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089B1 -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089B1
KR102568089B1 KR1020210116313A KR20210116313A KR102568089B1 KR 102568089 B1 KR102568089 B1 KR 102568089B1 KR 1020210116313 A KR1020210116313 A KR 1020210116313A KR 20210116313 A KR20210116313 A KR 20210116313A KR 102568089 B1 KR102568089 B1 KR 102568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terminal
professional
composition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0038A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21011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0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허밍이나 멜로디를 포함한 작곡의 초기 형태에 따른 원시 음원을 업로드하는 원시 작곡 단말, 실용음악학과 재학 증명서 또는 경력 증명서를 업로드하며 전문 작곡가로 등록하며, 원시 음원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작곡을 수행한 후 완성된 전문 음원을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로부터 재학증명서 또는 경력증명서를 수집하여 전문 작곡가의 인력풀(Pool)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등록부, 원시 작곡 단말에서 원시 음원을 업로드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로부터 전문 음원을 업로드받는 업로드부, 원시 작곡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전문 음원 중 어느 하나의 전문 음원을 선택받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OLLABORATION BASED MUSIC CONTENTS PRODUCING SERVICE}
본 발명은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반인과 아마추어 제작자 간의 상호협업으로 음원을 제작하고 유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음원의 제작과정은 곡의 구성요소 중 주선율을 만드는 작곡, 곡의 구성요소 중 가사를 만드는 작사, 주 멜로디에 알맞은 반주를 만드는 편곡, 작곡가가 만든 주 멜로디를 가수가 부르고, 편곡가가 구성한 악기를 연주자들이 연주하는 것을 기록하여 저장하는 녹음, 곡을 구성하는 각각의 트랙의 주파수, 다이나믹, 공간감 등을 조절하여 조화로운 사운드로 다듬어주는 작업인 믹싱, 믹싱을 마친 음원들 간의 레벨 및 밸런스를 조절하고, 마지막으로 음색을 보정한 뒤 유통을 위한 최종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마스터링, 완성된 음원의 홍보 및 유통으로 이루어진다. 음원 판매수익에 대한 권리는 음원을 창작한 작곡, 작사, 편곡가를 통칭하는 저작권자 그리고 가수 및 악기 연주자를 통칭하는 실연자, 가수를 발굴하여 음원을 제작하는 제작사, 제작사를 대리하여 음원을 유통해주고 온라인에서 음원을 서비스하는 유통사에게 있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다수의 협업이 필수적인 시장이 음원시장이다.
이때, 온라인으로 다수의 창작자 및 제작자가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9-0054282호(2019년05월22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578381호(2015년12월24일 공고)에는, 음원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 음원제작 협업 서버를 마련하고, 음원 제작 소프트웨어에 플러그 인 된 음원 제작 협업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면, 협업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음원의 프리뷰 음원파일을 음원제작 협업 서버에 업로드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고, 프리뷰 음원파일이 업로드되면 음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음원제작 협업 서버가 제공하는 뮤지션 중에서 음원제작을 협업할 뮤지션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며, 음원제작을 협업할 뮤지션이 선택되고 선택된 뮤지션이 음원제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협업 음원 파일을 제작하여 음원제작 협업 서버에 업로드하면, 협업 음원파일을 저장하는 구성과, 다양한 창작자 및 제작자가 개방형 음원거래 플랫폼에서 음원을 거래할 수 있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은 일반인이 아닌 전문가를 중심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음원제작에 필요한 능력 또는 기술이 없는 일반인이 음원을 제작하고 싶은 경우에는 그 길이 열려있지 않고 노래를 부르고 싶은 경우에는 단순히 이미 제작된 노래를 따라하는 정도에 그칠 뿐이다. 또, 일반인이 단순 허밍으로 멜로디를 만들었다고 할지라도 이를 전문작곡가를 통하여 음원으로 탄생시킬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다. 이에, 일반인과 전문가의 협업을 통하여 다양한 장르와 유형의 음원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의 구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반인 및 아마추어 뮤지션이 참여하여 작곡, 작사, 편곡, 녹음, 믹싱 및 마스터링의 전 과정을 협업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 음원이 제작되면 홍보 및 유통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서비스함으로써 일반인이나 아마추어 뮤지션이라도 자신의 음원을 제작하고 발매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으며, 하나의 음원에 다수의 창작자 및 제작자가 참여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저작권 분쟁을 막기 위해 회원제로 운영하고, 음원 제작의 각 단계별로 창작자의 창작물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각 단계별로 원하는 창작물을 선택하여 상품을 고르듯이 선택하여 자신의 음원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허밍이나 멜로디를 포함한 작곡의 초기 형태에 따른 원시 음원을 업로드하는 원시 작곡 단말; 실용음악학과 재학 증명서 또는 경력 증명서를 업로드하며 전문 작곡가로 등록하며, 상기 원시 음원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작곡을 수행한 후 완성된 전문 음원을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로부터 재학증명서 또는 경력증명서를 수집하여 전문 작곡가의 인력풀(Pool)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등록부와, 상기 원시 작곡 단말에서 상기 원시 음원을 업로드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로부터 전문 음원을 업로드받는 업로드부와, 상기 원시 작곡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전문 음원 중 어느 하나의 전문 음원을 선택받는 선택부와, 작곡, 작사, 편곡, 녹음, 믹싱, 마스터링, 홍보 및 유통을 포함하는 음원 제작과정의 각 단계를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를 등록받아 회원제로 운영하는 회원관리부와, 상기 원시 작곡 단말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의 창작물의 결합으로 하나의 음원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음원에 대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에 대한 수익분배를 기 설정된 사용료 징수규정에 따라 수행하는 분배부를 포함하는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전문 음원에 대한 작사 데이터를 업로드하거나 작사 공간 메뉴 내에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하위 메뉴에 작사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사 단말; 및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전문 음원에 상기 업로드된 작사 데이터로 노래를 불러 녹음된 결과물인 음악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기 유통된 음원으로 노래를 불러 녹음된 결과물인 음악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수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은, 멜로디 상에 고유의 오디오 시그니쳐를 삽입하고, 상기 삽입된 오디오 시그니쳐를 추출하여 음원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추출된 오디오 시그니쳐와 완성된 전문 음원을 블록체인 및 분산저장시스템을 통해 저장하여 음원의 저작권을 검색 및 검증하도록 하되, 상기 추출된 오디오 시그니쳐는 블록체인 블록의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되며, 블록체인의 블록 생성 제한 크기에 부합되도록, 상기 추출된 오디오 시그니쳐의 데이터 크기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시 작곡 단말은, 상기 음원 제작과정의 각 단계를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의 창작물을 선택하도록 하고, 중개 방식의 플랫폼을 구성하거나, 협업 플랫폼 내에서 다수가 참여하여 하나의 음원을 만들도록 구성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은, P2SH(Pay to Script Hash)에서 교환 스크립트의 크기를 20bytes의 고정 