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222B1 -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 - Google Patents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222B1
KR101592222B1 KR1020140036509A KR20140036509A KR101592222B1 KR 101592222 B1 KR101592222 B1 KR 101592222B1 KR 1020140036509 A KR1020140036509 A KR 1020140036509A KR 20140036509 A KR20140036509 A KR 20140036509A KR 101592222 B1 KR101592222 B1 KR 101592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master server
sound source
terminal
netiz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356A (ko
Inventor
김국현
Original Assignee
김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현 filed Critical 김국현
Priority to KR102014003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22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악제작자가 마스터서버상에 음악제작방을 개설하면 마스터서버는 이를 게재하고 다수의 참여자단말기 또는 네티즌단말기에게 쿠폰을 제공하여 각 음악제작방에 투표하면서 음악제작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음악을 네티즌과 함께 만들 수 있고, 마스터서버가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관리하여 음악제작에 참여한 모든 참여자들의 저작권을 확보해줌으로써 제작된 음악에 의한 수익이 정확하게 분배될 뿐만 아니라 저작권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한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MAKING METHOD OF MUSIC BASED PATICIPATE NETIZEN AND MARKE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악제작자가 마스터서버상에 음악제작방을 개설하면 마스터서버는 이를 게재하고 다수의 참여자단말기 또는 네티즌단말기에게 쿠폰을 제공하여 각 음악제작방에 투표하면서 음악제작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음악을 네티즌과 함께 만들 수 있고, 마스터서버가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관리하여 음악제작에 참여한 모든 참여자들의 저작권을 확보해줌으로써 제작된 음악에 의한 수익이 정확하게 분배될 뿐만 아니라 저작권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한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악이란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영역의 음과 소음을 소재로 하여 박자·선율·화성·음색 등을 일정한 법칙과 형식으로 종합해서 사상과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로써 음악의 제작에는 많은 노력, 시간 및 비용이 투여된다.
이러한 음악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작곡/작사가가 작곡 및 편곡한 후, 여러 악기연주자들을 모아서 세션(session)을 만들어 데모/가이드녹음을 하고, 이러한 데모(demo)를 바탕으로 보통 드럼부터 시작해 각 파트별로 녹음을 진행하여 각 파트별로 소스파일(source file)을 각각 만든다.
이후, 녹음된 개별 소스를 해치지 않으면서 서로 어울리게, 그리고 전체가 음악적으로 조화를 이루게 하는 믹싱(mixing)작업을 한다.
이렇게 믹싱작업을 한 후에는 곡마다 어느 정도 일정한 볼륨을 유지하고, 서로 다른 환경에서 음악을 들어도 크게 왜곡되지 않도록 조정하는 마스터링(mastering)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마스터링까지 마치게 되면 온전한 곡이 완성되어 신곡으로 대중들에게 제공되고, 비로서 수익을 창출하게 된다.
상기 음악을 제작하고 싶은 사람들(이하, '음악제작자'라 함)은 많지만, 음악을 제작할 때 세션을 꾸미고, 각 파트별 믹싱, 마스터링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종래의 아날로그방식인 레코드판, 테이프 또는 CD 등으로 음악이 제공되지 않고, 디지털방식의 음악파일이 제작되어 네트워크(인터넷)을 따라 빠른 속도로 전파될 뿐만 아니라 재생산되고 있다.
