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084A -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 Google Patents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084A
KR20180025084A KR1020160144960A KR20160144960A KR20180025084A KR 20180025084 A KR20180025084 A KR 20180025084A KR 1020160144960 A KR1020160144960 A KR 1020160144960A KR 20160144960 A KR20160144960 A KR 20160144960A KR 20180025084 A KR20180025084 A KR 20180025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nd
user terminal
song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백
송형준
Original Assignee
송기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백 filed Critical 송기백
Publication of KR20180025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04M1/725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음원을 수신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제 1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음원을 수신하여, 제 1 음원 및 제 2 음원을 병합함으로써, MR 음원을 완성하고, 또 다른 사용자 단말이 MR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MR제작 단계; 또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컬 사운드를 포함하는 제 3 음원을 수신하여 MR 음원과 제 3 음원을 병합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MR 음원과 제 3 음원이 병합된 상태의 제 3 음원을 수신함으로써 노래 음원을 확정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노래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노래 음원 제작 단계; 및 병합된 음원에 대응하는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음원, 제 2 음원 및 제 3 음원은 하나 이상의 마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METHOD FOR MAKING SOUND SOURCE BY UNSPECIFIED OF SOUND SOURCE PROVIDING SERVER, SERVER FOR SOUND SOURCE PROVIDING AND DEVICE FOR SOUND SOURCE MAKING}
본 발명은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음악을 제작하기 위하여, 작곡자, 편곡자, 연주가 및 가수 등의 여러 사람의 참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작곡자가 음악을 작곡을 하면, 편곡자가 해당 음악을 편곡한다. 그리고 여러 악기 연주가들이 작곡된 음악을 연주하여 세션 음원을 생성한다. 작사가가 해당 음악에 어울리는 가사를 작사하면, 가수는 작곡된 음원에 가사를 더한 보컬 음원을 생성한다. 최종적으로 작곡자는 세션 음원 및 보컬 음원 등을 병합하여, 완성된 음원을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음악을 제작하는 것에는 작곡자, 편곡자, 세션 연주가 및 가수 등의 다수의 사람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하나의 완성된 음원을 제작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된다. 그러나 작곡자가 자신이 작곡한 음악을 완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더라도, 완성된 음악을 알리기는 쉽지 않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1866호(발명의 명칭: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는 고객의 음악 콘텐츠 제작 요청에 따라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이 음악 콘텐츠를 제작하여,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아티스트 및 복수의 일반 사용자의 공동 음악 작업을 통하여 음원을 제작하고 제작된 음원을 복수의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음원 제공 서버의 음원 제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음원을 수신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제 1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음원을 수신하여, 제 1 음원 및 제 2 음원을 병합함으로써, MR 음원을 완성하고, 또 다른 사용자 단말이 MR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MR 제작 단계; 또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컬 사운드를 포함하는 제 3 음원을 수신하여 MR 음원과 제 3 음원을 병합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MR 음원과 제 3 음원이 병합된 상태의 제 3 음원을 수신함으로써 노래 음원을 확정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노래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노래 음원 제작 단계; 및 병합된 음원에 대응하는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음원, 제 2 음원 및 제 3 음원은 하나 이상의 마디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음원 제공 서버는 통신 모듈, 음원 제작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음원을 수신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제 1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음원을 수신하여, 제 1 음원 및 제 2 음원을 병합함으로써, MR 음원을 완성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MR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컬 사운드를 포함하는 제 3 음원을 수신하여 MR 음원과 제 3 음원을 병합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MR 음원과 제 3 음원이 병합된 상태의 제 3 음원을 수신함으로써 노래 음원을 확정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노래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병합된 음원에 대응하는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이때, 제 1 음원, 제 2 음원 및 제 3 음원은 하나 이상의 마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아티스트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의 공동 작업을 통한 협업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한 음악을 제작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협업으로 타 장르 간의 크로스오버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아티스트 사용자 및 일반 사용자 간의 협업을 통하여, 음원이 진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음악 제작 과정에서의 비용 및 시간 절약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속적인 대중의 관심을 이끌 수 있으므로 음악을 통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서버의 음원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성 마디 및 미완성 마디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음원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버전의 노래 음원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곡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곡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렉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추천(recommendation)은 특정 사용자가 특정 음원에 대하여 지지 의사 표시를 하는 것으로서 여러 번 가능하다. 또한, 투표(voting)는 특정 사용자가 특정 음원에 대하여 지지 의사 표시를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별로 한 번만 가능하다. 이때, 추천은 단일 사용자가 여러 번 수행할 수 있으며, 투표는 단일 사용자가 한번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음원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전달한 음원을 타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이때, 음원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20), 음원 제공 서버(11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20)은 음원을 생성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음원을 서비스 받을 수 있다.
이때, 음원을 생성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에 전달한 사용자는 아티스트(artist)일수 있다. 여기서 아티스트는 작곡자, 편곡자 및 악기의 연주자와 같이 하나의 음원을 완성하는 데에 있어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사용자를 일컫는다. 또한, 아티스트는 음원에 대응하는 가사를 작성하는 작사가 또는 음원에 대응하는 노래를 부르는 가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음원 제공 서버(110)로부터 음원을 서비스받는 사용자는 일반 사용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은 복수의 프로 음악가의 공동 작업을 통하여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아티스트는 해당 음원을 제작하는데 참여한 복수의 프로 음악가가 될 수도 있으며, 일반 사용자는 해당 음원을 서비스 받는 사용자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음원은 스포츠 구단 또는 스포츠 선수의 팬이 제작한 응원가 일 수 있다. 이때, 아티스트 및 일반 사용자는 해당 응원가 제작에 참여한 팬이 될 수 있다. 기존의 스포츠 구단 응원가의 경우, 구단에서 직접 전문 음악가를 고용하여 제작하는 형태인데, 위와 같이 팬들에 의해 응원가를 제작하도록 할 경우, 작곡이나 작사에 참여한 팬들의 애착심을 높일 수도 있으며, 다양한 응원가를 제작하도록 하여 팬들로 하여금 더 향상된 재미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중 아티스트인 사용자 단말(120)을 아티스트 단말(130)이라 명명하며, 일반 사용자 단말(140)을 사용자 단말(120)이라 명명한다. 이때, 아티스트 및 일반 사용자와 아티스트 단말(130) 및 사용자 단말(120)는 편의상으로 구분한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단말이더라도 음원 제공 서버(110)에 음원을 전달하면 누구든지 아티스트 단말(130)이 될 수 있으며, 음원을 제공 받으면 사용자 단말(120)이 될 수 있다.
또한, 아티스트 단말(130)은 아티스트가 보유한 단말이거나, 음원 제공 시스템(100)과 연계된 스튜디오에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스튜디오는 작곡 시설, 녹음 시설 및 악기 등을 보유하며, 아티스트가 음원을 생성하고 음원 제공 서버(11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아티스트 단말(130)을 통하여 전달된 음원을 저장한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아티스트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음원에 기초하여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할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 음원에 대응하는 파일을 제공한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티스트 또는 사용자는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음원을 선택하고 제공 받거나 음원을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서버(110)의 음원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음원 제공 서버(110)는 아티스트 단말(130)로부터 제 1 음원을 수신한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다른 아티스트 단말이 제 1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S200). 이때, 음원은 복수의 마디를 포함한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다른 아티스트 단말로부터 제 1 음원과 상이한 제 2 음원을 수신한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 및 제 2 음원을 병합한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다른 아티스트 단말 및 일반 사용자 단말(140)이 병합된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S210).