크기로 축소시킨 해시 함수를, 상기 추출한 오디오 시그니쳐와 원본 음원 파일에 적용하고, 해시되기 이전의 오디오 시그니쳐와 음원 파일은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를 활용하여 별도의 노드로 분할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작사 단말에 의해 업로드된 작사 데이터에 속한 단어들의 발음이 멜로디를 방해하지는 않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일반인 및 아마추어 뮤지션이 참여하여 작곡, 작사, 편곡, 녹음, 믹싱 및 마스터링의 전 과정을 협업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 음원이 제작되면 홍보 및 유통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서비스함으로써 일반인이나 아마추어 뮤지션이라도 자신의 음원을 제작하고 발매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으며, 하나의 음원에 다수의 창작자 및 제작자가 참여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저작권 분쟁을 막기 위해 회원제로 운영하고, 음원 제작의 각 단계별로 창작자의 창작물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각 단계별로 원하는 창작물을 선택하여 상품을 고르듯이 선택하여 자신의 음원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원시 작곡 단말(100),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작사 단말(500) 및 가수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원시 작곡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원시 작곡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작사 단말(500) 및 가수 단말(6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작사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원시 작곡 단말(100),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수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시 작곡 단말(100), 전문 작곡 단말(400),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작사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원시 작곡 단말(100)은,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허밍이나 멜로디와 같은 완성되지는 않았지만 곡의 구성요소 중 멜로디 부분을 녹음하여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원시 작곡가는 일반인일 수도 있지만 전문가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원시 작곡가는, 자신이 흥얼거리거나 캐치 프레임과 같은 메인 멜로디가 있지만 이를 어떻게 전문적으로 작곡을 해야하는지, 어떻게 메인 멜로디로 끌어나가기 위한 기승전결을 만들 것인지, 다른 음과 어떻게 조화를 시켜야 하는지 등을 모르는 일반인일 수 있다. 또, 원시 작곡가는, 자신이 선택하여 전문 작곡가, 작사가 및 가수를 선택할 수도 있고, 전문 작곡가, 작사가 및 가수가 자진하여 협업하는 방식으로 음원 제작과정을 진행해 나가는 사람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개의 방식과 같이 플랫폼이 구성될 수도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협업 플랫폼 내에서 다수가 참여하여 하나의 음원을 만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원시 작곡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원시 작곡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원시 작곡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 예를 들어, 전문 작곡 단말(400), 작사 단말(500) 및 가수 단말(600)을 모집하여 인력풀을 만들고 음원 제작의 프로세스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며, 그 하위 분류로 강 전문가의 전문 영역이나 장르 등을 세분화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원시 작곡 단말(100)로부터 허밍이나 멜로디와 같은 원시 음원이 업로드되는 경우, 전문 작곡 단말(400)로 작곡을 요청하거나 협업을 요청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로부터 전문 음원이 업로드되는 경우, 원시 작곡 단말(100)에서 선택하도록 하거나 각자 개별로 저작권의 이용허락을 맡아 전문 작곡가가 자신의 음원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작사 단말(500) 및 가수 단말(600)에서 해당 전문 음원에 대하여 작사 및 노래를 불러 업로드를 하는 경우 이를 마찬가지로 원시 작곡 단말(100)에서 선택하도록 하거나 각자 개별로 저작권의 이용허락을 받아 개별로 음원을 제작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작곡, 작사, 녹음(노래)이 완료된 경우 유통 플랫폼을 선택하여 음원을 유통하는 서버일 수 있고,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각 창작자 및 제작자에게 음원을 기 설정된 비율로 분배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은,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전문 작곡가의 단말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실용음악과 학생이나 작곡에 경력이 있는 전문가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전문 작곡 단말(400)은, 원시 작곡 음원을 이용하여 전문 작곡을 수행하는 전문 작곡가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동일한 멜로디라고 할지라도 절정부까지 어떻게 기승전결을 맺는지에 따라 곡은 서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전문 작곡 단말(400)에서 업로드한 전문 작곡 음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표절을 막기 위하여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문 작곡 단말(400)에서 전문 작곡을 할 때 또는 전문 작곡 음원을 업로드할 때 표절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업로드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작사 단말(500)은,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작사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작사가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작사 단말(500)은 전문 작곡 단말(400)에서 완성한 전문 작곡 음원에 대하여 작사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도 있고, 자신이 기존에 완성한 작사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작사 데이터에 대하여 저작권 등록을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수행하도록 대행을 맡기는 단말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작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작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작사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수 단말(600)은,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노래를 부르는 가수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가수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수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가수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업로드부(320), 선택부(330), 회원관리부(340) 및 분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원시 작곡 단말(100), 전문 작곡 단말(400), 작사 단말(500) 및 가수 단말(600)로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원시 작곡 단말(100), 전문 작곡 단말(400), 작사 단말(500) 및 가수 단말(600)은,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원시 작곡 단말(100), 전문 작곡 단말(400), 작사 단말(500) 및 가수 단말(6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이전에, 음원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한 개념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작곡>
작곡이란 곡의 구성요소 중 주선율을 만드는 것이다. 주선율이란 곡에서 가수가 가창하게 되는 멜로디(Melody)를 뜻하며 작곡을 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그 멜로디에 어울리는 화음도 함께 만들게 된다. 오선악보에 음표를 사용하여 멜로디를 그리고 화음기호를 표기하는 행위(전문 작곡), 피아노나 기타와 같은 악기의 반주 위에 멜로디를 흥얼거리는 행위, 휴대폰이나 녹음기에 즉흥적으로 떠오르는 멜로디를 녹음하는 행위(원시 작곡), 컴퓨터 안에서 음악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멜로디를 만드는 행위 등을 모두 작곡이라고 칭한다. 작곡의 주체는 작곡가이며 멜로디는 작곡가 내면의 영감과 음악적 논리에 따른 기술이 합하여져 만들어 진다. 그 중 작곡가 내면의 영감이 가장 중요한 모티브가 되므로 작곡된 멜로디에는 작곡가 개인의 창의성과 독창성이 반영돼야한다.