상기 인터넷을 통한 무분별한 파일의 전송으로 말미암아 곡의 원저작자에게 실질적으로 이득이 돌아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음악제작자들이 음악을 만들고 싶어도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원하는 세션을 구할 수 없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쉽게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음악의 완성을 위해서 각각 참여한 각 음악제작참여자들에게 올바른 이윤분배가 이루어지지 않는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며,
음악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있는지가 명확하지 않아서 복사나 무단배포 등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일반적인 음악제작자들이 음악제작에 쉽게 나서지 못하여 일부 큰 기획사들만 음악제작을 독점하는 불합리를 극복하기 위해서 제안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마스터서버가 형성되고, 상기 마스터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음원판매서버, 저작권협회 서버, 다수의 음악제작자단말기, 참여자단말기, 네티즌단말기가 형성된 환경에서,
상기 마스터서버가 음악제작자단말기들 및 참여자단말기들에게 회원가입시키는 회원등록단계와;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 중 하나가 마스터서버에 방개설을 요구하여 자신의 음악제작방을 개설하는 방개설단계와;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가 음악제작방에 기본멜로디 등의 음악을 게시하는 기본멜로디 게시단계와;
상기 마스터서버가 참여자단말기들과 네티즌단말기들에 쿠폰을 제공하여 게시단계에서 게시된 음악제작방을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방문유도단계와;
상기 참여자단말기들과 네티즌단말기들이 방문유도단계에서 지급된 쿠폰으로 음악제작방에 게시된 기본멜로디의 호감도를 투표하는 호감도투표단계와;
상기 호감도투표단계에서 호감도의 순위에 따라서 마스터서버가 각 음악제작방들을 게시하는 순위게시단계와;
상기 참여자단말기들이 각각 원하는 음악제작방에 방문하여 기본멜로디에 편곡 또는 수정된 첨가멜로디를 등록하는 참여단계와;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가 첨가멜로디를 등록한 참여자단말기들 중 원하는 참여자단말기들을 모아서 별도의 녹음방을 개설하는 녹음방개설단계와;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가 녹음방에 참여자단말기들을 통해 참여자들이 녹음하고 믹싱을 하여 기본음원을 제작하는 녹음단계와;
상기 음악제작단말기가 기본음원을 마스터서버에 등록하고, 마스터서버는 기본음원을 게시하는 기본음원게시단계와;
상기 음악제작단말기가 마스터서버에 기본음원의 마스터링을 의뢰하고, 마스터서버는 마스터링한 완성음원을 음원판매서버에 제공하는 음악완성단계와;
상기 음악완성단계와 동시에 마스터서버는 완성음원을 저작권협회 서버에 제공하여 저작권등록을 하는 저작권등록단계와;
상기 네티즌단말기에서 완성음원을 음원판매서버에 비용을 지불하고 다운받는 음원판매단계와;
상기 음원판매서버에서 수익금을 마스터서버에 제공하고, 마스터서버는 음악제작자단말기 및 참여자단말기들의 음악제작 기여도에 따라서 수익금을 분배하는 수익금분배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에 의하면 네트워크상에서 참여자단말기를 통해서 세션이 구성되는 등 저렴한 비용으로 음악제작을 할 수 있고,
마스터서버가 완성음원에 대한 음악제작자 및 참여자들의 기여도를 분석하여 음원판매서버가 완성음원을 판매한 후에 기여도에 따라서 정확하게 수익분배가 이루어지며,
마스터서버에 음악제작자가 누구인지, 참여한 사람들은 누구인지, 그 기여도는 어떻게 되는지가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고, 저작권협회 서버에 등록을 함으로써 저작권이 명확하게 보호되며,
네티즌단말기를 통해서 다수의 네티즌들이 호감도를 투표하여 유명도가 떨어지는 음악제작자들이 만든 음악일지라도 음원판매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큰 기회사들의 횡포를 막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에 적용되는 각 서버들의 네트워크 연결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에서 사용되는 각 방의 구조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마스터서버(100)가 형성되고, 상기 마스터서버(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음원판매서버(200), 저작권협회 서버(300), 다수의 음악제작자단말기(110), 참여자단말기(130), 네티즌단말기(400)가 형성된 환경에서,
