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895B1 -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895B1
KR101844895B1 KR1020170143146A KR20170143146A KR101844895B1 KR 101844895 B1 KR101844895 B1 KR 101844895B1 KR 1020170143146 A KR1020170143146 A KR 1020170143146A KR 20170143146 A KR20170143146 A KR 20170143146A KR 101844895 B1 KR101844895 B1 KR 10184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ustic soda
supply
aqueous solution
pipe
storage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기
Original Assignee
조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기 filed Critical 조민기
Priority to KR102017014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3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wo or more flows, e.g. using flow sensing or flow controlling devices
    • B01F35/833Flow control by valves, e.g. opening intermittently
    • B01F15/0429
    • B01F15/0243
    • B01F15/02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7/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5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고관리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은 혼합라인(60)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되며 교반기(71)가 구비된 교반탱크(70)와, 중간부에 급수펌프(82)가 구비된 급수관(81)을 통해 상기 교반탱크(70)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탱크(7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80)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저장탱크(11)에 저장된 50%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을 상기 교반탱크(70)로 공급하여 33%나 25%로 농도를 조절하여, 제2 저장탱크(12)나 제3 저장탱크(13)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50%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만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 됨으로,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재고관리가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caustic soda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재고관리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제조용 또는 세정제용으로 사용되는 가성소다는 물과 일정비율로 혼합된 수용액상태로 보관과 운반 및 유통된다.
이때, 이와 같이 가성소다와 물을 혼합한 가성소다수용액은 농도가 50%와 33% 및 25%의 것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성소다를 유통하기 위해서는, 탱크가 구비된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공장에서 생산된 가성소다수용액을 임의의 장소에 마련된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으로 운반하여 저장하고, 고객에게 판매할 때는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가성소다수용액 거장시스템에 저장된 가성소다를 고객에게 운반하여야 한다.
상기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을 저장하는 복수개의 저장탱크(11,12,13)와,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되어 운반차량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을 저장탱크(11,12,13)에 공급하는 공급라인(20)과,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된 가성소다수용액을 운반차량으로 공급하는 배출라인(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탱크(11,12,13)는 50%의 가성소다수용액이 저장되는 제1 저장탱크(11)와, 33%의 가성소다수용액이 저장되는 제2 저장탱크(12)와, 25%의 가성소다수용액이 저장되는 제3 저장탱크(13)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라인(20)은 일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상측 둘레부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에는 연결탭(21)이 구비되어, 별도의 연결관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탭(21)과 운반차량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탭(21)은 지면에 설치된 제1 지지대(22)에 고정된다.
상기 배출라인(30)은 일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하측둘레부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에는 수직관(40)에 연결되는 것으로, 중간부에는 배출펌프(31)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관(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제2 지지대(50)에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직관(40)은 하단이 상기 운반차량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의 분기부에는 가성소다수용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 공급제어밸브(23,24,25)와 제1 내지 제3 배출제어밸브(32,33,34)가 구비된다.
따라서, 운반차량을 상기 연결탭(21)에 근접시키고, 상기 연결관을 이용하여 상기 운반차량과 연결탭(21)을 연결한 후, 상기 운반차량에 구비된 공급펌프를 구동시키면, 운반차량의 탱크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상기 공급라인(20)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12,13)로 공급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운반차량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농도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급제어밸브(23,24,2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운반차량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제1 내지 제3 저장탱크(11,12,13)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운반차량을 상기 수직관(40)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운반차량의 탱크 상면의 주입구에 구비된 밀폐도어를 연 후, 상기 배출펌프(31)를 구동시키면,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상기 배출라인(30)과 수직관(40)을 통해 운반차량의 저장탱크(11,12,13)로 공급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배출제어밸브(32,33,3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50%와 33% 및 25%의 가성소다수용액이 선택적으로 상기 운반차량의 탱크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은 제1 내지 제3 저장탱크(11,12,13)에 50%와 33% 및 25%의 가성소다수용액이 각각 별도로 저장됨으로, 일측의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소비량에 맞춰,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해당 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을 운반하여 저장탱크(11,12,13)에 동일한 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을 공급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 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의 소비량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됨으로, 각 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의 재고관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가성소다수용액은 농도에 따라 어는 온도가 서로 달라진다.