이러한 멜로디 안에는 특정한 템포(Tempo) 및 리듬(Rhyme)이 나타나며 장르(Genre)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전체적인 곡의 형식을 담고 있기 때문에 작사 및 편곡을 할때에 참고기준이 된다. 그렇지만 음원제작과정에 있어서 작곡이 항상 가장 처음 단계인 것만은 아니다. 때론 가사가 먼저 만들어 지고 그 위에 멜로디를 붙이는 경우도 있고, 편곡이 먼저 완성되어 그 반주 위에 멜로디를 붙이는 경우도 있으며, 때론 작곡과 작사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작곡, 작사, 편곡 이 세 가지의 제작순서는 상황에 따라서 유기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주체 또한 각 사람이 아닌 한 사람이 모두 다 맡아서 할 수도 있다.
<작사>
작사란 곡의 구성요소 중 가사를 만드는 것이다. 주체는 작사가이며 곡의 주제에 맞추어 가사를 붙여 멜로디에 의미를 부여한다. 이때의 가사는 산문적 형태 보다는 운문적 형태에 가까우며 주제, 악구, 운율, 발음 등의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멜로디를 돕는다. 가사의 주제는 멜로디가 가진 분위기를 잘 뒷받침해줄 수 있는 것이면서, 듣는 이의 공감대를 끌어낼 수 있어야한다. 작곡가나 제작자가 주제를 제시해 주는 경우도 있으며, 상호 조율하여 가사를 완성한다. 가사의 구조를 곡의 악구에 맞추어주면 보다 자연스러운 흐름의 노래가 될 수 있으며 운율을 맞추는 것은 가사에 음악적인 색채를 부여한다. 또한 가사에 속한 단어들의 발음이 멜로디를 방해하지는 않는지 고려해야하는데 이는 노래를 부르는 가수가 특정 음에서 표현해 내기 힘든 발음들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작사 또한 작사가의 영감으로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계산된 구조와 형식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곡이 지닌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편곡>
편곡이란 주 멜로디에 알맞은 반주를 만드는 것이다. 주체는 편곡가이며 작곡가가 만든 주 멜로디에 알맞게 드럼, 기타, 베이스, 피아노, 신디사이저 등의 여러 가지 악기를 적재적소에 편성하고 어떻게 연주할 것인지 연출하여 작곡된 곡을 실제로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편곡가들은 DAW를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웨어안에서 VSTI를 사용하여 편곡에 필요한 악기를 시퀀싱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각각의 악기의 트랙 중에 그대로 음반에 들어갈 트랙과 다시 실제연주로 녹음할 트랙을 선별한 후, 가편곡 상태의 음원을 실연자에게 보내어 연주를 준비하게 한다. 주 멜로디가 의도하는 장르적 특성, 리듬, 색채 등을 실제적 음원의 형태로 표현해내는 것이 편곡가의 몫이기 때문에 편곡자들은 여러 악기를 소프트웨어내에서 다루는 데에 능숙해야하며, 곡의 전체적인 구조와 상세한 부분을 동시에 파악할 줄 아는 능력이 있어야한다. 때로는 작곡가가 만든 멜로디와 코드 및 곡의구성 등을 일정 부분 수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미 완성되어 발매된 곡을 새롭게 재편곡하는 경우도 있다.
편곡은 과거 작곡의 하위개념으로 생각되어 온 것이 사실이나, 최근에는 다양한 장르의 발달로 인해 작곡과 편곡이 대등하게 취급되고 있다. 그리하여 한국도 곡의 반주를 만든 편곡가를 공동작곡가로 함께 인정해 작곡에 대한 저작권을 갖도록 하는 방식으로 바뀌어 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하나의 작품을 여러 명의 곡자들이 나눠서 작곡 및 편곡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는 음원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작곡 및 편곡을 전문으로 하는 여러 명의 곡자들이 모여 팀을 이루어 각자의 능력대로 맡은 역할을 수행한 후, 그 것을 모두 반영하여 완성도 있는 작품을 대량으로 만들어내는 산업화 및 분업화의 현상으로 보여진다.
<녹음>
녹음이란 작곡가가 만든 주 멜로디를 가수가 부르고, 편곡가가 구성한 악기를 연주자들이 연주하는 것을 기록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녹음의 주체는 가수 및 악기 연주자들을 뜻하는 실연자와 녹음을 받아주는 레코딩엔지니어, 그리고 디렉팅을 하는 작곡가 및 편곡가가 있다. 흔히 스튜디오라고 부르는 녹음실에서 레코딩엔지니어는 실연에 필요한 마이크 및 각종 장비들을 세팅하고 녹음을 실시하여 그 내용을 소프트웨어에 저장한다. 녹음한 여러 테이크들 중 작곡가 및 편곡자의 협의를 통해 엄선된 것만을 편집하여, 다음 단계인 믹싱을 위해 보내주는 것까지가 레코딩엔지니어의 역할이다.
레코딩엔지니어가 믹싱엔지니어까지 겸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모든 과정을 위해 엔지니어는 음향학적인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녹음의 결과는 실연자 개인의 역량에 큰 영향을 받는다. 악기연주자의 경우에 편곡가가 상세한 연주방법을 지시하기도 하지만, 연주가의 독창적인 역량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수 또한 가창실력에 따라 녹음의 결과가 크게 달라진다. 이렇게 녹음이 되어진 모든 트랙은 레코딩엔지니어에 의해 멀티트랙으로 정리되어 믹싱스튜디오로 보내어진다.
<믹싱>
믹싱이란 곡을 구성하는 각각의 트랙의 주파수, 다이나믹, 공간감 등을 조절하여 조화로운 사운드로 다듬어주는 작업을 말한다. 주체는 믹싱엔지니어이며 믹싱은 엔지니어의 음악적인 소양을 바탕으로 한 음향기술의 역량이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믹싱엔지니어는 각 트랙별 음원을 여러 가지 이펙터들을 통하여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만드는데, 각각의 트랙이 조화롭게 어우러진다는 것은 곡을 구성하는 악기들이 서로 충돌되지 않고 골고루 각각의 위치를 지키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다. 각 악기는 고음역대와 저음역대, 중음역대 등등 전 주파수에 골고루 분포해야하며 다이나믹과 공간감 등을 이용하여 큰 음량과 작은 음량의 악기가 조화롭게 존재하도록 한다. 스피커의 좌우에 소리들이 균형있게 분배되도록 조절하는 등의 조절을 마치면 트랙은 믹싱엔지니어에 의해 2채널로 정리되어 마스터링스튜디오로 보내어진다.