상기 마스터서버(100)가 음악제작자단말기(110)들 및 참여자단말기(130)들에게 회원가입시키는 회원등록단계(a)와;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110) 중 하나가 마스터서버(100)에 방개설을 요구하여 자신의 음악제작방(112)을 개설하는 방개설단계(b)와;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110)가 음악제작방(112)에 기본멜로디를 게시하는 기본멜로디 게시단계(c)와;
상기 마스터서버(100)가 참여자단말기(120)들과 네티즌단말기(400)들에 쿠폰을 제공하여 게시단계(c)에서 게시된 음악제작방(112)을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방문유도단계(d)와;
상기 참여자단말기(120)들과 네티즌단말기(400)들이 방문유도단계(d)에서 지급된 쿠폰으로 음악제작방(112)에 게시된 기본멜로디의 호감도를 투표하는 호감도투표단계(e)와;
상기 호감도투표단계(e)에서 호감도의 순위에 따라서 마스터서버(100)가 각 음악제작방(112)들을 게시하는 순위게시단계(f)와;
상기 참여자단말기(120)들이 각각 원하는 음악제작방(112)에 방문하여 기본멜로디에 편곡 또는 수정된 첨가멜로디를 등록하는 참여단계(g)와;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110)가 첨가멜로디를 등록한 참여자단말기(120)들 중 원하는 참여자단말기(120)들을 모아서 별도의 녹음방(114)을 개설하는 녹음방개설단계(h)와;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110)가 녹음방(114)에 참여자단말기(120)들을 통해 참여자(120)들이 녹음하고 믹싱을 하여 기본음원을 제작하는 녹음단계(i)와;
상기 음악제작단말기(110)가 기본음원을 마스터서버(100)에 등록하고, 마스터서버(100)는 기본음원을 게시하는 기본음원게시단계(j)와;
상기 음악제작단말기(110)가 마스터서버(100)에 기본음원의 마스터링을 의뢰하고, 마스터서버(100)는 마스터링한 완성음원을 음원판매서버(200)에 제공하는 음악완성단계(k)와;
상기 음악완성단계(k)와 동시에 마스터서버(100)는 완성음원을 저작권협회 서버(300)에 제공하여 저작권등록을 하는 저작권등록단계(l)와;
상기 네티즌단말기(400)에서 완성음원을 음원판매서버(200)에 비용을 지불하고 다운받는 음원판매단계(m)와;
상기 음원판매서버(200)에서 수익금을 마스터서버(100)에 제공하고, 마스터서버(100)는 음악제작자단말기(110)와 참여자단말기(120)들의 음악제작 기여도에 따라서 수익금을 분배하는 수익금분배단계(n)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터서버(100)는 본 발명의 메인서버(Mainserver)로 홈페이지 형태로 제공되고, 포털사이트(potalsite)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마스터서버(100)에는 네트워크상에서 음악제작자단말기(110), 참여자단말기(120) 및 네티즌단말기(400)들이 일정한 사이트(방)에 접속하여 녹음, 편집 및 간단한 믹싱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자유롭게 등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스터서버(100)는 높은 수준의 음악인들을 음악제작자단말기(110)로 회원가입시키고, 이를 통해서 만들어지는 완성음원이 보다 품질이 좋을 수 있도록 마스터링을 의뢰하거나 감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마스터서버(100)에는 저작번호가 음악제작방(112)이 만들어질 때마다 생성되고, 저작번호는 등록되는 기본멜로디 및 첨가멜로디에 각각 서브저작번호를 부여하여 참여한 사람, 시간을 정확하게 기재하고 이를 저작권데이터로 만들어서 상기 저작권등록단계(l)에서 완성음원을 등록할 때 함께 등록한다.
상기 음원판매서버(200)는 네트워크 상에서 음원들을 판매하는 사이트로 현재 활동 중인 모든 음원판매사이트가 이에 해당하고, 마스터서버(100)에서도 음원판매를 할 수 있다.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110)는 음악을 제작하고자 하는 사람들 즉, 음악인들이나 음악학원, 학교 등이 이에 해당하고, 단체이름 혹은 개인이름으로 마스터서버(100)에 회원가입한다.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110)는 유료로 마스터서버(100)에 가입할 수 있다.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110)는 참여자단말기(120) 및 네티즌단말기(400)가 자신들의 음악을 만들기 위해서 음악제작자단말기(110)가 언제든지 될 수 있다.