즉, 농도 50%의 가성소다수용액의 어는 온도는 12~15℃이고, 농도 33%의 가성소다수용액의 어는 온도는 5℃이며, 농도 25%의 가성소다수용액의 어는 온도는 -15℃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성소다수용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11,12,13)의 내부에는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기온이 각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어는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가열수단이 구동되어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얼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가열수단은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는 일반적인 히터를 이용함으로, 많은 전기를 소비할 뿐 아니라, 가성소다수용액을 효과적으로 가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출라인(30)이 연결되는 수직관(40)은 제2 지지대(50)에 지면으로부터 상당히 높은 곳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운반차량의 진입시 운반차량이 수직관(4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라인과 수직관(40)을 통해 운반차량의 탱크에 가성소다수용액을 공급할 때는 작업자가 상기 수직관(40)의 하단에 탱크의 내부로 연장되는 별도의 연결관을 연결하여, 수직관(40)에서 배출된 가성소다수용액이 탱크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탱크에 가성소다수용액을 공급한 후에는 상기 연결관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수직관(40)에 별도의 연결관을 연결하거나 분리하고 분리된 연결관을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53037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고관리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을 저장하는 복수개의 저장탱크(11,12,13)와, 일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하측둘레부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에는 연결탭(21)이 구비되어 사이 연결탭(21)에 연결되는 운반차량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을 저장탱크(11,12,13)에 공급하는 공급라인(20)과, 일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하측둘레부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에는 수직관(4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된 가성소다수용액을 상기 수직관(40)의 하측에 위치된 운반차량으로 공급하는 배출라인(30)과, 상기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의 분기부에 구비되어 가성소다수용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 공급제어밸브(23,24,25)와 제1 내지 제3 배출제어밸브(32,33,34)를 포함하는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에 있어서, 혼합라인(60)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되며 교반기(71)가 구비된 교반탱크(70)와, 중간부에 급수펌프(82)가 구비된 급수관(81)을 통해 상기 교반탱크(70)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탱크(7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라인(60)은 일단은 상기 배출라인(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교반탱크(70)의 상측에 연결된 공급관(61)과, 상기 공급관(6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61)을 상기 배출라인(30)에 연결되는 제1 공급부(61a)와 상기 교반탱크(70)에 연결되는 제2 공급부(61b)로 구획하는 순환펌프(62)와, 일단은 상기 교반탱크(70)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공급부(61a)에 연결된 제1 배출관(63)과, 일단은 상기 제2 공급부(61b)에 연결되고 타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공급라인(20)에 연결된 제2 배출관(64)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급부(61b)와 상기 제1 및 제2 배출관(63,64)에 각각 구비된 제1 내지 제4 보조제어밸브(65,66,67,68)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과 상기 급수탱크(8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교반탱크(70)로 공급하고, 상기 교반기(71)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가성소다수용액의 농도를 조절한 후, 상기 저장탱크(11,12,13)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구비되어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어는 것을 방지하는 결빙방지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빙방지수단(90)은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91a)과 상기 회전축(91a)의 하단 둘레부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바(91b)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91a)과 연장바(91b)의 내부에는 유로(91c)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91b)의 둘레면에는 상기 연결통로와 연결되는 분사공(91d)이 형성된 회전부재(91)와, 상기 회전부재(91)의 회전축(91a)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9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92)와, 급기관(93a)을 통해 회전부재(91)의 유로(91c)에 연결되어 유로(91c)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3)과, 상기 급기관(93a)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관(93a)을 통해 유로(91c)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94)와,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95)와, 상기 온도측정센서(95)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92)와 급기수단(93) 및 히터(9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6)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96)은 상기 온도측정센서(9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로 냉각되면 상기 구동모터(92)를 구동시켜 회전부재(91)가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에 비해 낮게 설정된 제2 온도로 냉각되면 상기 구동모터(9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기수단(93)을 구동시켜 상기 유로(91c)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상기 제2 온도에 비해 낮게 설정된 제3 온도로 냉각되면 상기 히터(94)를 on시켜 상기 유로(91c)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라인(30)은 일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하측둘레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지지대(50)에 구비된 수직관(40)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지대(5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51)와, 상기 고정부(51)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관(40)이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52)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관(40)은 