<마스터링>
마스터링이란 믹싱을 마친 음원들 간의 레벨 및 밸런스를 조절하고, 마지막으로 음색을 보정한 뒤 유통을 위한 최종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단계이다. 이 단계도 역시 믹싱과 마찬가지로 주체인 마스터링엔지니어의 음악적인 소양을 바탕으로 한 음향기술의 역량이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마스터링은 크게 세 가지의 목적을 갖는데 첫 번째 목적은 각각의 음원의 최종보정을 하는 것이다. 믹싱에서 다듬은 음원의 음색을 최종적으로 또 다시 미세하게 조절하고 음압을 올려준다. 두 번째 목적은 각 음원간의 레벨조절 및 앨범 전체 캐릭터의 일관성을 만들어 주는 것인데 이를 통해 소비자가 앨범을 들을 때에 각각의 트랙을 옮겨서 듣게 되더라도 레벨의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해주고 여러 가지 장르 및 색채의 곡이 모여 하나의 앨범을 이루게 될 때에 앨범 전체의 통일감을 부여하게 된다. 세 번째 목적은 유통을 위한 준비이다. 음원이 완성이 되어 유통사 등에 전달될 때에 필요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주거나, 곡에 대한 정보를 파일에 심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마스터링 단계를 지나면 이제 작곡가, 작사가, 편곡가, 연주가, 레코딩엔지니어, 믹싱엔지니어, 마스터링엔지니어 등 음악에 관여했던 창작자들의 역할은 끝이 나고 최종 음원은 제작사 및 유통사로 넘겨져 본격적으로 소비자들 귀에 들어 갈 준비를 하게 된다.
<홍보 및 유통>
완성된 음원의 홍보 및 유통은 제작사와 유통사가 주체가 된다. 제작사는 가수 및 아티스트를 섭외하여 음원을 제작하고 그 가수 및 아티스트의 연예활동과 매니지먼트를 담당하며, 유통사는 제작사로부터 음원을 받아 시장에 유통하고 배급한다. 이 둘은 홍보 및 유통에 있어서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데 그것은 두 회사의 수익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유통사는 제작사에게 투자금을 지급하고 제작사는 그 자금으로 가수의 음원을 제작한다. 완성된 음원은 유통사가 제작사를 대리하여 유통하게 되는데, 그때 발생하는 유통수수료가 유통사의 가장 기본적인 수익모델이 된다. 음원의 성공여부에 따라 위험부담을 갖는 제작사보다 유통사는 여러 제작사들로부터 다양한 음원을 공급받고 대부분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온라인 음원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그 음원을 판매하기 때문에 일정 규모의 유통량을 확보하여 유통의 수가 많아지면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전 CD나 Tape의 음반 위주의 시장에서는 재고나 제품파손 등의 문제로 판매량 하위 80%의 음반을 계속 전시하는 것이 힘든 일이였기에 발매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소비자가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온라인 음원시장에서는 소비자가 발매 후 오랜 시간이 지난 앨범을 찾아 듣는 것이 손쉽고 금전적인 부담도 없기 때문에 과거의 앨범들도 꾸준한 매출을 올리는 롱테일효과가 나타나게 되었다.
제작사가 유통사에게 음원제작에 필요한 투자금을 받는 이유는 홍보 때문이다. 앞서 설명했듯이 유통사는 대부분 자사의 온라인 음원서비스 플랫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안에서 소비자들의 접근을 높이는 이벤트, 추천검색어 등의 여러 가지 방식의 홍보가 가능하다. 유통사 입장에서 또한 자신들이 투자한 제작사의 음원이 안정적인 매출을 올려야 투자금을 회수 할 수 있음으로 그 음원에 대한 노출을 높일 수밖에 없고 제작사는 그로 인해 경쟁음원보다 우위를 차지할 확률이 높으므로 음원제작에 필요한 제작비가 부족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효과를 위해 투자를 받는 경우가 많다.
국내 대표적인 제작사로는 SM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 로엔엔터테인먼트 등이 있고 유통사로는 카카오, KT, CJ E&M, 네이버, NHN 등이 있다. 이들 유통사가 각각 가지고 있는 음원서비스 플랫폼은 멜론(카카오), 지니(KT), 엠넷뮤직(CJ E&M), 네이버뮤직(네이버), 벅스(NHN) 이며 외국 기업인 애플의 애플뮤직(Apple Music), 구글(Goole)의 유튜브뮤직(Youtube Music)등도 국내시장에 진출하였지만 이미 대부분의 사용자들을 흡수한 국내플랫폼에 밀려 안착하지 못한 실정이다. 위에 나열한 유통사의 국내 음원시장 점유율은 카카오의 멜론이 국내 음원매출의 57%를 차지하며 독주하는 체제를 이루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해 멜론을 운영하던 로엔엔터테인먼트를 1조 9000억원에 인수 합병함으로써 카카오톡을 비롯한 소비자 서비스와 시너지를 일으켜 2017년 1분기 음원매출이 1,336억원을 기록했다. 2위인 KT의 지니가 337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보면 이는 경쟁 유통사를 멀찌감치 따돌린 성장이고 이에 다른 유통사들도 자사의 플랫폼을 이용한 게임, 웹툰, 인공지능 스피커, 영상컨텐츠 등을 통해 다양한 시너지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음원이 제작 및 유통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주체가 요구되고 그 분배방식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17년부터 설정해두었다. 본 발명의 전문 작곡가, 작사가, 가수 이외에도 다양한 엔지니어 등 제작자가 더 전문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유통 플랫폼도 어느 하나에 한정하지는 않고 나열된 것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등록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로부터 재학증명서 또는 경력증명서를 수집하여 전문 작곡가의 인력풀(Pool)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전문 작곡 단말(400)은 오디오 시그니쳐를 더 등록할 수도 있다. 오디오 시그니쳐는 이후 표절 등의 시비나 저작권 분쟁 또는 저작권 침해 등 에 문제가 발생할 염려를 제거하기 위하여 자신만의 시그니처를 멜로디 상에 삽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JYP에서는 도입 부분에 JYP라는 음원을 넣어 자신이 만든 곡임을 밝히고 브레이브사운드에서도 마찬가지로 도입부에 이러한 시그니처를 넣어 자신의 곡임을 밝히고 있다. 이렇게 오디오 시그니처를 추출하여 각 음원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블록체인과 분산저장시스템을 통해 저장함으로써, 음원의 저작권 을 검색 및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의 기반을 만들 수도 있다.
