글 프로듀서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24660B1 (ko) 2022-07-08 2023-04-25 이진기 Nft 기반의 작품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17678A (ko) 2022-08-01 2024-02-08 최지영 아티스트 프로젝트 매칭시스템
KR20240113321A (ko) 2023-01-13 2024-07-22 권혁찬 해외 업체와의 협업을 위한 아웃소싱 협업 중개 서비스 및 유통 단일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61557B1 (ko) 2024-01-23 2024-04-25 이상훈 인공지능 모델 기반 아티스트 매칭 방법 및 장치
KR102700884B1 (ko) 2024-05-20 2024-08-30 주식회사 라인엠컴퍼니 인공지능 모델 기반 음원 채널 별 유통 및 마케팅 자동화를 통한 음원 콘텐츠 엑셀러레이팅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895B1 (ko)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256788B2 (en) Tokenized media content management
US11853404B2 (en) Tokenized media content management
US120458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marketplace for creative works
US11983253B2 (en) Non-fungible token (NFT) content identifier with split tracking
US20190155997A1 (en) Content licensing platform, system, and method
US8611563B2 (en) Method, a system and an apparatus for delivering media layers
US201201977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US11687628B2 (en) Non-fungible token (NFT) authenticity protocol with fraud deterrent
US20150066780A1 (en) Developing Music and Media
JP2010530090A (ja) 動的混合メディア・パッケージ
US12008086B2 (en) Media composition using non-fungible token (NFT) configurable pieces
US20180308078A1 (en) Methods for Online Collaboration
US11604858B2 (en) Media content management
Yahya et al. Music royalty payment schem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am Music copyright management on blockchain: Advantages and challenges
US202300751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from creation to consumption
Pons Blockchains and smart contracts in the culture and entertainment business
Gidron et al. Beyond the Hype of Blockchain–A Scenario-Based Analysis of the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Music Industry
Nicolaus The Platformization of the Music Industry-A Case Study of Bandcamp
Rennie et al. New economic infrastructures for creative work
US20240202721A1 (en) Method and platform for creating non-fungible tokens with built-in terms
Fouché Crafting the commons: modern approaches to music as product
Rivera Infinite Setlist: Analyzing Pioneer DJ's Catalogue Streaming Partnerships with Beatport and Soundcloud
Koçer Paradigm shift in the music industry: Adapt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and its transformative eff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