상기 지지부(52)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관부(41)와, 상기 지지관부(4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하강시 하단이 상기 운반차량의 탱크 상면의 주입구를 통해 탱크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관부(42)와, 상기 승강관부(42)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리모컨(43a)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리모컨(43a)을 조작함에 따라 승강관부(42)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43)과, 기단부가 상기 승강관부(4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44)와, 상기 회동바(44)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회동바(44)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승강관부(42)의 하단을 가리도록 위치되어 상기 승강관부(42)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가성소다수용액을 수집하며 일측에는 내부에 수집된 가성소다수용액을 배출하는 배출튜브(45a)가 연결된 수집통체(45)와, 상기 회동바(44)에 연결되어 회동바(44)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6)과, 상기 지지관부(41)에 구비되어 승강관부(42)가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수단(47)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6)은 상기 승강감지수단(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관부(42)가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46)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바(44)를 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수집통체(45)가 상기 승강관부(42)의 하단을 가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은 혼합라인(60)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되며 교반기(71)가 구비된 교반탱크(70)와, 중간부에 급수펌프(82)가 구비된 급수관(81)을 통해 상기 교반탱크(70)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탱크(7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80)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저장탱크(11)에 저장된 50%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을 상기 교반탱크(70)로 공급하여 33%나 25%로 농도를 조절하여, 제2 저장탱크(12)나 제3 저장탱크(13)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50%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만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 됨으로,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재고관리가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의 저장탱크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의 회로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서로 다른 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을 저장하는 복수개의 저장탱크(11,12,13)와,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되어 운반차량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을 저장탱크(11,12,13)에 공급하는 공급라인(20)과,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된 가성소다수용액을 운반차량으로 공급하는 배출라인(30)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11,12,13)는 50%의 가성소다수용액이 저장되는 제1 저장탱크(11)와, 33%의 가성소다수용액이 저장되는 제2 저장탱크(12)와, 25%의 가성소다수용액이 저장되는 제3 저장탱크(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라인(20)은 일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상측 둘레부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에는 연결탭(21)이 구비되어, 별도의 연결관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탭(21)과 운반차량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탭(21)은 지면에 설치된 제1 지지대(2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라인(30)은 일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하측둘레부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에는 수직관(40)에 연결되는 것으로, 중간부에는 배출펌프(31)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관(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된 제2 지지대(50)에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직관(40)은 하단이 상기 운반차량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의 분기부에는 가성소다수용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 공급제어밸브(23,24,25)와 제1 내지 제3 배출제어밸브(32,33,34)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라인(60)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되며 교반기(71)가 구비된 교반탱크(70)와, 중간부에 급수펌프(82)가 구비된 급수관(81)을 통해 상기 교반탱크(70)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탱크(7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80)와,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구비되어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어는 것을 방지하는 결빙방지수단(90)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혼합라인(6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배출라인(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교반탱크(70)의 상측에 연결된 공급관(61)과, 상기 공급관(6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61)을 상기 배출라인(30)에 연결되는 제1 공급부(61a)와 상기 교반탱크(70)에 연결되는 제2 공급부(61b)로 구획하는 순환펌프(62)와, 일단은 상기 교반탱크(70)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공급부(61a)에 연결된 제1 배출관(63)과, 일단은 상기 제2 공급부(61b)에 연결되고 타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공급라인(20)에 연결된 제2 배출관(64)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급부(61b)와 상기 제1 및 제2 배출관(63,64)에 각각 구비된 제1 내지 제4 보조제어밸브(65,66,67,6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보조제어밸브(65)는 상기 제1 공급부(61a)의 중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보조제어밸브(66)는 상기 제2 공급부(61b)의 중간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보조제어밸브(67)는 상기 제1 배출관(63)의 중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4 보조제어밸브(68)는 상기 제2 배출관(64)의 중간부에 구비된다.