블록체인의 블록은 헤더와 트랜잭션(Transaction) 데이터로 구분된다. 트랜잭션에는 현재 블록의 생성을 위한 모든 변경내역을 저장하며, 블록 헤더에는 이전 블록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그 결과를 포함시킨다. 이전 블록의 데이터 암호화 과정에서 수행하는 해쉬연산은 단방향 연산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암호화 결과의 역산을 통해 이전 블록의 데이터를 복호화 하는 것이 어렵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블록체인의 모든 참여자(노드)들은 모두 같은 블록 데이터를 공유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무결성에 대한 보장이 가능하며, 일부 특정 노드나 블록체인 관리자에 의해 무단으로 데이터의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블록체인의 특징을 활용하여, 음원의 특징을 추출한 오디오 시그니쳐가 블록체인 블록의 트랜잭션 데이터로 포함되어 있다면, 추후 생성될 블록들과의 비교를 통해 특정 음원의 저작권에 대하여 검증이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블록체인에서는 포함할 수 있는 블록 트랜잭션 데이터의 크기에 제한을 두고 있다. 비트코인에서는 1MB로 블록 크기를 제한하고 있으며, 이더리움에서 역시 최대 1MB까지로 그 크기를 제한하고 있다. 이에, 추출한 오디오 시그니쳐 데이터가 블록체인의 블록 생성 제한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지에 대한 검증이 먼저 필요하다. 먼저, 오디오 시그니쳐를 직접 추출하여 블록체인의 블록에 포함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알아본다. 오디오 시그니쳐의 추출 대상으로는 mp3확장자의 10개 음원 파일을 선정할 수 있다. 음원 파일 확장자의 경우,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3개의 확장자(wav, flac, mp3)중 가장 사용 빈도가 높고, 비교적 음원파일의 크기가 작은 mp3를 선택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음원 파일에서 추출한 오디오 시그니쳐를 블록 트랜잭션 데이터에 직접 포함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추출한 오디오 시그니쳐를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로 포함시키기에 알맞은 크기로 축소시키도로 R한다.
<P2SH(Pay to Script Hash)>
비트코인 상의 거래는 트랜잭션에 작성된 스크립트(script)의 실행을 통해 이루어진다. 스크립트는 잠금 스크립트(Locking script)와 해제 스크립트(Unlocking script)로 구분할 수 있다. 잠금 스크립트는 거래를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요건들이 작성된 스크립트로써, 거래 대상자의 정보, 실제 진행되어야 하는 거래의 내용 등이 작성되어 있다. 잠금 스크립트에 작성된 거래 조건을 확인하여 실제 거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잠금 스크립트에서 요구하는 알맞은 값을 해제 스크립트에서 제시하여 해당 거래의 소유자인지를 검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잠금 스크립트에는 거래 대상자의 공개키(public key)를 활용하기 때문에, 거래를 위해서는 개인키(private key)를 활용한 해제 스크립트를 제시하여 상호 검증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거래에 참여한 대상자가 여럿인 경우, 각 참여자의 공개키를 모두 포함하는 잠금 스크립트를 작성해야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2SH에서는 먼저 각 참여자의 공개키들을 모아 하나의 교환 스크립트(redeem script)로 생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교환 스크립트에 해시 과정을 거쳐 20bytes 고정크기의 잠금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잠금 스크립트는 거래 참여자의 공개키를 모두 나열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훨씬 효율적인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n개의 공개키를 사용하여 작성한 교환 스크립트와 해시를 활용한 잠금 스크립트 및 해제 스크립트를 이용하고, P2SH에서의 방법을 활용하여 20bytes의 축소된 오디오 시그니쳐 값을 얻을 수 있다. 축소된 오디오 시그니쳐는 블록 트랜잭션 데이터로 포함시키기에 충분한 크기를 만족한다. 이를 활용하면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만의 비교를 통해 단순한 형태의 음원 저작권 검증은 가능하다.
하지만, 원본 음원 파일이나 오디오 시그니쳐에 대한 요청 등을 통한 비교 검증이 어렵기 때문에 음원 저작권의 검증에 필요한 저장 방법이라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음원 및 음원의 오디오 시그니쳐와 같은 원본 파일들에 대한 저장을 위해 분산파일시스템(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을 이용할 수 있다. IPFS는 Torrent로 대표되는 P2P기반의 분산파일저장 방법으로써, 하나의 파일을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관리 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IPFS는 먼저 원본데이터 파일의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일련의 암호화 과정을 거친다. 이 후 암호화된 파일은 보다 작은 크기의 여러 개의 샤드(Shard)로 분할하고, IPFS에 연결된 여러 노드들에 분산되어 저장된다.
여러 노드에 분산 저장된 데이터들은 DHT(Distributed Hash Table)라는 구조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분할된 노드들은 각각 키(key)와 대응값(value) 쌍의 구조를 지니며, 각 노드를 구별할 수 있는 고유의 해시 값을 키로 나타낸다. 대응값에는 해당 노드가 저장된 위치나 자신과 관련이 있는 노드의 정보가 담겨있다. 예를 들어 70MB크기의 파일을 IPFS를 사용하여 3개의 노드로 분할할 수 있다. 분할된 노드들은 DHT를 통해 관리되기 때문에 각각 키와 대응값을 갖는다. 각 노드들은 원본 파일의 해시 값(9627)에 특정 문자나 숫자를 추가하여(A9627, B9627, C9627) 키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분할된 각 노드들이 9627의 해시 값을 갖는 원본파일로부터 분할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할된 각 노드들은 대응값으로 자신이 저장된 저장소의 위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원본 파일로의 통합이나 관리가 가능하다.
상술한 기술들과 함께 블록체인과 분산저장시스템에 기반하여 음원 및 오디오 시크니쳐를 저장할 수 있다. P2SH에서 교환 스크립트의 크기를 20bytes의 고정 크기로 축소시킨 해시 함수를 추출한 오디오 시그니쳐와 원본 음원 파일에 적용한다. 생성된 오디오 시그니쳐와 음원 파일의 20bytes 해시 값을 블록 트랜잭션 데이터에 추가하여 블록체인에 포함시킨다. 이때, 해시되기 이전의 오디오 시그니쳐와 음원 파일은 IPFS를 활용하여 별도의 노드로 분할하여 관리한다. IPFS의 노드들은 DHT구조를 통해 관리되기 때문에, 블록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시그니쳐의 해시 값과 음원 파일의 해시 값을 참조하여 IPFS에 분산 저장된 원본 데이터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추출한 오디오 시그니쳐와 원본 음원 파일에 해시함수를 적용하여 각각 20bytes 크기의 해시 값(2FB9C7AA, C74DFA2B)을 추출한다. 이렇게 얻은 해시 값은 블록 트랙잭션 데이터에 추가되어 블록체인에 포함시킨다. 오디오 시그니쳐 파일과 원본 음원 파일은 IPFS를 통해 여러 노드로 분할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블록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시킨 각각의 해시 값(2FB9C7AA, C74DFA2B)에 특정 문자나 숫자를 포함시켜 분할된 각 노드의 키값으로 구성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시그니쳐 노드의 경우 각각 a2FB9C7AA, b2FB9C7AA, c2FB9C7AA의 해시 값을 키로 갖고, 음원 파일의 노드의 경우 aC74DFA2B, bC74DFA2B, cC74DFA2B의 해시 값을 키로 갖는다. 이를 통해 추후 오디오 시그니쳐 파일이나 원본 음원 파일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블록체인 데이터에는 오디오 시그니쳐를 비롯한 음원(제작이 완료된 음원)의 해쉬 값이 직접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탐색을 통해 트랜잭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음원에 대한 저작권 검증이 가능하다. 나아가 P2SH에서 교환 스크립트 작성에 활용한 해시 방법을 적용하여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축소시켜 블록 내 포함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업로드부(320)는, 원시 작곡 단말(100)에서 원시 음원을 업로드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로부터 전문 음원을 업로드받을 수 있다. 원시 작곡자는 허밍이나 간단한 멜로디로 작곡을 했기 때문에 곡의 기승전결이 없을 수 있고 도입부에서 절정으로 가는 멜로디도 없을 수 있다. 전문 작곡가는 <작곡> 부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그 멜로디에 어울리는 화음도 함께 만들게 되며, 오선악보에 음표를 사용하여 멜로디를 그리고 화음기호를 표기하는 행위 등을 더 부가할 수 있다.