음원 제공 서버(110)는 병합된 음원에 대하여 다른 아티스트 단말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추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음원에 대응하는 추천 정보에 따라, 병합된 음원에 대응하는 파일을 생성한다(S220).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파일이 복수의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생성된 파일을 제공한다(S230).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의 음원 제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작곡 단계>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은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을 이용하여 제 1 음원을 작곡할 수 있다. 또는,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은 제 1 아티스트 단말(300)과 연결된 악기를 통하여 제 1 음원을 작곡한 후 제 1 아티스티 단말을 통하여 레코딩할 수 있다. 또는,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은 제 1 아티스트 단말(300) 또는 다른 단말에 탑재된 작곡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 1 음원을 작곡할 수 있다.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은 음원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작곡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작곡된 제 1 음원을 음원 제공 서버(110)로 전달할 수 있다(S300). 이때,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은 제 1 음원과 함께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metadata)를 음원 제공 서버(110)에 전달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음원은 아티스트 단말(130)이 자유롭게 작곡한 것이 될 수 있다.
또는, 제 1 음원은 음원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미리 정해진 주제에 따라 아티스트 단말(130)이 제작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주제는 베토벤의 "월광 소나타" 및 차이코프스크의 "백조의 호수"와 같은 클래식 명곡의 리메이크이거나, 김소월의 "진달래꽃" 및 윤동주의 "서시"와 같은 명시에 적합한 노래 음원을 제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주제는 특정 스포츠팀의 응원을 위한 노래 음원을 제작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성 마디 및 미완성 마디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때, 제 1 음원은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이 생성한 후 음원 제공 서버(110)로 전달한 오디오 파일이다. 또는, 제 1 음원은 음원 제공 서버(110)에서 오디오 파일을 추출할 수 있는 파일이거나, 오디오 파일로 변환할 수 있는 작곡 애플리케이션의 파일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1 음원은 복수의 마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디는 음원을 나누는 최소 단위로 미리 정해진 박자에 대응하는 음을 포함한다.
그리고 마디는 완성 마디 또는 미완성 마디일 수 있다.
이때, 완성 마디는 미리 정해진 박자의 대응하는 음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미완성 마디는 해당 마디 중 일부 부분 또는 해당 마디 전부에 대한 음을 불포함할 수 있다. 즉, 미완성 마디는 멜로디를 포함하지 않은 마디가 될 수 있다. 또는 미완성 마디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이전 마디 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이후 마디와 이질적인 멜로디를 포함하는 마디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음원에 포함된 모든 마디가 완성 마디인 경우,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을 MR(music recorded) 음원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MR 음원은 하나 이상의 악기나 효과음으로 구성된 세션 음원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MR 음원은 보컬(vocal)이 제외된 세션 음원 및 멜로디 만을 포함하는 경음악(instrument)이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 1 음원은 제 1 음원에 포함된 복수의 마디 중 일부의 마디가 미완성 마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가 서로 연속되지 않은 두 개의 멜로디를 서버에 업로드할 경우 미완성 마디들로 구성된 음원이 업로드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음원은 5개의 마디 중 제 1 마디, 제 2 마디 및 제 5 마디는 완성 마디이며, 제 3 마디 및 제 4 마디는 미완성 마디일 수 있다.
이때, 음원 제공 서버(110)는 다른 아티스트 단말이 제 1 음원을 듣고 제 3 마디 및 제 4 마디에 대한 멜로디를 작곡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제 1 음원을 다른 아티스트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아티스트 단말은 음원 제공 서버(110)를 통하여 제 1 음원을 직접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을 아티스트 단말(130)에서 재생이 가능한 형태의 파일로 변환하여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아티스트 단말은 음원 제공 서버(110)의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를 통하여, 제 1 음원을 들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는 다른 아티스트 단말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하여, 제 1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아티스트 단말 중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은 음원 제공 서버(110)로부터 제 1 음원을 조회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다(S310).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은 제 3 마디 및 제 4 마디에 대응하는 제 2 음원을 작곡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은 음원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작곡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로 전달할 수 있다(S320).
제 2 음원은 앞에서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아티스트 단말(310) 또는 제 2 아티스트 단말(310)과 연결된 악기를 통하여 작곡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은 제 1 아티스트 단말(300)과 상이한 타 아티스트 단말일 수 있으며,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일 수도 있다.
또는, 제 2 음원은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의 입력 모듈을 통하여 녹음된 음성일 수 있다. 이때,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2 아티스트 단말(310)로부터 수신한 녹음된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으로부터 멜로디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추출된 멜로디를 제 2 음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음원은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이 음원 제공 서버(110)의 소리마당에 등록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음원은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이 등록한 악기 소리, 동물의 소리, 사람의 소리, 자연 및 시설물로부터 수집된 소리, 교통 수단 소리 등을 포함하는 음원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2 음원은 제 1 음원과 연관되지 않은 리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 2 음원은 잘 알려진 리듬 또는 효과음이거나 의미 없는 리듬일 수 있다.
이때, 악기 소리는 북, 징, 심벌즈 및 실로폰 등의 타악기 소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악기 소리는 기타, 바이올린 및 베이스 등을 이용하여 줄을 문지르거나, 줄을 뜯거나, 줄을 타격하여 낸 소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악기 소리는 이 외에도 관악기등에 의해서 낸 소리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동물의 소리는 개, 고양이 및 사자 등의 동물의 울음소리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소리는 사람의 의미없는 외침, 박수 소리, 발걸음 소리 및 휘바람 소리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자연으로부터 수집된 소리는 파도 소리, 바람 소리, 비 소리 및 천둥 소리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시설물로부터 수집된 소리는 시설물 내의 엘리베이터 소리 및 화장실 내의 물 소리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교통 기관의 소리는 자동차의 엔진음, 오토바이의 배기음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추가 실시예로서,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 및 제 2 음원을 병합하여 MR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음원을 제 1 음원에 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2 아티스트 단말(310)로부터 제 2 음원 및 제 2 음원을 삽입할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2 음원을 삽입하여 제 1 음원과 제 2 음원을 병합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의 미완성 마디 중 제 2 음원을 병합하기 적합한 마디를 선택하여 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 또는 제 2 음원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제 1 음원의 미완성 마디 중 제 2 음원이 삽입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분석은 해당 음원의 비트를 분석하거나, 음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의 미완성 마디 중 선택된 삽입 영역에 제 2 음원을 병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 실시예로,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 및 제 2 음원을 분석하여 제 2 음원이 삽입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2 아티스트 단말(310)로부터 제 2 음원을 수신 한 이후 제 2 음원을 분석할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분석 결과에 따라, 제 1 음원 내의 미완성 마디 중 제 2 음원을 삽입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선택된 영역에 제 2 음원을 삽입하여, 제 1 음원과 병합할 수 있다. 또는,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아티스트 단말(300) 또는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에 분석 결과를 통보하여 선택된 영역에 제 2 음원을 삽입하도록 통보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 실시예로,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2 음원을 삽입할 영역의 이전 및 이후의 미리 정해진 개수의 마디를 분석하고, 이전 및 이후의 미리 정해진 개수의 마디의 비트 또는 음계에 기초하여 제 2 음원의 비트 또는 음계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보정된 멜로디를 제 1 음원에 병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원 제공 서버(1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 1 음원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미완성 마디에 타 아티스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원을 병합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아티스트 단말(130)로부터 음원을 수신하는 경우, 음원 제공 서버(110)는 수신한 음원을 작곡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에 제공하여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제 2 음원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음원 제공 서버(110)는 수신한 복수의 음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수신한 복수의 음원 중 하나를 선택하고 병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음원 제공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기 저장된 음원을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에 제공하여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제 2 음원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140)에 기 저장된 음원은 복수의 아티스트 단말(130)이 하나 이상의 마디에 대하여 생성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로 전달된 후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미완성 마디에 음원이 병합되어 미완성 마디가 완성되면, 제 1 음원을 MR 음원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타 아티스트 단말(130)에서 MR 음원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MR 음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 2 음원은 세션 음원이 될 수 있다.