상기 교반기(71)는 상기 교반탱크(7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교반날개(71a)와, 상기 교반탱크(7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날개(71a)의 상단에 연결되는 교반모터(71b)로 구성되어, 상기 교반모터(71b)로 교반날개(71a)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교반탱크(70)의 내부로 공급된 가성소다수용액과 물을 교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탱크(80)는 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급수탱크(80)와 교반탱크(70)를 연결하는 급수관(81)의 중간부에는 급수펌프(82)가 연결되어, 급수탱크(8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교반탱크(7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라인(30)의 제1 배출제어밸브(32)와, 상기 혼합라인(60)의 제1 및 제2 보조제어밸브(65,66)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순환펌프(62)를 구동시키면, 도 5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저장탱크(11)에 저장된 50%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이 상기 배출라인(30)과 공급관(61)을 통해 상기 교반탱크(70)로 공급되고, 상기 교반탱크(70)에 공급되는 50%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의 용량에 비례하여 상기 급수탱크(8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교반탱크(70)로 공급한 후, 상기 교반기(71)를 구동시키면, 50%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과 물이 혼합되어, 상기 교반탱크(70)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농도를 낮게, 예를 들어, 33% 또는 25%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탱크(70)에서 농도가 조절된 가성소다수용액의 농도에 따라, 상기 공급라인(20)의 제2 또는 제3 공급제어밸브(24,25)를 개방하고, 상기 혼합라인(60)의 제3 및 제4 보조제어밸브(67,68)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순환펌프(62)를 구동시키면, 도 6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교반탱크(70)의 내부에서 농도가 조절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상기 제1 및 제2 배출관(63,64)과 상기 공급관(61) 및 공급라인(30)을 통해 제2 또는 제3 저장탱크(12,13)로 공급된다.
상기 결빙방지수단(9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유로(91c)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부재(91)와, 상기 회전부재(9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9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92)와, 급기관(93a)을 통해 회전부재(91)의 유로(91c)에 연결되어 유로(91c)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3)과, 상기 급기관(93a)의 중간부에 구비된 히터(94)와,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95)와, 상기 온도측정센서(95)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92)와 급기수단(93) 및 히터(9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6)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91)는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91a)과, 상기 회전축(91a)의 하단 둘레부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바(91b)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91a)은 내부에 상기 유로(91c)가 형성된 원형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은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장바(91b)는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유로(91c)가 형성되며 양단이 밀폐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중간부가 상기 회전축(91a)의 하단에 결합된 것으로, 연장바(91b) 내부의 유로(91c)는 상기 회전축(91a)에 형성된 유로(91c)와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바(91b)의 둘레면에는 상기 연결통로와 연결되는 분사공(91d)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92)는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91)의 회전축(91a)에 연결되어, 회전부재(9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이 회전부재(91)가 회전되면,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교반되어,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어는 온도 이하로 낮아지더라도 얼지 않게 된다.
상기 급기수단(93)은 일반적인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하며, 상기 급기관(93a)은 회전식커플러(93b)를 통해 상기 회전축(91a)의 유로(91c)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급기관(93a)의 단부는 복수개로 분기되어 각 저장탱크(11,12,13)에 구비된 회전축(91a)의 유로(91c)에 연결되고, 상기 급기관(93a)에는 상기 제어수단(96)에 의해 개폐되는 급기밸브(93c)가 연결되어, 각각의 저장탱크(11,12,13)에 구비된 회전축(91a)의 유로(91c)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수단(93)을 구동시키면, 상기 회전축(91a)의 유로(91c)로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며, 이와 같이 공급된 공기는 상기 연장바(91b)의 분사공(91d)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내부로 공급되어,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어는 온도 이하로 낮아지더라도 가성소다수용액이 얼지 않도록 한다.
특히, 이와 같이 급기수단(93)을 이용하여 상기 가성소다수용액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단순히 상기 회전부재(91)를 회전시키는 것에 비해 더욱 효과적으로 가성소다수용액이 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히터(94)는 상기 급기관(93a)의 중간부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켜 상기 급기관(93a)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히터(94)를 이용한다.
상기 온도측정센서(95)는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내부 하측면에 구비되어,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온도측정센서(95)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수단(96)에는 상기 구동모터(92)와 급기수단(93) 및 히터(94)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준이 되는 제1 내지 제3 온도가 미리 입력된다.