즉, 전문적인 음악인만이 음악제작자로서 음악제작자단말기(110)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참여자로서 참여자단말기(120) 및 일반 네티즌으로서 네티즌단말기(400)에서도 음악제작자단말기(100)로의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110) 역시 다른 음악제작자단말기(110)가 개설한 음악제작방(112)에서 참여자단말기(120)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음악제작자, 참여자, 네티즌은 모두 노래를 하거나, 작사, 작곡, 편곡 및 악기들을 다룰 수 있는 세션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방개설단계(b)는 음악제작자가 자신의 음악을 만들기 위해서 음악제작자단말기(110)를 통해서 마스터서버(110)에 음악제작방(112)를 개설해 줄 것을 요구하고 이를 개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게시단계(c)는 음악제작자가 자신이 개설한 음악제작방(112)에 기본멜로디를 게시하는 단계로, 기본멜로디는 마스터서버(100)가 즉시 게시한다.
상기 기본멜로디는 음악제작자가 창작한 것으로, 가사로만 되거나, 목소리로 흥얼거리거나, 악기로 연주된 것을 막론하고 어떠한 것도 음악제작의 기초가 되는 것이면 게시가능하다.
상기 방문유도단계(d)는 참여자단말기(120)들과 네티즌단말기(400)들에게 쿠폰을 제공하고 음악제작방(112)의 방문을 유도하는 것으로, 방문할 때마다 주어지는 기본쿠폰은 반드시 소진해야하고, 어디에든지 투표하여야 하므로 개설된 음악제작방(112)들을 방문하여 자신이 호감이 가는 기본멜로디에 호감도를 투표하게 된다.
상기 호감도를 투표하는 단계가 호감도투표단계(e)이고, 이러한 호감도투표단계(e)가 계속진행되어 마스터서버(100)에는 음악제작방(112)들의 순위가 나타나게 되고, 마스터서버(100)는 순위게시단계(ㄹ)를 진행한다.
상기 참여단계(g)는 참여자단말기(120)가 호감이 가는 음악제작방(112)에 들러서 기본멜로디에 덧입힐 수 있는 첨가멜로디를 등록한다.
상기 첨가멜로디는 기본멜로디가 피아노로 연주되어 있다면 기타연주를 덧붙혀서 만들거나, 목소리로만 되어 있다면 다른 악기로 연주하여 만드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참여자가 자신이 음악제작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사로 이를 등록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참여자단말기(120)에서 음악제작방(112)에 등록한 첨가멜로디 역시 마스터서버(100)가 게시하고, 호감도투표단계(e)를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녹음방개설단계(h)는 세션을 구성하는 단계와 비슷하고, 음악제작자가 첨가멜로디를 참고로 참여자를 선정하여 녹음방(114)을 개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녹음방(114)은 음악제작자단말기(110)에 의해서 일정한 시간에 지정된 참여자만이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마스터서버(1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녹음, 편집 및 믹싱프로그램이 작동된다.
상기 녹음단계(i)는 음악제작자단말기(110)와 지정된 참여자단말기(120)들이 네트워크 상에서 함께 녹음하고 기본음원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본음원은 믹싱단계의 음원이고, 음악제작자에 따라서는 이를 스스로 마스터링하여 기본음원을 완성음원으로 만들 수도 있다.
상기 음악완성단계(k)는 음악제작자단말기(110)가 마스터서버(100)에 마스터링(mastering)을 의뢰하여 완성음원을 만들기 위한 단계로 이 단계는 음악제작자단말기(110)의 능력에 따라서 생략가능하다.
상기 완성음원이 만들어지면 마스터서버(100)는 완성음원을 제작할 때의 기여도에 따라서 저작권데이터를 만들고 이를 저작권협회의 저작권협회서버(300)에 이를 등록하는 저작권등록단계(l)를 수행한다.