이때, 세션 음원은 악기를 통하여 완성된 제 1 음원 즉 MR 음원을 연주한 것이 될 수 있다. 악기는 건반, 기타, 드럼, 베이스,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하프 및 팀파니와 같은 관현악기 및 타악기가 될 수 있다. 악기는 가야금, 거문고, 해금, 단소 및 장구와 같은 국악기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세션 음원은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효과음이 될 수 있다. 이때, 효과음은 휘파람, 새소리, 박수 및 허밍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션 음원은 제 1 음원을 다양한 장르 또는 다양한 연주 기법 등을 이용하여, 편곡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세션 음원은 제 1 음원에 포함된 모든 마디 또는 일부의 마디에 대한 것이 될 수 있다.
세션 음원을 수신하기 위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는 작곡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MR 음원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생성된 리스트가 포함된 작곡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복수의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는 해당 MR 음원을 포함한 복수의 MR 음원의 순위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MR 음원의 순위는 조회 수, 다운로드 수 및 추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추천 정보는 각 MR에 대응하는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의 추천 수, 각 MR 음원에 대응하는 세션 음원의 수 및 각 MR 음원에 대응하는 세션 음원의 허가 메시지 수 등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은 음원 제공 서버(110)로부터 제 1 음원을 수신할 수 있다(S310). 이때,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파일을 직접 다운로드 하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하여, 제 1 음원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은 제 1 음원에 대응하여 악기를 이용하여 세션 음원을 생성한 후, 음원 제공 서버(110)로 전달할 수 있다(S320). 이때,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이 전달하는 세션 음원은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이 하나 이상의 악기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이 생성한 세션 음원을 제 1 음원에 병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세션 음원이 병합된 제 1 음원을 이용하여, MR 음원으로 생성할 수 있다(S330).
또한, 세션 음원은 복수의 타 아티스트 단말을 통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은 음원 제공 서버(110)는 타 아티스트 단말로부터 전달된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세션 음원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이 선택한 세션 음원을 제 1 음원에 병합할 수 있다. 이때,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이 생성하지 않은 세션 음원이 포함되는 경우, 음원 제공 서버(110)는 해당 세션 음원을 전달한 아티스트 단말(130)로 허가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어서, 다른 아티스트 단말은 허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락 여부를 결정한다. 수락 메시지는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에서는 허가 요청 메시지 전송개수 대비 수락 메시지 수신 개수를 비교하여 수락율이 높을수록 제 2 아티스트 단말이 병합한 음원이 일반 사용자들에게 공개되는 리스트 내에서 상위에 랭크되도록 한다.
한편, 음원 제공 서버(110)는 아티스트 단말(130)에 아티스트 단말(130)이 특정 음원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여, 다른 음원을 병합할 수 있는 스크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크랩 기능은 아티스트 단말(130)의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음원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완성 마디에 대응하는 음원, 세션 음원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은 작곡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서의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하여, 제 1 음원의 특정 영역에 세션 음원을 병합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아티스트 단말(310)은 음원 제공 서버(110)로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2 아티스트 단말(310)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음원의 특정 영역에 세션 음원을 병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을 전달한 아티스트 단말 또는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세션 음원을 전달한 아티스트 단말의 통합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음원에 세션 음원을 병합할 수 있다. 또는,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 또는 세션 음원을 전달한 아티스트 단말(130)이 아닌 타 아티스트 단말의 통합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음원 및 세션 음원을 병합할 수 있다.
한편, 멜로디 제작과 세션 음원 제작은 반드시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며, 멜로디가 음원에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멜로디란 노래를 불러야 할 지점의 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멜로디는 노래방 등에서와 같이, 노래를 불러야 할 부분을 가이드해주는 복수의 음이 될 수 있다.
즉, 아티스트 단말(130)은 작곡 단계에서 곧바로 세션 음원만으로 verse, pre-chorus, chorus 부분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멜로디를 포함하지 않은 음원은 멜로디가 없더라도 사실상 생략되어 있는 것이지, 그 자체로 MR 음원으로 볼 수도 있다. 또는, 아티스트 단말(130)은 세션 음원 만으로 chorus 부분을 제작하고, 다른 아티스트 단말이 pre-chorus 부분을 세션 음원 만으로 제작한 후, chorus 부분의 세션 음원 및 pre-chorus 부분의 세션 음원을 병합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멜로디 작곡과 세션 음원 생성은 상호 보완적으로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노래 제작 단계>
음원 제공 서버(110)는 노래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 3 아티스트 단말(320)로부터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보컬 사운드가 포함된 제 3 음원을 수신할 수 있다(S340).
이때, 제 3 음원은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가사에 기초한 보컬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사는 제 3 음원을 전달하는 제 3 아티스트 단말(320) 또는 제 1 음원을 전달하는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이 작사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사는 제 1 아티스트 단말(300) 및 제 3 아티스트 단말(320)이 아닌 타 아티스트 단말에 의해 작사 된 후 전달된 것일 수 있다.
또는, 가사는 제 1 아티스트 단말(300), 제 3 아티스트 단말(320) 또는 타 아티스트 단말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제공 서버(110)는 음원의 박자에 따라 가사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작사를 수행할 아티스트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노래방 기계와 유사하게 음원에 포함된 음 길이에 맞춰 가사 입력 박스가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해당 아티스트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현재 플레이 되는 음에 대응하는 입력 박스에 한 음절 또는 복수의 음절의 가사를 입력하여 음원에 따른 가사를 작사할 수 있다. 이때, 입력 박스는 엇박자 또는 복수의 음에 가사를 입력할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음원은 제 3 아티스트 단말(320)에 대응하는 한 명의 아티스트의 보컬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3 음원은 제 3 아티스트 단말(320)에 대응하는 한 명 이상의 아티스트를 포함하는 아티스트 팀의 보컬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아티스트 팀은 한 명 이상의 아티스트가 오프라인 또는 음원 제공 서버(110)를 통하여 자발적으로 구성한 팀일 수 있다. 또는, 아티스트 팀은 음원 제공 서버(110)가 구성한 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이 제 1 음원 및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가사를 음원 제공 서버(110)로 전달하면,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과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가사를 타 아티스트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제 3 아티스트 단말(320)은 제 1 음원 및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가사에 기초하여, 제 3 음원을 생성하고, 음원 제공 서버(11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3 아티스트 단말(320)로부터 제 3 음원을 수신할 수 있다(S340).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MR 음원 또는 세션 음원이 병합된 MR 음원에 제 3 음원을 병합하여 노래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S350).