상기 제1 기준온도는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어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기준온도는 상기 제1 기준온도보다 낮은 온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어는 온도로 설정되며, 상기 제3 기준온도는 상기 제2 기준온도보다 2℃정도 낮은 온도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저장탱크(11)에 저장되는 50%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의 어는점은 12~15℃임으로, 상기 제1 저장탱크(11)의 제1 기준온도는 17℃로 설정되고, 제2 기준온도는 15℃, 그리고, 제3 기준온도는 13℃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저장탱크(12)와 제3 저장탱크(13)의 기준온도는 각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어는점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저장탱크(11)의 경우, 상기 제어수단(96)은 상기 제1 저장탱크(11)에 구비된 온도측정센서(9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저장탱크(11)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 즉, 17℃로 냉각되면 상기 구동모터(92)를 구동시켜 회전부재(91)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저하되더라도 가성소다수용액이 얼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제2 온도인 15℃로 냉각되면 제어수단(96)은 상기 구동모터(9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기수단(93)을 구동시켜 상기 유로(91c)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가성소다수용액이 얼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제3 온도인 13℃로 냉각되면 상기 히터(94)를 on시켜 상기 유로(91c)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13℃이상을 유지하여 얼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저장탱크(12)와 제3 저장탱크(13)의 경우, 상기 제어수단(96)은 제2 저장탱크(12)와 제3 저장탱크(13)에 구비된 온도측정센서(95)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저장탱크(12)와 제3 저장탱크(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를 측정하고, 미리 입력된 제1 내지 제3 기준온도에 따라, 각 저장탱크(11,12,13)에 구비된 구동모터(92)와 급기수단(93) 및 히터(94)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2 및 제 3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어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은 혼합라인(60)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되며 교반기(71)가 구비된 교반탱크(70)와, 중간부에 급수펌프(82)가 구비된 급수관(81)을 통해 상기 교반탱크(70)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탱크(7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80)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저장탱크(11)에 저장된 50%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을 상기 교반탱크(70)로 공급하여 33%나 25%로 농도를 조절하여, 제2 저장탱크(12)나 제3 저장탱크(13)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50%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만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 됨으로,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재고관리가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혼합라인(60)은 일단은 상기 배출라인(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교반탱크(70)의 상측에 연결된 공급관(61)과, 상기 공급관(6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61)을 제1 공급부(61a)와 제2 공급부(61b)로 구획하는 순환펌프(62)와, 일단은 상기 교반탱크(70)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공급부(61a)에 연결된 제1 배출관(63)과, 일단은 상기 제2 공급부(61b)에 연결되고 타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공급라인(20)에 연결된 제2 배출관(64)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급부(61b)와 상기 제1 및 제2 배출관(63,64)에 각각 구비된 제1 내지 제4 보조제어밸브(65,66,67,68)로 구성되어, 혼합라인(60)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1,12,13)에는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어는 것을 방지하는 결빙방지수단(90)이 구비되며, 상기 결빙방지수단(90)은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91a)과 상기 회전축(91a)의 하단 둘레부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바(91b)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91a)과 연장바(91b)의 내부에는 유로(91c)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91b)의 둘레면에는 상기 연결통로와 연결되는 분사공(91d)이 형성된 회전부재(91)와, 상기 회전부재(91)의 회전축(91a)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9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92)와, 급기관(93a)을 통해 회전부재(91)의 유로(91c)에 연결되어 유로(91c)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3)과, 상기 급기관(93a)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관(93a)을 통해 유로(91c)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94)와,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95)와, 상기 온도측정센서(95)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92)와 급기수단(93) 및 히터(9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6)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96)은 상기 온도측정센서(9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로 냉각되면 상기 구동모터(92)를 구동시켜 회전부재(91)가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에 비해 낮게 설정된 제2 온도로 냉각되면 상기 구동모터(9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기수단(93)을 구동시켜 상기 유로(91c)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상기 제2 온도에 비해 낮게 설정된 제3 온도로 냉각되면 상기 히터(94)를 on시켜 상기 유로(91c)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따라서, 최소한의 에너지만을 소비하여 가성소다수용액이 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 지지대(5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51)와, 상기 고정부(51)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관(40)이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5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5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금속관체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하단부에는 지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고정판(51a)이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지지브라켓(51b)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5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기단부가 상기 지지브라켓(51b)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지지아암(52a)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기단부가 상기 제1 지지아암(52a)의 선단부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 상기 수직관(40)이 결합되는 제2 지지아암(52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수직관(40)을 손으로 잡고 수직관(40)을 수평방향으로 밀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아암(52b)이 적절히 회동되면서 상기 수직관(40)이 수평방향으로 위치이동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관(40)은 상기 지지부(52)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관부(41)와, 상기 지지관부(4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하강시 하단이 상기 운반차량의 탱크 상면의 주입구를 통해 탱크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관부(42)와, 상기 승강관부(42)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리모컨(43a)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리모컨(43a)을 조작함에 따라 승강관부(42)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43)과, 기단부가 상기 승강관부(4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44)와, 상기 회동바(44)의 선단부에 구비된 수집통체(45)와, 상기 회동바(44)에 연결되어 회동바(44)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6)과, 상기 지지관부(41)에 구비되어 승강관부(42)가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수단(47)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부(41)는 상기 제2 지지아암(52b)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상단에 상기 배출라인(30)이 연결된다.