선택부(330)는, 원시 작곡 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된 전문 음원 중 어느 하나의 전문 음원을 선택받을 수 있다. 만약 1 개의 원시 음원에 다양한 장르나 멜로디의 전개로 다양한 음원이 업로드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본 발명의 플랫폼이 중개 방식으로 구현된다면 원시 작곡가는 자신이 원하는 멜로디를 살려서 작곡한 전문 작곡가의 음원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각자 저작권의 이용허락을 맡아 서로 다른 작곡을 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전문 작곡가가 해당 멜로디를 주로 사용하여 서로 다른 작곡, 편곡, 믹싱 등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작사 단말(500)은, 선택부(330)에서 선택된 전문 음원에 대한 작사 데이터를 업로드하거나 작사 공간 메뉴 내에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하위 메뉴에 작사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수 단말(600)은, 선택된 전문 음원에 업로드된 작사 데이터로 노래를 불러 녹음된 결과물인 음악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기 유통된 음원으로 노래를 불러 녹음된 결과물인 음악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회원관리부(340)는, 작곡, 작사, 편곡, 녹음, 믹싱, 마스터링, 홍보 및 유통을 포함하는 음원 제작과정의 각 단계를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를 등록받아 회원제로 운영할 수 있다. 이때, 원시 작곡 단말(100)은, 음원 제작과정의 각 단계를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의 창작물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본 플랫폼은 중개를 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때, 원시 작곡 단말(100)은, 허밍이나 멜로디를 포함한 작곡의 초기 형태에 따른 원시 음원을 업로드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은, 실용음악학과 재학 증명서 또는 경력 증명서를 업로드하며 전문 작곡가로 등록하며, 원시 음원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작곡을 수행한 후 완성된 전문 음원을 업로드할 수 있다.
분배부(350)는, 원시 작곡 단말(100)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의 창작물의 결합으로 하나의 음원이 생성되고, 생성된 음원에 대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에 대한 수익분배를 기 설정된 사용료 징수규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사용료 징수규정은 문화체육관광부 음악저작물 사용료 징수규정을 따를 수 있으나 사인 간의 계약으로 그 분배비율이나 사용료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음원 판매수익에 대한 권리는 음원을 창작한 작곡, 작사, 편곡가를 통칭하는 저작권자 그리고 가수 및 악기 연주자를 통칭하는 실연자, 가수를 발굴하여 음원을 제작하는 제작사, 제작사를 대리하여 음원을 유통해주고 온라인에서 음원을 서비스하는 유통사에게 있다. 2016년 2월에 개정되어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 음악저작물 사용료 징수규정에 따르면, 음원서비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음원수익은 44%, 40%, 10%, 6%로 나누어 각각 제작사, 유통사, 저작자, 실연자에게 분배된다. 그렇지만 이것은 표면적인 분배율일 뿐 각각의 분배에 필요한 신탁수수료를 제외한 실질적인 분배는 조금 다를 수 있다.
세부적인 분배율을 살펴보면 제작사는 총 음원수익의 44%를 분배받는데, 저작물이 누구에 의해 언제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스스로 다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사단법인 한국음반산업협회에 분배금액의 평균 20%를 수수료로 지불하고 집계를 신탁한다. 그 수수료를 제외한 수익은 일정부분 다시 저작권자와 실연자에게 회수된다. 제작사는 작곡가, 작사가, 편곡가에게 지급할 창작의뢰비용 및 연주자에 대한 연주의뢰비용, 그리고 음향엔지니어에 대한 인건비도 지급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실제 음원제작에 필요한 비용을 지불한 나머지 금액을 또 다시 소속가수와의 음원수익 분배계약에 따라 나누어 갖게 되고, 그때 제작사와 가수의 분배비율은 소속가수의 경력 및 여러가지 계약조건에 따라 각기 달라진다.
유통사는 온라인 음원서비스 플랫폼에 음원을 배포하고 총수익의 40%를 분배받는데, 분배금액에서 또 다시 지불할 곳이 없기 때문에 결국 유통사는 실질적으로 총 음원수익 중 가장 큰 비율을 가져가게 된다. 저작권자는 총 음원수익의 10%를 분배받고 저작권협회와 신탁계약을 맺어 분배금액의 평균 9%를 수수료로 지불한다. 그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수익을 작곡가, 작사가, 편곡가가 각기 5:5:2의 비율로 나누어 분배받고 공동작업의 경우에는 1/n, 혹은 기여도에 따라 비율을 나누게 된다. 현재 저작권신탁관리를 하는 협회로는 현재 사단법인 한국음악저작권 협회와 사단법인 함께하는한국음악저작인협회가 있다. 실연자는 총 음원수익의 6%를 분배받고 분배금액의 평균 20%를 사단법인 한국음악실연자협회에 신탁수수료로 지불한다.