한편,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3 아티스트 단말(320)과 상이한 하나 이상의 타 아티스트 단말로부터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보컬 사운드가 포함된 음원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3 아티스트 단말(320)과 성별, 음색 및 음역대가 다양한 아티스트 단말이 생성한 음원을 병합하여 노래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노래 공개 단계>
음원 제공 서버(110)는 제 1 음원을 전달한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의 노래 음원 확정 메시지에 따라, 노래 음원을 확정할 수 있다. 이때, 노래 음원 확정 메시지는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이 노래 음원에 대하여 확정을 결정한 후 음원 제공 서버(110)에 전달한 것일 수 있다. 또는, 노래 음원 확정 메시지는 음원 제공 서버(110)가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에 노래 음원에 대한 확정 요청을 전달하고,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이 해당 노래 음원에 대한 확정을 결정한 후 음원 제공 서버(110)에 전달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은 앞에서 설명한 작곡 단계 및 노래 제작 단계를 통하여 다양한 음원이 병합된 하나 이상의 노래 음원 각각에 대하여 노래 음원 확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은 하나 이상의 노래 음원 중 확정이 결정된 노래 음원에 대해서만 노래 음원 확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음원 제공 서버(110)는 노래 음원이 확정되면 확정된 노래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360). 이때, 노래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은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오디오 파일 또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플레이어를 통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파일이 될 수 있다.
또한, 확정된 노래 음원은 음원 파일과 함께, 해당 노래 음원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는 해당 노래 음원의 설명, 해당 노래 음원의 제작에 참여한 아티스트의 프로파일 및 해당 노래 음원에 병합된 음원에 대한 히스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원 제공 서버(110)에서 음원 파일로 생성되는 음원은 셀렉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투표를 받은 음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제공 서버(110)는 확정된 노래 음원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셀렉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복수의 아티스트 단말(130) 및 복수의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 생성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은 리스트에 포함된 확정된 노래 음원을 조회할 수 있다.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은 조회한 노래 음원에 대하여, 투표할 수 있다. 이때, 투표는 해당 노래 음원에 대한 선호 여부를 선택한 것이거나, 해당 노래 음원에 대한 선호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은 셀렉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이 투표한 노래 음원을 다른 아티스트 단말 또는 다른 일반 사용자 단말에 소개할 수 있다. 이때,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은 해당 노래 음원의 URL을 직접 복사하여 다른 아티스트 단말 또는 다른 일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거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다른 아티스트 단말 또는 다른 일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리스트에 포함된 노래 음원의 투표 정보에 기초하여, 음원 파일로 생성할 노래 음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투표 정보는 특정 노래 음원에 대한 투표 수 또는 특정 노래 음원에 대한 투표 점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제공 서버(110)는 리스트에 포함된 노래 음원 중 투표의 수가 가장 높거나, 투표된 점수의 합이 가장 높은 노래 음원을 음원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음원 제공 서버(110)는 리스트에 포함된 노래 음원 중 미리 정해진 수 이상 투표를 받거나, 미리 정해진 점수 이상 투표를 받은 노래 음원을 음원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원 제공 서버(110)는 리스트에 포함된 노래 음원 중 조회 수 가장 높은 노래 음원 또는 조회 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인 노래 음원을 음원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음원 제공 서버(110)는 오디오 파일과 함께 확정된 노래 음원에 대응하는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비디오 파일은 해당 노래 음원의 뮤직 비디오일 수 있다. 또한, 비디오 파일을 해당 노래 음원의 메이킹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생성된 음원 파일을 일반 사용자 단말(330)에 퍼블리싱할 수 있다(S370). 그러므로 일반 사용자 단말(330)은 음원 제공 서버(110)를 통하여 제 1 아티스트 단말(300)의 음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노래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때, 음원 제공 서버(110)는 음원 파일과 함께, 음원 파일에 대응하는 정보를 일반 사용자 단말(330)에 배포할 수 있다. 음원 파일에 대응하는 정보는 음원 파일 생성에 참여한 아티스트의 이름, 거주지, 성별, 나이 등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해당 아티스트의 경력 및 음원 파일의 생성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음원의 예시도이다.
이와 같이, 음원 제공 서버(110)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배포되는 노래 음원은 MR 음원에 복수의 세션 음원 및 복수의 노래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병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배포되는 노래 음원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상이한 아티스트 단말(130)을 통하여 생성된 후 병합된 것일 수 있다.
즉, 최종적으로 배포되는 노래 음원은 MR을 기준으로 복수의 아티스트 단말(130)을 통한 공동 작업에 기초하여 생성된 다양한 세션 음원 및 다양한 보컬 음원이 병합된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버전의 노래 음원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원 제공 서버(110)는 복수의 아티스트 단말(130)을 통하여, 제 1 노래 음원, 제 2 노래 음원 및 제 3 노래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노래 음원은 MR 음원 및 제 1 세션 음원이 병합된 노래 음원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2 노래 음원은 MR 음원 및 제 1 세션 음원과 제 2 세션 음원 및 제 1 보컬 음원이 병합된 노래 음원이 될 수 있다. 제 3 노래 음원은 MR 음원, 제 2 보컬 음원 및 제 3 세션 음원이 병합된 노래 음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원 제공 서버(110)는 동일한 MR 음원에 대한 여러 버전의 노래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제공 서버(110)는 MR 음원에 기타 세션 음원, 드럼 세션 음원, 건반 세션 음원 및 베이스 세션 음원을 병합하여 밴드 버전의 노래 음원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제공 서버(110)는 MR 음원에 피아노 세션 음원, 바이올린 세션 음원, 첼로 세션 음원 및 팀파니 세션 음원을 병합하여 클래식 버전의 노래 음원을 확정할 수 있다.