상기 승강관부(42)는 상기 지지관부(41)의 외측에 승강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상단 내주면에는 승강관부(42)와 지지관부(41)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오링이 구비되어, 상기 배출라인(30)을 통해 지지관부(41)로 공급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승강관부(42)의 하단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4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하단이 상기 지지관부(41)와 승강관부(42)에 각각 연결된 에어실린더기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상기 리모컨(43a)을 조작하면 신축되어 상기 승강관부(42)를 승강시킨다.
상기 회동바(44)는 전후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선단부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수집통체(45)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46)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승강관부(42)와 회동바(44)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회동바(44)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승강감지수단(47)은 상기 지지관부(41)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관부(42)가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한다.
상기 수집통체(45)는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바(44)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바(44)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승강관부(42)의 하단을 가리도록 위치되어 상기 승강관부(42)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가성소다수용액을 수집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44)가 상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승강관부(42)의 중간부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승된다.
이때, 상기 수집통체(45)의 일측에는 내부에 수집된 가성소다수용액을 배출하는 배출튜브(45a)가 연결된다.
상기 배출튜브(45a)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단부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별도로 마련된 폐기물처리장치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성소다수용액 수집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관(40)의 승강관부(42)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수단(96)이 상기 승강감지수단(47)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상기 회동구동수단(46)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바(44)를 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수집통체(45)가 상기 승강관부(4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운반차량을 운전하여 운반차량이 수직관(4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운반차량의 탱크 상면의 주입구에 구비된 밀폐도어를 열고, 상기 수직관(40)을 측방향으로 밀어 수직관(40)이 주입구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조절한 후, 상기 리모컨(43a)을 이용하여 승강구동수단(43)을 조작하여 상기 승강관부(42)가 하강되도록 하면, 상기 승강관부(42)의 하단이 상기 주입구를 통해 탱크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96)은 상기 승강감지수단(47)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동수단(46)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바(44)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집통체(45)가 상승되어 상기 승강관부(42)의 중간부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라인(30)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배출제어밸브(32,33,34)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상기 배출펌프(31)를 구동시키면, 상기 제1 내지 제3 저장탱크(11,12,13)중에 어느 하나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상기 배출라인(30)과 수직관(40)을 통해 운반차량의 탱크로 공급된다.