그 중 주실연자인 가수와 부실연자인 연주자는 5:5의 비율로 나누어 분배받는데, 악기연주자는 여러 명일 경우가 많으므로 1/n로 나누게 된다. 지휘자 또한 실연자로 인정받아 지휘자가 있는 곡의 경우 부실연자가 12인 이상이면 주 실연자 45%, 부실연자 45%, 지휘자 10%를 적용하고, 부실연자가 12인 미만이면 주실연자 50%, 부실연자 50%로 적용하되 지휘자도 1명의 부실연자로 간주해 분배를 받는다. 이를 정리하면 수수료를 뺀 각각의 분배율은 유통사 40%, 제작사 35.2%, 저작권자 9.1%, 실연자 4.8%가 되는데, 이러한 음원수익의 분배율에 있어 실제 음원을 창작한 저작권자 및 실연자의 분배비율은 너무 적고, 유통사의 분배비율은 기형적으로 크다는 것이 두드러지는 점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규정을 기반으로 각 사인 간 계약에 따라 각 분배율을 서로 달리 정할 수 있도록 하되, 규정보다 창작자 등에게 불리한 것은 계약으로도 분배율을 변경할 수 없도록 가이드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RNN 오토 인코더(Encoder)의 시계열 임베딩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곡하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인이 흥얼거린 멜로디나 허밍으로 녹음한 멜로디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곡을 수행함으로써 방향성을 체크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멜로디를 이용하여 B 장르의 D 단조로 해본다던지, C 장르의 E 장조로 만들어보는 등 다양한 결과물을 놓고 그 이후에 전문 작곡가가 작곡을 하는 방식으로 원시 작곡가의 취향과 선호도를 일이 진행되기 이전에 파악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실 원시 작곡가는 일반인인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가야 자신이 원하는대로 곡이 나올지 잘 모른다. 이에, 전문 작곡가에게 자신의 곡의 방향성을 설명하는 것도 서툴고 설명을 했다고 할지라도 말로 설명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방향성이나 무드 또는 장르 등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A 이미지가 "심플"하다고 분류가 되었지만, A 이미지를 "심플"하다고 표현하는 사람은 얼마되지 않는다. 어떠한 사람은 "깨끗"하다고 표현할 수도 있고, "단정"하다고 표현하는 등 서로 사용하는 용어와 교육과정 및 삶의 과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르고 차이, 즉 간극이 발생한다. 이때, A 이미지를 "심플"이라는 단어로 표현하지 않고, A 이미지 자체를 제공한다면 의뢰자나 이를 받는 쪽이나 동일한 이미지를 가지고 디자인을 시작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A 멜로디를 B 방향으로 발전시킨 C 음원을 가지고 전문 작곡가에게 의뢰를 하면, 이와 유사한 방향으로 작곡이 나올 수 있게 된다.
작곡가 수준의 작곡을 위하여 비교적 최근에 작곡을 자동으로 하는 연구가 시작되었고 주로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인간 작곡가가 작곡할 때 기존 곡을 듣고 영감을 받아 새로운 곡을 작곡하듯이 인공신경망에 기존 곡을 학습시킨 후 학습된 신경망을 이용해 새로운 곡을 작곡하게 하는 것이다. 인공신경망이 만들어 낸 곡은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한 멜로디 데이터를 학습한 것이기 때문에 박자, 화성 그리고 조성 측면에서 음악적 이론과는 맞지 않는 곡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박자, 화성, 그리고 조성 후처리 알고리즘을 출력된 곡에 적용하여 음악적 이론을 만족하는 곡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을 학습하는 인공신경망으로 전 방향 인공신경망(Feedforward 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이용할 수 있고, 전 방향 인공신경망은 시계열데이터를 학습하지 못하기 때문에 학습할 곡의 데이터를 회귀적으로 구성하여 학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회귀적으로 학습데이터를 구성하여 전 방향 인공신경망에 학습을 하는 것은 학습할 곡의 개수가 많지 않을 때는 큰 문제가 없지만 학습할 데이터가 많은 경우 각각의 곡이 적절히 임베딩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곡을 잘 학습하기 위한 새로운 신경망 구조인, 시계열 데이터를 학습하기에 적합한 Recurrent Neural Network(RNN)과 학습 데이터의 특징을 은닉층에 압축시키는 신경망 구조인 AutoEncoder를 결합할 수 있다. 두 가지를 결합한 RNN AutoEncoder는 시계열을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회귀적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멜로디 데이터가 잘 학습된다. 또한 다수의 곡을 학습할 때 각 곡 데이터의 특성이 압축된 공간에 저장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학습된 신경망으로 새로운 곡을 작곡할 때 신경망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갖는 곡으로 작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NN Auto-Encoder를 텐서플로우 상에서 구현할 수 있고, Auto-Encoder상의 Encoder와 Decoder는 128개의 은닉노드를 갖는 RNN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긴 곡도 잘 학습할 수 있도록 RNN은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학습할 곡은 멜로디와 박자로 나뉘어져서 one-hot encoding 된 형태로 두 개의 RNN Auto-Encoder에 학습될 수 있다. 하나의 곡 전체가 Auto-Encoder의 Encoder에 입력된 후 Encoder에 저장된 128개의 상태가 Decoder에 복사되고 시작태그인 <S>와 함께 Decoder에 학습될 수 있다. Decoder의 출력은 완전연결계층(Fully Connected Layer)을 거쳐서 출력되며 원래와 동일한 시계열이 생성되도록 반복적으로 학습된다. 학습이 종료되면 Auto-Encoder의 Decoder를 이용해 새로운 곡을 작곡한다. Decoder에 시작 태그와 함께 새로운 128개의 벡터를 넣어 주면 새로운 곡이 출력된다.
만약 학습된 하나의 곡의 벡터와 동일한 것을 넣어주면 학습된 곡과 동일한 곡이 출력된다. 그러므로 많은 곡을 학습시킨 후 작곡을 위한 벡터 입력을 적절히 넣어주면 다수의 학습시킨 곡의 특징을 갖는 곡이 출력된다. 작곡을 위한 새로운 벡터를 넣는 방법으로 학습된 두 곡의 벡터 평균을 넣는 방법과 무작위 벡터를 넣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 및 그 외 음원 제작에 필요한 전문가 등으로부터 경력 증명서 또는 졸업 증명서 등을 통하여 인력풀을 구축할 수 있고, 각 분야별로, 제작과정별로, 각 장르별로 구분하여 하위태그 또는 하위분류자를 더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b) 음원 제작과정 전 과정에 이르는 각 과정별로 서로 자신이 작곡하거나 작사한 내용을 업로드할 수 있는 공간이 상위 메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c) 원시 작곡 단말(100)로부터 메인 멜로디가 녹음되는 경우,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로 이를 전달하고 전문 작곡 음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작곡과 작사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그 순서가 변경되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작사 단말(500)로도 이를 배포할 수 있다.