한편, 음원 제공 서버(110)는 복수의 확정된 노래 음원이 포함되는 노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노래 리스트가 포함된 공개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복수의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 노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노래 리스트는 각각의 노래 음원의 장르에 따라 필터링 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래 리스트는 복수의 노래 음원을 장르에 따라 분류하고, 각 장르에 해당하는 노래 음원이 포함되도록 필터링 하여 장르별 노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각 장르별 노래 리스트를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노래 리스트는 각각의 노래 음원에 대응하는 투표 정보, 조회 수, 재생 수 또는 다운로드 수에 기초하여, 정렬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확정된 노래 음원 각각에 대응하는 투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수신된 노래 음원 각각에 대응하는 투표 정보에 기초하여, 노래 리스트를 재정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제공 서버(110)는 투표하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의 수가 많거나, 투표 정보에 포함된 투표 점수가 높은 노래 음원이 상위에 표시되도록 노래 리스트를 재정렬 할 수 있다. 또는, 음원 제공 서버(110)는 투표하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 수가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이거나, 투표 점수가 미리 정해진 점수의 합 이상인 경우, 해당 노래 음원이 별도의 노래 리스트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최상위 또는 미리 정해진 순위 이상 표시된 노래 음원을 음원화 대상 곡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음원화할 노래 음원이 확정되면, 이를 음원을 서비스하기 위한 음원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생성된 음원 파일을 일반 사용자 단말(140) 또는 외부의 음원 제공 서버(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음원 제공 서버(110)는 음원화된 노래 파일에 대한 수익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수익 정보는 음원화된 노래 파일에 대응하는 수익이 발생한 경우 음원화된 노래 파일에 참여자에 대한 수익 배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익 정보는 예를 들어, 수익 정보는 음원화된 노래 파일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단말(130)에 대응하는 아티스트의 참여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각 아티스트(예를 들어, 작곡자, 작사자, 편곡자 등)의 수익 배분율, 음원 제공 서버(110)와 같은 유통 주체의 수익 배분율 및 제작자(예를 들어, 음원 제공 서버(110)에 대응하는 관리자)의 수익 배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작자는 저작인접권에 기인한 수익을 배분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 사용자 단말(140) 또는 외부의 음원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익이 발생하면, 음원 제공 서버(110)는 발생한 수익을 수익 배분율에 따라 배분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배분된 수익을 아티스트 단말(13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음원 제공 서버(120)는 아티스트 단말(130)에 의하여 음원이 수신되면, 해당 음원이 수신한 날짜에 기초하여 수신된 음원에 대응하는 저작권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20)는 해당 음원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에 설정한 저작권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제공 서버(120)는 노래 음원이 확정되면 해당 노래 음원을 최초로 작곡한 아티스트, 편곡된 음원을 생성한 아티스트 및 해당 노래 음원에 대응하는 작사를 수행한 아티스트에 대하여 저작권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제공 서버(120)는 해당 노래 음원에 포함된 보컬 음원을 제공한 아티스트에 실연권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해당 음원 파일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타 아티스트 단말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을 통하여 전달된 해당 음원에 대응하는 도용 의심 파일 및 관련 정보를 해당 음원에 대응하는 아티스트 단말(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관련 정보는 도용 의심 파일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음원의 등록일, 해당 음원의 참여한 아티스트 단말(130)의 정도 등이 될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인터넷 상의 타 음원 파일 또는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을 통하여 전달된 도용 의심 파일과의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음원 제공 서버(110)는 오디오 데이터 비교 시스템을 통하여,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음원 파일이 도용 의심 파일과 유사한 경우 음원 제공 서버(110)는 해당 음원에 대응하는 아티스트 단말(130)에 도용 의심 파일 및 관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음원 제공 서버(110)에서 특정 노래 음원은 고음질의 노래 음원화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즉, 제작자(즉, 서버(110)의 관리자)가 저작인접권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비용 지원 및 프로듀싱에 있어 일정부분 음원에 기여하는 부분이 있어야 하는데, 기존의 노래음원은 각기 다른 아티스트들에 의해 각기 다른 환경에서 제작된 음원들이 합성된 것이므로 음원의 퀄리티가 높지 못하다. 그에 따라, 제작자는 해당 노래 음원을 생성하는데 참여한 아티스트 단말(130)에 대응하는 아티스트를 통하여, 별도의 스튜디오에서 새로운 녹음을 진행하여 고음질의 노래음원을 새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고음질의 노래 음원은 음원 제공 서버(110)의 관리자 또는 음원 제공 서버(110)과 관련된 투자자의 비용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제공 서버(110)는 선택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투표 수가 최상위 또는 미리 정해진 순위 이상 표시된 노래 음원을 고음질 노래 음원을 생성하기 위한 노래 음원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선택된 노래 음원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아티스트 단말(130)에 고음질 노래 음원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각 아티스트 단말(130)에 대응하는 아티스트는 고음질 노래 음원 생성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스튜디오에서 노래 음원에 대응하는 MR 음원, 보컬 음원 및 세션 음원 등을 재녹음 할 수 있다. 또한, 각 아티스트 단말(130)에 대응하는 아티스트(130) 또는 음원 제공 서버(110)의 관리자는 MR 음원, 보컬 음원 및 세션 음원을 병합하고 프로듀싱하여 고음질의 노래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관리자가 보유한 아티스트 단말 또는 별도의 스튜디오와 연결된 아티스트 단말을 통하여 해당 노래 음원에 대응하는 고음질의 노래 음원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고음질의 노래 음원에 대한 저작인접권은 음원 제공 서버(110)의 관리자에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제공 서버(110)는 고음질의 노래 음원에 대응하는 수익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음원 제공 서버(110)는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 애플리케이션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은 음원 제작 애플리케이션 및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아티스트 단말(130)을 음원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로 음원을 전달하고, 최종적인 음원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제작 애플리케이션은 아티스트 단말(130)을 통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로 음원, 세션 음원, 노래 음원 및 피처링 음원 등을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제작 애플리케이션은 아티스트 단말(130)을 통하여 복수의 음원을 선택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로 전달한 음원과 병합하여, MR 음원 및 노래 음원을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원 제작 애플리케이션은 아티스트의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마이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 페이지는 아티스트의 계정 정보 및 업로드하였거나, 제작에 참여한 음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티스트는 음원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이 업로드하거나, 제작에 참여한 음원의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또는, 아티스트는 음원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업로드한 음원 중 최종적인 음원 파일로 생성된 음원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때, 음원의 정보는 다운로드 수, 조회 수, 추천 수, 투표 수 및 수익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아티스트 단말(130)을 통하여 생성된 음원 파일을 조회하고 선택하여 일반 사용자 단말(140)로 다운로드 하거나,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서 재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다.
이때,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일반 사용자의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마이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 페이지는 일반 사용자의 계정 정보 및 추천하거나 투표한 음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 사용자는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이 추천하거나 투표한 음원의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또는, 일반 사용자는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추천하거나 투표한 음원 중 최종적인 음원 파일로 생성된 음원을 조회할 수 있다.
한편,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복수의 음원 파일에 대한 플레이 리스트(play lis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 리스트는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 리스트는 일반 사용자가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선택한 음원의 목록이 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는 일반 사용자가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선택한 아티스트의 음원 목록이 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는 음원 제공 서버(110)가 생성하여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 전달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 리스트는 음원 제공 서버(110)가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하여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 전달한 것일 수 있다. 이때, GPS 정보는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140)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수집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 및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는 애플리케이션에 현재 실행 중인 음원 파일의 식별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GPS 정보는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14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도 및 경도 좌표 또는 지역 정보가 될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일반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일반 사용자 단말(140)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음원 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음원 제공 서버(110)는 GPS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아티스트들을 검색한다. 아티스트들의 프로필 정보(지역, 이름 등)는 아티스트들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회원가입 시부터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이며 프로필 정보를 기준으로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아티스트들의 GPS 기능이 온(ON)되어 있는 경우, 음원 제공 서버(110)는 실시간으로 아티스트들의 위치를 확인하고, 검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어서, 음원 제공 서버(110)는 검색된 아티스트들과 연관된 음원들을 검색하고, 해당 음원들을 포함하는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여 일반 사용자 단말(1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 사용자는 여행을 하면서 자동적으로 플레이리스트가 수정되게 되어, 같은 음원을 듣는 것에 대한 지루함을 없앨 수도 있고,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여러 아티스트들을 확인할 수도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GPS 정보에 기초한 음원은 해당 GPS 정보와 매칭되는 지역 또는 미리 정해진 거리 내의 지역에서 투표 정보의 수가 많은 음원 파일일 수 있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추출된 복수의 음원 파일을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제공 서버(110)는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140)에 생성된 플레이 리스트 및 해당 플레이 리스트를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서버(110)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서버(110)의 블록도이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특정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음원을 수신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한다. 이때, 음원 제공 서버(110)는 통신 모듈(700), 메모리(710) 및 프로세서(720)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앞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음원을 전달하는 아티스트 단말(130) 또는 음원에 대응하는 파일을 조회하거나 서비스받는 사용자 단말(120)일 수 있다.