그리고, 운반차량의 탱크에 필요한 양의 가성소다수용액이 저장되어, 작업자가상기 배출펌프(31)를 정지시키고 개방된 배출제어밸브(32,33,34)를 밀폐한 후, 상기 리모컨(43a)을 조작하여 상기 승강관부(42)를 상승시키면, 상기 제어수단(96)은 상기 승강감지수단(47)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동수단(46)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바(44)가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집통체(45)가 하강되어 상기 승강관부(4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수직관(40)의 내부에 남아있는 가성소다수용액이 수직관(40)의 하단으로 배출될 경우, 배출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상기 수집통체(45)에 수집된 후, 상기 배출튜브(45a)를 통해 폐기물처리장치로 배출되어, 중화처리된 후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은 상기 제2 지지대(5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51)와, 상기 고정부(51)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관(40)이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52)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관(40)은 상기 지지부(52)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관부(41)와, 상기 지지관부(4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하강시 하단이 상기 운반차량의 탱크 상면의 주입구를 통해 탱크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관부(42)와, 상기 승강관부(42)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리모컨(43a)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리모컨(43a)을 조작함에 따라 승강관부(42)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43)과, 기단부가 상기 승강관부(4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44)와, 상기 회동바(44)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회동바(44)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승강관부(42)의 하단을 가리도록 위치되어 상기 승강관부(42)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가성소다수용액을 수집하며 일측에는 내부에 수집된 가성소다수용액을 배출하는 배출튜브(45a)가 연결된 수집통체(45)와, 상기 회동바(44)에 연결되어 회동바(44)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6)과, 상기 지지관부(41)에 구비되어 승강관부(42)가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수단(47)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96)은 상기 승강감지수단(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관부(42)가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46)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바(44)를 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수집통체(45)가 상기 승강관부(42)의 하단을 가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운반차량의 탱크에 가성소다수용액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수직관(40)에 별도의 연결관을 연결하여야 하는 종래의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과 달리, 운반차량을 수직관(40)의 하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수직관(40)의 승강관부(42)를 하강시키면, 상기 승강관부(42)가 운반차량의 탱크의 내부로 연장되어 직접 운반차량의 탱크로 가성소다수용액을 공급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관부(42)가 상승되면, 상기 제어수단(96)이 승강감지수단(47)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상기 회동구동수단(46)으로 회동바(44)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수집통체(45)가 승강관부(4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 수직관(40)의 내부에 남아있는 상태로 천천히 흘러내려 하측으로 배출되는 가성소다수용액이 수집통체(45)의 내부로 수집된 후, 배출튜브(45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처리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차량에 가성소다수용액을 공급한 후, 상기 수직관(40)의 내부에 남아있는 가성소다수용액이 운반차량의 탱크상면이나 기타의 장소에 떨어져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12,13. 저장탱크 20. 공급라인
30. 배출라인 40. 수직관
50. 제2 지지대 60. 혼합라인
70. 교반탱크 80. 급수탱크
90. 결빙방지수단

Claims (3)

  1. 서로 다른 농도의 가성소다수용액을 저장하는 복수개의 저장탱크(11,12,13)와,
    일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하측둘레부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에는 연결탭(21)이 구비되어 사이 연결탭(21)에 연결되는 운반차량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을 저장탱크(11,12,13)에 공급하는 공급라인(20)과,
    일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하측둘레부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에는 수직관(40)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된 가성소다수용액을 상기 수직관(40)의 하측에 위치된 운반차량으로 공급하는 배출라인(30)과,
    상기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의 분기부에 구비되어 가성소다수용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 공급제어밸브(23,24,25)와 제1 내지 제3 배출제어밸브(32,33,34)를 포함하는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에 있어서,
    혼합라인(60)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연결되며 교반기(71)가 구비된 교반탱크(70)와,
    중간부에 급수펌프(82)가 구비된 급수관(81)을 통해 상기 교반탱크(70)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탱크(7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라인(60)은
    일단은 상기 배출라인(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교반탱크(70)의 상측에 연결된 공급관(61)과,
    상기 공급관(6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61)을 상기 배출라인(30)에 연결되는 제1 공급부(61a)와 상기 교반탱크(70)에 연결되는 제2 공급부(61b)로 구획하는 순환펌프(62)와,
    일단은 상기 교반탱크(70)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공급부(61a)에 연결된 제1 배출관(63)과,
    일단은 상기 제2 공급부(61b)에 연결되고 타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공급라인(20)에 연결된 제2 배출관(64)과,
    상기 제1 및 제2 공급부(61b)와 상기 제1 및 제2 배출관(63,64)에 각각 구비된 제1 내지 제4 보조제어밸브(65,66,67,68)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과 상기 급수탱크(8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교반탱크(70)로 공급하고, 상기 교반기(71)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가성소다수용액의 농도를 조절한 후, 상기 저장탱크(11,12,13)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구비되어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이 어는 것을 방지하는 결빙방지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빙방지수단(90)은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회전축(91a)과 상기 회전축(91a)의 하단 둘레부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바(91b)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91a)과 연장바(91b)의 내부에는 유로(91c)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91b)의 둘레면에는 연결통로와 연결되는 분사공(91d)이 형성된 회전부재(91)와,