(d)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400)로부터 전문적으로 작곡된 음원이 업로드되는 경우 원시 작곡 단말(100)로 이를 전달하고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중개하거나, 저작권의 이용허락을 받아 각자 서로 다른 음원을 만들 수 있도록 라이센스 계약을 중개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전문 작곡이 완료되고, 작사가가 작사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곡의 가사가 붙여지고, 가수가 노래를 불러서 녹음까지 완료되고 나면, (b) 완성된 음원은 유통 플랫폼을 통하여 유통될 수 있고,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작권 관리 및 수익분배를 할 수 있다. (c) 또 콜라보레이션, 즉 상호협업을 위한 플랫폼을 만들어 각 참여자, 제작자, 창작자를 상세히 기록하고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임의의 사람이 누락되거나 이후 분쟁이 되지 않도록 미리 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다. 또,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수익분배를 IF-THEN의 조건형으로 만들어 인간의 개입없이도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분쟁의 여지를 막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로부터 재학증명서 또는 경력증명서를 수집하여 전문 작곡가의 인력풀(Pool)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5100).
그리고,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원시 작곡 단말에서 원시 음원을 업로드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로부터 전문 음원을 업로드받고(S5200) 원시 작곡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전문 음원 중 어느 하나의 전문 음원을 선택받는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허밍이나 멜로디를 포함한 작곡의 초기 형태에 따른 원시 음원을 업로드하는 원시 작곡 단말;
    실용음악학과 재학 증명서 또는 경력 증명서를 업로드하며 전문 작곡가로 등록하며, 상기 원시 음원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작곡을 수행한 후 완성된 전문 음원을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로부터 재학증명서 또는 경력증명서를 수집하여 전문 작곡가의 인력풀(Pool)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등록부와, 상기 원시 작곡 단말에서 상기 원시 음원을 업로드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로부터 전문 음원을 업로드받는 업로드부와, 상기 원시 작곡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전문 음원 중 어느 하나의 전문 음원을 선택받는 선택부와, 작곡, 작사, 편곡, 녹음, 믹싱, 마스터링, 홍보 및 유통을 포함하는 음원 제작과정의 각 단계를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를 등록받아 회원제로 운영하는 회원관리부와, 상기 원시 작곡 단말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의 창작물의 결합으로 하나의 음원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음원에 대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에 대한 수익분배를 기 설정된 사용료 징수규정에 따라 수행하는 분배부를 포함하는 제작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전문 음원에 대한 작사 데이터를 업로드하거나 작사 공간 메뉴 내에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하위 메뉴에 작사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사 단말; 및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전문 음원에 상기 업로드된 작사 데이터로 노래를 불러 녹음된 결과물인 음악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기 유통된 음원으로 노래를 불러 녹음된 결과물인 음악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수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은,
    멜로디 상에 고유의 오디오 시그니쳐를 삽입하고,
    상기 삽입된 오디오 시그니쳐를 추출하여 음원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추출된 오디오 시그니쳐와 완성된 전문 음원을 블록체인 및 분산저장시스템을 통해 저장하여 음원의 저작권을 검색 및 검증하도록 하되,
    상기 추출된 오디오 시그니쳐는 블록체인 블록의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되며, 블록체인의 블록 생성 제한 크기에 부합되도록, 상기 추출된 오디오 시그니쳐의 데이터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 작곡 단말은,
    P2SH(Pay to Script Hash)에서 교환 스크립트의 크기를 20bytes의 고정 크기로 축소시킨 해시 함수를, 상기 추출한 오디오 시그니쳐와 원본 음원 파일에 적용하고,
    해시되기 이전의 오디오 시그니쳐와 음원 파일은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를 활용하여 별도의 노드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작곡 단말은,
    상기 음원 제작과정의 각 단계를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의 창작물을 선택하도록 하고,
    중개 방식의 플랫폼을 구성하거나, 협업 플랫폼 내에서 다수가 참여하여 하나의 음원을 만들도록 구성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KR1020210116313A 2020-10-15 2021-09-01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68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313A KR102568089B1 (ko) 2020-10-15 2021-09-01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332 2020-10-15
KR1020210116313A KR102568089B1 (ko) 2020-10-15 2021-09-01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332 Division 2020-10-15 2020-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038A KR20220050038A (ko) 2022-04-22
KR102568089B1 true KR102568089B1 (ko) 2023-08-18

Family

ID=8145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313A KR102568089B1 (ko) 2020-10-15 2021-09-01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712B1 (ko) * 2022-09-20 2023-10-05 주식회사 제주바이오테크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음원 유사 판단 및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음원 인덱싱 정보 저장 및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889B1 (ko) * 2019-08-12 2020-07-30 박지선 온라인 플랫폼상에서의 음악 창작활동을 위한 실시간 공동작업 및 평가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253B1 (ko) * 2018-07-27 2020-10-26 설융석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및 유통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889B1 (ko) * 2019-08-12 2020-07-30 박지선 온라인 플랫폼상에서의 음악 창작활동을 위한 실시간 공동작업 및 평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038A (ko)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3883B2 (en) Personalized music remixing
Cheliotis From open source to open content: Organization, licensing and decision processes in open cultural production
US8457977B2 (en) Advanced encoding of music files
Baskerville et al. Music business handbook and career guide
Bently Authorship of popular music in UK copyright law
KR20180025084A (ko) 음원 제공 서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음원 제작 방법, 음원 제공 서버 및 음원 제작 단말
KR102568089B1 (ko) 상호협업 기반 음악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4639B1 (ko) 키워드 기반 맞춤형 음악 창작자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개 방법
Flory liveness and the Grateful Dead
Harkins et al. (Dis) locating democratization: Music technologies in practice
Müller et al. Computational methods for melody and voice processing in music recordings (Dagstuhl seminar 19052)
Weng et al. Exploring the competitive advantages of an innovative online music production framework combined with deep learning
Onwuegbuna Production, propagation and consumption of Nigerian popular music
Bell Creating Commercial Music: Advertising* Library Music* TV Themes* and More
KR102592818B1 (ko) 사운드소스의 선택적 확장과 조합이 가능한 디지털 창작물 창설 시스템
KR102224216B1 (ko) 공연 음악 플랫폼 시스템
Ebare The Computerization of practice in peripheral music communities
US20240153475A1 (en) Music management services
US20240185182A1 (en) Centralized saas platform for a&amp;rs, record labels, distributors, and artists to explore unreleased production from songwriters
WO2024075638A1 (ja) 音響モデルの訓練方法
Woodward Understanding saxophone solos in recorded popular music 1972-1995
Vines Composing digital music for dummies
KR100726756B1 (ko) 퍼블릭 가수양성 방법 및 시스템
JP2023113579A (ja) 音源データの分離・再合成方法、及びカラオケ伴奏用音源提供システム
Reid The Session Guitarist as a Collaborator and Arranger in the Analogue and Digital Eras of Recor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