통신 모듈(700)은 아티스트 단말(130) 및 일반 사용자 단말(140)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메모리(710)는 음원 제작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71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프로세서(72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제 1 음원을 수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720)는 다른 사용자 단말(120)이 제 1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프로세서(720)는 다른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제 2 음원을 수신하여, 제 1 음원 및 제 2 음원을 병합함으로써, MR 음원을 완성한다. 그리고 프로세서(720)는 다른 사용자 단말(120)이 MR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프로세서(720)는 다른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보컬 사운드를 포함하는 제 3 음원을 수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720)는 MR 음원과 제 3 음원을 병합한다. 또는, 프로세서(720)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MR 음원과 제 3 음원이 병합된 상태의 제 3 음원을 수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720)는 노래 음원을 확정한다.
이때, 프로세서(720)는 제 1 음원을 전달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노래 음원에 대한 확정 결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노래 음원을 확정한다.
또는, 프로세서(720)는 제 1 음원을 전달한 사용자 단말(120)에 노래 음원에 대한 확정 요청을 전달한다. 그리고 프로세서(72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확정 요청에 대응하는 노래 음원에 대한 확정 결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노래 음원을 확정한다.
프로세서(720)는 다른 사용자 단말이 노래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제 1 음원, 제 2 음원 및 제 3 음원은 하나 이상의 마디를 포함한다.
다음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단말(800)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작 단말(800)의 블록도이다.
음원 제작 단말(8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에 음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음원을 음원 제공 서버(11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음원 제작 단말(800)은 앞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아티스트 단말(130)일 수 있다.
음원 제작 단말(800)은 통신 모듈(810) 및 메모리(820)를 포함한다.
이때, 통신 모듈(810)은 음원 제공 서버(1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메모리(820)는 음원 제작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8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프로세서(830)는 음원 제작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20)에서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음원 제공 서버(110)로 음원을 전달한다.
이때, 음원은 음원 제공 서버(1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달된 다른 음원과 병합된 후 파일로 변환된다. 그리고 음원은 음원 제공 서버(110)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은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가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음원 제공 서버(110)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앞에서 설명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되거나, 웹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객체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이퍼링크(hyperlink)가 설정된 객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객체는 버튼(button), 체크박스(check box), 리스트 박스(list box), 옵션 버튼(option button), 이미지 박스(image box), 텍스트 박스(text box), 멀티미디어 박스(multimedia box) 및 레이블(labe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객체는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복합 객체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 사용자 또는 아티스트가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입력한 인터렉션에 따라 음원을 다운로드 하거나, 음원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일반 사용자가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아티스트 사용자가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시일 뿐이다. 그러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바 객체(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뉴바 객체(9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로 이동하기 위한 작곡터 객체(910), 노래터 객체(911), 셀렉터 객체(912), 공개터 객체(913), 프로필 객체(914), 로그인 객체(915) 및 검색 객체(9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검색 객체(916)는 음원 제공 서버(110)가 제공하는 복수의 음원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음원 제공 서버(110)는 검색 객체(916)와 연결된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아티스트 또는 일반 사용자가 해당 음원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음원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제공 서버(110)는 해당 음원의 작곡자, 편곡자 및 보컬에 참여한 아티스트 명을 이용하여 해당 음원에 대한 검색을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음원 제공 서버(110)는 해당 음원의 설명을 통하여 해당 음원의 검색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 가이드 객체(920), 실시간 노래터 현황 객체(930), 인기 메이킹 필름 제공 객체(940) 및 인기 투표 객체(9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가이드 객체(920)는 음원 제작 애플리케이션 또는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노래터 현황 객체(930)는 노래터에 포함된 음원 중 해당 아티스트가 실시간으로 참여가능한 음원의 리스트(931, 932)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아티스트는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노래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포함된 복수의 음원 중 바로 실시간 참여 가능한 음원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인기 메이킹 필름 제공 객체(940)는 현재 다수의 사용자에 의하여 추천된 메이킹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기 투표 객체(950)는 셀렉터에 포함된 음원 중 현재 인기 투표 수가 높은 음원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로그인 객체(915)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을 수행하거나, 이미 가입된 사용자의 경우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하여 클릭할 수 있는 버튼이다. 로그인 객체(915)는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로그인 페이지를 통하여, 회원 가입을 하거나 로그인을 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작곡터 객체 (910)는 작곡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동하기 위한 하이퍼링크가 설정된 버튼이다. 작곡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곡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작곡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작곡터 객체(1000)와 시작마당 객체(1011), 진화마당 객체(1012) 및 소리마당 객체(1013)를 포함하는 세부메뉴 객체(10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곡터 객체(1000)는 작곡터에 포함된 세부 메뉴 객체(10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시작마당 객체(1011)는 시작마당을 제공하는 시작마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시작마당을 통하여 아티스트는 새로운 작곡을 시작할 수 있도록 음원을 음원 제공 서버(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등록된 음원은 타 아티스트의 진화마당 페이지에 제공되게 된다.