    상기 회전부재(91)의 회전축(91a)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9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92)와, 급기관(93a)을 통해 회전부재(91)의 유로(91c)에 연결되어 유로(91c)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3)과,
    상기 급기관(93a)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관(93a)을 통해 유로(91c)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94)와,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95)와,
    상기 온도측정센서(95)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92)와 급기수단(93) 및 히터(9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6)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96)은 상기 온도측정센서(9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탱크(11,12,13)에 저장된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로 냉각되면 상기 구동모터(92)를 구동시켜 회전부재(91)가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에 비해 낮게 설정된 제2 온도로 냉각되면 상기 구동모터(9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기수단(93)을 구동시켜 상기 유로(91c)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가성소다수용액의 온도가 상기 제2 온도에 비해 낮게 설정된 제3 온도로 냉각되면 상기 히터(94)를 on시켜 상기 유로(91c)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라인(30)은 일단은 복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저장탱크(11,12,13)의 하측둘레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지지대(50)에 구비된 수직관(40)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지대(5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51)와,
    상기 고정부(51)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관(40)이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52)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관(40)은
    상기 지지부(52)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관부(41)와,
    상기 지지관부(4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하강시 하단이 상기 운반차량의 탱크 상면의 주입구를 통해 탱크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관부(42)와,
    상기 승강관부(42)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리모컨(43a)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리모컨(43a)을 조작함에 따라 승강관부(42)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43)과,
    기단부가 상기 승강관부(4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44)와,
    상기 회동바(44)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회동바(44)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승강관부(42)의 하단을 가리도록 위치되어 상기 승강관부(42)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가성소다수용액을 수집하며 일측에는 내부에 수집된 가성소다수용액을 배출하는 배출튜브(45a)가 연결된 수집통체(45)와,
    상기 회동바(44)에 연결되어 회동바(44)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6)과,
    상기 지지관부(41)에 구비되어 승강관부(42)가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수단(47)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6)은 상기 승강감지수단(4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관부(42)가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46)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바(44)를 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수집통체(45)가 상기 승강관부(42)의 하단을 가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
KR1020170143146A 2017-10-31 2017-10-31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 KR10184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146A KR101844895B1 (ko) 2017-10-31 2017-10-31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146A KR101844895B1 (ko) 2017-10-31 2017-10-31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895B1 true KR101844895B1 (ko) 2018-04-03

Family

ID=6197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146A KR101844895B1 (ko) 2017-10-31 2017-10-31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8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954A (ja) 2002-06-21 2004-01-29 Nitto Seiko Co Ltd 苛性ソーダ希釈システムにおける希釈濃度補正装置
KR101169989B1 (ko) 2012-03-30 2012-07-31 주식회사삼영이앤티 가성소다 재이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954A (ja) 2002-06-21 2004-01-29 Nitto Seiko Co Ltd 苛性ソーダ希釈システムにおける希釈濃度補正装置
KR101169989B1 (ko) 2012-03-30 2012-07-31 주식회사삼영이앤티 가성소다 재이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035B1 (ko) 세정액 자동공급시스템
KR101224010B1 (ko)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
CN203968916U (zh) 一种用于奶牛养殖的恒温饮水器
US4324228A (en) Solar heating apparatus
KR101844895B1 (ko)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시스템
US20060159584A1 (en) Method for processing infectious waste and system for the same
KR101844896B1 (ko) 가성소다수용액 저장소
EP2316997B1 (en) Washing device
US525879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developing film and paper
CN212692111U (zh) 化料装置及化料设备
CN207095881U (zh) 一种茶水机寿命测试设备
US5327948A (en) Supply system
CN212249987U (zh) 一种用于采油平台的化学注入橇
JP2883097B2 (ja) 乳化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H10325161A (ja) 高架水槽の凍結防止方法及び装置
CN219136498U (zh) 废水处理设备
CN101829513A (zh) 一种硝酸铵溶液射流搅拌用的泵送装置及方法
US20140367332A1 (en) Septic system and method of treating sewage and grease
CN218230587U (zh) 开式水冷螺旋输送机
GB2238606A (en) Cooling flowable food products
CN213455115U (zh) 一种清洗装置
KR200265537Y1 (ko) 소독약 자동 투입기
KR20030023952A (ko) 눈 세척이 가능한 샤워장치
KR101020883B1 (ko) 실러공급장치
TWM577231U (zh) Completely environmentally friendly fast automatic compos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