상기 음원판매단계(m)는 마스터서버(100)가 완성음원을 음악판매서버(200)에 제공하고, 이를 판매하는 단계로 네티즌단말기(400)가 완성음원을 구매하게 된다.
상기 수익금분배단계(n)는 음원판매단계(m)에서 발생한 수익금에 관하여 음원판매서버(200)의 수수료를 제한 나머지 금액을 마스터서버(100)로 보내고, 이 수익금은 저작권데이터의 참여비율에 따라 제작자, 참여자에게 정확하게 분배하여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참여비율이 정확하게 확인될 수 있는 것은 기본멜로디의 등록에서부터 완성음원을 만드는 전 단계가 마스터서버(100)가 제공하는 환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저작권데이터를 만들어 저작권협회에 저작권등로까지 하므로 대외적 공신력까지 높일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에 의하면 네트워크상에서 참여자단말기를 통해서 세션이 구성되는 등 저렴한 비용으로 음악제작을 할 수 있고,
마스터서버가 완성음원에 대한 음악제작자 및 참여자들의 기여도를 분석하여 음원판매서버가 완성음원을 판매한 후에 기여도에 따라서 정확하게 수익분배가 이루어지며,
마스터서버에 음악제작자가 누구인지, 참여한 사람들은 누구인지, 그 기여도는 어떻게 되는지가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고, 저작권협회 서버에 등록을 함으로써 저작권이 명확하게 보호되며,
네티즌단말기를 통해서 다수의 네티즌들이 호감도를 투표하여 유명도가 떨어지는 음악제작자들이 만든 음악일지라도 음원판매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큰 기회사들의 횡포를 막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0 : 마스터서버 110 : 음악제작자단말기
112 : 음악제작방 114 : 녹음방
120 : 참여자단말기 200 : 음원판매서버
300 : 저작권협회서버 400 : 네티즌단말기

Claims (5)

  1. 삭제
  2. 마스터서버가 형성되고, 상기 마스터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음원판매서버, 저작권협회 서버, 다수의 음악제작자단말기, 참여자단말기, 네티즌단말기가 형성된 환경에서,
    상기 마스터서버가 음악제작자단말기들 및 참여자단말기들에게 회원가입시키는 회원등록단계와;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 중 하나가 마스터서버에 방개설을 요구하여 자신의 음악제작방을 개설하는 방개설단계와;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가 음악제작방에 기본멜로디 등의 음악을 게시하는 기본멜로디 게시단계와;
    상기 마스터서버가 참여자단말기들과 네티즌단말기들에 쿠폰을 제공하여 게시단계에서 게시된 음악제작방을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방문유도단계와;
    상기 참여자단말기들과 네티즌단말기들이 방문유도단계에서 지급된 쿠폰으로 음악제작방에 게시된 기본멜로디의 호감도를 투표하는 호감도투표단계와;
    상기 호감도투표단계에서 호감도의 순위에 따라서 마스터서버가 각 음악제작방들을 게시하는 순위게시단계와;
    상기 참여자단말기들이 각각 원하는 음악제작방에 방문하여 기본멜로디에 편곡 또는 수정된 첨가멜로디를 등록하는 참여단계와;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가 첨가멜로디를 등록한 참여자단말기들 중 원하는 참여자단말기들을 모아서 별도의 녹음방을 개설하는 녹음방개설단계와;
    상기 음악제작자단말기가 녹음방에 참여자단말기들을 통해 참여자들이 녹음하고 믹싱을 하여 기본음원을 제작하는 녹음단계와;
    상기 음악제작단말기가 기본음원을 마스터서버에 등록하고, 마스터서버는 기본음원을 게시하는 기본음원게시단계와;
    상기 음악제작단말기가 마스터서버에 기본음원의 마스터링을 의뢰하고, 마스터서버는 마스터링한 완성음원을 음원판매서버에 제공하는 음악완성단계와;
    상기 음악완성단계와 동시에 마스터서버는 완성음원을 저작권협회 서버에 제공하여 저작권등록을 하는 저작권등록단계와;
    상기 네티즌단말기에서 완성음원을 음원판매서버에 비용을 지불하고 다운받는 음원판매단계와;
    상기 음원판매서버에서 수익금을 마스터서버에 제공하고, 마스터서버는 음악제작자단말기 및 참여자단말기들의 음악제작 기여도에 따라서 수익금을 분배하는 수익금분배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순위게시단계는 기본멜로디, 첨가멜로디, 기본음원 및 완성음원이 게시될 때마다 계속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자단말기 또는 네티즌단말기가 방문유도단계에서 제공받는 쿠폰은 마스터서버에 접속할 때마다 주어지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쿠폰은 반드시 투표하여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등록단계는 마스터서버가 제작하는 저작권데이터로, 상기 저작권데이터는 음악제작방이 만들어질 때마다 저작번호가 생성되고, 저작번호는 등록되는 기본멜로디 및 첨가멜로디에 각각 서브저작번호를 부여하여 참여한 사람, 시간을 기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KR1020140036509A 2014-03-28 2014-03-28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 KR101592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509A KR101592222B1 (ko) 2014-03-28 2014-03-28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509A KR101592222B1 (ko) 2014-03-28 2014-03-28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356A KR20150113356A (ko) 2015-10-08