진화마당 객체(1012)는 진화마당을 제공하는 진화마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진화마당을 통하여 아티스트는 타 아티스트들이 시작마당을 통하여 등록된 음원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원을 생성하여 음원 제공 서버(11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는, 아티스트는 진화마당을 통하여, 타 아티스트가 업로드한 음원을 확인하고 자신이 작곡한 음원과 병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화마당 페이지는 해당 음원을 등록한 아티스트 명(1021), 음원 임시 제목(1022), 미리 듣기(1023) 및 참여 아티스트 수(1024)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 제공 객체(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제공 객체(1020)는 음원 제공 객체(1020)에 포함된 각 음원에 대응하는 참여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참여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참여 페이지(1100)는 해당 음원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작곡자 객체(1110), 음원 임시 제목 객체(1111), 곡 정보 객체(1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참여 페이지(1100)는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음원 재생 객체(1120), 해당 음원에 진화 과정에서 참여한 아티스트 객체(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참여 페이지(1100)는 해당 아티스트가 진화 중인 음원을 청취하거나,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음원 제공 객체(1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참여 페이지(1100)는 해당 아티스트가 진화 중인 음원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참여 객체(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는 참여 객체(1170)를 클릭하여, 해당 음원에 대응하는 세션 음원을 음원 제공 서버(11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소리마당 객체는 아티스트 또는 일반 사용자가 소리마당에 음원을 등록할 수 있는 소리마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소리마당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티스트 또는 일반 사용자가 음원 제공 서버(110)에 미리 등록된 음원과 관계없는 음원을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노래터 객체(911)는 노래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이다. 노래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노래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노래터 객체(1200)와 인기 음원 객체(1211), 음원 목록 객체(1212), 함께해요 객체(1213) 및 작사 모집 객체(1214)를 포함하는 세부메뉴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노래터 객체(1200)는 노래터에 포함된 세부메뉴 객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인기 음원 객체(1211)는 아티스트의 참여도가 높은 다양한 음원이 공개되는 인기음원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기음원 페이지는 아티스트에게 복수의 음원을 포함하는 음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리스트는 음원 명(1221), 버전(1222), 보컬 음원(1223) 및 추천 수(1224)를 포함할 수 있다. 아티스트는 인기음원 페이지를 통하여, 보컬 음원이 추가된 음원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아티스트는 음원 중 피쳐링 또는 작사 등이 필요한 음원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음원 목록 객체(1212)는 음원 제공 서버(110)에 등록된 음원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아티스트는 해당 페이지를 통하여, 등록된 음원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함께해요 객체(1213)는 피쳐링 또는 듀엣 등 다른 아티스트의 참여가 필요한 음원들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아티스트는 해당 페이지를 통하여, 자신이 참여할 수 있는 음원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사모집 객체(1214)는 작사가 필요한 음원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아티스트는 해당 페이지에 포함된 작사가 필요한 음원 리스트에서 음원을 선택하여, 음원 상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음원 상세 페이지는 음원의 이름(1300), 버전(1310) 및 가사 존재 여부(1320)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상세 페이지는 가사 입력 객체(1330) 및 가사를 불러오고,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는 객체(13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사 입력 객체는 복수의 입력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사 입력 객체는 노래방 기계와 유사하게 음원의 음 길이에 맞춰 한 음절의 가사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박스가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티스트는 박자에 맞춰 가사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작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입력 박스는 아티스트에 의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즉, 아티스트는 입력 박스의 길이를 조절하여 엇박자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아티스트는 하나 이상의 입력 박스를 병합하여, 긴 마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아티스트는 해당 긴 마디에 대응하여 한 음절의 가사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아티스트는 하나의 입력 박스를 복수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아티스트는 하나의 음에 여러 음절의 가사를 입력할 수 있다.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셀렉터 객체(912)는 셀럭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이다. 셀렉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렉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셀렉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셀렉터 객체(1400)와 금주의 투표 객체(1411) 및 지난 투표 객체(1412)를 포함하는 세부메뉴 객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금주의 투표 객체(1411)는 현재 진행 중인 투표 및 상위 음원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투표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난 투표 객체(1412)는 과거에 진행한 투표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투표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투표 페이지는 특정 음원(1420)에 대한 여러 버전(1421, 1422, 1423)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아티스트 또는 일반 사용자는 여러 버전 중 자신이 마음에 드는 버전을 선택하여 투표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공개터 객체(913)는 공개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이다. 공개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공개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음원 제공 서버(110)에 등록된 음원 중 필터링 된 음원의 목록(1511, 1512, 1513, 1514)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공개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음원 제공 서버(110)에 등록된 음원 중 상위 100개의 음원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공개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음원 제공 서버(110)에 등록된 음원 중 최근 한달 내의 신곡 음원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필 객체(914)는 프로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이다. 프로필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프로필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아티스트, 일반 사용자 또는 복수의 아티스트가 포함된 아티스트 팀의 프로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필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참여 음원 정보 객체(1611), 즐겨찾기 목록(1612), 플레이 리스트 객체(1614) 및 텃밭 객체(1615)를 세부메뉴 객체(1610)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 음원 정보 객체(1611)는 해당 아티스트 또는 아티스트 팀이 참여한 음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음원 정보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음원 정보 페이지는 음원의 메타데이터와 함께, 해당 음원의 추천 또는 투표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정보 페이지는 해당 아티스트 또는 일반 사용자가 투표하였거나, 추천한 음원 중 음원 파일로 생성된 파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객체(1614)는 음원 제공 서버(110)가 생성한 플레이 리스트의 목록을 제공하는 플레이 리스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텃밭 객체(1615)는 아티스트가 업로드한 음원 중 아직 다른 아티스트에 공개되지 않은 음원의 목록을 제공하는 텃밭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서버(110)의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110) 및 음원 제작 단말(800)은 아티스트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의 공동 작업을 통한 협업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한 음악을 제작할 수 있다. 나아가 음원 제공 서버(110)의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110) 및 음원 제작 단말(800)은 온라인을 통한 협업으로 타 장르 간의 크로스오버가 용이하다. 또한, 음원 제공 서버(110)의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110) 및 음원 제작 단말(800)은 아티스트 사용자 및 일반 사용자 간의 협업을 통하여, 음원이 진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원 제공 서버(110)의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110) 및 음원 제작 단말(800)은 음악 제작 과정에서의 비용 및 시간 절약 효과가 있다. 또한, 음원 제공 서버(110)의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110) 및 음원 제작 단말(800)은 지속적인 대중의 관심을 이끌 수 있으므로 음악을 통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음원 제공 시스템 110: 음원 제공 서버
120: 사용자 단말 130: 아티스트 단말
140: 일반 사용자 단말 150: 데이터베이스

Claims (18)

  1. 음원 제공 서버의 음원 제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음원을 수신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 1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음원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음원 및 상기 제 2 음원을 병합함으로써, MR 음원을 완성하고, 또 다른 사용자 단말이 상기 MR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MR제작 단계;
    상기 또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컬 사운드를 포함하는 제 3 음원을 수신하여 상기 MR 음원과 제 3 음원을 병합하거나,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MR 음원과 상기 제 3 음원이 병합된 상태의 제 3 음원을 수신함으로써 노래 음원을 확정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상기 노래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노래 음원 제작 단계; 및
    상기 병합된 음원에 대응하는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파일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음원, 제 2 음원 및 제 3 음원은 하나 이상의 마디를 포함하는, 음원 제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R 제작 단계는,
    상기 제 1 음원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이하거나 동일한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멜로디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음원 내에서 상기 멜로디를 삽입할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멜로디를 삽입할 영역에 상기 멜로디를 삽입하고, 상기 제 1 음원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음원은 멜로디가 불포함된 하나 이상의 미완성 마디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멜로디를 삽입할 영역은 상기 미완성 마디에 포함된 것인, 음원 제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R 제작 단계는,