KR101592222B1 true KR101592222B1 (ko) 2016-02-11

Family

ID=5434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509A KR101592222B1 (ko) 2014-03-28 2014-03-28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688B1 (ko) * 2018-10-01 2020-11-05 주식회사 사운드리퍼블리카 음원 수익 리워드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18B1 (ko) * 2012-05-23 2014-09-30 이청종 컨텐츠 협력작업의 수익배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356A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øvig-Hanssen Music in bits and bits of music: signatures of digital mediation in popular music recordings
KR20190076846A (ko) 디지털 음원에 대한 창작자와 편곡자와 소비자가 함께 참여하는 뮤직 플랫폼 시스템
KR20180025084A (ko)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Fritsch et al. The Cambridge companion to video game music
Bloustien Sonic synergies: Music, technology, community, identity
Porcello Sonic artistry: Music, discourse, and technology in the sound recording studio
Kirby The evolution and decline of the traditional recording studio
Wai Chen Group creativity: mapping the creative process of a cappella choi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Kingdom using the musical creativities framework
KR101592222B1 (ko) 네티즌참여 음악제작을 기반으로 한 음악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
KR101790107B1 (ko) 음악 종합 서비스 방법 및 서버
Leo Early blues and jazz authorship in the case of the “livery stable blues”
Bennett Intermixtuality: Case Studies in Online Music (Re) production
Dias et al. Improvisation in the digital age: New narratives in jazz promotion and dissemination
McIntyre et al. Examining the impact of multiple technological, leg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on the creative practice of sampling record producers in Britain
Reyes Sound, technology, and interpretation in subcultures of heavy music production
US200802220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usical Works
Morgan-Ellis Learning advantages of online old-time jams
KR20030000185A (ko) 연주방을 이용한 인터넷 자작곡 프로모션 방법 및 그에따른 프로모션시스템
KR20240053019A (ko) 음원제작 참여도에 따른 개인별 기여도 평가방법 시스템 및 크라우드 기반 음원제작 협업 시스템
Kgasago Download culture and the dilemma of postmodern technologies:(il) legal digital music sharing and itss effects on South African artistes
Dekovich Formal dialectic in heavy metal music
Ebare The Computerization of practice in peripheral music communities
Paolucci Developing a Forward-Looking Strategy for the Music Industry
Lightman Producing Bhangra: Music, Culture and Technology-Mediating Culture in Music Production
Eschbach Do You Hear What I Hear?: The Inequities in Substantial Similarity Tests for Musical Copyright Infringement C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