    상기 제 1 음원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이하거나 동일한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멜로디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멜로디의 비트 및 음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 1 음원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미완성 마디 중 상기 멜로디가 병합될 수 있는 미완성 마디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미완성 마디에 상기 멜로디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제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의 비트 및 음계를 분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음원의 비트 및 음계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멜로디가 병합될 미완성 마디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음원과 멜로디의 비트 및 음계에 기초하여 상기 멜로디가 병합될 미완성 마디를 추출하는 것인, 음원 제작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미완성 마디에 상기 멜로디를 병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분석된 음원 및 멜로디의 비트 및 음계에 기초하여 상기 멜로디의 비트 및 음계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미완성 마디에 상기 멜로디를 병합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에 상기 보정된 멜로디를 병합하는 것인, 음원 제작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R 제작 단계는,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이하거나 동일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세션 음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음원 및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세션 음원을 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세션 음원은 상기 음원에 포함된 복수의 마디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하도록 악기 또는 효과음을 통해 녹음한 오디오 파일인, 음원 제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MR 제작 단계는,
    상기 세션 음원을 병합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음원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세션 음원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션 음원을 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음원 및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션 음악을 병합하는 것인, 음원 제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MR 제작 단계는,
    상기 세션 음원을 병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션 음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에 허가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허가 요청에 따라 수락한 사용자 단말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락의 개수가 높을 수록 상기 세션 음원과 제 1 음원이 병합된 MR 음원을 상위 랭킹으로 산정하고, 랭킹에 따르는 리스트를 다른 사용자 단말의 MR 음원 조회 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음원 제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MR 제작 단계는,
    상기 제 1 음원 및 상기 음원 제공 서버로 제공된 복수의 세션 음원을 상기 제 1 음원이나 세션 음원을 제공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세션 음원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세션 음원과 상기 제 1 음원을 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음원 제작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음원 제작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보컬 사운드를 포함하는 제 3 음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음원 및 상기 제 3 음원을 병합하여 노래 음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제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음원을 병합하여 노래 음원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노래 음원에 대응하는 피처링 음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피처링 음원이 삽입될 상기 노래 음원의 마디 영역을 입력받은 후, 상기 입력된 마디 영역에 상기 피처링 음원을 삽입하여 상기 피처링 음원과 상기 노래 음원을 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처링 음원은 보컬 사운드를 포함하는 것인, 음원 제작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음원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가사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음원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가사에 기초하여 생성된 보컬 사운드가 포함된 상기 제 3 음원을 수신하는 것인, 음원 제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작사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음원에 대응하는 가사를 수신하는 것이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음원에 포함된 음의 길이에 따라 상기 음에 대응하는 가사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음원 제작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음원 제작 단계는,
    상기 제 1 음원을 전달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노래 음원에 대한 확정 결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노래 음원을 확정하거나,
    상기 음원 제공 서버가 상기 제 1 음원을 전달한 사용자 단말에 상기 노래 음원에 대한 확정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확정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노래 음원에 대한 확정 결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노래 음원을 확정하는 것인, 음원 제작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병합된 음원 별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추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천 정보에 포함된 추천 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넘을 경우, 노래 리스트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노래 리스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노래 리스트는 상기 추천 수가 많을수록 상기 병합된 음원이 상위에 표시되도록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추천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각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병합된 음원에 대하여 수행하는 것인, 음원 제작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원에 대한 노래 리스트는 각각의 음원에 대한 순위에 기초하여 정렬되거나, 상기 각각의 음원에 대한 장르에 기초하여 필터링되는 것이되,
    상기 순위는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투표 수,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파일에 대한 재생 수 및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수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한 것인, 음원 제작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병합된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신호 및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GPS 정보와 상기 병합된 음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병합된 음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음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플레이 리스트에 상기 추출된 복수의 음원을 포함시키고, 재생시키도록 명령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제작 방법.
  18. 음원 제공 서버에 있어서,
    통신 모듈,
    음원 제작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음원을 수신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 1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음원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음원 및 상기 제 2 음원을 병합함으로써, MR 음원을 완성하고, 또 다른 사용자 단말이 상기 MR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상기 또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컬 사운드를 포함하는 제 3 음원을 수신하여 상기 MR 음원과 제 3 음원을 병합하거나,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MR 음원과 상기 제 3 음원이 병합된 상태의 제 3 음원을 수신함으로써 노래 음원을 확정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이 상기 노래 음원을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상기 병합된 음원에 대응하는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파일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하되,
    상기 제 1 음원, 제 2 음원 및 제 3 음원은 하나 이상의 마디를 포함하는, 음원 제공 서버.
KR1020160144960A 2016-08-31 2016-11-02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KR201800250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003 2016-08-31
KR20160112003 2016-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084A true KR20180025084A (ko) 2018-03-08

Family

ID=6172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960A KR20180025084A (ko) 2016-08-31 2016-11-02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508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721A (ko) *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사운드리퍼블리카 음원 수익 리워드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200083220A (ko) * 2018-12-28 2020-07-08 박경돈 온라인 상에서 음원 데이터를 이용한 노래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2191895B1 (ko) * 2020-04-20 2020-12-16 김도협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06322A (ko) 2020-02-20 2021-08-3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반응형 플랫폼 기반의 실감형 입체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220131127A (ko) 2021-03-19 2022-09-27 주식회사 젤리펀치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721A (ko) *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사운드리퍼블리카 음원 수익 리워드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200083220A (ko) * 2018-12-28 2020-07-08 박경돈 온라인 상에서 음원 데이터를 이용한 노래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6322A (ko) 2020-02-20 2021-08-3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반응형 플랫폼 기반의 실감형 입체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191895B1 (ko) * 2020-04-20 2020-12-16 김도협 음원 제작 및 유통 단일화 플랫폼 기반 협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31127A (ko) 2021-03-19 2022-09-27 주식회사 젤리펀치 크리에이팅 음원에 대한 선택적 보컬 매칭을 통한 음원 에스티메이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2480B2 (en) Interactive music training and entertainment system and multimedia role playing game platform
Manuel et al. The riddim method: aesthetics, practice, and ownership in Jamaican dancehall
KR20180025084A (ko)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Boone Mashing: Toward a typology of recycled music
JP2010518459A (ja) 配布オーディオファイル編集用ウェブポータル
CN104380371B (zh) 用于生成输入音乐数据的伴奏的装置、系统和方法
KR20190076846A (ko) 디지털 음원에 대한 창작자와 편곡자와 소비자가 함께 참여하는 뮤직 플랫폼 시스템
JP5771498B2 (ja) 楽曲再生システム、装置及び楽曲再生方法
KR102568089B1 (ko)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Heritage 4 ‘It’s Like a Mach Piece, Really’
KR101592222B1 (ko)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
Chimbudzi et al. The evolution of music recording technologies in Zimbabwe
O'Grady Studio-based songwriting: Music production and shaping the pop song
KR20140054810A (ko) 반주음악 제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Holmes The roots of electronic jazz, 1950–1970
US20240185182A1 (en) Centralized saas platform for a&amp;rs, record labels, distributors, and artists to explore unreleased production from songwriters
KR102570036B1 (ko)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진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58167B1 (ko) 사용자 음원의 수익을 창출 및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O'Connor et al. Determining the Composition
KR102472972B1 (ko) Ai기반으로 음원을 믹싱하는 장치 및 방법
JP6611633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用サーバ
Peng Musical borrowing from Western art music to C-Pop from 1999 to 2011/Peng Lin
Guo AI Pop Music Composition with Different Levels of Control: Theory and Application
Blakeley Genre and Influence: Tracing the Lineage of Timbre and Form in Steven Wilson's Progressive Rock
Odom Caught by the Act: Does the Copyright Act of 1909 Pose Legal Disasters for Modern Mus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